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Yonsei Dictionary> from a Korean Informatics Perspective

        서상규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3 No.-

        이 논문에서는, 1986 년 이래 <연세한국어사전>의 편찬 과정의 전개와 국어정보학의 태동과 발전의 흐름을 소개하고, 올림말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국어정보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연세한국어사전>의 편찬 과정에서 특히 올림말의 선정에 잦기(빈도) 정보를 활용한 것에 착안하여, 실제로 이 사전의 올림말 구성이, 오늘날 더욱 진전된 정교한 말뭉치 주석(분석)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과연 얼마만큼의 타당성을 갖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약 5 만 개의 올림말로 이루어진 <연세한국어사전>의뜻풀이는 어떠한 낱말로 이루어졌으며, 과연 이 사전의 올림말로 뜻풀이를 어느 정도나 이해할 수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서, 이 사전의 전체뜻풀이문을 추출하여 말뭉치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뜻풀이말뭉치에는 모두 21,490 개의 단어와 형태(조사와 어미 등)가 쓰였으며, 그 빈도수를 다 합하면766,322 개가 된다. 모든 뜻풀이의 95.1%의 사용 어휘가 <연세한국어사전> 즉 YKD(1998)의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으며, 이들이 사용된 전체 빈도수의 합계는 뜻풀이 말뭉치 전체의 98.7%에 이른다는 놀라운결과를 얻게 된다. 서상규(1998)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사전이 실제말뭉치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중요 어휘를 추출하여 표제어로 수록하였다는 사실이 입증되는 것이다. YKD 사전의 표제어 중 실질어휘는 총 47,877 개이다. 이 실질어휘중에서 실제 사전의 뜻풀이에 사용된 것은 18,105 개로 전체의 약37.8%에 불과하다. 이 점을 미루어 본다면, YKD(1998)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뜻풀이 사용 어휘를 매우 적극적으로 통제하였다고 평가할 만하다. 문법형태 표제어의 출현 비율은 평균적으로 48.4%로 나타나서, 앞서살펴본 실질어휘 표제어에 비해서, 10% 이상 높다. 즉 문법형태는 뜻풀이에 훨씬 더 자주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한편, YKD 의 표제어가 실제 말뭉치의 사용 양상을 얼마나 충실히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어와 구어 균형 말뭉치(각 100 만 마디)의 주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성격이 다른 두 개의 균형 말뭉치(구어와 문어)의 단어 목록과 일치하는, YKD 의 표제어들의 빈도수의 합은, 전체 말뭉치의 무려 90.7%를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실은, <연세한국어사전>이 실제로 말뭉치의 분석에 기반을 둔 국어정보학적 편찬 방법에 충실했다는 사실을뒷받침해 준다. 이와는 반대로, 올림말의 약 34%에 해당하는 16,637 개의 단어(형태)는, 2 개의 말뭉치에 나타나지 않았고, 특히 구어 말뭉치의 사용 단어가 소극적으로 반영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농악 구음으로서 뜻장단의 존재양상과 연행원리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송기태(Song, Ki-tae) 비교민속학회 2024 비교민속학 Vol.- No.79

        농악 가락의 구음은 악기의 소리를 홍내 낸 것과 상징적 뜻을 지닌 것으로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소릿장단과 뜻장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농악 전통에서 뜻장단은 집단주술로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고, 그것을 통해 가락의 분화와 확장을 이루어내는 연행원리를 형성했음에 대해 주목하였다. 또한 뜻장단이 존재함으로 인해 가락이 다양성을 갖추게 되고, 가락의 미세한 차이가 장단형으로 형해화되지 않으며, 변별적인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뜻장단의 오래된 전통을 확인하기 위해 19세기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태평곡정음 12차〉가락보를 분석하였다. <태평곡정음12차> 가락보는 마을농악의 마당밟이와 판굿을 종합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마당방이 가락은 제의적 상징을 담은 뜻장단으로 표기하고, 판굿은 절차에 따라 소릿장단이나 뜻장단을 함께 표기해 놓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농악의 구음은 뜻장단과 소릿장단의 두 체계를 공유하며 오랜기간 전승됐음을 알 수 있었다. 뜻장단의 존재양상을 살피기 위해 전라도지역 농악 보고서를 집약적으로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뜻장단은 마당밟이에 집중되어 있어서 문굿, 샘굿, 조왕굿. 장광굿(철륭굿), 곳간굿, 술굿, 파장굿 등의 제의적 상황을 상징하거나 지시하는 의미로 일정한 형태를 공유하고 있음을 파악했다. 뜻장단은 마당밟이의 절차에 따라 상징하는 바가 다르지만 일정한 장단형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분화해 있어서 가락의 형태는 미세한 차이에 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락마다 상징이나 지시하는 뜻을 담고 있어서 미세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확장·분화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더불어 장단과 형태를 공유하는 점에서 가락을 쉽게 흔 동할 수 있음을 전제하고, 마을농악에서 가락의 변주를 제한하는 연행원리를 구축함으로씨 정체성을 유지하는 이중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끝으로 뜻장단은 공동체적 축원으로서 집단주술의 힘을 표출하는 유력한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농악은 하나의 가락을 전체 연희자가 반복적으로 연행하는데 특징이 있는데, 뜻장단은 구음을 대신하여 악기로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한 가락의 반복이 아니라 축원문을 집단적으로 구송하는 것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마당밟이가 무 당굿의 큰굿보다 더 효험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악기와 복색을 기증하는 문화로도 확장된 것으로 논의하였다. The oral sound of the Nongak rhythm exists as the imitation of the sound of instruments and as that which has symbolic meaning. This study divides them into ‘Sound rhythm (Sorit-Jangdan) and Meaning rhythm (Teut-Jangdan).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act that in the Nongak tradition, the meaning rhythm has a special significance as a collective incantation, which formed the principle of performance to achieve differentiation and expansion of the rhythm. This study also discusses that the existence of the meaning rhythm diversifies the tunes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a distinctive identity without the subtle differences in the tune being dissolved into rhythm types. In order to identify the old tradition of meaning rhythm, this paper refers to the score of Taepyeong-gog-jeongeum-sibicha,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19th century. The score is a comprehensive record of Madangbalbi and Pangut of the village Nongak. It is confirmed that the rhythm of Madangbalbi was written as meaning rhythm containing ritual symbolism, and the rhythm of Pangut was written as sound rhythm or meaning rhythm according to the procedure. This shows that the oral sound of Nongak had two systems, the meaning rhythm and the sound rhythm, and was passed down for a long time. In order to explore the existing forms of meaning rhythms, an intensive analysis was made on Nongak in the Jeolla-do region. Most of the mening rhythms were concentrated on Madangbalbi and shared a certain form with the meaning of symbolizing or indicating ritual situations. Meaning rhythms have different symbolic meanings depending on Madangbalbis procedures, but because they are differentiated in a way that shares certain rhythm types, the forms of the rhythms only have subtle differences. However, because each rhythm contains a symbolic or indicative meaning, it was found that each rhythm expanded and differentiated while maintaining its own independent identity despite subtle differences. In addition, provided that rhythms can be easily confused in that they share some rhythms and forms, village Nongak has a performance principle that limits the variation of the rhythms, thereby establishing a dual device to maintain its identity. Lastly, the meaning rhythm functions as a powerful means of expressing the power of collective incantation as a communal prayer. Nongak is characterized by the repetitive performance of a single rhythm by a group of people. Since the meaning rhythm is expressed by musical instruments instead of oral sound, it is not simply a repetition of the rhythm, but has the significance equivalent to the collective chanting of the prayer. Therefore, Madangbalbi was recognized as more efficacious than Keun-gut (Great Gut) of Mudang-gut (shamanic exorcism), and it also expanded into a culture of donating musical instruments and garments.

      • KCI등재

        한국어 사전에서의 뜻풀이 개선을 위한 종결어미 ‘-던데(요)’ 연구 - 새연세말뭉치4를 활용하여 -

        오세원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4 언어사실과 관점 Vol.61 No.-

        본고는 종결어미 ‘-던데(요)’의 정확한 사전적 처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제 용례들에 대해 보다 설명력 있는 종결어미 ‘-던데(요)’의 뜻풀이 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이를 위하여 연세 한국어 사전 , 표준 국어 대사전 , 고려대 한국어 대사전 3종의 사전에서 나타는 종결어미 ‘-던데(요)’의 뜻풀이를 검토하고, 새연세말뭉치4를 활용하여 종결어미 ‘-던데(요)’의 분포와 용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본고는 기존의 한국어 사전들이 제공하는 종결어미 ‘-던데(요)’의 뜻풀이가 만족스럽지 못함을 확인하고, 종결어미 ‘-던데(요)’의 세부 의미기능을 [단순 추가 정보 전달(과거)]과 [의문 동반 추가 정보 전달(과거)]로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의미기능 구분 방식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제시한 종결어미 ‘-던데(요)’의 맥락에 따른 다양한 사용 양상을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한다. 본고의 의의는 대규모의 표준 말뭉치를 활용하여 종결어미 ‘-던데(요)’의 기능과 분포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 과정을 통해 연결어미와는 구분되는 종결어미 ‘-던데(요)’의 의미·통사적 특징을 살피고, 한국어 사전에 곧바로 적용 가능한 종결어미 ‘-던데(요)’의 새로운 뜻풀이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efinition sentence of sentence-closing ending -deonde(yo) that is more explanatory for actual usag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accurate dictionary processing of -deonde(yo).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definition sentence of -deonde(yo) appearing in Yonsei Korean Dictionary,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and inspected the overall distribution and usage of -deonde(yo) using New Yonsei Corpus 4.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finition sentence of -deonde(yo) provided by existing Korean dictionaries is not satisfactory, and explained the detailed semantic function of -deonde(yo) as [simple delivery of additional information(past)] and [delivery of additional information(past) with expression of doubt]. This method of classifying semantic functions makes it possible to explain comprehensively the various usage pattern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sentence-closing ending -deonde(yo)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e function and distribution of -deonde(yo) using a large-scale standard corpu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sentence-closing ending -deonde(yo), which is distinct from the conective ending -deonde, and proposed a new definition sentence of the sentence-closing ending -deonde(yo) that can be immediately applied to the Korean dictionary.

      • KCI등재

        『牖蒙千字』에 수록된 한자와 관련 정보에 대하여

        이준환 구결학회 2015 구결연구 Vol.34 No.-

        이 글은 게일에 의해 편찬된 『牖蒙千字』에 수록된 漢字와 뜻과 음의 관련 정보가 어떻게 제시되고 있고 어떤 특징을 보이고 있는지를 여러 판본 및 이전 초학서와의 비교를 통하여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 권의 권말에 제시되어 있는 권말 자전과 각 과의 처음에 제시된 과별 자전을 비교하여 세부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이 자전들에 수록된 한자를 모두 모아서 이중어사전과 비교하여 제시 순서를 살펴보고, 이전 초학서와 비교하여 교육용 한자로서의 성격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권말 자전에서 한자를 제시하는 순서는 『韓佛字典』, 『韓英字典』 등에서 국어 어휘를 제시하는 순서에 따라 이루어졌다. 둘째, 권말 자전과 과별 자전에 제시된 정보에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 적지 않은데, 이들은 뜻 또는 어휘의 형태, 유의어/지시 대상, 문법적 성질, 품사, 뜻+품사, 표기, 음운 현상 적용 여부, 한자음 등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뉜다. 셋째, 권말 자전과 과별 자전에 실린 한자를 모두 모아서 이전 시기의 초학서의 한자와 비교하여 본 결과 70%가 이전의 초학서에 실린 한자이며, 『석봉 천자문』, 『신증유합』과의 일치 정도가 높게 나타나며, 「권 1」>「권 2」>「권 3」>「속편」의 순서로 이전 초학서와의 일치율이 나타나 각 권의 한자의 난이도가 적절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한자음의 양상은 판본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구개음화의 반영, ‘ㅅ, ㅈ, ㅊ’ 아래에서의 ‘ㅛ, ㅑ, ㅠ, ㅕ’의 표기, ‘ㆍ’의 반영에서 판본에 따라 보수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과 개신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차이가 있다. 이는 한자음을 규범음에 따라서 가르칠 것인가 현실음에 따라서 가르칠 것인지에 관하여 상당한 고민을 하였음을 보여 주는 것인데, 보수적인 표기는 옛 철자법과 관련을 지어 이해할 수 있고, 개신적인 표기는 게일의 새 철자법과 관련을 지어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東明王篇>을 통해 본 李奎報의 스토리텔링 전개

        이학주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4 No.-

        This study examines how Lee Gyu-Bo practiced story-telling through his "King Dongmyeong" and its preface. He recorded the purpose and method of his writing "King Dongmyeong." And actually he story-told his "King Dongmyeong." The preface of "King Dongmyeong" h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First, he used the story of "Yeohang" and "Old History of Three Countries" as his one source. Second, the trend of contemporary was fantasy worlds. Third, readers of public wanted for the story of King Dongmyeong to be descended unchanged. Forth, he used an epic as a media. Fifth, he made it public that our country is the country of Saints through story marketing. And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Lee Gyu-Bo practiced story-telling in "King Dongmyeong" by his epic. He separated meaning form words. The saint in the preface is to meaning, fantastic ghost is to words. He used fantastic motif, which was the trend of contemporary, as words to express the meaning. He accepted the fantastic motif practiced in the contemporary fantastic novel through the media of epic for story-telling. Further, he satisfied the readers by proving the fantastic motif. His work touched and moved the readers. He succeeded in making public that our country is the country of Saints through story marketing, the ultimate purpose of story-telling. 이글은 <동명왕편>과 그 병서를 중심으로 이규보가 어떻게 스토리텔링을 전개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규보는 서사시 <동명왕편>을 쓰면서 그 병서를 통해서 목적과 방법 등에 관해 기록을 했다. 그리고 실제로 <동명왕편>을 스토리텔링 했다. 이에 <동명왕편>병서에는 스토리텔링의 전반적인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첫째, 원소스는 여항의 이야기와 『구삼국사』의 내용으로 하였다. 둘째, 당시의 트렌드는 환상세계에 있었다. 이는 당시 전기문학(傳奇文學)의 유행과도 무관하지 않다. 셋째, 독자 또는 대중의 욕구는 동명왕의 이야기를 있는 사실 그대로 기록해서 전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넷째, 매체는 서사시를 사용했다. 다섯째, 이야기마케팅은 시를 지어 기록하여 우리나라가 본래 성인(聖人)의 나라임을 알리고자 하였다. 다음은 이규보가 서사시를 통해서 <동명왕편>을 어떻게 스토리텔링으로 전개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규보는 ‘뜻’과 ‘말’을 구분하여 작품을 썼다. 병서에서 말한 성신(聖神)은 뜻에 해당하고 환귀(幻鬼)는 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말은 당대의 트렌드로 쓰였던 환상모티프를 사용했다. 이때 사용한 스토리텔링 매체가 서사시였고, 전기소설 등에서 활용되던 환상모티프를 그대로 수용했으며, 오히려 환상모티프를 증명하여 역사적 진실을 전하고자 하는 독자의 욕구를 충족시켰다. 이런 이규보의 작업이 독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야기마케팅으로 우리나라가 성인의 나라임을 알리고자 한 바를 이루었다.

      • KCI등재

        뜻풀이로 본 『표준국어대사전』의 감탄사 유형 연구

        김문기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0 No.-

        In this paper, I try to classify 586 modern standard language words which listed i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In the school grammar, the type of exclamation has been classified as ‘emotion, will, and a way of talking’ by its dictionary definitions. By applying this semantic-based classification method, I try to classify the type of exclamation based on the meaning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So I divided the exclamation into several types as follows.; sound exclamation, speech exclamation, an unnecessary remark exclamation, command/action exclamation, chant exclamation, refrain and sound/form exclamation. And I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se types.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will be a learning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in school grammar. Because Korean dictionary and school grammar have a common premise such as norms and standardization, they have to have organic relevance. 이 글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현대 표준어 감탄사 586개를 자료로 삼아, 그 유형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학교 문법에서는 감탄사의 유형을 그 의미에 따라 ‘감정, 의지, 말버릇’으로 분류했다. 이 글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감탄사의 뜻풀이를 맺는 방식, 즉 ‘소리, 말, 군소리, 구령 또는 그 동작, 구호, 후렴, 소리 또는 모양’ 등으로 감탄 사의 유형을 분류해 보았다. 이때 감탄사의 의미 자질들을 유형 분류에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이것을 기초 자료로 삼아 학교 문법에서 감탄 사에 대한 교육 내용과 활동 등에 참조할 수 있는 학습 자료로의 활용 가 능성에 대한 논의와 같은 후속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어 기본 색깔말의 원형과 뜻풀이

        박동근 ( Dong Geun Park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2 문법 교육 Vol.16 No.-

        Finding each appropriate figurative language is the key to the successful definition of basic color terms in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y. To do this, word association experiment enable us to survey responsive languages for each color language. Responsive languages showing high response rateto these experiminents can be regarded as a prototype of a specific color term. This study surveyed responsive languages for basic color languages in 200 subjects, and selected figurative languages, considering other conditions. In conclusion, to define color languages in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y, it is considered suitable to select blood for red, sea and sky for blue, forsythia and chick for yellow, snow for white, and night and briquette for black as their respective figurative languages.

      • KCI등재

        《겨레말큰사전》 뜻풀이 특징 -《표준국어대사전》, 《조선말대사전》과 비교하여-

        변영수 ( Byun Youngsu ) 겨레어문학회 2024 겨레어문학 Vol.73 No.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definitions in the 《Gyeoremal Keunsajeon》. The section ‘General Definitions’ examines the general principles, citation of existing dictionary definitions,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basic headwords. The section ‘Definition Format’ categorizes and describes the features under ‘Definition Term, Synonyms, Standard and Variant Forms, Regional Dialects, Colloquial and Derogatory Terms, Pronunciation Notation, Original and Transformed Forms, Slang, Honorific and Humble Terms, Kinship Terms, and Incorrect Usages.’ The content-related characteristics of definitions in 《Gyeoremal Keunsajeon》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language usage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 headwords, terms, or expressions that may not be commonly used in either region were mutually agreed upon to ensure they are acceptable to both. Second, the dictionary respects vocabulary and definitions widely used in everyday life by including terms found exclusively in either the 《Pyo-dae》 (South Korean Standard Dictionary) or 《Jo-dae》 (North Korean Standard Dictionary), thereby recognizing the usage of both. Third, in cases of normative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the definitions follow the norm recognized by either side. Fourth, words that differ or correspond between the two regions are explicitly marked, allowing users to easily recognize them, thereby laying a foundation for a dictionary aimed at North-South language integrati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conciseness is pursued by providing information that applies to all definitions at the bottom as an [Appendix] note when the same information pertains to multiple entries. Second, entries of the same type are presented in a uniform format, ensuring consistency in the definition structure. Third, regional dialects are presented with related terms and usage examples in the same way as standard language.

      • KCI등재

        《표준국어대사전》 뜻풀이 기술에 사용된 메타언어의 정비 필요성에 대하여 -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을 대상으로 -

        오민석 한말연구학회 2024 한말연구 Vol.65 No.3

        . This paper examined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281 headwords described as ‘ilsangjeokeuro ireuneun mal(“words used in everyday life”)’, the meta-language in the Pyojun Korean Dictionary, and other linguistic correspondence. Meta-language, including ‘ilsangjeokeuro’, can be understood to show that the headword is related to discourse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the original expression, regardless of the lexical meaning of the headword. ‘Ilsang’ literally refers to ‘every day’ so the headwords being discussed refer to words used in everyday life. However, it was necessary to maintain them because the use of the 281 headwords were diverse in terms of meaning. Through this work, it was expected that the efficiency of dictionary use could be improved. It was said that the meta-language ‘ilsangjeokeuro’ were unspecified in meaning, which is because the use of the headword has become 'used in everyday life' as it has become familiar with other meta-language specific to meaning. Therefore, it was insi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specify the meaning of ‘ilsangjeokeuro’ by utilizing other meta-languages. The meaning of ‘ilsangjeokeuro ireuneun mal’ can be confirmed by 'non-professionalism', 'genericality', 'figurativity', and 'taboo avoidance'. ‘Ilsangjeokeuro’ showing 'genericality' can be specified with the existing 'tongteuleo', 'aulleo' and 'figurativity' with the existing 'biyujeokeuro', 'bitdaeeo'. In addition, 'taboo avoidance' can be specified with the existing 'wangokhage'. The correspondence between word species and morphological correspondence were examined as other linguistic correspondence patterns. It was not easy to arrange the correspondence patterns of the original expression with the heading.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rough the correspondence patterns between word species, many of the original expressions were word in Chinese characters, and that the form-extended headword with other expressions added to the original expression was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original expression through figurativity or by higher-conceptions.

      • KCI등재

        역학서(譯學書)에 나타난 색채어 계열 말[馬] 명칭 연구 -『어제증정청문감(御製增訂淸文鑑)』의 만주어 뜻풀이를 중심으로

        김양진 ( Ryang Jin Kim ),이효윤 ( Hyo Yun L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민족문화연구 Vol.57 No.-

        yeokhakseo (books about translation studies) in medieval and modern period. In this study, we tried to explain these words by the explanation noted in (Eojejeungjeong)chengmungam. Many of these words are borrowed from Mongolian language (Yuan) or either Manchu language (Qing). Accordingly, correspondences between transcription written on historical literatures and modern language were not enough to grasp the referents in many cases. Among them, especially words meaning colors of horses cause confusions which need to be corrected. But fortunately, (Eojejeungjeong)chengmungam has explanations about specific words in Manchu language. We regarded this book as the first modern dictionary of Manchu language so that we can get important clue to figure out the abstruse meanings of words about various horse terms. In this study, with confirming the essential meaning of horse terms, we expected to determined the relation between a object and the bases of borrowingby (Eojejeungjeong)chengmungam and some kinds of Yeokhahseo. Especially we determined and supplemented words of ‘가 리운, 셜아□, 고라□, 공골□, 가라□, 간쟈□, 사족백, 츄마, 털청총이, 골회 눈이, 아질게말, 구렁말, 오류마, 졀다말, 도화쟘불□’. These words are noted as ``kairun morin, suru, kulan, konggoro, kara, kalja, seberi, sarla, fulan, cikiri, ajirgan, kuren, keire morin, cohoro morin in Chengmunag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