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Yonsei Dictionary> from a Korean Informatics Perspective

        서상규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3 No.-

        이 논문에서는, 1986 년 이래 <연세한국어사전>의 편찬 과정의 전개와 국어정보학의 태동과 발전의 흐름을 소개하고, 올림말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국어정보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연세한국어사전>의 편찬 과정에서 특히 올림말의 선정에 잦기(빈도) 정보를 활용한 것에 착안하여, 실제로 이 사전의 올림말 구성이, 오늘날 더욱 진전된 정교한 말뭉치 주석(분석)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과연 얼마만큼의 타당성을 갖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약 5 만 개의 올림말로 이루어진 <연세한국어사전>의뜻풀이는 어떠한 낱말로 이루어졌으며, 과연 이 사전의 올림말로 뜻풀이를 어느 정도나 이해할 수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서, 이 사전의 전체뜻풀이문을 추출하여 말뭉치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뜻풀이말뭉치에는 모두 21,490 개의 단어와 형태(조사와 어미 등)가 쓰였으며, 그 빈도수를 다 합하면766,322 개가 된다. 모든 뜻풀이의 95.1%의 사용 어휘가 <연세한국어사전> 즉 YKD(1998)의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으며, 이들이 사용된 전체 빈도수의 합계는 뜻풀이 말뭉치 전체의 98.7%에 이른다는 놀라운결과를 얻게 된다. 서상규(1998)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사전이 실제말뭉치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중요 어휘를 추출하여 표제어로 수록하였다는 사실이 입증되는 것이다. YKD 사전의 표제어 중 실질어휘는 총 47,877 개이다. 이 실질어휘중에서 실제 사전의 뜻풀이에 사용된 것은 18,105 개로 전체의 약37.8%에 불과하다. 이 점을 미루어 본다면, YKD(1998)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뜻풀이 사용 어휘를 매우 적극적으로 통제하였다고 평가할 만하다. 문법형태 표제어의 출현 비율은 평균적으로 48.4%로 나타나서, 앞서살펴본 실질어휘 표제어에 비해서, 10% 이상 높다. 즉 문법형태는 뜻풀이에 훨씬 더 자주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한편, YKD 의 표제어가 실제 말뭉치의 사용 양상을 얼마나 충실히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어와 구어 균형 말뭉치(각 100 만 마디)의 주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성격이 다른 두 개의 균형 말뭉치(구어와 문어)의 단어 목록과 일치하는, YKD 의 표제어들의 빈도수의 합은, 전체 말뭉치의 무려 90.7%를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실은, <연세한국어사전>이 실제로 말뭉치의 분석에 기반을 둔 국어정보학적 편찬 방법에 충실했다는 사실을뒷받침해 준다. 이와는 반대로, 올림말의 약 34%에 해당하는 16,637 개의 단어(형태)는, 2 개의 말뭉치에 나타나지 않았고, 특히 구어 말뭉치의 사용 단어가 소극적으로 반영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역학서(譯學書)에 나타난 색채어 계열 말[馬] 명칭 연구 -『어제증정청문감(御製增訂淸文鑑)』의 만주어 뜻풀이를 중심으로

        김양진 ( Ryang Jin Kim ),이효윤 ( Hyo Yun L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民族文化硏究 Vol.57 No.-

        이 논문의 목적은 중세와 근대국어 시기의 역학서에 나타난 말[馬] 명칭에 대해 그 의미를 <어제증정청문감>에 기록된 만주어 뜻풀이에 기반해서 설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중세와 근세 시기의 역학서 및 각종 어휘집류에서 나타나는 말 관련 어휘는 특히 몽골어(원나라)나 만주어(청나라) 등에서 차용된 어휘가 많아서 역사 문헌 자료에 나타나는 형태상 드러나는 표기와 현대어와의 대응 관계만으로는 그 대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그 가운데에서도 ‘마색(馬色)’에 따른 말 명칭들에서 많은 혼동이 존재하고 있어서 이러한 혼동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다행히 최초의 근대적인 만주어(청어) 사전인 <어제증정청문감>에는 단순한 어휘류대응을 넘어서서 각 단어에 대한 만주어(청어)의 어휘풀이가 포함되어 있어 그 의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통해 몽골어나 만주어로부터 차용된 말 명칭 어휘가 가지던 본래의 의미를 확인하여 언해된 어휘가 가리키는 대상과 차용 관계를 더욱 분명히 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어제증정청문감>을 비롯한 여러 역학서를 토대로 말 관련 어휘의 의미를 확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리운, 셜아□, 고라□, 공골□, 가라□, 간쟈□, 사족백, 츄마, 털청총이, 구렁말, 오류마, 졀다말, 도화쟘불□ 등’ 말 명칭의 어휘 의미를 각각 <청문감>의 만주어 어휘 ‘kairun morin, suru, kulan, konggoro, kara, kalja, seberi, sarla, fulan, cikiri, ajirgan, kuren, keire morin, cohoro morin’ 등의 뜻풀이를 통해서 확인하고 보충하였다. 그 밖에 이러한 어휘풀이가 ‘골회눈이, 아질게말’ 등의 비색채어 계 말 명칭어의 설명에도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yeokhakseo (books about translation studies) in medieval and modern period. In this study, we tried to explain these words by the explanation noted in (Eojejeungjeong)chengmungam. Many of these words are borrowed from Mongolian language (Yuan) or either Manchu language (Qing). Accordingly, correspondences between transcription written on historical literatures and modern language were not enough to grasp the referents in many cases. Among them, especially words meaning colors of horses cause confusions which need to be corrected. But fortunately, (Eojejeungjeong)chengmungam has explanations about specific words in Manchu language. We regarded this book as the first modern dictionary of Manchu language so that we can get important clue to figure out the abstruse meanings of words about various horse terms. In this study, with confirming the essential meaning of horse terms, we expected to determined the relation between a object and the bases of borrowingby (Eojejeungjeong)chengmungam and some kinds of Yeokhahseo. Especially we determined and supplemented words of ‘가 리운, 셜아□, 고라□, 공골□, 가라□, 간쟈□, 사족백, 츄마, 털청총이, 골회 눈이, 아질게말, 구렁말, 오류마, 졀다말, 도화쟘불□’. These words are noted as ``kairun morin, suru, kulan, konggoro, kara, kalja, seberi, sarla, fulan, cikiri, ajirgan, kuren, keire morin, cohoro morin in Chengmunagam.

      • KCI등재

        한국어 사전에서의 뜻풀이 개선을 위한 종결어미 ‘-던데(요)’ 연구 - 새연세말뭉치4를 활용하여 -

        오세원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4 언어사실과 관점 Vol.61 No.-

        본고는 종결어미 ‘-던데(요)’의 정확한 사전적 처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제 용례들에 대해 보다 설명력 있는 종결어미 ‘-던데(요)’의 뜻풀이 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이를 위하여 연세 한국어 사전 , 표준 국어 대사전 , 고려대 한국어 대사전 3종의 사전에서 나타는 종결어미 ‘-던데(요)’의 뜻풀이를 검토하고, 새연세말뭉치4를 활용하여 종결어미 ‘-던데(요)’의 분포와 용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본고는 기존의 한국어 사전들이 제공하는 종결어미 ‘-던데(요)’의 뜻풀이가 만족스럽지 못함을 확인하고, 종결어미 ‘-던데(요)’의 세부 의미기능을 [단순 추가 정보 전달(과거)]과 [의문 동반 추가 정보 전달(과거)]로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의미기능 구분 방식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제시한 종결어미 ‘-던데(요)’의 맥락에 따른 다양한 사용 양상을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한다. 본고의 의의는 대규모의 표준 말뭉치를 활용하여 종결어미 ‘-던데(요)’의 기능과 분포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 과정을 통해 연결어미와는 구분되는 종결어미 ‘-던데(요)’의 의미·통사적 특징을 살피고, 한국어 사전에 곧바로 적용 가능한 종결어미 ‘-던데(요)’의 새로운 뜻풀이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definition sentence of sentence-closing ending -deonde(yo) that is more explanatory for actual usag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accurate dictionary processing of -deonde(yo).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definition sentence of -deonde(yo) appearing in Yonsei Korean Dictionary,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and inspected the overall distribution and usage of -deonde(yo) using New Yonsei Corpus 4.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finition sentence of -deonde(yo) provided by existing Korean dictionaries is not satisfactory, and explained the detailed semantic function of -deonde(yo) as [simple delivery of additional information(past)] and [delivery of additional information(past) with expression of doubt]. This method of classifying semantic functions makes it possible to explain comprehensively the various usage pattern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sentence-closing ending -deonde(yo)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e function and distribution of -deonde(yo) using a large-scale standard corpu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sentence-closing ending -deonde(yo), which is distinct from the conective ending -deonde, and proposed a new definition sentence of the sentence-closing ending -deonde(yo) that can be immediately applied to the Korean dictionary.

      • KCI등재

        『牖蒙千字』에 수록된 한자와 관련 정보에 대하여

        이준환 구결학회 2015 구결연구 Vol.34 No.-

        이 글은 게일에 의해 편찬된 『牖蒙千字』에 수록된 漢字와 뜻과 음의 관련 정보가 어떻게 제시되고 있고 어떤 특징을 보이고 있는지를 여러 판본 및 이전 초학서와의 비교를 통하여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 권의 권말에 제시되어 있는 권말 자전과 각 과의 처음에 제시된 과별 자전을 비교하여 세부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이 자전들에 수록된 한자를 모두 모아서 이중어사전과 비교하여 제시 순서를 살펴보고, 이전 초학서와 비교하여 교육용 한자로서의 성격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권말 자전에서 한자를 제시하는 순서는 『韓佛字典』, 『韓英字典』 등에서 국어 어휘를 제시하는 순서에 따라 이루어졌다. 둘째, 권말 자전과 과별 자전에 제시된 정보에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 적지 않은데, 이들은 뜻 또는 어휘의 형태, 유의어/지시 대상, 문법적 성질, 품사, 뜻+품사, 표기, 음운 현상 적용 여부, 한자음 등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뉜다. 셋째, 권말 자전과 과별 자전에 실린 한자를 모두 모아서 이전 시기의 초학서의 한자와 비교하여 본 결과 70%가 이전의 초학서에 실린 한자이며, 『석봉 천자문』, 『신증유합』과의 일치 정도가 높게 나타나며, 「권 1」>「권 2」>「권 3」>「속편」의 순서로 이전 초학서와의 일치율이 나타나 각 권의 한자의 난이도가 적절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한자음의 양상은 판본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구개음화의 반영, ‘ㅅ, ㅈ, ㅊ’ 아래에서의 ‘ㅛ, ㅑ, ㅠ, ㅕ’의 표기, ‘ㆍ’의 반영에서 판본에 따라 보수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과 개신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차이가 있다. 이는 한자음을 규범음에 따라서 가르칠 것인가 현실음에 따라서 가르칠 것인지에 관하여 상당한 고민을 하였음을 보여 주는 것인데, 보수적인 표기는 옛 철자법과 관련을 지어 이해할 수 있고, 개신적인 표기는 게일의 새 철자법과 관련을 지어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東明王篇>을 통해 본 李奎報의 스토리텔링 전개

        이학주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4 No.-

        This study examines how Lee Gyu-Bo practiced story-telling through his "King Dongmyeong" and its preface. He recorded the purpose and method of his writing "King Dongmyeong." And actually he story-told his "King Dongmyeong." The preface of "King Dongmyeong" h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First, he used the story of "Yeohang" and "Old History of Three Countries" as his one source. Second, the trend of contemporary was fantasy worlds. Third, readers of public wanted for the story of King Dongmyeong to be descended unchanged. Forth, he used an epic as a media. Fifth, he made it public that our country is the country of Saints through story marketing. And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Lee Gyu-Bo practiced story-telling in "King Dongmyeong" by his epic. He separated meaning form words. The saint in the preface is to meaning, fantastic ghost is to words. He used fantastic motif, which was the trend of contemporary, as words to express the meaning. He accepted the fantastic motif practiced in the contemporary fantastic novel through the media of epic for story-telling. Further, he satisfied the readers by proving the fantastic motif. His work touched and moved the readers. He succeeded in making public that our country is the country of Saints through story marketing, the ultimate purpose of story-telling. 이글은 <동명왕편>과 그 병서를 중심으로 이규보가 어떻게 스토리텔링을 전개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규보는 서사시 <동명왕편>을 쓰면서 그 병서를 통해서 목적과 방법 등에 관해 기록을 했다. 그리고 실제로 <동명왕편>을 스토리텔링 했다. 이에 <동명왕편>병서에는 스토리텔링의 전반적인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첫째, 원소스는 여항의 이야기와 『구삼국사』의 내용으로 하였다. 둘째, 당시의 트렌드는 환상세계에 있었다. 이는 당시 전기문학(傳奇文學)의 유행과도 무관하지 않다. 셋째, 독자 또는 대중의 욕구는 동명왕의 이야기를 있는 사실 그대로 기록해서 전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넷째, 매체는 서사시를 사용했다. 다섯째, 이야기마케팅은 시를 지어 기록하여 우리나라가 본래 성인(聖人)의 나라임을 알리고자 하였다. 다음은 이규보가 서사시를 통해서 <동명왕편>을 어떻게 스토리텔링으로 전개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규보는 ‘뜻’과 ‘말’을 구분하여 작품을 썼다. 병서에서 말한 성신(聖神)은 뜻에 해당하고 환귀(幻鬼)는 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말은 당대의 트렌드로 쓰였던 환상모티프를 사용했다. 이때 사용한 스토리텔링 매체가 서사시였고, 전기소설 등에서 활용되던 환상모티프를 그대로 수용했으며, 오히려 환상모티프를 증명하여 역사적 진실을 전하고자 하는 독자의 욕구를 충족시켰다. 이런 이규보의 작업이 독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야기마케팅으로 우리나라가 성인의 나라임을 알리고자 한 바를 이루었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기본 색깔말의 원형과 뜻풀이

        박동근 ( Dong Geun Park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2 문법 교육 Vol.16 No.-

        Finding each appropriate figurative language is the key to the successful definition of basic color terms in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y. To do this, word association experiment enable us to survey responsive languages for each color language. Responsive languages showing high response rateto these experiminents can be regarded as a prototype of a specific color term. This study surveyed responsive languages for basic color languages in 200 subjects, and selected figurative languages, considering other conditions. In conclusion, to define color languages in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y, it is considered suitable to select blood for red, sea and sky for blue, forsythia and chick for yellow, snow for white, and night and briquette for black as their respective figurative languages.

      • KCI등재

        뜻풀이로 본 『표준국어대사전』의 감탄사 유형 연구

        김문기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0 No.-

        In this paper, I try to classify 586 modern standard language words which listed i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In the school grammar, the type of exclamation has been classified as ‘emotion, will, and a way of talking’ by its dictionary definitions. By applying this semantic-based classification method, I try to classify the type of exclamation based on the meaning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So I divided the exclamation into several types as follows.; sound exclamation, speech exclamation, an unnecessary remark exclamation, command/action exclamation, chant exclamation, refrain and sound/form exclamation. And I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se types.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will be a learning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in school grammar. Because Korean dictionary and school grammar have a common premise such as norms and standardization, they have to have organic relevance. 이 글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현대 표준어 감탄사 586개를 자료로 삼아, 그 유형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학교 문법에서는 감탄사의 유형을 그 의미에 따라 ‘감정, 의지, 말버릇’으로 분류했다. 이 글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감탄사의 뜻풀이를 맺는 방식, 즉 ‘소리, 말, 군소리, 구령 또는 그 동작, 구호, 후렴, 소리 또는 모양’ 등으로 감탄 사의 유형을 분류해 보았다. 이때 감탄사의 의미 자질들을 유형 분류에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이것을 기초 자료로 삼아 학교 문법에서 감탄 사에 대한 교육 내용과 활동 등에 참조할 수 있는 학습 자료로의 활용 가 능성에 대한 논의와 같은 후속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표준국어대사전》 뜻풀이 기술에 사용된 메타언어의 정비 필요성에 대하여 -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을 대상으로 -

        오민석 한말연구학회 2024 한말연구 Vol.65 No.3

        . This paper examined the semantic relationship of 281 headwords described as ‘ilsangjeokeuro ireuneun mal(“words used in everyday life”)’, the meta-language in the Pyojun Korean Dictionary, and other linguistic correspondence. Meta-language, including ‘ilsangjeokeuro’, can be understood to show that the headword is related to discourse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the original expression, regardless of the lexical meaning of the headword. ‘Ilsang’ literally refers to ‘every day’ so the headwords being discussed refer to words used in everyday life. However, it was necessary to maintain them because the use of the 281 headwords were diverse in terms of meaning. Through this work, it was expected that the efficiency of dictionary use could be improved. It was said that the meta-language ‘ilsangjeokeuro’ were unspecified in meaning, which is because the use of the headword has become 'used in everyday life' as it has become familiar with other meta-language specific to meaning. Therefore, it was insi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specify the meaning of ‘ilsangjeokeuro’ by utilizing other meta-languages. The meaning of ‘ilsangjeokeuro ireuneun mal’ can be confirmed by 'non-professionalism', 'genericality', 'figurativity', and 'taboo avoidance'. ‘Ilsangjeokeuro’ showing 'genericality' can be specified with the existing 'tongteuleo', 'aulleo' and 'figurativity' with the existing 'biyujeokeuro', 'bitdaeeo'. In addition, 'taboo avoidance' can be specified with the existing 'wangokhage'. The correspondence between word species and morphological correspondence were examined as other linguistic correspondence patterns. It was not easy to arrange the correspondence patterns of the original expression with the heading.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rough the correspondence patterns between word species, many of the original expressions were word in Chinese characters, and that the form-extended headword with other expressions added to the original expression was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original expression through figurativity or by higher-conceptions.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부끄럽다’ 유의어의 한중 의미 비교 연구-‘부끄럽다, 창피하다, 수치스럽다, 수줍다, 쑥스럽다’를 중심으로-

        신명선,이미현 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 Vol.- No.177

        This study discriminates, compares, and analyzes the meanings of Korean-Chinese synonyms related to "shame". Chinese words that correspond to "부끄럽다1", "창피하다" and "수치스럽다" used in negative situations are "羞愧", "羞耻", and "丢脸". "부끄럽다2", "수줍다", "쑥스럽다" used in positive/neutral situations were selected as Chinese words corresponding to "害羞", "腼腆" and "羞涩".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se words and to discriminate and compare the meanings, dictionary, corpus usage, and adjacent noun analysis were performed. Although there was no Chinese vocabulary that accurately corresponds to the meaning and usage of Korean, vocabularies such as "부끄럽다1: 羞愧, 창피하다: 丢脸, 수치스럽다: 羞耻, 부끄럽다2: 害羞, 수줍다: 腼腆, 羞涩, 쑥스럽다: none" pattern were identified. "본고는 ‘부끄럽다’ 관련 한·중 유의어의 의미를 변별·비교·분석한 논의이다. 부정적 상황에서 사용되는 ‘부끄럽다1’, ‘창피하다’, ‘수치스럽다’와 대응하는 중국어의 어휘로는 ‘羞愧’, ‘羞耻’, ‘丢脸’이, 긍정적/중립적 상황에서 사용하는 ‘부끄럽다2’, ‘쑥스럽다’, ‘수줍다’와 대응하는 중국어 어휘로는 ‘害羞’, ‘腼腆’, ‘羞涩’이 선정되었다. 이들 단어들의 의미를 명료화하고 의미를 변별·비교하기 위해 사전 분석, 말뭉치 용례 분석, 공기 명사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한국어의 의미와 사용 양상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중국어 어휘는 없었지만 ‘부끄럽다1: 羞愧, 창피하다: 丢脸, 수치스럽다: 羞耻, 부끄럽다2: 害羞, 수줍다: 腼腆, 羞涩, 쑥스럽다: 없음’와 같은 어휘 대응 양상을 발견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부끄럽다’ 관련 유의어 학습 시 이들 단어의 의미를 명확하게 변별하고 상황 맥락에 적절한 어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휘 교육 내용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뿐만 아니라 ‘부끄럽다’ 관련 유의어들의 의미 변별 기준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명료화함으로써 추후 사전 등에서 이들 단어들의 뜻풀이를 정교화할 수 있는 기반 자료를 제공했다는 의의도 지닐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마음이해 능력과 사회적 능력

        최현옥,김혜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4 No.1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change of adolescent's theory of mind. In addition, the relations between theory of mind and the social competence were investigated. Sixty students in each the 6th and 8th grade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dolescents' understanding of mind were measured by four kinds of mindreading tasks; the second-order false belief tasks, understanding the ambiguous social behaviors tasks, understading the hidden meaning of a figurative statement tasks, and the “faux pas” tasks. Social skills were measured by social skill scales. Eighth graders performed better than the 6th graders on the understanding the ambiguous social behaviors tasks and faux pas tasks but not on the second-order false belief tasks and understanding the hidden meaning of figurative statement tasks.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mindreading ability continues to develop during the adolescence, especially the ability to interpret others' ambiguous social behaviors by reading their mental states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at a person says a faux pas it is due to a mistaken belief.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the ambiguous social behaviors tasks was found to be the best task to predict social behaviors.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mindreading ability would be a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 on social competence.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도 마음이해 능력이 계속 발달하는지, 또 마음이해 능력이 사회적 능력과 관련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 60명과 중학교 2학년 6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마음이해 능력은 2차 순위 틀린 믿음 과제, 애매한 행동 이해하기 과제, 숨은 말뜻 이해하기 과제, 그리고 헛디딤 말 이해하기 과제로 측정하였다. 사회적 능력은 마음이해 관련 사회행동과 마음이해와 무관할 수 있는 관습적 사회행동을 묻는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2차 순위 틀린 믿음과제와 숨은 말뜻 이해하기 과제에서는 두 집단 간의 수행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애매한 행동 이해하기 과제와 헛디딤 말 이해하기 과제에서는 중학생의 수행이 더 높았다. 이는 마음읽기 능력이 청소년기에도 계속 발달하는데, 특히 애매한 행동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과 말하는 이가 상대방에 대한 특정한 사실을 알지 못해 실수로 하는 헛디딤 말이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한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능력이 6학년 이후에도 발달함을 보여준다. 또, 여러 마음이해 과제 중에서, 애매한 행동 이해하기가 사회적 행동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음이해 과제들의 사회적 행동 설명력 또한 크지는 않았지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