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확인을 위한 문항개발 및 능력 평가

        김민하,안미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와 지식정보사회, 인터넷 사회을 살아가는 사회인에게 필요한 능력으로 주목 받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작적 정의를 알아보고, 디지털 리터러시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리터러시에 대한 정리와 함께, 각 리터러시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를 정의하고자 하며, 또한 이러한 조작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의 지표에 입각하여, 자신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체크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 문항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 체크리스트는 인터넷의 검색엔진을 통한 단순한 정보습득 단계에서 벗어나 정보활용을 통한 새로운 지식 창출 및 타인과의 정보공유를 위해 필요한 능력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한 정리 기준이 될 것이다. 이 디지털 리터러시 체크리스트는 각 문항에 '맞자', '틀리다'의 개념을 적용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고, 그 점수의 결과에 따라서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분류하기 보다는 사용자들이 문항 하나하나를 체크하면서 디지털 리터러시에서 요구하는 능력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자신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선 디지털 리터러시를 컴퓨터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지식 리터러시로 그 범위를 정하고, 총 116문항의 체크리스트를 구성하여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그리고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매우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비교에선 고등학생이 평균 3.75로 대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고, 특히 다른 리터러시에 비해 컴퓨터 리터러시에 높은 능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디지털 리터러시 체크리스트는 더 높은 수준의 디지털 사용자를 함양하고, 학습자들에게는 자신에게 어떠한 능력이 더 필요한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idenfdy the owrational definition of digital literacy, which has been spotlighted as a capability required for social members who live around knowledge-bad information and Internet Society in the digital era. We alw attempt to define a Series of indices which may belong to each l i m y capability, along with the themm of each litesdcy which m y belong to *tal literacy. This research study intends to develop a checklist to identify digital literacy indim as follows. First we define any capabilities rquired for digital literacy, develop a checklist indicate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hecklist, @om the statistid analysis on the checklist, and deduce the results of analyzing general chamchistics of respondents accom to pilot test conduc.ted to h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Beyond the conventid phase in which we used to learn infomtion simply via search engine on Inkmet, the b t a l literacy checklist will pmvide a judgment Criterion to check out which es would be required for the &e who are about to create new knodedges along with information and share the mfomtion with others.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107 questions out of 116 checklist questions were well focused on the determination of consideration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indicating hgh validity. The result of measuring the reliability of k t a l literacy cheeklist by Cronbach's alpha showed that the reliability was as high as .W. 'Thirdly, most checklist questions except for 8 questions showed a consistent tendency to very hgh score in terms of correlation with totid scores, which implies a good discrimbation. When the level of &tal litesacy c o r 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hgh school students showed average of 3.75 which is relatively higher than college group. In particular, high sdhool students showed high capabilities in corqxter literacy than other literxies.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ed on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tal literacy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which was based on Internet information and its availability.

      • KCI등재

        디지털 전환 시대의 목회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사례

        김효숙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디지털 전환 시대의 기독교인들은 디지털 세계의 청지기가 되어야 하는 도전에 직 면해 있으며, 이에 따라 신학교 교육과정의 재설계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 연구의 목 적은 목회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P 신학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을 사례로 소개한다. 수업 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정도와 실행하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z=-3.408, p=.001). 수업 전-후 디지털 리터러시를 분석한 결과, 수업 전(3.11(2.94-3.72)) 보다 수업 후(4.39(3.89-4.78))에 크게 향상되었으며, 수업 전-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z=-3.078, p=.002). 요인별 분석 결과, 변화 관리력(z=-2.943, p=.003)과 정 보・데이터 활용력(z=-2.914, p=.004), 디지털 소통력(z=-2.833, p=.005), 디지털 창의력 (z=-3.195, p=.001) 등 평가된 4개 요인 모두에서 수업 전-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디지털 리터러시 효능감(4.67(4.00-5.00))과 수업 만족도(4.90(4.10-5.00))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수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디지 털로 전환된 세계에서 신학생 중 소수(N=17)만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인식하 고 수업에 등록했다는 위기와, 이 수업을 통해 사역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회가 교차하는 주목할 만한 사례다.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Christians face increasing challenges in becoming stewards of the digital realm, necessitating urgent theological curriculum redesig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evate awareness of digital literacy within ministerial contexts. To this end, this study introduce a case study focused on a digital literacy course offered to seminarians at P Theological Seminary. Initial investigations into digital literacy educational needs revealed a notable disparity in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z=-3.408, p=.001), highlighting the student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enhancement. Pre- and post-course comparison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gital literacy, with post-course (Mdn=4.39 (3.89-4.78)) surpassing pre-course levels (Mdn=3.11 (2.94-3.56)), evidenced by a significant difference (z=-3.078, p=.002). Factor analysis further demonstrated significant advancements in all four assessed areas: change management (z=-2.943, p=.003), information and data utilization (z=-2.914, p=.004), digital communication (z=-2.833, p=.005), and digital creativity (z=-3.195, p=.001). High median scores were also recorded for digital literacy efficacy (Mdn=4.67 (4.00-5.00)) and class satisfaction (Mdn=4.90 (4.10-5.00)), with no discernible differences across demographic variables. This study is a noteworthy case of the intersection between a crisis, in which only a small percentage (N=17) of seminarians in a digitally transformed world recognized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and enrolled in the class, and an opportunity, in that the class can develop the digital literacy skills necessary for ministry.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 중국인 유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연구

        전형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2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f 90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conducted in this paper refer to the capabilities required when learners perform collaborative tasks in a digital literacy-base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urvey utilizes a coope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y survey tool developed by Yoo Ji-won (2016). The test paper sets three competencies including “Problem Solving Performance,” “Social Collaboration Competency,” and “Digital literacy” with a total of 11 detailed factors at each lower level. Focusing on these three competencies, the study then examined the cooper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of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the three competencies, the average of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was the lowest. The mean of the other two competencies was similar. It can be thought that learners lack confidence in using digital devices. Second, the highest average question out of the total 54 questions is 41, which is “I think it is important for the whole team to participate and contribute in every team activity.” It can be seen that for learners, the most basic element of their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is the equal status and participation of team members. Third, the average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particular, the average of male students in digital literacy skills is high. In addition, as the Korean proficiency increased, the overall average of competency also rose, but the digital literacy level gradually decreased as the language proficiency went from level 5 to level 6. It can be seen that the educational need for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increases as we encounter various challenges. Fourth, among the 11 factors, the most correlated factor is the sixth “Clear Communication and Responsible Performance” factor.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are the third “Collaborative problem solution and Decision Making” and the sixth and seventh “Sympathy and Consideration”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rners’ digital literacy is more demanding in performing collaborative tasks situations than in individual cognitive activities, i.e., more digital literacy is needed with interaction and collaborative decision-making activities during team activities. 이 연구는 중국인 학부생 90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본고에서 실시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은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교육 환경에서 학습자가 협력적인 과제수행을 할 때,필요한 역량을 말한다.조사에는 유지원(2016)에서 개발한 대학생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설문 도구를 활용하였다.이 검사지는 하위에 각각,‘문제해결 역량’,‘사회적 협력 역량’,‘디지털 리터러시’ 등 세 가지역량과 총 11의 세부 요인을 설정하고 있다.본고에서도 이 세 역량을 중심으로,중국인 학부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을 살펴보았다.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세 역량 중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평균이 가장 낮았다.다른 두 역량의 평균은 비슷한 수준이었다.학습자들이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신감이 다소 부족한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둘째,가장 평균이 높은 문항은 41번 ‘팀 활동에서 팀원 전체가 한 명도 빠짐없이 참여와 기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이다.학습자들이 생각하는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의 가장 기본 요소는 팀원들의 동등한 지위와 참여인 것을 알 수 있다.셋째,남학생의 평균이 여학생보다 높았다.특히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서의 평균이 남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한국어 숙달도가 상승할수록 역량의 전체 평균도 함께 상승했으나,디지털 리터러시는 5급에서 6급 수준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졌다.다양한 과제를 접하면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교육적 필요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넷째,11개 하위 요인 중 다른 요인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요인은 6번 ‘명확한 소통과 책임감 있는 수행’ 요인이고,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3번 ‘협력적 문제 해결안 도출 및 의사결정’ 요인,6번 ‘명확한 소통과 책임감 있는 수행’,7번 요인 ‘공감,배려’ 요인이다.이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개인적 차원의 인지 활동에서보다 협력적 과제수행에서 더욱 요구가 높아지는 역량으로,팀 활동 중 상호소통하고 협력적 의사결정 활동을 수행할 때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이 더욱 필요한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현재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이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이 된 배경에는 디지털 기반 사회의 특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따라서 한국어교육에서도 이를 수용하여 학습자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의 함양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증진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양상: ‘인디스쿨’에 공유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노들,옥현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제작하고 공유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관련 교수⋅학습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둔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교사들의 대표적인 소통 플랫폼인 ‘인디스쿨’을 통해 공유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자료124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들이 언제,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들은 주로 고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실행하고 있었으며 교수⋅ 학습 자료의 양은 2020년을 기점으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급증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대상으로 고학년이 적합하다는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수⋅학습 자료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일부 내용 요소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일부 자료의 경우 뉴스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성 등의 유관 개념의 내용 요소와 잘 변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들에게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과 특성에대해 좀 더 전문적인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목적은 크게 교과서에 제시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활동 지원, 학습자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디지털 공간에서 나타나는 문제의 예방과 해결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이해의 필요성, 디지털 리터러시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의 지원의 필요성, 평가 목적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 적절한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percep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duced and shar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we analyz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shared through ‘Indie School’, a representative communication platfor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rough this, we investigated when, what content, and why they are provid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Results First, teachers were mainly conduct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us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time for upper grades, and the amou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howed a rapid increase starting in 2020. This can be said to show that teachers' interest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has increased rapidly since COVID-19, and that they recognize that upper grades are appropriate target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content cover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as concentrated on some content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and that some materials were not well differentiated from content elements of related concepts such as news literacy, media literacy, and digital citizenship. This suggests that teachers need a more specialized understanding of digital literacy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Third, teachers' digital literacy education objectives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supporting digital literacy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learners' low digital literacy levels, and preventing and resolving problems that appear in digital spac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cused on the need for teachers to have a more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the need for support in various aspect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valuation purposes and the need for research into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개인정보 역설 검증: 개인정보 침해 염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시정(金時靜),최상옥(崔相鈺)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9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2 No.4

        지능정보사회는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과 이에 수반되는 개인정보 안전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성, 역량, 활용수준 등을 의미하는 1차-2차 디지털 리터러시 간 영향관계에서 개인정보 침해 염려(IPC)가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개인정보 침해 염려 수준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접근성과 역량, 활용수준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실증적으로 논의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제공하는 한국미디어패널조사 2014년부터 2016년까지의 종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패널회귀 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한 매개된 조절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1차-2차 디지털 리터러시 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1차 디지털 리터러시가 2차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2차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역량과 활용 간 유의한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간 영향관계에서 개인정보 침해 염려가 높을수록 1차 디지털 리터러시가 2차 디지털 리터러시 중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지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이에 상반되게 개인정보 침해 염려가 높을수록 1차 디지털 리터러시가 2차 디지털 리터러시 중 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다시 한 번 확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one of factors that accelerate the change of society. These changes in environment and demand requires “digital literacy”, a set of competencies and usage that depends on one’s respective field. Due to the growing amount of digital technology and people’s increasing dependence on that, privacy should be considered as a vital factor in contemporary digital society. We evaluate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digital literacy, while t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irst-level digital literacy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into account. The research analyzed 8,053 sample longitudinal data based on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from 2014 to 2016.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evel digital liter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skill and use. In addition, privacy concerns did moderate mediation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irst-level digital literacy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Specifically, while privacy concerns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ccess and level of digital use,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 and digital skill is questionable. This results confirmed a “privacy paradox”. Here, the paradox refers to the situation in which people use more digital services even though they feel significant privacy risks. The study identifi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s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better understand the privacy paradox.

      • KCI등재

        장 보드리야르의 사고에 기반한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내용 탐색

        이은적(Eun jeok Lee)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6 No.-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양상을 드러낸 보드리야르의 사고에 기반하여 미술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내용을 검토해 보는 데 있다. 우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보드리야르 사고를 관점별로 검토하고, 이어서 그의 사고를 오늘날의 사회 및 문화 상황에 적용, 논의해보며 미술과 교육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의 문해와 비판적 사고가 교과 공통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과 미술과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 활용에 국한하지 말고 비주얼 리터러시와의 교집합으로 제시하여 미디어의 속성과 관련한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반영하여 교과 공통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미술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범주별로 제안하였다. 보드리야르의 사고는 디지털 미디어와 이미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비판적인 사고의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을 깊이 있게 고안하게 해준다. 이 연구는 현장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 문헌 조사를 통해 학교급별 구분 없이 미술과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탐색, 도출해보는 탐색적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수업 실행과 분석, 다른 입장의 이론을 적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 검증은 후속 연구로 남아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ets of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Baudrillard’s perspectives, which illuminate the negative dimensions of digital media and culture. Initially, I looked in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Baudrillard’s viewpoints from various angles, examining their interconnectedness and collaborative function. Subsequently, I applied and discussed these perspectives within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o delineate the specifics of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Of note, digital literacy should encompas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ritically interpret digital images as part of a broader digital literacy across subjects. In art education, digital literacy should transcend mere technical proficiency, integrating with visual literacy to enable critical analysis of images within the context of media properties. Considering this, I proposed components for common digital literacy across subjects and educational content specific to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categorized by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 and value/attitude. Baudrillard’s insights enables us to deeply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 to foster a correct understanding of digital media and images, nurturing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This study serves as foundational research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employing an exploratory research approach to elucidate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without distinction by school level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Further research avenues include classroom implementation, analysis, and validation of digital literacy content componen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lternative theories.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와 초등 사회과 정보화 내용 구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박기범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4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돼있는 정보화 관련 내용 및 구성을 디지털 리터러시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사회에서 바람직한 가치에 기반하여 사회 현상을 바르게 이해하는 소비적 소양과 효과적으로 아이디어를 모색하는 생산적 소양을 포괄하는 기본 소양이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에 따르면, 디지털 리터러시의 속성은 윤리, 소비, 생산 차원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범주별 세부 리터러시를 설정하면, 첫째, 디지털 윤리와 감성 차원에서 설명 책임, 디지털 감수성, 공감이 필요하다. 디지털 사회에서 시민의 생산과 소비 활동은 정보 감수성과 공감에 기반한 설명 책임이 요구된다. 둘째, 디지털 소비 차원에서, 시민은 상황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유연한 편향성 기반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다. 비판적 사고는 문제 상황에서 자동화되어 나타나기보다는 ‘내가 편향될 수 있다는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유연한 편향성이 작동할 때 발현된다. 셋째, 디지털 생산 차원에서, 연결(connection)에 기반한 창의적 사고가 필요하다. 시민이 문제 상황을 바르게 읽고 해석하여 창의적 아이디어를 산출하려면 다양한 정보의 연결이 필수적이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분석 관점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정보 관련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관련한 세부 리터러시를 제시하여 교재 구성의 방향을 명료하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세부 리터러시를 핵심 학습 요소로 설정하여 개발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사회과교육은 디지털 사회에서 발생하는 사회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교수 내용과 활동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과 속성을 체계적으로 범주화하지 못하고, 그에 따라 교육과정에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 속성을 핵심 키워드로 제시하지 못한 데에 기인한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새롭게 공포되는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수시 개정 체제의 장점을 살려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핵심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교과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예술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방안 연구 - 상호 작용성을 중심으로 -

        신동인(Shin, Dong In),박미리(Park, Mi Ri),이유정(Lee, Yu Jung),고민수(Ko, Min Soo),정소라(Jeong, So Ra)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2-1

        본 연구는 예술교육 현장에서 상호 작용성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효과적인 예술교육이 가능한 수업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의 역량 강화를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연구가 시의적절한 이유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 현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상호 작용성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예술교육의 개념을 알아보고 인간중심과 창의성, 융합과 통합 그리고 현실 감각 고취의 4가지로 된 교육 모델을 정립하였다. 또한, 실제로 수행되었던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형태를 살펴보고 예술 강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설문을 통해 검토하였으며, 상호 작용성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업을 진행한 다음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클라우스 슈밥(Klaus Schuwab)이 주장한 4차 산업혁명의 사회에서 필요한 4가지 덕목을 강화하기 위한 예술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즉 정보의 처리 과정이 어떠한 관계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알았고, 결과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예술교육에서 발생하는 상호소통에 대하여 새로운 단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은 일차적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수업 안에서 소비하는 소비자로서 강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 학생과 콘텐츠 간의 활발한 상호소통을 경험하였다. 이 후, 수업 안에서 자신의 콘텐츠를 재생산하며 디지털 콘텐츠를 생산하는 생산자로 변화하고, 다시 그 콘텐츠를 수용하고 소비하는 형태로 상호 작용의 선 순환적 과정을 반복 경험하였다. 이러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며 예술 강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 정보 리터러시 능력을 기본으로 하되, 정보에 내재한 인문학적 배경 관련 교육이 제공될 때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experts by exploring ways to utilize digital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vity in the arts education field and establishing a teaching model that enables effective arts education. The reason this research is timely is that education using digital literac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more than ever, due to the global Corona Pandemic. For this study,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and art education for interactivity was investigated, and an educational model consisting of human-centered and creativity, convergence and integration, and a sense of reality was established. Next, we looked at the form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that were actually conducted, and reviewed the digital literacy skills of art instructor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we developed a program that utilizes digital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vity, conducted actual classes, then analyzed them. In this process, it was discovered that the four virtues claimed by Klaus Schuwab to be needed in the societ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stages of digital literacy. Through this, we found out which kind of relationship should be made between art education and digital literacy. Resultingly, a new stage could be identified for the interaction that occurs in art education using unique digital literacy. Students experienced active interactions between lecturers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and students and contents as consumers who primarily consume digital contents delivered by art lecturers in class. Then, reproduce one s own contents in the class, the process of virtuous cycle could be seen in the form of the students changing into a producer who produces digital contents and accepting and consuming the contents again. The role of arts education experts is the most important to create suc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effective when education related to the humanities background embedded in information was provided while prioritizing digital literacy skills as a basis for reinforcing the capabilities of art instructors.

      • KCI등재

        교양일본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부산 S대 교양일본어 학습자 니즈 분석을 중심으로-

        김세련 대한일어일문학회 2023 일어일문학 Vol.98 No.-

        본 연구는 부산 S대 교양일본어 SJP강좌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와 그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조사를 분석하여 그 개선 방향을 검토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22학년도 2학기 교양일본어 SJP 강좌 전체 수강자204명, 응답자는 167명으로 81.9%의 응답률을 보였다. 분석결과, 첫째, ‘리터러시’ 용어는 24.6%의 낮은 인지도를 보여, 용어 자체를 생소하고 다소 낯설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수강자에게 가장 친숙한 리터러시는 디지털리터러시(46%)와 미디어리터러시(26%)로 나타나, 디지털 사회에서는 디지털 역량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디지털 리터러시가 통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 수업의 전체 영역에 적용된 비율은 33.8%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학습법’에서 37.7%의 가장 높은 적용률을 보이고 있으며, 문법과 회화수업에서의 적용단계의 상이점은 보이지 않고, 거의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넷째, 디지털 도구의 활용도는 퀴즈게임(31.1%)과 내용설명(26.6%)에서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교육의 장애요인으로 인식부족(42.2%)과 교육환경의 미비(23.4%)를 지적하였다. 여섯째, SJP 디지털 리터러시 적용 여부에 따른 만족도 평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 검정 결과, 문법수업의 디지털 리터러시 적용 시 교수 만족도는 평균 4.57(SD=.76), 미적용 시 교수 만족도는평균 4.10(SD=1.22), 이러한 차이는 t=2.05, p<.05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디지털 리터러시를 적용함으로써 수강자의 교수 만족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SJP강좌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수업설계의 개선 방향으로 STCPR 방식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도입한 학습자 맞춤형 프로젝트 교육과정 개편과 다양한 디지털 플렛폼 및 도구 활용을 부분교사에서 전체교수로 확대하여 다양한 에듀테크 활용을 제안한다. 끝으로 본고의 설문결과가 향후 디지털 기반 수업의 대응 전략으로 활용되길 바라며, 교양교육에서의 일본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 사례연구가 계속 이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노들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할 때 교사들이 인식한 변화와 어려움을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설정한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난 변화는 무엇인가?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코로나 19 이후 초등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서울시에 근무 중인 초등교사 8명을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이 증가하였으며(교수·학습 활동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협력 학습이 증가하였고(교수·학습 형태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평가가 증가하였다(교수· 학습 평가의 변화). 둘째, 학습자 간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영역 내 격차, 교사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모든 교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으나, 그 시기와방법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필요성,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의 필요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학교의 물리적 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점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