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기업가 정신의 고용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가 단위의 실증분석

        봉강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3 산업혁신연구 Vol.39 No.3

        디지털 전환은 기존 산업의 진입장벽 파괴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확대, 자산의 디지털화에 따른 초기 창업비용의 축소 등 창업 및 기업가적 활동 측면에서 중대한 환경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기존의 기업가정신 이론으로 기업가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인식하고, 기업가적 가치를 추구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기에는 충분치 않으며, 기업가정신의 특성 및 효과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최근 디지털 경제 환경에서의 기업가정신을 조망하는 새로운 이론적 틀로서 ‘디지털 기업가정신’이라는 개념 및 관련 연구분야가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기업가정신 연구 분야에서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의해 창출되는 성과 측면을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 기업가정신 관련 조사인 「글로벌 기업가정신 모니터(GEM)」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가 단위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 의지와 신규 인력의 고용의지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고용효과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기업가적 활동에 있어서의 디지털 기술 활용 의지는 고용의지와 긍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촉진이 국가적 차원에서 고용을 유발하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Digital transformation causes environmental changes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such as expand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due to the destruction of entry barriers to existing industries and reducing early-stage start-up costs due to digitalization of assets. In this light, the concept and related research field of 'digital entrepreneurship' have recently emerged as a new theoretical framework for looking at entrepreneurship in the digital economy. However, there are few that examine the outcome aspects created by digital entrepreneurship in the field of digital entrepreneurship research.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mployment effec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at the national level. To this end, it conducts a generalized linear model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an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related survey. In this study, the willingness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willingness to hire new employe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motion of digital entrepreneurship has the effect of inducing employment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디지털 기업가정신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과 연구방향 제언

        변충규,김석호,하환호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2 지역산업연구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ademic research in the field of digital entrepreneurship to organize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subject of analysis is a total of 53 papers on digital entrepreneurship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11 to 2021. The analysis mainly consisted of two parts. First, the overall research status of related papers was summarized. Second, research trends of related papers are summari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digital entrepreneurship has been on the rise since 2018. Second, the research method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consist of theoretical studies,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topics, studies on entrepreneurship according to digital technological change and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digital entrepreneurship accounted for the majorit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trend of academic research in the field of digital entrepreneurship was analyzed, and future research plans related to digital entrepreneurship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업가정신 분야의 학술연구를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2011년부터 2021년까지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디지털 기업가정신 연구로 총 53편의 논문이다. 분석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관련 논문들의 전반적 연구현황을 정리했다. 둘째, 관련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정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기업가정신 연구는 2018년 이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연구방법은 이론연구, 문헌연구, 사례연구 등 이론 연구가 다수를 이루고 있다. 셋째, 연구주제를 살펴본 결과, 디지털 기술변화에 따른 기업가정신에 관한연구와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업가정신 분야 학술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고, 디지털 기업가정신과 관련된 향후연구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시대의 기업가정신

        최동호,안태혁 한국비교경제학회 2022 비교경제연구 Vol.29 No.2

        코로나 19 이후 전통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디지털 환경 속에서 그 형태가 변화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X)의 확산으로 재편되면서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와 함께 경쟁 또한 더 치열해지고 있다. 디지털화는 비즈니스의 형성과 운영방법 등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단순히 테크놀로지의 문제가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가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협동, 설계, 전개하는 방법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급속도로 변화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서 한국과 일본의 기업가정신의 현황 비교를 통해 각국의 현황은 어떠하며, 디지털시대의 올바른 기업가정신은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바람직한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대해 제언해보고자 한다. 한국의 기업가정신은 최근 코로나 상황에서 몇몇 국가별 기업가정신 지수가 상승하였지만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근본적으로는 선진국 대비해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중요한 것은 시대에 따라 기업가정신은 변해야 한다는 점인데 급변하는 환경 속에 변화의 물결을 타지 못하였다면 이는 후퇴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무엇보다 한국의 기업가정신 지수가 낮은 이유 중 제일 큰 이유는 실패를 이해하거나 용인해 주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라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연공서열제, 종신고용제와 같은 관습의 정착에 의한 영향으로 인해 기업가정신에 대한 평가가 국제적으로 떨어진다는 경향이 있다. 일본에서는 기본적으로 직업을 선택할 때 종신고용을 해주는 기업에 대한 취업이 주류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업가정신의 육성을 촉진하는 것이 좀처럼 어려운 환경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한 귀결은 기업가치의 원천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동래의 기업과 비교해보면, 일반적으로 디지털 기업은 소유하고 있는 물리적 자산은 적고 인적자본, 소프트웨어, 지적자산 등의 무형자산으로부터 많은 가치를 창출한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기업의 무형자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반영한다. 첫 째, 종업원과 창업자 (인적자본)의 서로에 대한 공헌, 둘 째, 고객과 공급자와의 관계 (관계자본), 셋 째, 소프트웨어 및 지적자산 등을 포함한 종업원 이외의 모든 스테이크 홀더 이상 3가지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이상과 같은 기업 가치의 반영을 통해 디지털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도 중요하지만 실패하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하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변충규,박종복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2

        This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componen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by targeting the expert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Delphi analysis, the major componen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were derived into the ‘digit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rea’ and the ‘digital technology competency area’. The componen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are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risk-taking, desire for achievement, ability to identify digital business opportunities,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capability, digital operation process establishment capability,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network establishment, digital-based customer acquisition and management was presented.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success factors were measured through IPA analysis. The first quadrant(keep up the good work) includes proactiveness, ability to identify digital business opportunities, and ability to establish digital business processes. The second quadrant(concentrate here) includes innovativeness,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and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The third quadrant(low priority) includes risk-taking, desire for achievement,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capacity, and digital-based customer acquisition and management. The fourth quadrant(possible overkill) includes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network establish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for digital entrepreneurs that can be applied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창업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연구를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 및 델파이(Delphi) 분석을 통해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 대영역은‘디지털 기업가적 지향성 영역’과‘디지털 기술 역량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성취욕구, 디지털 사업기회 식별능력, 디지털 기술 활용역량, 디지털 운영 프로세스 구축능력, 디지털 기술개발 역량, 디지털 기술 수용성, 정보교환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디지털 기반의 고객확보 및 관리 등 11개의 항목을 도출하였다. 주요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IPA 분석을 하였다. 제 1사분면(우위 유지 영역)에는 진취성, 디지털 사업기회 식별능력, 디지털 운영 프로세스 구축능력 등이 위치하였다. 제 2사분면(중점 개선 영역)에는 혁신성, 디지털 기술개발 역량, 디지털 기술 수용성 등이 위치하였다. 제 3사분면(저우선 순위)에는 위험감수성, 성취욕구, 디지털 기술 활용역량, 디지털 기반의 고객 확보 및 관리 등이 위치하였다. 제 4사분면(현상유지 영역)에는 정보교환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위치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기업가와 예비 디지털 기업가를 위한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개념 및 구성요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디지털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혁신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기술흡수역량의 조절효과 분석

        장성희 한국벤처창업학회 2024 벤처창업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디지털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기술흡수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술 특성(디지털 기술역량), 조직 특성(디지털 학습역량, 재무 준비성), 제도적 압력(강제적 압력, 모방적 압력, 규범적 압력)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혁신에 영향 관계에서 기술흡수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디지털 기업가정신, 디지털 혁신, 제도적 압력, 기술흡수역량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국내 104개 기업을 대상으로 Smart PLS 4.0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기술역량, 디지털 학습역량, 재무 준비성, 제도적 압력은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기업가정신은 디지털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기업가정신이 디지털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기술흡수역량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시대에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디지털 기업가정신을 통해 디지털 혁신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기업가정신과 사회적이슈(코로나19)가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강경란(Kang, Gyung La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난 몇 개월간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사태가 기업가정신과 함께 창업기회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대면 문화의 확산으로 디지털 전환이 급격히 진행되면서 중장년층 직장인의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가 사회적이슈(코로나19), 기업가정신과 창업기회인식 간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부산․경남지역 소재 중장년층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고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업가정신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창업기회인식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이슈(코로나19)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창업기회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은 사람들은 코로나19라는 사회적이슈를 위기로 인식하고 움츠려들기 보다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디지털 전환을 새로운 창업의 기회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언택트 사회가 뉴 노멀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발굴에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잠재적 창업가인 중장년 직장인들이 위기 속에서 기회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탐색 역랑을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와 기업가정신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의 필요성과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social issue(Corona19)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and intended to check how digital literacy among middle-aged workers have an impact on Corona19,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recognition.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aged worker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llected data were reviewed,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vi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Entrepreneurship has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digital literacy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Corona19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digital literacy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y recognition.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high digital literacy recognize the corona19 and perceived digital transformation caused by social distancing as an opportunity for new start-ups rather than reckoning as a crisis. [Implications] Entrepreneurship and digital literacy are analyzed as important factors in discover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s for practical education and its policy directions to strengthen of digital literacy and entrepreneurship for middle-aged workers to explore new start-ups opportunities in the midst of corona19 crisis.

      • 디지털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4차산업혁명시대의 창업교육체계 제안

        변영조 ( Young Jo Byun ),김재영 ( Jae Young Kim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18 경상논집 Vol.38 No.1

        4차산업혁명시대와 더불어 대학교육에 있어 창업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교육체계 수립 및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된 33개 대학의 창업관련과목에 대한 키워드 분석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 창업교육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4차 산업혁명시대의 디지털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교육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정부의 창업관련 교과목에 대한 키워드 분석은 창업, 기업가정신, 실무, 등이 도출되었으나, 정작 ICBM과 관련된 기술창업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존 대학운영체제에 최소한의 영향을 고려하여, 각 대학별 다중 또는 융합전공제 등을 활용한 디지털 기업가정신교육 과정에 대한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be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digital entrepreneurship, which can be represented as Industry 4.0 specially representative ICBM, by analyzing policy direction, budget allocation and status of 703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of 30 major Korean universities related to leading entrepreneurship. To that end, the government plans to categorize 61 programs, 780 billion won of the seven government-funded projects in early 2018, and analyze the history of starting education system of 32 leading start-up universities in Korea under the Ministry of Small and Medium Ven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overnment's classification of startup support projects could be divided into 'Preparation for Creation, Implementation, Growth, Re-Projection' and the most frequently allocated budget for start-up education. In the case of start-up education, entrepreneurship, practice. Technology start-up studies related to ICBMs were found to be very lacking. We should actively strive to foster the talent necessary for the Industry 4.0 by continuously finding subjects, educating professors, digit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 KCI등재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ㆍ디지털역량과 금융이해력이 창업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경란(Kang Gyung Lan),박철우(Park, Cheol Woo)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역량이 창업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금융이해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29명의 응답을 표본으로 SPSS 26.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가정신의 혁신성은 금융이해력의 하위변수인 금융지식, 금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창업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역량은 금융이해력과 창업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융지식과 금융태도는 창업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정신과 창업인식 간에 금융태도의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디지털역량과 창업인식 간에 금융행위의 긍정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스마트 사회, 디지털 세상에서 디지털역량과 금융이해력이 창업을 인식하고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고, 이에 따른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 digital competency, and financial literacy on start-up percep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Gyeongnam. The total response was 129 persons, and this sample was verified with SPSS 26.0.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innovative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knowledge and financial attitude, which were sub-variables of financial literacy,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effect on start-up perception.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digital compet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literacy and start-up perception.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financial knowledge and financial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start-up perception. Financial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perception. Financial behavior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digital competence and start-up perce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gital competence and financial literacy are importa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ception and enhancement of start-ups, especially in our smart society and digital age. The findings also illustrate the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education and policy implemen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s they are potential entrepreneurs who will explore new opportunities and promote start-ups in the future.

      • KCI등재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과 기업가정신이 전자상거래 무역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글로벌 마인드의 매개효과 검정

        권혁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3 e-비즈니스 연구 Vol.24 No.1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how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Capabilities and entrepreneurship affect the willingness to start up intention e-commerce trade.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survey data of 180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were obtained and empirically analyzed through the SPSS program. Results in Research: First, entrepreneu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to start up e-commerce trade. Second, global mind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to start up e-commerce trade. Suggestions in Research: This study has the distinction of verifying the influence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by controlling for variou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major, grade, etc.)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that do not consider various fact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ersonality factors, etc.) 세계 경제는 코로나19 엔데믹을 앞두고 있으나 글로벌 물가 상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경기 불확실성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비대면 활성화, O2O 서비스 증가 등 급변하는 소비문화의 변화는 긴축적고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전자상거래를 활용한 무역 창업의 중요성이 계속 강조되어 왔지만 무역창업의도를 높이기 위한 선행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과기업가정신이 전자상거래 무역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경기 소재 대학생 180명의설문 데이터를 확보하여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디지털 정보 활용역량은 전자상거래 무역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은 전자상거래 무역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과 기업가정신은글로벌 마인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글로벌 마인드가 전자상거래 무역 창업의지에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과 기업가정신이 전자상거래 무역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글로벌 마인드의 매개 역할을 실증 분석한 결과 매개효과 성립 조건에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전공, 학년 등)을 통제하여독립-종속 간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차별성이 존재하며, 특정 지역의 대학생을 연구 표본으로 설계하여연구를 수행한 점, 전자상거래 무역 창업의지에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긍정심리 자본, 성격 5요인 등)을고려하지 않은 여러 한계점이 존재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 오류가 존재한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여러계층을 바탕으로 전자상거래 무역 창업의지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요인을 파악해 볼 것이다.

      • 제4차 산업혁명과 기업가 정신

        홍운선,김희재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17 중소기업정책연구 Vol.2 No.1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developed.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re must be an increasing amount of people who become aware of the opportunity factor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ring about. In other words, entrepreneurship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s a matter of fact, Entrepreneurship is nothing new. In spite of, entrepreneurship is being emphasized at this moment because the vitality of our economy began to dissipate. In addition, it is also because the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to gain an edge in the quaternary sector of the economy for preemptive standards is fierce. The fast follower strategy is no longer valid. According to the rankings of the entrepreneurship and development institute index researched by the WEF, you will find that Korea is ranked lower than Japan. If a start-up company with entrepreneurship is set up but a growing virtuous cycle is not created, economy is bound to lose its vitality.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build-up an innovation environment accepts failures and reform the policy system entrepreneurs bear the cost of failure. The appropriately balance of innovation and trading environment is crucial and for that to happen, a smooth supply of professional manpower is essential. Countries that freely manifest entrepreneurship will not only be well start-up, but also have great business ecosystem. 제4차 산업혁명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기업가 정신이 부각되 고 있다. 기업가정신은 과거부터 강조되어 왔음에도 다시 부각 되는 이유는 어느 순간부터 우리 경제의 활력이 사라지고 있 고, 표준 선점 경쟁이 치열한 제4차 산업에서 빠른 추격자 전 략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다. WEF가 조사한 기업가 정신 지수의 순위를 보면,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미국 MIT대학의 활발한 창업이나 영국경제의 활력 등은 기업가 정신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준다. 어느 나 라든지 일자리는 업력 3~5년 미만의 신규 기업에서 많이 발 생한다. 기업가정신을 갖춘 창업기업이 만들어지고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가 갖춰지지 않는다면 그 나라의 경제는 활력을 잃을 수 밖에 없다. 교역환경 측면에서 나타나는 두드러진 특 징은 디지털 기반의 강화와 디지털 기반 기업의 성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우리나라와 기업, 개인 모두에 게 새로운 도전인 동시에 기회가 될 수 있다. 정부의 역할은 이러한 환경변화를 기회로 생각하는 기업가들이 배출되는 시 스템의 구축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활발한 혁신활동과 소프트 웨어 전문 인력의 원활한 공급이 필수적이다. 혁신활동 유도를 위해서는 기업가의 자유로운 혁신활동, 즉, 실패를 용인할 수 있는 혁신환경조성, 기업가가 실패비용을 모두 부담해야 하는 제도 보완 등이 필요하다. 미국의 DARPA, 국내의 TIPS 프로 그램 등이 좋은 사례이다. 우수한 소프트웨어 전문인력을 배출 하기 위해서는 보장과 보상 시스템의 개편이 중요하다. 기업가 정신의 발현이 자유로운 나라가 창업 뿐 아니라 기업생태계도 건강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