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디스플레이 해제/분리 자동화 시스템 개발 연구

        임병용,김세열,안낙균,홍명환,박재량,이찬기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현재 국내 디스플레이 생산과 수요의 꾸준한 증가 추세와 전자 제품의 짧은 순환주기를 고려하였을 때 향후 폐디스플레이의 발생량은 급증할 것으로 예측 되며, 2020년에 약 75만 t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폐디스플레이 재활용 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미비하며, 대부분 수작업을 통해 금속류만 회수하여 재활용 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제조사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부품 구성 및 설계가 다양하여 해체・분리에 가장 많은 시간이 소비되며, 이는 작업 효율 감소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폐디스플레이 재활용 공정효율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폐디스플레이 해체・분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개발 시스템은 오토 로딩 시스템, 스마트 비전 인식 시스템, 폐디스플레이 해체・분리 시스템, CCFL 자동무인화 처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오토 로딩 시스템의 경우 기존 수작업에 의존하던 폐디스플레이 적재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공정의 효율을 증대 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마트 비전 인식 시스템의 경우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한 다양한 폐디스플레이의 해체・분리 공정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하였으며, 작업자에게 페디스플레이가 공급되기 전 자동으로 폐디스플레이의 정보를 확인하고 작업자에게 해체작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경험차이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에 한명의 작업자가 하나의 폐디스플레이 전체를 해체・분리하는 방식을 다수의 작업대를 설계하여 세분화 및 단순화 하였으며, 작업자 간의 폐디스플레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병렬구조 이송 라인 설계 등 작업 효율 증대를 위한 해체・분리 작업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수작업 공정에서 작업자에게 수은과 같은 유해물질을 직접적으로 노출시키는 CCFL 처리 공정은 무인 자동화함으로써 수은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시스템은 기존에 수작업만을 사용했던 공정에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작업 효율 증대, 작업 환경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디스플레이 산업과 창조경영 모델에 관한 연구

        김문준 ( Moon-jun Kim ),윤성준 ( Sung-jun Youn ) K·기업경영연구원 2020 KBM Journal(K Business Management Journal) Vol.4 No.2

        지난 세기부터 계속된 전자 산업의 발전은 인류의 생활방식을 개선하고 생활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다. 특히 1962년에 한국의 전자 산업은 금성사가 처음으로 국산 라디오를 수출하였다. 한편, 2000년대 본격적인 디지털 시대와 맞물려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세계시장을 선도할 만큼 급속한 성장을 이룩해 왔으며, 한국은 세계 최고의 전자 산업 강국 지위를 자타 공인받고 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CRT의 출현 이래로 LCD, PDP, DLED에 의한 기술적 진보를 도모하였다. 또한, 아날로그나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역할을 전제로 하여 다양한 전자기기와 모니터 등을 탑재되하여 「정보의 가시화」라고 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산업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고 디스플레이 산업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 신제품 시장 진입 시기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산업과 창조경영 모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 배경과 연구 목적을 제시한다. 둘째, 이론적 배경에 관해 기술한다. 즉, 디스플레이 개념, 특성, 산업 구조, 디지털 사이니즈의 개념과 주요 기술, 사례 분석, 디스플레이 산업의 창조경영 모델이다. 셋째, 결과와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한 방향성의 제시이다. 한편,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소기업 창조 경영을 위한 융·복합모델이다. 이를 통해 수직화된 디스플레이 산업으로 디스플레이 산업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 할 수 있다. 둘째, 융·복합 시장에 대해 소개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여야 한다. 셋째, 디스플레이는 하드웨어의 틀에서 벗어나야 향후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s industry, which has continued since the last century, is the driving force to improve the lifestyle of mankind and change the living paradigm. In particular, in 1962, Korea's electronics industry made a full-fledged move when Goldstar exported Korean radio for the first time. Meanwhile, with the advent of the full-fledged digital era in the 2000s, it has grown rapidly enough to lead the world market centering on smartphones, displays, and memory semiconductors. As a result, Korea is now recognized as one of the world's leading electronics industry powerhouses. Since the advent of CRT, the display industry has pursued technological progress through LCD, PDP, and DLED. On the other hand, on the premise of the role of a display representing analog or digital content, it has been mounted on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 monitors and has played a role of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industry and to study the display industry and creative management model. First, the background of the study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presented. Seco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described, i.e.. Display concept, characteristics, industrial structure, digital signage concept and major technologies, case analysis, and creative management model of the display industry were described. Thir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escribed along with the presentation of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Meanwhi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proposal of a convergence model for the creative management of SMEs in the display industry. In other words, it is about a huge problem directly connected to the survival of industries such as Japan in the vertical display industry.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convergence market and find new foods. Third, the display must be out of the frame of hardwar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reate new value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of various fields and future display of software.

      • 폐디스플레이 해제/분리 자동화 시스템 개발 연구

        임병용 ( Byoungyong Im ),김세열 ( Seyul Kim ),안낙균 ( Nak-kyoon Ahn ),홍명환 ( Myung Hwan Hong ),박재량 ( Jae Layng Park ),이찬기 ( Chan Gi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현재 국내 디스플레이 생산과 수요의 꾸준한 증가 추세와 전자 제품의 짧은 순환주기를 고려하였을 때 향후 폐디스플레이의 발생량은 급증할 것으로 예측 되며, 2020년에 약 75만 t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폐디스플레이 재활용 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미비하며, 대부분 수작업을 통해 금속류만 회수하여 재활용 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제조사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부품 구성 및 설계가 다양하여 해체·분리에 가장 많은 시간이 소비되며, 이는 작업 효율 감소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폐디스플레이 재활용 공정효율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폐디스플레이 해체·분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개발 시스템은 오토 로딩 시스템, 스마트 비전 인식 시스템, 폐디스플레이 해체·분리 시스템, CCFL 자동무인화 처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오토 로딩 시스템의 경우 기존 수작업에 의존하던 폐디스플레이 적재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공정의 효율을 증대 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마트 비전 인식 시스템의 경우 작업자의 경험에 의존한 다양한 폐디스플레이의 해체·분리 공정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하였으며, 작업자에게 페디스플레이가 공급되기 전 자동으로 폐디스플레이의 정보를 확인하고 작업자에게 해체작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경험차이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에 한명의 작업자가 하나의 폐디스플레이 전체를 해체·분리하는 방식을 다수의 작업대를 설계하여 세분화 및 단순화 하였으며, 작업자 간의 폐디스플레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병렬구조 이송 라인 설계 등 작업 효율 증대를 위한 해체·분리 작업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수작업 공정에서 작업자에게 수은과 같은 유해물질을 직접적으로 노출시키는 CCFL 처리 공정은 무인 자동화함으로써 수은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시스템은 기존에 수작업만을 사용했던 공정에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작업 효율 증대, 작업 환경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전문가 Key-Insight 기반의 Strategy Platform 설정 및 Mapping 분석을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주력분야 도출

        박화진 ( Hwa Jin Pack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2 No.-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디스플레이는 반도체와 함께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전기적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표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산업을 살펴보면, 20세기 이전 핵심 디스플레이인 브라운관(CRT)의 단점을 극복한 LCD로 인해 디스플레이 시장은 2000년에 들어서면서 최근까지 비약적으로 성장하여 성숙기로 진입한다. 그러나 LCD 시장은 2008년 이후부터 둔화하기 시작한다. 특히 2010년부터 세계적인 경기 침체, 중대형 LCD 공급 과잉 및 가격 급락, 중국의 LCD 생산 등은 LCD의 시장 성장을 둔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디스플레이 시장 정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탐색할 필요성을 느낀다. 왜냐하면 LCD 산업은 현재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의 9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서 LCD 산업의 둔화는 곧 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의 시장현황 및 전망, 디스플레이의 장점 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가 주목해야할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찾아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장 기회를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Flexible Display로 전망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 In-depth Interview를 가지고 필터링하고 유사그루핑하여 Focusing된 29가지 Key-Insight Feature를 전략 플랫폼에 Mapping해 봄으로써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Biz 기회를 탐색하고 주력분야를 예측한다. In the 21st information era, an image display system that transforms electric information into visual information and then realizes them on the screen has become a core industry, together with semiconductor. In particular, LCD that overcome disadvantages of CRT has become a new driving force and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a high level of growth and ripening of the display industry. However, global economic depression, excessive supply of small/medium-sized LCD, sharp drop in prices, LCD production by China ,etc, since 2010 have slowed down a growth of LCD market. At this time, we feel that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discovering a new market that can provide us with new experiences, and so pay attention to flexible display, a next generation display. Flexibly display is an exemplary medium for delivery of information which enables exchange of information among people, and is suitable for a next-generation display because it can realize high-definition and can be folded like paper or be made in the form of scroll.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 and prospect of the existing display market, advantages of display, etc, and selected flexible display as a next-generation display. This study expects that a flexible display market will become a new market. Accordingly, it attempts to identify a business opportunity of next-generation display and predict its main driving area by mapping expert key-insight to strategy platform.

      • KCI등재후보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유형별 특성 연구 - 근대 이 후 판매 디스플레이와 전시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특성 중심으로 -

        박남진 ( Park Nam-ji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2 전시디자인연구 Vol.9 No.2

        초기부터 근대, 현대에 이르기까지 판매와 전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는 당시 시대상과 기술을 반영하면서 목적과 기능을 뚜렷이 하며 꾸준히 발전하여 왔다. 판매 디스플레이는 사람들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생활수준이 향상되어감에 따라 세분화, 전문화, 복합화와 같은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며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다변화는 판매 환경 간의 독자성과 차별성을 갖게 하는 디스플레이 전략을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 전시 디스플레이는 사람들이 주 5일제 근무와 토요현장학습 등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해 늘어난 여가시간을 유익하게 보내기 위해 전시관을 찾게 되며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기법에 있어서도 전시물을 단순 나열식에서 벗어나 관람객 중심의 전시 성격이 부각되었고, 비상설·상설전시의 형태를 갖추고 교육, 정보, 체험, 경험 중심의 전시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영리목적의 판매 디스플레이와 비 영리목적의 전시디스플레이는 모두 ‘펼쳐서 보여주는 목적이 있는 진열’이라는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하여 살펴보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리목적의 판매 디스플레이와 비 영리목적의 전시환경 디스플레이의 근대 이후 변천과정을 각각 살펴보고 그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두 분야 간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어떠한 독자성이 있었는지 혹은 어떠한 유사성이 있었는지 살펴보고 향 후 상호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Display design fields. Socio-cultural and technological influences affect the characters of display design throughout the decades. The research investigate the changes in display design fields both for commercial display and exhibit display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Display design. Also, this study understands similarity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wo display design fields based on Display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employ case study. The study selected 4 cases purposively and they all recently opened. They analyze by codes using tabl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he possibilities of future Display design as profession.

      • KCI등재

        투명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색상 인지 영향요소에 관한 연구

        심정민(Shim, Jungmin),유승헌(Yoo, Seungh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2

        연구배경 : 투명 디스플레이는 차세대 IT 플랫폼 중 하나로서 새로운 사용자 경험 요소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는 중첩 환경으로 인해 화상 품질 만족도 및 정보 인지 과정에서 제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첩된 투명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색상 정보가 지각 처리 과정에서 어떠한 요소의 영향을 받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중첩된 투명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시각정보의 인지과정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을 구성하였다. 배경과 중첩된 투명 디스플레이 색상 정보의 원본 대비 왜곡 인식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색상 스펙트럼에 따른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절대 색상을 확인하는 컬러칩 실험군은 색상 지각에 해당하고 인지된 색상으로 처리되는 브랜드로고 실험군은 색상 인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후 색상 조건과 후경 환경에 따른 정답률을 분석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색상 재현이 사용자의 인지과정에 미치는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 후경 환경과 시각 정보 중첩에 따른 정보 복잡도, 후경 환경의 밝기, 투명 디스플레이 색상 정보의 명도 차이에 따라 색상 인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실험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투명 디스플레이 색상 인지 과정에서 원본 대비 인지 왜곡이 발생하더라도 멘탈모델과 지식 체계에 의한 정보 재구축 과정을 통해 정상적 인지 범위로 해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연구의 결과를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시각 정보의 현출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설계 시 디스플레이 상의 정보 제공 방식에 관한 실증적 가이드로서 참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Transparent display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experience element for users as one of IT platforms of the next generation. However, the contents showed on transparent display has constraints on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of image quality and the cognition process due to the unexpected noise from its overlaid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 perceptual processing that affect on color recognized by users under overlaid transparent display environment. Methods : The experiment is designed for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factors processes on two pair of overlaid transparent display panels. To analyz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color distortion of transparent display,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rmed by each color group. The color chips- absolute color value group has been assumed to evaluate the equivalent color information of color perception, whereas the brand logos recognized color experimental gap group has been expected to evaluate of color recognition. color recognition factors on transparent display was analyzed by the color condition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under each background environment. Result : As the result of the overlaps of visual information with the background environment, the experiment was delivered that the color recognition is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the complexity of information,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environment, and the difference of lightness in displayed colors. Also, while users perceive color on a transparent display, color distortion can be corrected the normal range of cognition through the process of information reconstruction delivered by the mental model and the knowledge system. Conclusion : This research will provide an empirical guide when designing transparent display interface considering the saliency of information presented on the display.

      • KCI등재

        OLED기반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정보디자인 활용방안 제안

        김건동 ( Kim Geon D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최근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를 중심으로 기존 사각형의 프레임을 벗어난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발전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하지만 OLED 디스플레이 기반 선행 연구는 대부분 기술기반 연구들로 디스플레이 유형과 형태적 특징에 따라 담겨질 정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디자인과 연계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른 선행사례를 조사한 후 적합한 정보디자인의 활용방안과 가이드라인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먼저 OLED 디스플레이와 정보디자인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선행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OLED 디스플레이 개발관련 전문가와 UX디자인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13개 분석 대상과 9개 분석 툴의 적정성을 검토 받았으며, 이를 통해 사례 분석과 해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OLED 디스플레이 유형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2개, 투명 디스플레이 12개의총 24개 정보디자인 활용방안을 도출하였으며, 대표 유형 중심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유저테스트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 연구가 아닌 한계점은 있지만 OLED디스플레이와 정보디자인을 연계시킨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한 사례분석과 가이드라인 제시를 통해 향 후 OLED 디스플레이 정보디자인의 실무적 활용방안의 초기 기준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open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various types of display breaking existing rectangle frame focusing on flexible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However, most advanced researches about OLED display are researches based on technology, so researches related to information design about how to provide information efficiently in term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hape in display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the utilization methods and guidelines of appropriate information design after investigating advanced cases according to types of OLED display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First of all, advanced researches are analyzed in two aspects such as OLED display and information design. After that, feasibility of 13 analytical subjects and 9 analytical tools is examined by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in development division and UX design division. Through this, cas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conduct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otal 24 application methods that consisted of 12 flexible displays and 12 transparent displays of information design are drawn depending on types of OLED display, and a guideline plan of the representative type is suggested. Although,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not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user test. However it is meaningful for this study to suggest early standard of operational application method of information design of OLED display through case study and guideline based on experts advice.

      • KCI등재

        슈미트(Bernd H. Schmitt)의 경험 모듈을 중심으로 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활용 방안 연구 -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

        김응화,홍우정,김미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2

        최근 디지털 시대 소비자의 생활 모습과 패키지의 의미가 변화하여 소비자는 패키지를 통한 다양한 경험을 요구한다. 해외 기업은 소비자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자 첨단 기 술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 융합 패키지를 개발하고 있 으나 국내에서는 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연구목적은 번 H. 슈미트(Bernd H. Schmitt)가 제안한 전략적 경험 모듈(감 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을 중심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디자인 활용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은 문헌조사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번트 H. 슈미트(Bernd H. Schmitt)의 다섯 가지 전략적 경험 모듈을 따라 경험 디자 인의 이론적 근거를 확립,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디자인 사례에서 경험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고 경험 소비 관 점에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평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F.D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사례가 패키지 디자인 선호도와 차별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F.D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 지가 사용자에게 독자적인 경험을 제공한다는 긍정적인 결과 로 판단된다. 최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을 상용화하고 자 일회용 디스플레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시대 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은 소비자와 상호 작용해 다양한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이다. 앞으로 플렉서블 디 스플레이 기반 패키지는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consumers' lifestyles and the meaning of packages have recently changed in the digital age, consumers dem and various experiences through the package. Overseas c ompanies are developing packages that combine flexible display technology, which is a high technology, as a strat egy to provide a unique experience for consumers. Howe ver, in South Korea, the progress of the study is rather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util ization of flexible display-based package design through five strategic experience elements (sensory, emotional, co gnitive, behavior, and relationships) proposed by Bernd H. Schmidt. The research method follows five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from Flexible Display and Bernd H. Schmidt to establish the rationale for experience design, followed by analyzing experience design elements in flexi ble display-based package design cases. We analyzed the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flexible display-based packa ge design cases from an experience consumption perspec tive. Research has shown that F.D. Display-based packa ge cas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ckage design aff inity and differentiation. It is judged as a positive result that the F.D display-based package provides a unique ex perience to users. Recently, research on disposable displa y is underway to commercialize flexible display technolog ies. In the digital age, flexible display technology is the method to interact with consumers and create various br and values. In the future, flexible display-based packages will work as a strategic and effective design method.

      • KCI등재

        투명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연계 활용방안 제안

        김건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1

        With the accelerated development of transparent and flexible displays, the long-lasting concept of opaque flat based display has been changed. A variety of non-flat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which becomes unified with a shape of object and space is expected to be the center of the next-generation display. However, most studies on display focused on technologies. Some studies on design separated transparent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As a result,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 connection of these display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face desig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form factors on interface of transparent and flexible displays, and thereby to propose the connected activity plans of these displays. Regarding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in order to draw form factors on transparent and flexible display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face design. After that, the drawn form factors were used as an analysis tool in order to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then Low Fidelity Prototype was conducted to propose an idea of connected utilization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drew four common form factors of transparent and flexible interfaces, such as size, distance, directionality, angle and perspective. In terms of connectable individual form factors, the form factor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derived from nine kinds including the superimposition, the use of both sides, and the backside touch. Also, the form factors of flexible display is derived from nine things including curvature, grounding, elasticity, flexibility, and foldable structure. 10 cas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erived form factors. After that, this study proposed 6 ways of utilization methods. 투명(transparent) 및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개발의 가속화로 오랜 기간 유지된 불투명 평판 기반 디스플레이의 개념이 바뀌고 있다. 사물 및 공간의 형태에 일체화되는 다양한 비 평면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중심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대다수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는 기술기반 연구들이며, 일부 디자인 기반 연구들도 투명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각각 분리하여 진행한 연구들로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 이 둘을 연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투명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 측면에 대한 형태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둘의 연계 활용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선행 문헌 연구 분석을 통해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 투명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태요인을 도출한 후 둘의 연계 형태요인을 추출하였다. 이후 이를 분석도구로 하여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있거나 프로토타입으로 제안되어 있는 국내외 선행사례를 분석한 후 Low Fidelity Prototype 제작을 통해 연계 활용방안의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투명과 플렉서블 인터페이스의 공통 형태요인으로 크기, 거리, 방향성, 각도 및 투시정도의 4가지를 도출하였다. 연계가 가능한 개별 형태요인 중 투명디스플레이의 형태요인으로 중첩성, 양면활용, 후면터치, 투명도를 포함한 9개를 도출하였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형태요인으로는 곡률, 접지성, 신축성, 유연성, 폴더블의 접지구조를 포함한 9가지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형태요인을 바탕으로 10개의 사례분석을 진행하였고, 이후 6개의 연계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리와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공간디자인 BM(Business Model)에 관한 연구

        이수림 ( Surim Jeissca Lee ),이종세 ( Jongse Yi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유리는 건축, 인테리어, 그리고 생활소품으로 흔하게 쓰이는 소재이다. 유리는 과거에 가공이 어렵고 빛을 투과시키는 소재적 특성 때문에 종교건물에 상징적인 의미로 쓰였다. 산업시대에 들어가면서 여러 가공법을 거치게 되면서 유리의 품질이 점차 좋아지게 되었고, 그 결과 유리의 소요는 늘어갔다. 외부로부터 빛을 통과시키면서, 동시에 차단시키는 특성으로 인해 건축에 기능적, 장식적인 요소로 많이 쓰였다. 유리의 품질이 좋아지면서 유리가 건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창문에서 건물의 마감재로 범위가 넓어졌다. 흔하게 사용되고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유리를 더 특별하게 써 볼 수는 없을까 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이 질문을 토대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흔한 재료를 흔하지 않게 사용하는 것, 유리에 새로운 가능을 추가하여 활용도를 높이고 새로운 경험 가치를 창출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유리 소재를 특색 있게 사용한 건축물들과 투명 디스플레이의 기술동향을 조사하여 앞으로 나아갈 디자인 방향과 BM의 방향을 예측해보자 한다. 디스플레이의 역사, 현재의 기술, 기술동향을 특허 검색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디스플레이의 발전 가능성과 나아갈 방향을 새로운 BM을 설계하고자 한다. 유리에 관해서는 유리의 종류와 건축유리, 그리고 유리를 특색 있게 사용한 건축물에 관한 사례분석을 하였다. 이 두 가지 분야의 선행조사를 바탕으로, SWOT 분석틀을 이용해서 투명디스플레이 기술과 유리가 만났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 투명 디스플레이의 효과적인 적용 방법제시와, 구체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투명디스플레이 BM제시를 하고자 한다. (결과) 유리는 빛이 투과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이 가능하다. 유리로 구현된 공간은 주변을 투영한 이미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색다른 공간감과 장엄함 또한 느낄 수 있다. 브랜드의 이미지를 반영한 건축 외벽과 내부 구조물 등, 유리 공간자체로 브랜드를 대신하고 이를 통해 특정 브랜드가 인식 되어질 수 있다. 또한 유리 공간이 사람들의 시각적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사람들의 시선과 관심을 머무르게 하는 효과를 기대 수 있다. (결론) 투명 디스플레이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충분한 요소이고 넒은 면적에 쓰이게 될 경우 사람들의 시각과 관심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른 광고 효과와 행동을 유발하게 하는 경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고정돼 있는 유리건물과 유리면에 새로운 형태와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구현, 투명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공간을 건축물로 한정 짓지 않고, 팝업스토어나 움직이는 스토어 즉, 트레일러와 같은 형태로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에 적용을 하게 되면, 이로 인한 광고효과와 파급력 또한 클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방식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공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분야라고 기대된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방식의 디스플레이 방식과 기존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더 나은 방향의 디자인 방향과 적용 방식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Research Background) Glass is a commonly used material in architecture, decoration, and life props. Glass used to have a symbolic meaning in the past due to its lack of processing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that transmit light. Entering to the industrial age, glass production increased, and glass began to be manufactured in factories, improving its quality. As glass transmits and blocks light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used as both functional and decorative elements in architecture. As the quality of glass got better, the portion of windows on walls became wider, and called a “glass curtain wall.” The question is whether glass is being used in a special way, and this question started this research. Commonly found materials but use as different ways, commonly used glass, add new function and enhance of utilization for create new experience values. (Method) In this study, architectural projects that have used glass in unique ways and the technical trend of transparent displays were researched to propose a new design direction and BM. History of displays, current technologies, technological trends through patents were researched, an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d the trend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s, design and BM proposals were made. A case analysis of glass, architectural glass, and structures that feature glass were conducted. Based on these fields, the SWOT analysis framework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glass in transparent displays, and was used to propose effective applications of transparent displays and specific BM. (Result) Glas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images according to the angle of light transmitted. Space designed by glass can also project images that reflect the surrounding areas, thereby creating a sense of awe and grandeur. The exterior walls and internal structures, and the glass space itself, can be the image of a brand. Also, the effects of glass space can tempt people’s visual curiosity and hold their gaze and interest. (Conclusion) Transparent displays ensure people's eyes and attention are secure. It can also create experience values that lead to the promotion of advertising and behavior. Given new forms and styles of transparent displays of spaces, such as a pop-up store or a moving store or shop, the effec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forces are also expected to be enormous. These types of transparent displays are expected to be used in many areas, regardless of space and location.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 to complement the new ways of transparent display and to suggest better design direction and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