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리안 디아스포라, 독일속의 한국인 -파독 광부와 간호사

        이영남 ( Young Nam Le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3 獨逸文學 Vol.128 No.-

        한국과 독일의 관계에서 2013년은 무엇보다도 역사적인 한해이다. 한·독 수교 130주년이자 한독 경제협력 50주년을 맞는 해이기 때문이다. 자원도 없고 해외에 뭔가 수출할 수 있는 기술력도 없던 시절 한국은 인력을 수출했다. 파독 광부와 간호사는 한독 관계 및 독한 관계 무엇보다도 독일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본격적인 출현의 시발점이며 독일에서 한국인 동포사회를 형성하는데 원동력이 되었다. 본 연구자는 2004년 겨울학기부터 2009년 여름학기까지 각각 독일의 마인츠대학과 보쿰대학 한국학과에서 강의를 하면서 파독 광부 및 간호사들을 많이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이들의 독일에서의 삶은 한마디로 대한민국 근대사의 한 부분이며 아직 현재형으로 쓰여지고 있기데 더욱 매력적이다. 이들과 나눈 수많은 이야기와 인터뷰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고향과 정체성의 문제 및 세계화 시대 고향이 갖는 의미를 독일로 간 그들을 통해 조명하고 있다. 제 1장에서는 60년대 독일에 파견되어 탄광과 병원에서 열심히 땀흘리며 일하면서 소중한 외화를 벌어들여 한국 경제발전에 많은 보탬이 되었던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이 계약기간이 끝나고 대부분 한국으로 다시 돌아갔지만 일부는 독일에 남아서 독일에서 한인교포사회를 형성하는 일세대로 거듭나고 있음을 서술한다. 제 2장에서는 그들의 자녀들 즉, 교민 2세대들이 독일 사회에서 겪는 정체성의 문제가 독일사회의 전반적인 이민자를 바라보는 시선과 관련 이민자 정책에도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제 3 장에서는 독일에서 살고 있는 한인들의 고향과 정체성에 대한 문제가 교민 1세대오 교민 2세대 간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서술한다. 제 4장에서는 교민 1세대 중 과거의 향수를 잊지 못하고 고향인 한국으로 다시 돌아와 남해의 독일 마을에 살고 있는 간호사와 그녀들의 독일인 남편을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고향으로 돌아온 그들은 이제 독일을 그리워한다.

      • KCI등재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Global Emigrations of Koreans : focused on Korean Emigrants in Germany

        Youngmi Choi 한독사회과학회 2015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5 No.3

        한국인들의 국제이주를 역사적 고찰을 바탕으로 이주의 원인에 대해 명확히 규명하 고자 한다. 첫번째 이민법이 통과됨에 따라, 한국인들의 국제이주는 빠르게 증가했다. 한국인들의 국제이주를 경험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한국정부의 통계자료를 활용 하여 한국인들의 국제이주를 역사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또한 해외로 이주한 한국 이주 민들 중 소수로 분류되어 지금까지 많이 연구되지 않은 독일로 이주한 한국 동포들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독일로 이주한 한국인들은 독일과 한국의 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시작되었으며, 국가간“초청노동자 프로그램”의 양국간의 계약으로 인해 촉발되었다. 1970년대 이후, 한국경제의 급격한 성장으로 한국 기업들은 독일지사를 설립하기 시작 했다. 독일연방통계청의 자료를 활용하여 독일에 거주하는 한국 동포들을 설명하며, 다른 국가와 비교한다. The global emigration of Koreans is elucidated, departing from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initial wave of emigration,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reasons for this exodus. Following enactment of the laws regulating emigration, emigration from Korea increased considerably. This paper displays empirical findings from Korean emigration research and statistics obtained from the Korean government, and, by examining this material,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emigration can be attained. Of paramount importance for this study is the concluding this paper which details the Korean emigration to Germany. The initial reasons for Korean emigration to Germany are explained, which necessitates an examination of the economic situation between Germany and Korea—the foundation for the relationship is to be found in the bilateral guest worker program. After the 1970s,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Korean companies established branches in Germany. By way of statistics from the German Federal Statistical Office, the situation of Korean emigration is described and compared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 KCI등재

        두 문화적 ‘타자’를 바라보는 하나의 시선?

        김필영(Kim Phil young) 한국독일사학회 2018 독일연구 Vol.- No.38

        20세기 초 제국주의가 고도로 발전했던 시기에 독일 선교 베네딕트회 오틸리엔 연합회 총아빠스 노르베르트 베버(Norbert Weber, 1870-1956)는 선교회를 지도하면서 직접 선교지역을 여행할 기회를 가졌다. 본 연구는 그의 ‘동아프리카’와 ‘한국’ 인식을 비교하면서 그가 두 문화적 ‘타자’를 바라보며 보유했던 ‘하나의 시선’을 식민주의와 선교 그리고 문화적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베버에게 독일 식민지 동아프리카의 비문명화된 ‘원시민족’ 흑인과 일본식민지 한국의 문명화된 ‘문화민족’ 한국인이 ‘기독교화’, ‘독일화’를 포함한 ‘유럽화’ 되어야 하는 ‘문화 활동’의 대상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비유럽 비기독교지역이 ‘유럽화’, ‘기독교화’ 되어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세상의 모든 민족에게 ‘기독교 복음’을 전하라는 예수의 ‘선교명령’ 때문이었다. 또한 오틸리엔 연합회의 설립과 선교활동의 시작 계기가 1880년대 독일제국의 ‘보호령’ 획득이었고, 독일 제국에서 ‘민족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독일인 취급을 받았던 독일 가톨릭교도들이 교회와 조국에 대한 이중의 충성심을 증명하고자 해외선교에 대한 열정이 강했었다는 점으로 볼 때, 독일민족주의와 제국주의라는 시대정신 역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베버에게 선교활동의 목표는 ‘신과 조국’을 위한 것이었다. 오틸리엔 연합회가 선교방침으로 ‘타문화 존중’을 내세웠지만, 문명화 사명이 타문화가 자문화와 같아져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베버의 독일 조국을 위한 민족적 열정이 컸던 것으로 보아, ‘타문화 존중’ 태도가 과대평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Archabbot Norbert Weber(1870-1956) of the Benedictine Congregation of St. Ottilien in Germany have had several chances to travel Eastafrica and Korea as mission area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age of imperialism’.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he had one view of the two cultural ‘others’, Eastafrica and Korea, in relation to colonialism, mission and ‘Kulturarbeit’, while it compares his perceptions of the two. Weber regarded Eastafrica and Korea as the mission objects by the Benedictines without differences which had to be ‘Christianized’ and ‘Westernized’, although he considered the black Eastafrican as uncivilized ‘Naturvölker’ and the Korean as civilized ‘Kulturvolk’. He justified this mission with the command of Jesus Christ to evangelize all nations of the world and with a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of Europe to the non-european cultures. And he had been influenced strong by the German nationalism which had induced the beginning of the Mission Benedictine of St. Ottilien and inspired the German Catholics who had been mistrusted as unpatriotic Germans because of their loyalty to the Pope their national patriotism. For Weber the mission, ‘Kulturarbeit’ aboard, meant his devotion to ‘God and Fatherland’.

      • KCI등재

        관립 덕어학교의 한국인 교관들 ― 근대 조선의 독일어 교육사 재고

        신자토 루리코 한국사회사학회 2017 사회와 역사 Vol.0 No.116

        This paper traces the careers of Korean teachers at the National German Language School, the first national educational facility for Germans in Korea, found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Previous studies on this language school have focused on the native German teachers, but none have fully elucidated the lives of Korean teachers who were employed there. An exploration of their backgrounds and careers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effects of this school and provides an added context to the history of Germ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This paper reexamines those teachers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and presents the original list of Korean teachers at the school. On the basis of the list,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se teachers’ lives before and after their time at the school. The teachers of the German language school included both intellectuals of the older generations and the younger generation who had received a modern education in that school. Some teachers became politically active, while others continued educating through the start of the 20th century. However, few records on either groups’ activities remain after Korea became a colony to Japan, and none of the teachers remained in public office. However, this paper reveals that one teacher continued to teach German at a private institute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s fact provides an important clue for rethinking the history and status of German language education in pre-liberation Korea. 본 논문은 19세기 말엽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관립 독일어 교육기관인 덕어학교의 한국인 교관들의 행적을 추적하려는 것이다. 덕어학교 및 독일인 교사에 대해서는 이미 선행연구를 통해 상당히 밝혀진 바 있으나, 한국인 교관에 관해서는 아직해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그런데 덕어학교의 한국인 교관들이 어떠한 경력을지녔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덕어학교의 역사적 의미, 더 나아가 한국에서의 독일어교육의 흐름에 대해 고찰하는 데에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연구가 밝힌 덕어학교의 한국인 교관들의 이름을 재검토하여 독자적인 교관 리스트를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이 덕어학교 교관이 되기 전에 무엇을 하였는지, 또한 교관을 그만둔 후 어떠한 길을 걸었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덕어학교 교관은 구세대의 지식인과 근대적 교육을 받은 덕어학교 출신자로 구성되었으며, 1900 년대까지는 각자 그 나름으로 활약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식민지기에 들어서는 관직에 머무른 사람은 전무하였고, 그들의 행로는 추적하기가 거의 불가능해졌다. 다만 덕어학교 교관 중에 식민지기 사립기관에서 독일어 교육에 종사하였던 자가 있었다는 사실은 알 수 있었다. 이 사실은 해방 전의 독일어 교육사 및독일어의 위상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Global Emigrations of Koreans: focused on Korean Emigrants in Germany

        최영미 한독사회과학회 2015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5 No.3

        The global emigration of Koreans is elucidated, departing from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initial wave of emigration,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reasons for this exodus. Following enactment of the laws regulating emigration, emigration from Korea increased considerably. This paper displays empirical findings from Korean emigration research and statistics obtained from the Korean government, and, by examining this material,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emigration can be attained. Of paramount importance for this study is the concluding this paper which details the Korean emigration to Germany. The initial reasons for Korean emigration to Germany are explained, which necessitates an examination of the economic situation between Germany and Korea—the foundation for the relationship is to be found in the bilateral guest worker program. After the 1970s,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Korean companies established branches in Germany. By way of statistics from the German Federal Statistical Office, the situation of Korean emigration is described and compared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