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 보드리야르의 사고에 기반한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내용 탐색

        이은적(Eun jeok Lee)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6 No.-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양상을 드러낸 보드리야르의 사고에 기반하여 미술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내용을 검토해 보는 데 있다. 우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보드리야르 사고를 관점별로 검토하고, 이어서 그의 사고를 오늘날의 사회 및 문화 상황에 적용, 논의해보며 미술과 교육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의 문해와 비판적 사고가 교과 공통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과 미술과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 활용에 국한하지 말고 비주얼 리터러시와의 교집합으로 제시하여 미디어의 속성과 관련한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반영하여 교과 공통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미술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범주별로 제안하였다. 보드리야르의 사고는 디지털 미디어와 이미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비판적인 사고의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을 깊이 있게 고안하게 해준다. 이 연구는 현장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 문헌 조사를 통해 학교급별 구분 없이 미술과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탐색, 도출해보는 탐색적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수업 실행과 분석, 다른 입장의 이론을 적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 검증은 후속 연구로 남아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ets of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Baudrillard’s perspectives, which illuminate the negative dimensions of digital media and culture. Initially, I looked in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Baudrillard’s viewpoints from various angles, examining their interconnectedness and collaborative function. Subsequently, I applied and discussed these perspectives within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o delineate the specifics of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Of note, digital literacy should encompas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ritically interpret digital images as part of a broader digital literacy across subjects. In art education, digital literacy should transcend mere technical proficiency, integrating with visual literacy to enable critical analysis of images within the context of media properties. Considering this, I proposed components for common digital literacy across subjects and educational content specific to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categorized by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 and value/attitude. Baudrillard’s insights enables us to deeply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 to foster a correct understanding of digital media and images, nurturing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This study serves as foundational research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employing an exploratory research approach to elucidate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without distinction by school level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Further research avenues include classroom implementation, analysis, and validation of digital literacy content componen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lternative theories.

      • KCI등재

        디지털 전환 시대의 목회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사례

        김효숙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디지털 전환 시대의 기독교인들은 디지털 세계의 청지기가 되어야 하는 도전에 직 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신학교 교육과정의 재설계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 연구의 목 적은 목회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P 신학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을 사례로 소개한다. 수업 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정도와 실행하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3.408, p=.001). 수업 전-후 디지털 리터러시를 분석한 결과, 수업 전(3.11(2.94-3.72)) 보다 수업 후(4.39(3.89-4.78))에 크게 향상되었으며, 수업 전-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z=-3.078, p=.002). 요인별 분석 결과, 변화 관리력(z=-2.943, p=.003)과 정 보・데이터 활용력(z=-2.914, p=.004), 디지털 소통력(z=-2.833, p=.005), 디지털 창의력 (z=-3.195, p=.001) 등 평가된 4개 요인 모두에서 수업 전-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디지털 리터러시 효능감(4.67(4.00-5.00))과 수업 만족도(4.90(4.10-5.00))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수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디지 털로 전환된 세계에서 신학생 중 소수(N=17)만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인식하 고 수업에 등록했다는 위기와, 이 수업을 통해 사역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회가 교차하는 주목할 만한 사례다.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Christians face increasing challenges in becoming stewards of the digital realm, necessitating urgent theological curriculum redesig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evate awareness of digital literacy within ministerial contexts. To this end, this study introduce a case study focused on a digital literacy course offered to seminarians at P Theological Seminary. Initial investigations into digital literacy educational needs revealed a notable disparity in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z=-3.408, p=.001), highlighting the student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enhancement. Pre- and post-course comparison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gital literacy, with post-course (Mdn=4.39 (3.89-4.78)) surpassing pre-course levels (Mdn=3.11 (2.94-3.56)), evidenced by a significant difference (z=-3.078, p=.002). Factor analysis further demonstrated significant advancements in all four assessed areas: change management (z=-2.943, p=.003), information and data utilization (z=-2.914, p=.004), digital communication (z=-2.833, p=.005), and digital creativity (z=-3.195, p=.001). High median scores were also recorded for digital literacy efficacy (Mdn=4.67 (4.00-5.00)) and class satisfaction (Mdn=4.90 (4.10-5.00)), with no discernible differences across demographic variables. This study is a noteworthy case of the intersection between a crisis, in which only a small percentage (N=17) of seminarians in a digitally transformed world recognized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and enrolled in the class, and an opportunity, in that the class can develop the digital literacy skills necessary for ministry.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노들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할 때 교사들이 인식한 변화와 어려움을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설정한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난 변화는 무엇인가?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코로나 19 이후 초등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서울시에 근무 중인 초등교사 8명을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이 증가하였으며(교수·학습 활동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협력 학습이 증가하였고(교수·학습 형태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평가가 증가하였다(교수· 학습 평가의 변화). 둘째, 학습자 간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영역 내 격차, 교사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모든 교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으나, 그 시기와방법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필요성,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의 필요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학교의 물리적 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찰일지에 나타난 초등 학습자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 성찰 양상

        노들,옥현진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 학습자들이 성찰일지를 통해 자신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성찰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성찰일지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크게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성찰일지는 이 두 측면 모두에 대해 지속적·자기주도적으로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해줌으로써 궁극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 대한 성찰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 대한 성찰 양상은 어떻게 변화해가는가? 이 연구에는 총 20명의 초등 6학년 학습자들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연구자들이 개발하여 제공한 성찰일지 공책에 주 2회씩 23주에 걸쳐 전날 자신이 수행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성찰하였다.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대상으로 키워드 빈도 분석을 활용하여 이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토대로 학습자들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할 때 경험한 정서와 성찰 양상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주로 여가, 친교, 학습을 목적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남학생들에게서는 여가 목적의 게임 활동이, 여학생들에게서는 친교 목적의 SNS 활동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서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였으며, 경험한 정서의 유형에 따라 다른 성찰 양상을 보였다. 성찰의 양상은 크게 행동에 대한 성찰과 학습에 대한 성찰로 구분되었으며, 행동에 대한 성찰은 다시 자기조절에 성공한 경우와 실패한 경우로 분류되고, 학습에 대한 성찰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학습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습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전반기보다 후반기에 더 많은 양의 성찰을 하였으며, 보다 심화된 성찰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찰일지를 포함하여 학교교육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실행해야 할 필요성, 슬기로운 디지털 미디어 지도를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방법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 중국인 유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연구

        전형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2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f 90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conducted in this paper refer to the capabilities required when learners perform collaborative tasks in a digital literacy-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urvey utilizes a coope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survey tool developed by Yoo Ji-won (2016). The test paper sets three competencies including “Problem Solving Performance,” “Social Collaboration Competency,” and “Digital literacy” with a total of 11 detailed factors at each lower level. Focusing on these three competencies, the study then examined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of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the three competencies, the average of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was the lowest. The mean of the other two competencies was similar. It can be thought that learners lack confidence in using digital devices. Second, the highest average question out of the total 54 questions is 41, which is “I think it is important for the whole team to participate and contribute in every team activity.” It can be seen that for learners, the most basic element of their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is the equal status and participation of team members. Third, the average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particular, the average of male students in digital literacy skills is high. In addition, as the Korean proficiency increased, the overall average of competency also rose, but the digital literacy level gradually decreased as the language proficiency went from level 5 to level 6. It can be seen that the educational need for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increases as we encounter various challenges. Fourth, among the 11 factors, the most correlated factor is the sixth “Clear Communication and Responsible Performance” factor.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re the third “Collaborative problem solution and Decision Making” and the sixth and seventh “Sympathy and Consideration”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rners’ digital literacy is more demanding in performing collaborative tasks situations than in individual cognitive activities, i.e., more digital literacy is needed with interaction and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activities during team activities. 이 연구는 중국인 학부생 90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본고에서 실시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은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가 협력적인 과제수행을 할 때,필요한 역량을 말한다.조사에는 유지원(2016)에서 개발한 대학생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설문 도구를 활용하였다.이 검사지는 하위에 각각,‘문제해결 역량’,‘사회적 협력 역량’,‘디지털 리터러시’ 등 세 가지역량과 총 11의 세부 요인을 설정하고 있다.본고에서도 이 세 역량을 중심으로,중국인 학부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을 살펴보았다.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세 역량 중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평균이 가장 낮았다.다른 두 역량의 평균은 비슷한 수준이었다.학습자들이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신감이 다소 부족한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둘째,가장 평균이 높은 문항은 41번 ‘팀 활동에서 팀원 전체가 한 명도 빠짐없이 참여와 기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이다.학습자들이 생각하는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의 가장 기본 요소는 팀원들의 동등한 지위와 참여인 것을 알 수 있다.셋째,남학생의 평균이 여학생보다 높았다.특히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서의 평균이 남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한국어 숙달도가 상승할수록 역량의 전체 평균도 함께 상승했으나,디지털 리터러시는 5급에서 6급 수준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졌다.다양한 과제를 접하면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교육적 필요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넷째,11개 하위 요인 중 다른 요인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요인은 6번 ‘명확한 소통과 책임감 있는 수행’ 요인이고,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3번 ‘협력적 문제 해결안 도출 및 의사결정’ 요인,6번 ‘명확한 소통과 책임감 있는 수행’,7번 요인 ‘공감,배려’ 요인이다.이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개인적 차원의 인지 활동에서보다 협력적 과제수행에서 더욱 요구가 높아지는 역량으로,팀 활동 중 상호소통하고 협력적 의사결정 활동을 수행할 때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이 더욱 필요한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현재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이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이 된 배경에는 디지털 기반 사회의 특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따라서 한국어교육에서도 이를 수용하여 학습자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의 함양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증진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습심리적 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매개로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경기도학교교육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분석

        장수빈,서웅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5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학교교육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심리적 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이 디지털 리터러시를매개로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구조방정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다음과 같은 목적을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의 2021년 및 2022년에 실시된 ‘경기도학교교육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경기도학교교육실태조사’에 응답한 1차년도(2021년) 중학생 8,884명과 2차년도(2022년) 고등학생 4,981명을 대상으로 학생심리적 특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 디지털 리터러시, 학생핵심역량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와 매개효과, 경로 탐색을 위해 R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학습심리적 특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 디지털 리터러시, 학생핵심역량 간 영향은 유의하였다. 또한중학생과 고등학생 간 집단 간 경로에 대해 디지털 리터러시가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이 디지털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이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낮으나 학습심리적특성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은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론 학습심리적 특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활동,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생핵심역량에 중요한 요인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결과적으로 학습심리적 특성과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다양한 교육이 향후 미래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에 있어 중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lear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gital lit eracy education activiti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on digital literacy and students' core competenci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s To this end, we utilized data from the ‘Gyeonggi Province School Education Status Survey’ conducted in 2021 and 2022 by the Gyeonggi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The analysis focused on the responses from 8,884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year (2021) and 4,981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year (2022), examining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igital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digital literacy, and core competenci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R softwa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mediating effects, and pathway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significant influences among lear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igital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digital literacy, and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Additionally, when com paring pathway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digital literacy on core competencies,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on digital literacy, and the effect of digital lit eracy education activities on core competencies were low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an for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 influence of lear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digital literac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Conclusions Lear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igital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and digital literacy sig nificantly influence students' core competencies. This suggests that various educational approaches focusing on learn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gital literacy can play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learners.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박기범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4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돼있는 정보화 관련 내용 및 구성을 디지털 리터러시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사회에서 바람직한 가치에 기반하여 사회 현상을 바르게 이해하는 소비적 소양과 효과적으로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생산적 소양을 포괄하는 기본 소양이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에 따르면, 디지털 리터러시의 속성은 윤리, 소비, 생산 차원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범주별 세부 리터러시를 설정하면, 첫째, 디지털 윤리와 감성 차원에서 설명 책임, 디지털 감수성, 공감이 필요하다. 디지털 사회에서 시민의 생산과 소비 활동은 정보 감수성과 공감에 기반한 설명 책임이 요구된다. 둘째, 디지털 소비 차원에서, 시민은 상황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유연한 편향성 기반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다. 비판적 사고는 문제 상황에서 자동화되어 나타나기보다는 ‘내가 편향될 수 있다는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유연한 편향성이 작동할 때 발현된다. 셋째, 디지털 생산 차원에서, 연결(connection)에 기반한 창의적 사고가 필요하다. 시민이 문제 상황을 바르게 읽고 해석하여 창의적 아이디어를 산출하려면 다양한 정보의 연결이 필수적이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분석 관점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정보 관련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관련한 세부 리터러시를 제시하여 교재 구성의 방향을 명료하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세부 리터러시를 핵심 학습 요소로 설정하여 개발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사회과교육은 디지털 사회에서 발생하는 사회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교수 내용과 활동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과 속성을 체계적으로 범주화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교육과정에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 속성을 핵심 키워드로 제시하지 못한 데에 기인한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새롭게 공포되는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수시 개정 체제의 장점을 살려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핵심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교과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개인정보 역설 검증: 개인정보 침해 염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시정(金時靜),최상옥(崔相鈺)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9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2 No.4

        지능정보사회는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과 이에 수반되는 개인정보 안전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성, 역량, 활용수준 등을 의미하는 1차-2차 디지털 리터러시 간 영향관계에서 개인정보 침해 염려(IPC)가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개인정보 침해 염려 수준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접근성과 역량, 활용수준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실증적으로 논의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제공하는 한국미디어패널조사 2014년부터 2016년까지의 종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패널회귀 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한 매개된 조절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1차-2차 디지털 리터러시 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1차 디지털 리터러시가 2차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2차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역량과 활용 간 유의한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간 영향관계에서 개인정보 침해 염려가 높을수록 1차 디지털 리터러시가 2차 디지털 리터러시 중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지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이에 상반되게 개인정보 침해 염려가 높을수록 1차 디지털 리터러시가 2차 디지털 리터러시 중 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다시 한 번 확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one of factors that accelerate the change of society. These changes in environment and demand requires “digital literacy”, a set of competencies and usage that depends on one’s respective field. Due to the growing amount of digital technology and people’s increasing dependence on that, privacy should be considered as a vital factor in contemporary digital society. We evaluate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digital literacy, while t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irst-level digital literacy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into account. The research analyzed 8,053 sample longitudinal data based on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from 2014 to 2016.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evel digital liter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skill and use. In addition, privacy concerns did moderate mediation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irst-level digital literacy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Specifically, while privacy concerns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ccess and level of digital use,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 and digital skill is questionable. This results confirmed a “privacy paradox”. Here, the paradox refers to the situation in which people use more digital services even though they feel significant privacy risks. The study identifi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s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better understand the privacy paradox.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온라인 학습 만족도 분석

        유신복(Yu, Shin-Bok),박정(Park, Ch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요인인 디지털 리터러시 기술, 지식 및 태도에 따라 차별적인 잠재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B광역시 B교육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응답한 555명을 연구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5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으며, 프로파일의 유형은 디지털 리터러시 지식 열위(31%), 디지털 리터러시 중위(25%), 디지털 리터러시 우수(19.1%),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우수(14.1%),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10.8%)이다. 도출된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온라인 학습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우수, 디지털 리터러시 중위, 디지털 리터러시 지식 열위,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의 순으로 온라인 학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디지털 리터러시 잠재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온라인 학습 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 예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지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differential profile exists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skill, knowledge, attitude, which are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identified digital literacy profile type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in 2020 for students enrolled in B University of Education in B Metropolitan City, and 555 students responded. The collected data were investigat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One-way ANOVA. Results: Five latent profiles were identified, and the profile types were: poor digital literacy knowledge (31%), middle digital literacy (25%), excellent digital literacy (19.1%), good digital literacy attitude (14.1%), and low digital literacy (10.8). The difference in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type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e-learning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excellent digital literacy, middle digital literacy, poor digital literacy knowledge, good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low digital literac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support and implications for increasing digital literacy and e-learning satisfac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