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21C 국제관계 키워드와 동유럽 생존전략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2 동유럽발칸연구 Vol.46 No.2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 the most important geopolitical-geostrategic code for understanding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is the ‘Buffer Zone’ between the Powers. Whenever the ‘Buffer Zone’ of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collapsed, there were the great wars among the Great Powers in Europe, and the surrounding Powers divided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or tried to secure full influence in the this region. This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the concept of the ‘Buffer Zone’ applies to us as it i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esent three major keywords of international relation that can understand the survival startegy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today. The first keyword is the ‘New Cold War place between NATO and Russia’. The second keyword could be the ‘EU’s strategy for expansion and willingness to protect the Western Balkan through the Berlin Process’. The third keyword is ‘new challenge, China’s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In the final conclusion, I would like to explain the implications and lessons learned through the major keywords of international relation for understanding the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the 21st century. 국제관계사적 측면에서 동유럽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지정학적-지전략적 코드는 바로 강대국 간 ‘완충지대’란 개념일 것이다. 동유럽 ‘완충지대’가 무너질 때마다 유럽에는 세계대전을 비롯한 강대국 간 큰 전쟁들이 함께 했었다. 따라서 동유럽을 둘러싼 주요 강대국들은 이런 위기를 대비하기 위해 동유럽 분할과 함께 자신의 ‘이해영역’ 구축, 그리고 더 나아가 자신의 영향력 하 편입 의도를 수시로 내비쳐왔었다. 무엇보다도 오늘날 미국 대(對) 중국 간 ‘완충지대’ 개념 증대 속에서, 한반도와 동유럽은 매우 유사한 지정학적-지전략적 코드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동유럽의 선험적 사례를 통한 한반도 미래와 위기 대응 사전 준비라는 가치가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배경과 기대효과에 기초해,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동유럽을 둘러싼 주요 세 가지 국제관계 키워드를 중심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오늘날 동유럽 생존전략에 대한 전망과 고민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생존전략 분석을 위한 이론적 논의로 국제정치학적 주요 이론 중 ‘현실주의론’, ‘자유주의론’ 그리고 ‘세력우위론’을 적용해 동유럽의 안보 외교 현황과 그 미래를 추정해 볼 것이다. 더불어, 제3장에서는 21세기 동유럽을 둘러싼 주요 국제관계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유럽 생존전략 현황과 그 특징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NATO와 러시아 간 ‘신냉전 무대’란 관점에서, 둘째, 서부 발칸을 향한 EU 확대의 의지 표출인 ‘베를린 프로세스’란 키워드를 중심으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EU와 동유럽 국가에게 새로운 도전이 되는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을 소개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21세기 주요 국제관계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유럽의 생존전략 유향을 파악하고자 한 본 연구의 의미를 되새기고, 우리에게 던지는 시사점과 그 교훈을 언급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 KCI등재

        푸바오스(傅抱石)의 동유럽 탐방과 ‘사생(寫生)’에 관한 연구

        이희정(Lee Heej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푸바오스(傅抱石, 1906-1965)는 20세기 중반의 중국 수묵화가로서 전통의 바탕 위에 혁신을 시도한 입지적인 인물이다. 그는 중일전쟁 전·후의 정치적 격변기 속에서 전통의 중요성을 강조한 화가였을 뿐만 아니라 수묵화에 관한 다수의 저서와 논고를 집필한 미술사가이기도 하였다. 푸바오스 회화관의 형성과 작품세계의 변천 배경 에는 외국 유학과 국내외 탐방에서 얻어진 현장 예술 체험이 그 바탕을 이루고 있다. 본 논문은 푸바오스가 ‘사생(寫生)’을 실천하며 적극적으로 중국의 전통 수묵화에 도입한 과정을 1957년 동유럽의 탐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세 가지 주요 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첫째는 푸바오스의 동유럽 탐방의 동기와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두 번째는 탐방에서의 사생을 통해 그가 제작한 작품들의 주제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세 번째는 동유럽 탐방을 마치고 귀국 후 푸바오스가 탐방에서의 사생 경험을 토대로 어떻게 중국 수묵화에 있어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구축에 공헌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푸바오스의 동유럽 탐방은 당시 사회주의 국가들이 문화·예술 교류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동유럽 탐방을 통한 푸바오스의 스케치 작업은 그의 치열한 사생정신의 결과물이었다. 동시에 당시 중국 정부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구현과 사생 장려 예술정책의 기조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였다. 동유럽 탐방기간 중 작업한 스케치들은 상대 국가의 탐방에 참여한 화가들과 초청국 화가들이 서로 공유하였다. 동유럽 탐방에서의 경험은 푸바오스에게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에 대한 예술적 영감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들을 동유럽권에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 푸바오스는 이전부터 가졌던 사생에 대한 관심을 동유럽 탐방을 통해 구체화시켰다. 그는 1957년 5월 25일부터 8월 21일까지 대략 3개월의 동유럽 탐방기간 동안 총 49점의 작품을 제작하였고 63장의 스케치들을 남겼다. 동유럽 탐방을 통해 중국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구현에 공헌한 푸바오스의 예술적 성과와 의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푸바오스는 귀국 후 1960년부터 정부의 지원으로 장거리 단체 사생여행을 수행하였으며 다수의 수묵 산수화를 제작하였다. 1960년 9월 그가 이끈 장쑤성국화원(江蘇省國畵院)의 화가들과 수행한 2만 3천리 사생 여행 중 제작한 중국 수묵화는 새로운 사회주의 회화 장르로 자리매김하였다. 푸바오스와 그 일행들의 사생 실천은 스케치가 실제적인 본질을 전달하는 사회주의 회화의 주요한 수단임을 각인시켰으며 당국과 평론가들에 의해 ‘혁명적 사실주의’와 ‘혁명적 낭만주의’를 결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푸바오스는 사생에 대한 그의 회화관을 다수의 글과 저서로 남겼으며 중국 전통 수묵화의 혁신을 추구했던 그의 예술 사상은 오늘날 중국의 현대 수묵화가들에게 큰 예술적 영감을 제공하고 있다. Fu Baoshi(傅抱石, 1906-1965)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Chinese ink painters who made a constant effort to defend and revitalize Chinese painting in the mid-20th century. He was not only a painter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radition in the middle of the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but also an art historian who wrote several books and articles on Chinese ink painting. The evolution in Fu Baoshi’s artistic ideas and paintings is based on his own artistic experience which was acquired from his study overseas and his visit to domestic regions and foreign countries. This paper aims to discover the way in which he practiced his ‘drawing from life’ and how he actively applied this artistic practice to Chinese traditional ink painting, with a special focus placed on his visit to Eastern Europe in 1957. Fu Baoshi visited Eastern Europe as part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s which were being organized between socialist countries at that time. The sketch works he completed during the journey were the output of his inner passion for drawing from life, while also reflecting the Chinese government’s materialization of socialist realism and its art policy of promoting drawing from life. Fu Baoshi’s visit to Eastern Europe was not only an opportunity to provide him with artistic inspiration for socialist realism but also a chance to introduce his art works to Eastern European countries. Over a period of approximately three months from May 25 to August 21 in 1957, he produced a total of 49 art works and 63 sketches. The artistic achievement and historical meaning of Fu Baoshi’s journey through Eastern Europe made a huge contribution to the actualization of socialist realism in Chinese ink paintings. After returning to China, he embarked on a long-distance ‘23,000-li drawing-fromlife trip’ in September 1960 with support from the Chinese government. The Chinese ink paintings he produced on this trip together with painters from Jiangsu Provincial Chinese Painting Institute established a new genre of socialist painting in China. The practice of drawing from life led by Fu Baoshi implied that sketches were the principal means of socialist painting employed to convey the real nature of things to people. The practice was also praised by the Chinese government and critics at that time for combining ‘revolutionary realism’ and ‘revolutionary romanticism’. Fu Baoshi has left many writings and books on his views of drawing from life, and his artistic ideas which pursued innovation in Chinese traditional ink paintings have inspired many contemporary Chinese ink painters in various ways.

      • KCI등재

        유럽의회에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력 연구

        안성호(Ahn, Sung-h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유럽의회에서 유럽연합의 조직, 제도 및 구조측면, 유럽의회에서의 선거와 정당이념, 경제적 이슈, 신규가입국 문제 등을 중심으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분석하였다. 동유럽국가가 서유럽 회원국가 보다는 약소국이지만 유럽의회를 통하여 유럽연합에서 정치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여지가 없는지를 모색하였다. 물론 이는 동유럽국가가 집단적으로 협력하는 문제이지만 동유럽국가간에도 개별적으로 위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서유럽 회원국 중에도 강소국들이 존재하고 있고 PIIGS 나 남유럽국가 등 글로벌 경제위기하에서 유럽연합에 협력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국가가 존재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동유럽국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유럽연합에서 정치경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제도, 경제이슈문제, 신규가입국 결정 등에서 대안을 개발하고 이슈를 선점하는 전략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필자는 유럽연합 내에서 유럽의회가 유럽이사회나 집행위원회보다는 정치경제적 위상이 약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유럽연합이 유럽통합을 전제로 유럽합중국으로 발전적인 진행을 하려면 입법, 사법, 행정 등 개별국가에 존재하는 민주적인 삼권분립이 필요하다. 여기서 유럽의회가 적극적인 입법의 역할을 강화하여 위상을 좀 더 높일 때 동유럽 국가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담담함으로써 유럽연합에서 동유럽 국가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아직도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연합에서 후발국가로 참여하여 중심적인 역할을 못하고 있고 유럽의회도 여전히 유럽이사회나 유럽정상회의 등에 비해 글로벌경제위기극복 등에서 역동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결론적으로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이사회나 집행위원회에서 정치경제적 영향력이 약하다면 유로 존이나 유럽의회에서 보다 더 많은 활동을 통하여 독일, 프랑스, 영국 등 강대국사이에서 서유럽 강소회원국과 같은 핵심적 역할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본다. 필자는 유럽의회를 통하여 동유럽회원국들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점차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I will analyze organization and instituion of European Union, global economic issues,election and political party of European Parliament, permmition of EU new membership state, cooperation between global organization which focus on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in European Parliment. Even though eastern europe are lesser power states than western europe, elevation of political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must come from prior occupation of global issues and problems in European Parliament. I will analyze solid methods of getting over difference of political economic power between western europe membership and eastern europe membership in European Union. Actually there are lesser power states among western europe as like PIIGS and southern Europe which need assistances and supports from European Union in global economic crisis. To elevate political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Eastern Europe need strategy to propose agendas and ideas, and prior occupation about issues of organization and instituion of European Union, global economic issues, election and political party of European Parliament, permission of EU new membership state etc. in European Parliment. I know that European Parliament is are lesser power for Political Economic phase than European Council and European Commission. But if European Union will be elevated United States of Europe through European integration, European Parliament should be strengthened democratic seperation of three powers(administration, legislation and judiciary) as like seperation of three power in a country. If Eastern Europe has lesser power in European Council and European Commission, Eastern Europe should be get the core role such as strong-small states among super power states as like Germany, France and UK through playing its part in European Parliament and Eurozone. Political economic powers of Eastern Europe will be strengthened through European Parliament.

      • KCI등재

        유럽의회에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력 연구

        안성호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I will analyze organization and instituion of European Union, global economic issues,election and political party of European Parliament, permmition of EU new membership state, cooperation between global organization which focus on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in European Parliment. Even though eastern europe are lesser power states than western europe, elevation of political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must come from prior occupation of global issues and problems in European Parliament. I will analyze solid methods of getting over difference of political economic power between western europe membership and eastern europe membership in European Union. Actually there are lesser power states among western europe as like PIIGS and southern Europe which need assistances and supports from European Union in global economic crisis. To elevate political economic power of Eastern Europe, Eastern Europe need strategy to propose agendas and ideas, and prior occupation about issues of organization and instituion of European Union, global economic issues, election and political party of European Parliament, permission of EU new membership state etc. in European Parliment. I know that European Parliament is are lesser power for Political Economic phase than European Council and European Commission. But if European Union will be elevated United States of Europe through European integration, European Parliament should be strengthened democratic seperation of three powers(administration, legislation and judiciary) as like seperation of three power in a country. If Eastern Europe has lesser power in European Council and European Commission, Eastern Europe should be get the core role such as strong-small states among super power states as like Germany, France and UK through playing its part in European Parliament and Eurozone. Political economic powers of Eastern Europe will be strengthened through European Parliament. 본 논문은 유럽의회에서 유럽연합의 조직, 제도 및 구조측면, 유럽의회에서의 선거와 정당이념, 경제적 이슈, 신규가입국 문제 등을 중심으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분석하였다. 동유럽국가가 서유럽 회원국가 보다는 약소국이지만 유럽의회를 통하여 유럽연합에서 정치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여지가 없는지를 모색하였다. 물론 이는 동유럽국가가 집단적으로 협력하는 문제이지만 동유럽국가간에도 개별적으로 위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서유럽 회원국 중에도 강소국들이 존재하고 있고 PIIGS 나 남유럽국가 등 글로벌 경제위기하에서 유럽연합에 협력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국가가 존재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동유럽국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유럽연합에서 정치경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제도, 경제이슈문제, 신규가입국 결정 등에서 대안을 개발하고 이슈를 선점하는 전략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필자는 유럽연합 내에서 유럽의회가 유럽이사회나 집행위원회보다는 정치경제적 위상이 약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유럽연합이 유럽통합을 전제로 유럽합중국으로 발전적인 진행을 하려면 입법, 사법, 행정 등 개별국가에 존재하는 민주적인 삼권분립이 필요하다. 여기서 유럽의회가 적극적인 입법의 역할을 강화하여 위상을 좀 더 높일 때 동유럽 국가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담담함으로써 유럽연합에서 동유럽국가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아직도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연합에서 후발국가로 참여하여 중심적인 역할을 못하고 있고 유럽의회도 여전히 유럽이사회나 유럽정상회의 등에 비해 글로벌경제위기극복 등에서 역동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결론적으로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이사회나 집행위원회에서 정치경제적 영향력이 약하다면 유로 존이나 유럽의회에서 보다 더 많은 활동을 통하여 독일, 프랑스, 영국 등 강대국사이에서 서유럽 강소회원국과 같은 핵심적 역할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본다. 필자는 유럽의회를 통하여 동유럽회원국들의 정치경제적 위상을 점차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

        동유럽을 향한 NATO 동진 정책과 러시아:

        김철민(Chul-Mi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냉전 무대로 떠오르고 있는 동유럽을 둘러싼 NATO와 러시아 간 갈등 양상을 살펴보고, NATO 동진 정책의 최근 사례들을 소개하는 데 있다. 동유럽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NATO와 러시아 간의 갈등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 본 연구는 오늘날 강대국들의 틈바구니 속에 선택을 강요 받거나 혹은 어느 한 쪽만을 선택해야만 하는 여러 중소 국가들의 전략적 고민과 대응을 선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 2장에서는 동유럽으로의 확대에서 비롯된 NATO와 EU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의 발전에 대해 살펴보게 될 것이다. 제 3장에서는 NATO발전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논의를 바탕으로 NATO에게 있어 동유럽 확대의 전략적 의미와 그 가치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제 4장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태이후 NATO와 러시아 간 신(新)냉전 무대로 떠오르고 있는 동유럽의 의미를 살펴보고, 점차 가열되고 있는 NATO와 러시아 간 갈등과 충돌 현황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제 5장에서는 2016년에 일어난 최근 사례들을 중심으로 동유럽을 향해 현재 진행 중인 NATO의 동진정책 내용들을 분석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이 장에서는 최근 NATO 동진 정책의 대표적인 세 가지 사례들, 즉 몬테네그로의 NATO 가입, 루마니아 MD 기지 가동 그리고 폴란드와 발틱 3국에 대한 NATO 병력 파병 결의 등을 중심으로 그 파장과 의미를 설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NATO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사안들을 분석하고, 동유럽을 둘러싼 NATO와 러시아 간의 갈등에 대한 향후 전망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pects of conflict between the Russia and the NATO over the Eastern Europe which emerged as a stage of the ‘New Cold War’, having recently introduced the current statues and case studies of the NATO’s policy toward the Eastern Europe. The research effects of this study is to able to understand the strategic concerns and responses of many medium-small sized countries which have to choose or forced to choose between Powers. In chapter 2 of this study, I will introduce the development of a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the NATO and the EU which came from expansion policy into the Eastern Europe. In chapter 3, based o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discussion on the NATO’s development and expansion, I will analyze strategic meaning and value of expansion toward the Eastern Europe. In chapter 4, I will study the meaning of the Eastern Europe emerging as a main stage of the ‘New Cold War’ between the NATO and the Russia after the Ukraine Crisis. And also I will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of conflict and conflict between the NATO and the Russia. In chapter 5, I will analyze the NATO’s policy toward the Eastern Europe focusing on the recent cases which happened in 2016. In particular, in this chapter I will describe the meaning and aftereffect of the NATO’s policy toward the Eastern Europe with three case studies: the Montenegro became a member of the NATO, the construction of the MD missile base in the Romania, and the NATO’s determination on the dispatch of troops to the Poland and the Baltic countries. Finally, in the conclusion I will analyze various issues of the NATO, and propose prospect and implication about the conflicts between the NATO and the Russia around the Eastern Europe

      • KCI등재

        전간기(1918-1938) 동유럽의 지정학적 가치와 위기: ‘완충지대(Buffer Zone)’ 역할과 그 상실

        김철민 한국유럽학회 2023 유럽연구 Vol.41 No.4

        2014년 3월 러시아의 크름반도 합병과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은 동유럽의 지정학적 가치와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각인해준 계기가 되었다. ‘유럽의 관문’으로 지칭되는 동유럽의 지정학적 가치와 중요성은 21세기 신냉전의 첨예한 갈등 속에서 그 의미를 더해가는 중이며, 국제관계사적으로 보더라도 한반도의 지정학적 운명과 그 유사성을 같이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 가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국이 된 동유럽 국가들은 양차 대전 사이인 전간기(1918-1938) 동안 ‘서유럽-독일-러시아 간 완충지대’로서의 지정학적 가치와 그 역할을 부여받았다. 하지만, 전간기 대두된 대내외적인 위기 요소들로 인해 동유럽 국가들은 그 지정학적 가치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 채, 오히려 강대국에 의한 ‘지정학의 덫’에 갇혀 위기를 초래해야만 했으며, 그 결과 동유럽에서 또 한 번 세계대전이 발발하는 중요 원인이 제공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간기 보인 ‘완충지대’로서의 동유럽의 지정학적 가치와 그 역할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매킨더의 지정학 이론을 중심으로 동유럽 지정학과 그 가치를 논의해보고, 전간기 동안 완충지대 활용이란 측면에서 동유럽의 지정학적 가치를 분석해보았다. 제3장에서는 전간기 동유럽의 지정학적 위기를 초래한 대내외적인 세 가지 핵심 요소를 제시하고 당시 상황과 근거를 설명해 나가고자 한다: 첫째, ‘내적 취약성’과 이에 따른 통일된 국가 전략 수립 어려움, 둘째, 1929년 경제대공황 이후 독일의 영향력 확대 및 이에 따른 ‘편승 전략 선택과 그 위기’, 셋째, 1938년 뮌헨협정 체결이 가져다준 ‘완충지대로서의 동유럽 역할 상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지정학적 접근에 따른 동유럽의 가치를 재조명해보고, 지정학적으로 동유럽과 그 운명이 매우 유사한 한반도의 미래 생존전략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고자 한다. In this study, I aim to analyze the geopolitical value, role and crisis of Eastern Europe as a ‘buffer zone’ during the interwar period(1918-1938). In the Chapter II, I discuss about the geopolitics of Eastern Europe, focusing on Mackinder’s geopolitical theory, and analyze the geopolitical value of Eastern Europe in terms of utilizing the ‘Buffer Zone’ during the interwar period. In the Chapter III, I present three keys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 that caused the geopolitical crisis in Eastern Europe during the interwar period, and explain the situation of Eastern Europe at that time: First, ‘internal vulnerability’ and the resulting difficulty of establishment of a unified national strategy; Second, after the ‘Great Depression of 1929’, Germany’s economic dependency expansion in the Eastern Europe and the ‘Bandwagon strategy choice’ towards Germany; Third, with the aftermath of the Great Depression, ‘loss its role as a buffer zone’ after the signing of the Munich Agreement in 1938. Lastly, in Chapter 4, I would like to reexamine the value of Eastern Europe according to a geopolitical approach and conclude by suggest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urvival strategy of the Korean Peninsula, whose fate is very similar to that of Eastern Europe geopolitically.

      • KCI등재

        우크라이나 전쟁과 동유럽, ‘신냉전 무대’ 부상과 대응 현황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2 EU연구 Vol.- No.63

        동유럽은 오랫동안 서유럽 강대국과 러시아 간 ‘경계 지역’이자, 양자 간의 직접 충돌을 예방하는 ‘완충지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따라서 제1차 세계대전 종결 전까지 동유럽 국가들은 서유럽 강대국과 러시아 제국의 부침에 따라 강대국들에 의한 잦은 영토 분할의 대상이 되어야만 했다. 양자 간 패권 싸움에서 동유럽 영토 확보는 당시 강대국의 중요한 잣대가 되었으며, 유럽의 변방으로 취급받던 러시아가 유럽의 강대국 중 하나로 인정받았던 배경에도 18세기 이래 단행된 동유럽을 향한 영토 확대에 근거를 두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와 동유럽은 NATO와 러시아 간 ‘신냉전’의 주요 무대로 부상 중이며,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또한 이러한 지정학적 이해 충돌로써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동유럽이 21세기 ‘신냉전 무대’로 급부상하게 된 배경을 ‘경계 지역론’ 관점에서 분석하고, 동유럽에 대한 NATO와 러시아의 시각을 비교하고자 한다. 제2장에선 우크라이나 전쟁이 동유럽 선점을 위한 미국-러시아 간 지정학적 이해 충돌에서 비롯되었음을 전제로, 이에 대한 동유럽의 견해와 전쟁 당사자들의 전략을 분석한다. 제3장에선 러시아 이해영역 관점에서 동유럽을 크게 중부유럽권과 발칸유럽권으로 나누고, 이번 전쟁에 대한 여러 시각과 각자의 생존전략을 비교 설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선 우크라이나 등 동유럽과 우리 한반도가 지정학적, 지전략적으로 유사한 점을 들어 이번 전쟁에 대한 선험적 경험과 대응 전략 수립 의미를 찾고자 한다.

      • KCI등재

        유럽 열강 사이 각축장의 관점으로 바라본 동유럽의 지정학적 고찰

        김종석,김용덕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1 EU연구 Vol.- No.59

        Eastern Europe was the battleground of the geopolitical game between the European powers for a long time. In modern history, Eastern Europe has become an area of interest and competition between European powers several times, because the one who dominates Eastern Europe has become a great power. In the case of Germany and Russia, it was only when they controlled Eastern Europe that they could attain the status of superpowers dominating the European continent. German and Russian attempts to geopolitically dominate Eastern Europe ultimately ended in failure. Thus, Eastern European countries had the potential to promote free development, and now they were able to decide their own destiny. Currently, most Eastern European countries are members of the EU and the NATO. This means Eastern Europe has become part of the West,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economically and culturally prosperous region in the world. However, due to differences of opinion with the West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timing of accession to the EU and the establishment of European security, Eastern European countries are seeking alternatives to create their own unity, such as the so-called Three Seas Initiative.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geopolitical competition between Russia, Germany, and Britain over the Eastern Europe region. Also,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hesis of Eastern European integration with the geopolitical concept planned and conceived by Russia, Germany, Britain and Poland. 동유럽 지역은 오래전부터 유럽 열강들 사이에서 벌어진 지정학적 게임의 각축장이었다. 근대사에 들어오며 동유럽은 여러 차례 열강 간의 관심과 경쟁 지역이 됐는데, 이는 동유럽을 지배하는 자가 강대국이 됐기때문이다. 독일과 러시아의 경우, 동유럽 지역을 장악할 때만이 유럽 대륙을 지배하는 초강대국 지위를 얻을 수 있었다. 동유럽을 지정학적으로지배하려던 독일과 러시아의 시도는 결국에 가서 모두 실패로 끝났다. 그리하여 동유럽 각국은 자유로운 발전을 도모할 가능성을 가지게 됐으며, 이제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됐다. 현재 대다수 동유럽 국가는 유럽연합과 북대서양조약기구의 회원국으로 가입해 있다. 이는 동유럽이 세계에서 경제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 가장 번영한 지역으로 간주되고 있는 서구의 일원이 된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유럽연합 가입에관한 시기 조절 문제와 유럽 안보 구축 사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러난서구와의 견해 차이로 인해, 동유럽 각국은 소위 삼해 동맹과 같은 자신들만의 통합체 창설이라는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 논문은 러시아와 독일 그리고 영국 사이에서 동유럽 지역을 두고 벌어진 각축전을 지정학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또한 19세기부터 현재까지 러시아와 독일 그리고영국과 폴란드가 계획하고 구상한 지정학적 개념으로 동유럽 통합이라는논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Changes of Ethnic Composition in Eastern Europe

        김용덕(Kim, Young-deo)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7 No.-

        20세기에 동유럽에서 진행된 민족변동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었다. 20세기 동안 동유럽에서 진행된 정치변동의 폭이 얼마나 컸던가하는 점은, 이 지역에 현재 19개의 국가와 러시아 영토에 속하는 자그마한 지역인 칼리닌그라드지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증명된다. 1900년경 동유럽에는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전체면적 2,090,800㎢에 달하는 동유럽 지역에는 19세기말에 1억1천2백7십만 명이 살았다. 제1차 세계대전 결과 정치지도가 변한 동유럽에는 1억4천1백1십만 명이 살고 있었다. 19세기말과 비교하면 2천8백4십만 명이 증가한 것이다. 인구통계학 관점에서 제2차 세계대전은 동유럽에서 전체인구수 면에서뿐만 아니라 이 지역구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종전직후 동유럽 전체에서의 급속한 인구증가가 눈에 띈다. 인구수는 급속히 늘어나 1960년대 말에는 1억5천6백만 명을 넘어섰다. 양차대전 사이부터 1960년대 사이의 30년 기간 동안 동유럽은 전체적으로 1천5백2십만 명의 인구증가를 보이며, 민족구성에서도 대대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로부터 다시 40년 세월이 흘러 2000년대 동유럽의 인구수는 4천1백1십만 명으로 증가하며 전체인구수의 1/4 정도가 불어났다. 동유럽은 최근 백년간에 걸쳐 8천4백7십만 명, 즉 75%의 인구증가를 보였다. 19세기말부터 21세기 초까지 백여 년간에 걸쳐 동유럽에서 진행된 정치, 사회, 인구통계학적 변동은 매우 심했다. 국경선이 여러 번에 걸쳐 변했으며, 안정기간이 매우 짧은 격동의 시기를 보냈다. 의도적인 민족운동의 결과이던 우발적 결과이던, 동유럽에서의 민족창조 과정은 성공으로 끝나 민족국가 이념이 최종승리를 거두었다. The population and ethnic changes in Eastern Europe in the 20th century showed enormously complicated phenomena. The magnitude of the political changes during the 20th century in Eastern Europe can be attested by the existence of 19 states and Kaliningrad at presen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Eastern Europe was a very complicated region due to different ethnic nations. 112.7 million people lived in Eastern Europe, which amount a total of 2,090,800㎢. As a result of the end of World War Ⅰ, the political map of Eastern Europe changed. Approximately 140.1 million people used to live in Eastern Europe at the end of the 1920s. Compared with the populat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is is an increase of 28.4 million people. From a demographic viewpoint, World War Ⅱ has brought basic changes not only in the total population of Eastern Europe but also in regional structure. Following the war, the population of Eastern Europe saw a rapid growth to reach more than 156 million by the end of the 1960s. Between World War Ⅰ-Ⅱ and the 1960s Eastern Europe saw a population increase of 15.2 million along with a major change in the ethnic composition. In the last 40 years the population of Eastern Europe has increased by 41.1 million. For almost 100 years Eastern Europe showed an population increase of 84.7 million. Social and demographic changes in Eastern Europe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1st century were great. During the time, the borderlines changed several times, so it was a period of instability and turbulence. The process of national creation ended with success, whether it was the result of an intentional national movement or an accidental one, and the ideology of national state finally won the victory.

      • KCI등재

        한국외교사에서의 동유럽: 지역인식과 담당외교조직의 변화를 중심으로

        양준석,김명섭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5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ce of Eastern Europe in South Korean diplomatic history, focusing on the change of the cognition on the region which was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diplomatic organization regarding Eastern Europ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 Koreans had the cognition that Eastern European countries achieved independence even though they were weak states placed between Western Europe and Russia (the Soviet Union). With the expansion of communism after the Second World War, however, Eastern European countries were overwhelmingly perceived as pro-Soviet Union satellite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Europe Division in the European- American Affairs Bureau in 1963, the ROK pursued an active relationship with Eastern Europe. After President Park Chung Hee declared, on June 23, 1973, a “New Foreign Policy for Peace and Unification,” the ROK developed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with Eastern European countries. With expanding Korean exports to Eastern Europe in the 1970’s, the R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eparated the East Europe Division from the European Division in 1978. Due to the increas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OK and Eastern Europe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he East Europe Division was divided into two divisions in 1991; the East Europe Division 1 and the East Europe Division 2. In the aftermath of the Cold War, the RO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laced the East Europe Division with the Central Europe Division in 1994 based on new cognition on the region. 이 연구는 동유럽에 대한 인식의 변천이 한국 외교조직의 변화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고찰한다. 일제강점기 한국인에게 동유럽국가들은 유럽과 소련 사이에 있는 약소국임에도 불구하고, 독립을 이룬 국가들로 우호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공산주의세력의 팽창과 미국의 봉쇄정책이라는 국제질서에 따라 동유럽국가들을 친소(親蘇) 위성정부로 보는 인식이 압도적이었다. 1962년을 ‘외교약진의 해’로 정한 한국은 1963년 구주과를 신설하면서, 동유럽에 대한 외교노력을 확대했다. 이후 데탕트의 도래와 제3세계의 세력 확장, 이로 인한 한국과 북한의 체제대결의 심화, 한국의 경제개발계획의 성공적 추진은 한국의 대(對)동유럽외교를 강화시켰다. 1973년 박정희대통령의 ‘평화통일외교정책선언’이 발표되면서, 동유럽과의 관계 개선의 필요성이 본격적으로 제기되었고, 1971년부터 동유럽과의 통상문제가 직접적으로 논의되었다. 특히, 대동유럽 수출량 증가를 통한 경제교류의 확대는1978년 외무부의 동구담당관 신설을 통한 동구개념의 확산으로 이어졌다. 몰타 미소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냉전체제가 해체되며, 동유럽지역과의 외교관계수립과 교역규모의 확대라는 정치·통상환경의 변화, 그리고 이에 기초한 지역인식의 심화는 1991년의 동구1-2과로 동유럽담당 외교조직의 분화를 이끌었다. 그러나 탈냉전기 지역인식의 변화는 1994년 동구과에서중구과로의 변화를 추동했다. 한국외교사에 있어서 외교조직의 변화는 동유럽에 대한 지역인식의 변천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