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에 근거한 도덕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법

        김현수(Hy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0

        현재 우리나라는 교육과정의 재구성 권한을 단위학교의 교사 수준에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도덕 교사는 자신의 수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을 재구성 할 수 있다.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이러한 교육과정 재구성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원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식 중심의 피상적 수업과 활동중심 수업 각각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백워드 수업설계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것이 지니고 있는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 보다는 교수학습 설계의 측면이 주로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지닌 교육과정 설계의 측면과 이에 따른 도덕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과 효과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도덕과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이해와 전이 두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과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의 적용 사례로 이해의 각 측면에 따른 발문 전략, 그리고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재구조화 전략을 활용한 재구성을 제시하였다. Currently in Korea, unit school teachers are authorized to restructure curriculum. Therefore, a moral studies’teacher can restructure the Ethics and Moral curriculum in order to perform his teaching activities effectively. Understanding Based curriculum, which has become a great interest recently, falls on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targeting the two obstacles of superficial lessons and activity-based lessons. On the other hand, Understanding Centered Curriculum is more emphasized with the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than that of curriculum design in the sense that it is in line with backward lesson design. From that perspective, this study reexamined the aspect of curriculum design of the understanding-centered curriculum which has not been mainly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analysed the implications of the understanding-centered curriculum for Ethics and Moral studies curriculum. Finally, it proposed questioning formation as exemplary cases of the curriculum so as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the moral education, backward design based on that, and strategies for restructuring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 도덕과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에 관한 연구

        유병열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2

        Nowadays, we have to carry out the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develop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children. But those tasks can be smoothly accomplished only when the basic frame of moral teaching- learning is constructed for elementary classes. So, it is our urgent task to develop the general process and steps of moral teaching- 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So, I wanted develop the general frame of moral teaching- 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and tried to prove the theoretical rightness and the practical propriety of the frame. To accomplish the task, firstly I enquired the goal and characteristics of 2007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and the theory of virtue and character education that has been the main trend in the field of modern moral education. Secondly, based on the inquiry, I contrived the general frame, that is, the whole process and steps of moral teaching-learning for elementary classes. This frame is made up of three models: basic model, six sub-basic models and practical teaching-learning models. These models were tested out in elementary schools for six months and their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appropriateness were verified with good results. The basic model is the general framework of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moral classes. Only when we are based on this model, we can practice the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virtue and character education. The six sub-models are derived from the basic model and we can use them to develop the moral competences and virtual traits of human character in elementary children. finally, the practical teaching-learning model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moral textbook for elementary children and they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teacher`s moral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2007년에 개정 고시된 도덕과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함에 있어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중요한 하나가 바로 초등 도덕과 교육의 일반적 과정·절차를 개발해 내는 일이다. 이 문제는 당장 초등 도덕 교과서를 만들어 내는 데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도덕과 교육을 실행해 감에 있어 근간이 된다는 점에서도 매우 절실한 과제가 된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새 도덕과 교육과정 하에서의 초등 도덕과 수업의 일반적 과정·절차를 모색해 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07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과 중점 방향을 고려하고, 현대 도덕교육의 중심 동향이 되고 있는 인격․덕교육적 접근에 기초하여, 초등 도덕과의 일반적 과정·절차로서 도덕과 수업의 기본 모형과 여섯 가지 하위모형 및 차시별 수업모형을 구안해 내었다. 그리고 이를 새 도덕 교과서를 개발해 내는 데 적용하는 동시에 학교 현장의 적합성 실험에 투입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새로이 개발된 초등 도덕과 수업의 일반적 과정·절차 모형은 이론과 실제 모두에서 타당하고 적절하다는 점이 밝혀졌으며, 이에 따라 앞으로 이를 새 도덕 교과서 개발은 물론 학교 현장의 도덕과 교육 실제에도 실질적으로 적용, 운영해 가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

        김형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5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s of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in and through moral education as an independent school subject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key issues and controversies surround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at have been discussed from the 6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South Korea where schools have implement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independent subjects such as ethics and social studies, debates regard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ve often escalated into a boundary problem between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Moreover, whether and in what ways themes related to democratic citizenship should be included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ve been recognized by moral educators and scholars as the problem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moral education as an independent school subject.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for the 2022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덕과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을 둘러싼 갈등과 논란들을‘도덕과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으로 명명하고, 현재적 의미에서의 학교 민주시민교육이 도입된 것으로 평가되는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에서의 쟁점은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논의가 진행되어왔는지 살펴본다. 학교에서 도덕과나 사회과와 같은 독립교과를 통해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해온 우리나라의 경우 민주시민교육과 관련된 논쟁은 종종 도덕과교육과 사회과교육 간의 경계 문제로 비화 되었고 도덕과교육 학계 내부에서는 민주시민교육 관련 내용을 교과에 어떠한 방식으로 포함시키는지의 여부가 교과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문제와 직결된 사안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가 화두로 제기되고 있는 차기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에서의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후보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개선 방향 :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조난심 한국교육과정학회 2004 교육과정연구 Vol.22 No.1

        본 논문에서는 1997년에 개정 고시되어 현재 각급 학교에서 적용되고 있는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글에서는 교과 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해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과정에 대한 검토와 피드백이 필요함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우선,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으로 인성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인지적 접근에서 통합적 접근에로의 변화, 도덕과 교과목 편제의 재구조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특징들은 도덕과 교육이 사회적 요구, 교과 자체 내의 요구 등을 감안하여 새 교육과정 구성에서 반영한 사항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문제와 미해결의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먼저, 제 7 차 교육과정에서 변화된 도덕 교과목 편제로 인해서 발생하는 중등 도덕과 교육의 문제를 살펴보았고,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서도 도덕과 교육의 실효성 논쟁, 한국 윤리 대 보편윤리간의 논쟁, 교육 내용 구성 원리인 생활영역 대 도덕적 주제간의 논쟁 등 도덕과 교육의 쟁점들이 미해결인 상태로 남아 있음을 밝혔다. 끝으로, 이러한 점토를 바탕으로 향후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도덕과 교과목 편제를 가능한 범위에서 조정하도록 하고,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학적 개선을 위해 앞에서 제기된 미해결의 쟁점들에 대한 연구 검토와 아울러. 도덕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현장교사들의 도덕과 교수학적 지식을 수집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problems which we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t. Based on this analysis, I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Especially,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and feedback of each subject matter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development of a subject matter education.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7th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re adaptation of character education to moral education, changing focus of moral education from cognitive approach to integrate approach, and re-structuring the time allotment standards of moral education. These characteristics reflected that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as revised according to the social and academic needs concerning on school moral education. Meanwhile,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as implementing in the schools, several problems were revealed. First, there is short of time for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ecause just one school time period was alloted for moral education per week. Second, it is necessary to take two elective courses of moral education in high school if a student wants to select moral education on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college entrance. Third, there still remains unsolved important moral education issues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ose are low effectiveness of school moral education, controversy between Korean ethic and universal ethic as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and introduction of moral themes as the major streams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stead of domains of moral life.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I propose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change time allotment standards of moral education, to discuss about unsolved moral education issues, and to gather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 of school moral education teachers.

      • 세계화 시대에 도덕교육의 방향

        남궁 달화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한국윤리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

        세계화 시대에 인류를 위한 도덕교육은, 과거의 전통사회에서 그 사회․문화에 영향을 받아 수립된 도덕규범을 아이들에게 전달하고 그것이 내면화될 것을 기대하는 내용적 접근의 도덕교육만으로는 곤란하다. 지구촌에서 도덕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세계시민들이 각자 자신의 사회․ 문화에 영향을 받은 서로 다른 도덕규범들에 따라 도덕적 행동을 하려한다면, 그 문제는 해결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세계화 시대는 세계시민들이 수용하여 공유할 수 있는 탈문화적인 도덕규범이 요구된다. 이러한 도덕규범은 사회․문화에 영향을 받는 구체적인 내용이기보다는 도덕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요구되는 일련의 절차, 즉 형식으로 작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도덕규범이어야 한다. ‘공정한 이익 고려’는 이러한 도덕규범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도덕규범은 특정한 사회․문화와 무관하게 세계시민들 간에 발생한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원리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덕적 문제는, 그것이 도덕적 문제인가를 인식하고, 사고하고, 판단하고, 판단대로 행동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심이 되는 절차는 도덕적 사고하기다. 넓은 의미에서 볼 때 도덕적 문제를 인식하고 판단하는 것도 도덕적 사고하기로 볼 수 있다. 도덕적 문제의 인식은 도덕적 사고의 시작 단계이고 도덕 판단은 도덕적 사고가 완료되는 단계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도덕적 사고는 이성에 기초한 합리적 사고와 도덕적 상상을 통한 역지사지가 작용하는 형식적 접근이 중심이 된다. 형식적 접근에서 도덕교육의 목적이 되는 도덕적 문제해결능력의 함양은 주로 도덕적 사고의 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덕적 사고하기교육은 가정이나 사회 또는 학교의 일상생활 속에서 이루어지기 어렵다. 도덕적 사고하기는 도덕수업으로 이루어져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세계화 시대에 지구촌에서 세계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도덕교육은 탈문화적인 보편적 도덕규범을 중심으로 도덕수업을 통한 형식적 접근의 도덕교육이 이루어질 때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what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so-called traditional moral education was to transfer moral norms to children in order that they internalize them into their heart. This kind of moral norms consist of concrete contents. This kind of approach could be called ‘the content approach to moral education’. Of course, this approach is still realized and worked pretty well even today. Because nobody can enter into the region of moral life in one's own society without being educated by the approach. However today the content approach is no more good enough. Under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world citizens face to different moral norms brought along different societies and cultures. For this reason, if there are moral problems between them, it will be difficult for them to solve the problem. There will be conflict between them due to their different moral norms. The age of globalization should require a kind of universalized moral norm which can survive among those different moral norms. ‘The impartial consideration of people's interest’ will be the kind of universalized moral norm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is norm works as a procedure or form in the course of solving moral problems regardless of whether what content the problems consist of. However, we cannot expect the ‘form approach’ will be realized in children's daily life, whether it is in home or society or school. The form approach aims to develop children's capacity to solve their faced moral problems reasonably and autonomically by their own moral thinking. Namely. the purpose of the ‘form approach’ is mainly to develop children's capacity of moral thinking. This kind of capacity can be developed in the course of moral lessons according to moral curriculum. For this kind of reason, the direction toward moral educ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should be the ‘form approach’.

      • KCI등재

        Dewey 교육론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구수연 ( Su Yeon Gu ),나성식 ( Sung Sik L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John Dewey의 문헌을 통해 듀이 교육론을 고찰함으로써 영아 및 유아교육에서의 도덕 교육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그에 따른 도덕교육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듀이의 도덕교육은 ‘도덕 안에서의 교육’, ‘도덕적 관념’을 갖게 하는 교육을 말하며, 듀이의 도덕교육 개념이 영유아 도덕교육에 주는 의미는 첫째, 영유아 도덕교육의 목적은 성장이며, 자기통제를 통해서 모든 교육활동에서 반성적으로 ‘보다 더 좋음’을 선택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둘째, 영유아기의 도덕교육은 ‘나 좋음’의 선택에서 ‘우리 좋음’을 선택하는 성향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셋째, 영유아기의 모든 영역의 교육활동은 도덕교육의 의미가 고찰되어지는 통합적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넷째, 영유아들의 도덕적 성장을 위해서는 모든 교육활동 과정에서 반성적 선택과 실천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다섯째, 영유아의 도덕적 성향 발달은 영유아가 자신들의 활동과정에서 자신을 조절함으로써 궁극적인 결과를 얻어내는 경험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Dewey`s education theory. The conclusions are: First, the goal of moral education is the ‘growing’, to develop the disposition to choose and practice ‘the better’ by reflection. Second, another goal of mo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to develop the disposition of choice for ‘the better-for-us’ beyond ‘the better-only-for-me’. Third, all activities in all curriculum are to be focused on the moral education approach. Fourth, it should be to guarantee the freedom of choice and practice in all activities. Fifth, the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s moral disposition seeks to have them experience ‘self-control’ in all activities.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사회정서역량 기반 교육의 가치와 실천방안 탐구

        허진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정서역량 교육이 도덕과 교육과정 안에서 활용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밝히고, 그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고찰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사회정서역량과 도덕 교육과의 관계를 밝히고, 도덕과 교육과정 총론에서 등장하는 사회정서역량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도덕과와 연계한 사회정서역량 교육의 필요성을 사회정서학습의 특성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도덕과 교육과정 안에 사회정서역량의 내용을 접목하는 방안과 실제 수업 시간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 교육방법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도덕과 교육과 사회정서역량 교육은 지식과 실천의 연계성을 중요시한다는 점,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의 함양을 교육 목표로 설정한다는 공통점에서 양쪽 교육에 대한 연계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사회정서역량 교육은 도덕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이루어질 때, 교육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도덕 교과 또한 정서적 측면의 교과 내용을 사회정서학습의 방법을 통해 전문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결론 사회정서역량 교육이 도덕과 교육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덕과 교육내용에 적합한 사회정서역량의 하위기술과 도덕 수업 때에 적용 가능한 교육 방안이 양쪽의 교육 모두를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어 줄 것을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need for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to be utilized within the moral curriculum and to consider a specific educational method. Method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emotional competency and moral education was revealed, and the role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that appears in the general theory of morality and curriculum was investigated. Moreover the need for social-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moral education was exa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emotional learning. Lastly, the researchers examined ways to incorporate the conten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into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pecific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applied in actual classes. Results: The need to connect both moral education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was revealed as was the value of establishing the connec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and setting an educational goal for cultivating practical capabilities. When social-emotional competency education i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the moral curriculum, the continuity of education can be secured, and moral subjects will have the further advantage of professionally delivering emotional content through social-emotional learning methods. Conclus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ub-skills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applicable to moral classes and appropriate for moral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will lead educational practitioners in a positive direction.

      • KCI등재

        도덕·윤리교육의 정체성과 기존의 입장에 대한 비판(Ⅱ)

        문성학(Moon Sung-hak)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18 No.-

        필자는 이 논문에서 도덕·윤리 교육의 정체성을 둘러싸고 논쟁하고 있는 세가지 경쟁적인 입장, 즉 도덕·윤리 교육은 정치교육이라는 입장, 인성교육이라는 입장 그리고 철학교육이라는 입장 중에서 세 번째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철학계의 일부 학자들은 지금까지의 도덕·윤리교육은 노예교육이고 파시즘 교육이기에 잘못된 것이고, 도덕·윤리교육이 올바른 길을 찾아들려면 반드시 철학 교육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도덕·윤리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윤리학인데, 윤리학은 철학의 분과학문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도덕·윤리교육의 본질이 철학교육이라는 주장은 도덕이나 윤리를 과도하게 보편윤리나 세계윤리의 차원에서 이해함으로써 결국 도덕이나 윤리가 문제시되는 바로 구체적인 삶의 맥락을 무시해버리는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입장에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주장이 있다. 그것은 도덕은 본질적으로 반성적인 것이라는 것이다. 도덕·윤리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반성적인 도덕성을 갖도록 해주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What is the identity of moral & ethics education? There are three competitive views to answer this question. The first answer to this question is that moral & ethics education is m essential part a political education. The second answer is that moral & ethics education is essentially an ‘In-Sung education’ which is occasionally interpreted ‘character education’ or ‘personality education’ in English. The third answer is that moral & ethics education is fundamentally a philosophical education. In this paper I want to compare these three views. I will especially place the focus on the third view. Some philosophers maintains that from the independence of our country to now moral & ethics education of our society is an education of slave and a fascistic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opinion, for correcting this serious mistake, moral & ethics education of our society must be change to philosophical education. Because moral and ethics are core part of philosophy from ancient. However this view have a serious controversial problem. This view reveals a defect of neglecting the concrete context of our living in which moral and ethics is operating. Nevertheless there is a point which we accept in this view. True morality is not a conventional morality but a reflective mor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