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손정인 한민족어문학회 2010 韓民族語文學 Vol.0 No.57

        본 연구는 이규보의 <동명왕편>을 記述性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위해 먼저 병서를 검토하여 이 작품의 기술성의 성격을 이해한 다음, 작품에 나타난 기술성을 세 가지 층위로 나누어 그 구체적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규보는 <동명왕편>이라는 한 작품 안에서 ‘사실의 기록’, ‘의식의 전환’, ‘현실 비판’등을 한꺼번에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규보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명왕편>속에서 시도한 글쓰기의 기술성을 ‘기록을 통한 기술성’, ‘표현을 통한 기술성’, ‘구성을통한 기술성’의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층위에 따른 기술성의 의미를 정리하면다음과 같다. 첫째, 이규보는 <동명왕편>에서『구삼국사』의 「동명왕본기」의 내용을 註로 부기하여기록하는 방법에 의해 우리 고대문화의 전통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둘째, 이규보는 천하 사람의 의식을 전환시키기 위해, <동명왕편> 본시에서 해모수와동명왕의 ‘신이한 일’을 충실히 표현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주관의 첨가’, ‘설명의 부연’등의 다양한 표현을 시도하였다셋째, 이규보는 서사시인 <동명왕편>의 앞뒤에 비서사적 부분을 넣어 작품 전체 안에서 유기적으로 기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신의 창작 의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규보는 <동명왕편>이라는 한 작품 속에 기술성의 세 가지 층위를 모두 설정하여자신의 창작 의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Dongmyeongwang-pyu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Lee, Gyu-bo(이규보) intended to achieve in three aspects at once within the work : record of historic facts, conversion of consciousness and criticism in the reality. To achieve these three objectives, he divided his literacy shown in his work into three features: the literacy through the record, the literacy through expression and the literacy through composition. The meaning of literacy associated with each layer is as follows:First, Lee, Gyu-bo appended 「Dongmyeongwangbonki」(동명왕본기) of 『Kusamkuksa』(구삼국사) by means of annotation in <Donmyeongwang-pyun>. In other words, he effectively delivered the traditions of ancient cultures through record of historic facts. Second, to convert public awareness Lee, Gyu-bo faithfully express what Haemosu(해모수) and King Dongmyeong(동명왕) did. However, as circumstances demand, he tried to criticize in various ways through adding his thoughts and giving an amplification of his explanation Third, Lee, Gyu-bo put 'root' grasped through 「Dongmyeongwangbonki」of 『Kusamkuksa』 to embody in terms of the literacy through composition into non-descriptive parts back and forth.Through the above studying, we understand that <Dongmyeongwang-pyun>was included three layers of literacy and Lee, Gyu-bo effectively used three literacy.

      • KCI등재

        <東明王篇>을 통해 본 李奎報의 스토리텔링 전개

        이학주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4 No.-

        This study examines how Lee Gyu-Bo practiced story-telling through his "King Dongmyeong" and its preface. He recorded the purpose and method of his writing "King Dongmyeong." And actually he story-told his "King Dongmyeong." The preface of "King Dongmyeong" h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First, he used the story of "Yeohang" and "Old History of Three Countries" as his one source. Second, the trend of contemporary was fantasy worlds. Third, readers of public wanted for the story of King Dongmyeong to be descended unchanged. Forth, he used an epic as a media. Fifth, he made it public that our country is the country of Saints through story marketing. And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Lee Gyu-Bo practiced story-telling in "King Dongmyeong" by his epic. He separated meaning form words. The saint in the preface is to meaning, fantastic ghost is to words. He used fantastic motif, which was the trend of contemporary, as words to express the meaning. He accepted the fantastic motif practiced in the contemporary fantastic novel through the media of epic for story-telling. Further, he satisfied the readers by proving the fantastic motif. His work touched and moved the readers. He succeeded in making public that our country is the country of Saints through story marketing, the ultimate purpose of story-telling. 이글은 <동명왕편>과 그 병서를 중심으로 이규보가 어떻게 스토리텔링을 전개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규보는 서사시 <동명왕편>을 쓰면서 그 병서를 통해서 목적과 방법 등에 관해 기록을 했다. 그리고 실제로 <동명왕편>을 스토리텔링 했다. 이에 <동명왕편>병서에는 스토리텔링의 전반적인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첫째, 원소스는 여항의 이야기와 『구삼국사』의 내용으로 하였다. 둘째, 당시의 트렌드는 환상세계에 있었다. 이는 당시 전기문학(傳奇文學)의 유행과도 무관하지 않다. 셋째, 독자 또는 대중의 욕구는 동명왕의 이야기를 있는 사실 그대로 기록해서 전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넷째, 매체는 서사시를 사용했다. 다섯째, 이야기마케팅은 시를 지어 기록하여 우리나라가 본래 성인(聖人)의 나라임을 알리고자 하였다. 다음은 이규보가 서사시를 통해서 <동명왕편>을 어떻게 스토리텔링으로 전개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규보는 ‘뜻’과 ‘말’을 구분하여 작품을 썼다. 병서에서 말한 성신(聖神)은 뜻에 해당하고 환귀(幻鬼)는 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말은 당대의 트렌드로 쓰였던 환상모티프를 사용했다. 이때 사용한 스토리텔링 매체가 서사시였고, 전기소설 등에서 활용되던 환상모티프를 그대로 수용했으며, 오히려 환상모티프를 증명하여 역사적 진실을 전하고자 하는 독자의 욕구를 충족시켰다. 이런 이규보의 작업이 독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스토리텔링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야기마케팅으로 우리나라가 성인의 나라임을 알리고자 한 바를 이루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