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지자의 덫의 수사학 비교 연구 - 사무엘하 12장과 열왕기상 20장을 중심으로 -

        염명희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거의 비슷한 “덫의 수사학”을 구사하고 있는 두 본문(삼하 12:1-15a; 왕상 20:35-43)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덫의 수사학의 기능을 살펴보고 적용 점을 찾아보는 데 있다. 덫의 수사학은 선지자가 심판의 메시지를 청자에게 잘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 독특한 수사 방식으로, 나단 선지자가 다윗을 책망하고, 한 익명의 선지자가 아합 왕을 규탄하는 두 내러티브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두 왕 모두 선지자가 들려준 이야기를 제3자의 이야기인 줄 알고 듣고 있다가 객관적인 판결을 내리게 되는데, 나중에야 그 판결이 스스로에게 향하고 있음을 충격적으로 직면하면서 통렬한 반전을 이룬다. 비유와 심판의 메시지를 들은 두 왕의 반응과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다윗은 회개와 회복의 길로 나아간 반면, 아합은 분개하며 멸망의 길로 나아갔다. 필자는 두 내러티브의 구조와 핵심 단어를 살펴봄으로 덫의 수사학이 전환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선, 나단의 수사학적 덫은 다윗의 은폐된 죄를 드러내고 여호와와 소통함으로 회복의 단계로 나아가는 전환의 역할을 한다. 나단이 가난한 자의 암양 비유에 사용한 “라카흐”(취하다)와 “샤카브”(눕다) 동사는 다윗이 밧세바를 취하여 동침할 때도, 또한 하나님이 다윗의 아내를 취하여 이웃에게 주시겠다는 심판의 메시지에도 사용되어 비유와 범죄, 심판까지도 연결하여 소통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익명의 선지자 역시 전쟁에 승리하고 돌아오는 아합에게 비유와 심판의 메시지를 통해서 죄를 지적하고 죽음을 예고함으로 전환의 기회를 제공한다. 아합은 아람과의 전쟁을 “코아마르 아도나이”(여호와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대로 순종하여 승리하였지만(왕상 20:1-30), “이쉬 헤르미”(여호와께서 심판하시기로 작정한 사람)인 벤하닷을 놓아주었기 때문에 죽을 수밖에 없다는 심판의 메시지를 듣게 된다(왕상 20:31-43). 마지막으로 필자는 두 선지자의 덫의 수사학을 통해 배운 바대로 설교자가 청중으로 하여금 말씀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용 점을 모색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ction of rhetorical entrapment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texts(2 Sam. 12: 1-7; 1 Kgs. 20: 35-43), which use structurally almost similar the rhetorical entrapment and to find an application point. The rhetorical entrapment is unique rhetoric used by prophets to convey the message of judgment to listeners, found in two narratives where Nathan the prophet reproves David and an anonymous prophet condemns King Ahab. Both kings, listening to the story told by the prophet as being told by a third party, and then make an objective judgment. Later, the shocking confrontation that the judgment is towards themselves turns into a devastating reversal. The response and results of the two kings who listened the parable and the message of judgment were different. David went on the path of repentance and recovery, while Ahab indignantly went on the road to destruction. By examining the structure and key words of both narratives, I can see that the rhetorical entrapment is playing a role in conversion. First of all, Nathan's rhetorical entrapment serves as a turning point, revealing David's concealed sin and communicating with Jehovah to the stage of recovery. The verbs “lakhakh”(take) and “shakab”(lie down) that Nathan used in the parable of the ewe of the poor man repeat when David takes Bathsheba and sleeps with her, and also in the message of judgment that God will take David's wives and give them to his neighbor. It seems that they try to communicate by connecting parables, crimes, and even judgments. An anonymous prophet also provides Ahab who won the war with an opportunity for conversion by pointing out sin and foretelling death through the message of parables and judgment. Ahab triumphed in the wars with Aram by obeying "Koammar Adonai"(Jehovah said, [1 Kings 20: 1-34]). However he hears the message of judgment that he must die because he has released Benhadad, the “Ish Hermi”(whom Jehovah has determined to judge, [1 Kings 20: 31-43]). Finally, as I learned from the rhetorical entrapments of the two prophets, I was able to explore the application points to enable the preacher to communicate with the Word to the audience.

      • KCI등재

        열등의식의 문학적 탐구 : 김승옥의 「더 많은 덫을」에 대하여

        김영찬(Kim Young-chan),김승옥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김승옥은 1966년 대중적 상업주간지인 『주간한국』이 지령 100호 기념으로 지식인 100명에게 투표를 의뢰하여 발표한 ‘오늘의 작가’에 선정된바 있다. 김승옥의 소설 「더 많은 덫을」은 그 선정결과가 발표된 『주간한국』 100호 기념호에 〈100인이 선정한 ‘오늘의 작가’의 ‘오늘의 작품’〉이라는 타이틀 아래 실린 것이다. 김승옥의 소설 「더 많은 덫을」은 그동안 독자의 기억에서나 문학연구의 영역에서나 유실되었던 작품이다. 그러나 「더 많은 덫을」은 ‘서울에서 산다는 것’에 임상심리 보고서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이 시기 그의 다른 작품과 비교할 때 작품의 질에서도 당연히 뒤떨어지지 않는다. 이 소설에서 주목되는 것은 전라도에서 상경한 촌놈으로서의 자의식, 그리고 그와 얽혀 있는 당대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사회심리의 표정, 그에 대한 심리적 반응 등이 거의 날것 그대로라 할 만큼 생생하게 증언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측면에서 이 소설은 김승옥 소설의 배면에 은밀하게 깔려 있는, 열등의식 가득찬 고단한 ‘상경 촌놈’의 내면풍경을 그 특유의 미려한 장식을 걷어내고 더욱 깊숙이 들여다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김승옥의 소설 「마지막 덫을」은 비루한 자기보존을 위해 남모르는 안간힘을 써야 하는 소외된 열등생의 불행하고 눈물겨운 자의식의 분투를 보여준다. 그런 측면에서 이 소설은 너무나 욕된 생활 속을 죄충우돌 살아가야 했던 열등한 상경 촌놈들의 ‘서울살이’에 대한 또 하나의 눈물겨운 임상심리 보고서다. 그런 가운데서도 이 소설은 김승옥의 여타 임상심리 보고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준다. 그것은 ‘열등생’이라는 김승옥 고유의 토픽이, 열등감의 사회경제적 배후와 지역차별에 대한 문제의식과 결합되면서 한층 구체적이고도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전라도 출신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라는, 사회적으로 중요하지만 문학에서 쉬 발설되지 않았던 민감한 문제를 소설 속으로 적극적으로 끌고 들어온 것 자체만으로도 이 소설이 갖는 문제성은 크다. 무엇보다 이 소설이, 소외된 주변의 욕망을 관리하는 동시에 식민화하는 1960년대 한국사회 근대화 과정의 심리적 결과를 화자의 복잡 미묘한 갈등의 굴곡을 통해 정면으로 포착하고 있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이것은 ‘서울에서 산다는 것’에 대한 김승옥식 임상심리 보고의 연장이자 그 사회문화적 구체화라 할 만하다. Seung-ok Kim was selected in 1966 as a “writer of the day” in the poll made by a popular magazine Weekly Korea; his fiction 「Even More Traps」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as a "fiction of today novelist of today" selected by one hundred people. 「Even More Traps」 has been neglected by common readers and literary scholars. However, it is significant as a report of clinical analysis of ‘living or surviving in Seoul’ and comparable to his other works in terms of quality. What draws our attention in the work is that the psychological dynamism of the main character is so vividly described naked: his self-consciousness as a churl from the Cholla Province, a wretched rural area in Korean history; his psychological response to the socio-cultural milieu and mentality of the Korean society at the moment. In this respect, 「Even More Traps」 can be called a hard-boiled testimony of the inner landscapes of a churl who has come to Seoul, undecorated with the writer’s characteristic refined style. The writer carries out a more detailed profound investigation of his own topic of ‘losers’, regarding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of inferiority complex and the criticism of unjust discriminations against the rural.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his attempt to shed light on the sensitive issue-th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s of those who are from the Cholla Province, for it has been neglected in literature in spite of its social connotation. More fundamentally, it is important that 「Even More Traps」 faces the psychological outcomes of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in 1960’s by the means of the dramatization of sophisticated inner conflicts of the narrator; it is a detailed version of the writer’s signature analysis of society from a clinical perspective.

      • KCI등재

        어머니와 지적장애자녀간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한 특수교육교사들의 인식

        강경숙 ( Kyung Sook Kang ),김은주 ( Eun Jew Kim ),김영준 ( Young Jun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부모와 지적장애자녀가 가정환경에서 형성하는 부적강화의 덫은 지적장애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실패를 초래하여, 교사는 지적장애학생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많은 갈등과 어려움을 보이게 된다. 특히, 교사는 이러한 부모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해 비판적, 회의적으로 대응함으로서 해결을 시도하는 한계를 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가정과 학교의 협력에 기반을 둔 행동중재로 대처할 수 있는 동기가 저하되기 쉽다. 교사는 이와 같은 측면을 경계하여 부모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한 자기 인식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부모상담을 통하여 부모와 상호 합의 및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전문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지원서비스 측면에서 필수적으로 중재되어야 할 어머니와 지적장애자녀간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특수학교 중등부에서 지적장애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많은 담임교사 세 명을 선정하여 이들에게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로써 특수학교 중등부 교사들의 어머니와 지적장애자녀간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한 인식을 다섯 가지의 영역(부적강화의 덫에 따른 교사와 지적장애학생의 수업 상호작용 영향 등)에 따라서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지원서비스 측면에서 다섯 가지의 연구문제별로 논의되었으며, 후속연구의 제언 및 제한점도 아울러 제시하였다. As negative reinforcement tra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home environment causes failure in school lif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eachers have a lot of conflicts and difficulties in educat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responding critically and skeptically to such issues, teachers may limit the efforts to settle the problem as well as lower their motives to cope with the issue based on a desirable cooperation between family and school. Considering the above side, teachers need specialty to check their recognition about mother` negative reinforcement trap and to form mutual consent and sympathy with parents through consulting with the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recogni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recognition about negative reinforcement trap between mother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have to be necessarily intervened in the side of family support service. To be so, The study selected three class teachers who had ever taugh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special middle schools for a long time and applie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to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y closely suggested recognition of teachers of special middle schools about negative reinforcement trap between mother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five scopes. In addition, the study discussed the recognition by five research issues in the side of family support service and suggested a proposal and limits on succeeding researches.

      • KCI등재

        지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을 통해 본 부적강화의 덫

        강경숙 ( Kyung Sook Kang ),김영준 ( Young Jun Ki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2 교육인류학연구 Vol.15 No.2

        지적장애학생의 행동문제는 심리사회적 관점에 있어서 가족요인과 밀접한 상호 관계성을 가지며, 이에 지적장애학생과 부모는 가정환경에서 행동문제를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으로 관리하는 부적강화의 덫을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를 알아보기 위한 기초 연구로, 지적장애학생의 어머니 한 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먼저 지적장애학생의 어머니는 가정환경에서 고집 및 집착행동 등과 같은 지적장애자녀의 행동문제에 대해 기본적으로 수용하는 반응행동 등을 빈번히 보여 부적강화의 덫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장애학생의 어머니는 이러한 양육 패턴으로 인해 계속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부터, 결과적으로 부적강화의 덫에 대한 가정환경의 기능을 학교의 교사가 대신 중재 관리해줘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와 함께 가정환경에서 부적강화의 덫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적장애자녀의 행동문제에 대하여 수용적일 수밖에 없다는 등의 인식을 나타냈다. 가족지원서비스 관점에서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후속연구의 제언, 본 연구의 제한점 등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적장애학생의 행동관리 측면에서 가족지원서비스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ehavioral problem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closely interconnected with family factors from the psycho-social perspective. Accordingl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experience a negative reinforcement trap, in which behavioral problems lead into an undesirable way in the home environment. As a basic study on the given topic,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a mother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As one of the results, the mother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orsened the negative reinforcement trap by showing response behaviors frequently, which are acceptances of behavioral problems including stubbornness, obsession, etc. by the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home environment. Additionally, due to the continuous difficulties caused by her patterns of bringing up the child, the mother opined that teachers should intervene between her and her child and conduct intervention management about the function of the home environment toward the negative reinforcement trap. The mother also perceived that she must show acceptance on the behavioral problems of her child in order to minimize the negative reinforcement trap. Such results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support service, with suggestions on proposals for follow-up studi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preliminary data for configuring and executing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in behavioral management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유럽의 세계경제체제가 아시아 인구변동에 미친 영향, 1700-1950

        이성용 한국인구학회 2018 한국인구학 Vol.41 No.1

        Based on the world economy system approach of ‘Great Divergence’ theory,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d the population changes in India, China and Southeast Asia from 1700 to 1950. According to the Great Divergence theory, Europe in the eighteenth century when population grew rapidly had escaped the Malthusian trap due to the contingence of America’s resource, slavery, and Industrial Revolution while Asia in the same period had not due to the abse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limit of lands. Modernity can be therefore regarded as false-consciousness providing justification for the ‘Rise of Europe’. The main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Malthusian trap in the colonial India was caused by cruel exploitations of India’ resources which were supported by England’s war-capitalism. Second,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China’s Malthusian trap had been increasingly deepened by English immoral trade(opium smuggling), Opium War and the Nanjing Inequality Treaty, and the Taiping Rebellion. Third, the population growth in the Southeast Asia had increased du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initiated by European colonizers. In conclusion, Asian population during 18-19C was more likely to be stagnant (reduced) as the nation’s resource control ability(National Power) had become weaker. While Modernity had contributed to Europe’s wealth and population growth, it also caused the great calamity in Asian countries where the autonomy(the ability controlling their resources) had been irretrievably deprived(or very weakened) by the European colonizers. 이 글은 18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에서의 인구변동을 세계체제접근방식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대분기 이론에 따르면, 유럽이 맬서스 덫을 탈출해 인구성장과 경제발흥을 하게 된 것은 산업혁명, 신대륙 자원과 노예제가 접속하여 생긴 결과이다. 따라서근대성은 유럽의 발흥에 정당성을 제공해왔던 허위의식에 불과하다. 한편 대분기 이론은 중국과 인도가 맬서스 덫에 빠진 이유를 기술혁신의 부재나 토지의 한계로 가정함으로써, 유럽제국주의가 초래했던 아시아 국가의 자원통제능력 상실을 간과하고 있다. 세계체제 관점에서 본 이 연구의 주된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18세기와 19세기 인도의 맬서스 덫, 즉 기근으로 인한 대참사는 높은 출산력에 의한 인구과잉과 몬순기후에 의한 것이기 보다 오히려 영국의 무력자본주의가 식민지인도에서 무자비하게 자원을 수탈했던 과정에서 생겼다. 둘째, 19세기 중국의 맬서스 덫은 영국의 비도덕적 무역행위(아편밀수)와 무력자본주의(아편전쟁과 불평등조약), 그리고 태평천국의 난으로 인해더욱 깊어졌다. 셋째, 동남아시아의 인구성장에는, 비록 지역별 차이가 있지만, 유럽의 식민주의 정책이 주도한 경제성장과 근대화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결론적으로, 18-19세기 아시아 인구는 그사회의 자원통제역량의 상실정도가 크면 클수록 정체하거나 감소할 가능성이 컸다. 서구의 근대성은 유럽의 부와 인구성장에는 큰 기여를 했지만, 자율성(자원통제역량)이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상실된 아시아 사회에서는 대재앙을 초래했다.

      • KCI등재

        영토적 덫에 걸린 지방소멸: 행정구역 중심의 인구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최민정,백일순 국토지리학회 2023 국토지리학회지 Vol.57 No.2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at the local extinction policy in response to the current population decline is trapped in the territorial trap of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concept of territorial trap is a term that criticizes limiting the territorial scope of sovereignty to national territory, explaining that artificial spatial divisions such as borders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narrow the interests of states and regions. As part of the modern state's governmentality based on territory-population nexus of the modern state, the territorial trap operates strongly at the local level. For a detailed discussion, the issue of local extinction in Korea was divided into three aspects.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province, which has emerged as the mediator of the nation's population policy, has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population than the nation. Second, it points out the contradictory understanding of the local population within the local extinction policy, which focuses on population movement between regions. Third, it criticizes that the actual understanding of the population in the provinces does not change, despite the recent presentation of alternative population polici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living population by the state. A local extinction policy that only follows population competition within a fixed administrative district has no chance of winning. The direction of future local extinction needs to start with the restructuring of the territory, such the partial or full modific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본 연구는 현재의 인구 감소에 대응한 지방소멸 정책이 행정구역이라는 영토적 덫에 갇혀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하였다. 영토적 덫(territorial trap)이라는 개념은 주권의 영역적 범위를 국가 영토로 제한하는 것을 비판하고, 국경, 행정구역 등과 같은 인위적 공간 구분이 국가와 지역의 이해를 편협하게 만든다는 점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근대 국가의 인구-영토 통치방식에 내재된 경직된 공간인식의 영토적 덫은 지방 차원에서도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다. 논의의 사례로 한국의 지방소멸 이슈를 3가지 측면에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번째는 2004년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국가적 대응이 지방으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지방이 매개 행위자로 부상하고, 국가와 상이한 지방의 인구이해를 확인하는 지점이다. 두 번째는 지역 간 인구이동을 자극하는 다양한 지원책 및 조례제정이 지방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지역소멸에 대한 지방의 모순적 인구이해를 지적하는 지점이다. 세 번째는 2021년 국가의 인구감소지역 지정과 생활인구의 도입이 지방소멸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제시되나 지방의 실질적 인구이해를 대변하지 못함을 비판하는 지점이다. 대부분의 지방소멸 정책들은 행정구역을 고정시킨 채 승산 없는 인구경쟁에만 몰두하고 있다. 향후의 지방소멸에 대한 방향은 행정구역의 부분적 혹은 전면적인 수정과 같은 영토의 재구조화에서 시작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이병주 문학의 낭만성과 낭만적 아이러니 - 『운명의 덫』을 중심으로 -

        임정연(Lim, Jung-Youn)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0

        이 연구는 이병주의 운명론과 인본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소설 『운명의 덫』에 나타난 낭만주의 세계관 및 지향성을 발견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운명의 덫』은 추리서사의 문법에 바탕해 억울한 누명을 쓴 남상두가 탐정의 역할을 수행하며 진범을 찾는 과정을 다루고 있는데, 일체의 장애나 갈등 없이 남상두의 천재적 비범함과 내성성에 의존해 문제가 해결된다는 점에서 의지와 열정으로 비극적 운명을 극복하는 낭만주의 영웅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상두가 지닌 옴므파탈적인 매력과 여성들과의 로맨스는 이 소설이 현실의 제약을 넘어서는 이상화되고 통합된 로망스적 세계를 지향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최종적으로 이 소설은 범인 찾기가 아니라 남상두 개인의 수양과 재생, 나아가 새로운 인간으로의 질적 비약과 진화를 목적지로 삼아 세계와 분리되었다 합일되는 낭만주의적 서사구조를 재현함으로써 인간 존재와 인간다움을 향한 신뢰를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작가는 남상두의 문제해결과정에 우연과 필연이 어떻게 관여하는가를 통해 운명의 필요충분조건을 탐색하고자 했다. 서사의 전환점이나 사건 해결의 결정적 계기마다 남상두의 재력과 조력자들, 우연한 만남이라는 행운이 돌파구로 작용하고 있는데, 이 변이요소들로 인해 우연이 필연이 되는 과정에서 낭만적 비약과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이는 운명이란 의지와 능력, 행운과 조력이 선의와 협력하고 우연과 필연이 내적 정합성에 의해 유기체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작가의 운명론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운명의 덫』은 자신의 운명에 무한한 책임을 지고 비약하는 인간의 진화론적 열망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통해 운명론과 인본주의의 양가적 가치를 통합하면서 세계의 궁극적 합목적성에 대한 낭만주의적 비전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romantic worldview and orientation in the novel The Trap of Destiny in light of the fatalism and humanism of Lee Byung-ju. The novel concerns Nam Sang-doo, a victim and problem solver falsely accused based on the grammar of the mystery genre, who is characterized by his complete intuition and reasoning skills in the absence of obstacles or external conflicts. Nam Sang-doo is presented as a model romantic hero who overcomes his tragic fate through will and extraordinariness, while reproducing a romantic narrative structure of separation from and unification with the world. This confirms that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novel is not to find the culprit but to regenerate Nam Sang-doo. In addition, the novel presents various factors that determine fate in addition to human will. At every turning point in the narrative or decisive stage of solving the case, Nam Sang-doo"s fortune, helpers, and chance encounters afford him breakthroughs, showing that romantic leaps and ironies can arise from coincidence, which reflects the writer’s fatalist view that fate is the result of coincidence and necessity acting organically through internal unity. Destiny"s Trap presents a romantic vision of the ultimate unity of the world, incorporating the ambivalent values of fatalism and humanism through trust and support for the evolutionary aspirations of humans who, accepting infinite responsibility, leap forward to their fate.

      • KCI등재

        도핑된 Alq 단층 소자에서 펄스 전압이 꺼질 때의 발광 스파이크

        박세환,임지훈,양원일,박훈,김창선,김종호,채희백,신현웅 한국물리학회 2017 New Physics: Sae Mulli Vol.67 No.3

        Dye-doped and nondoped single-layer Alq[tris(8-hydroxyquinolato)aluminum] devices with a thickness of 80 nm were characterized for a pulse length of 10 $\mu$s and a height of 7 V. The devices had no organic/organic interface. DCJTB(4-(dicyanomethylene)-2-t-butyl-6-(1,1,7,7-tetramethyljulolidyl-9-enyl)-4H-pyran), C545T(10-(2-benzothiazolyl)-1,1,7,7-tetramethyl-2, 3, 6, 7-tetrahydro-lH, 5H, 11H-benzo[$l$]pyrano[6, 7, 8-$ij$] quinolizin-11-one), and rubrene(5,6,11,12-tetraphenylnaphthacene) were doped from 1 wt% to 10 wt%, and the thickness of the doped layer was varied from 15 nm to 60 nm. The doped layer was located inside the Alq matrix at least 10 nm from the electrodes in order to obtain the same injection characteristics. The relative amplitudes of the EL overshoots were shown to have become larger as the doping concentra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doping layer were increased. The dye molecules might be sources of traps in the Alq matrix, and the number of traps was proportional to the dopant concentration and the doping-layer's thickness. Alq 모재에 색소(dye) 분자를 도핑시켜 제작한 단층 소자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발생하는 전기발광의 과도 상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도핑에 사용된 색소분자는 적색 도판트인 DCJTB 와 녹색 도판트인 C545T와 rubrene을 사용하였다. 서로 다른 종류의 유기물로 만 이루어진 유기물/유기물 계면은 전하 덫의 주된 소스가 되므로 이러한 명시적인 계면을 피하기 위하여 한가지 종류의 유기물을 사용하여 도핑 실험을 하였다. 즉, 두께 80 nm 의 단층 Alq 모재 내부에 도핑 층의 두께를 15, 30, 45, 60 nm 로 변화 시켜 주었다. 또한 도핑 농도를 1 – 10 wt% 변화 시켜 주었다. 10 마이크로 초 펄스 전압이 꺼질 때 발생하는 전기발광 스파이크는 도핑농도가 커질 수록 점점 커지며, 도핑 층 두께가 두꺼워 질 수록 스파이크 높이가 증가하는 성질을 관측하였다. 이들은 색소 분자들이 덫으로서 작용을 하여 소자에 흐르는 전류 중에서 일부 전하들이 덫에 잡히게 된다. 펄스 전압이 꺼지게 되면 전하들이 덫에서 해방 되면서 이미 소자에 존재하는 전하들과 발광 재결합하며 스파이크가 발생하는 것으로 사료 된다.

      • KCI등재후보

        김수현 드라마의 특성 연구 Ⅰ

        심상교(Sim Sang-gy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2 No.-

        김수현 드라마의 특성을 고찰했다. 고찰의 관점은 구조적 측면과 놀이적 측면이었고 고찰 대상은 『사랑과 야망』ㆍ『청춘의 덫』이었다. 『사랑과 야망』과 『청춘의 덫』은 크게 두 개의 구조가 작품을 형성한다. 대조구조와 배반의 구조가 그것이다. 대조구조만 살폈다. 대조구조는 한 가지 이야기 안에 대조적 상황을 배치하여 두 개의 상황 모두가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하는 것으로 양가감정에 억압받는 인물군의 계열체를 상황에 맞게 조합함을 의미한다. 『사랑과 야망』의 이야기를 축약하면 ‘한 남자가 한 여자를 사랑한다.’이다. 특별할 것 없는 이야기다. 그러나 『사랑과 야망』만의 빠롤을 형성하여 사랑과 드라마라는 랑그세계에서 김수현만의 독특한 영역을 확보한다. 『청춘의 덫』은 밀집된 대조 구조를 시용한다. 대조적 성격의 인물, 상황, 관념을 한 곳에 배치하여 서로를 부각시킨다. 『청춘의 덫』의 이야기를 축약하면 ‘한 여자가 한 남자를 사랑한다.’가 된다. ‘한 여자’와 ‘한 남자’, ‘사랑’은 독특하게 계열화되어 남자와 여자가 바뀌고 사랑은 증오 바뀐다. 계열체와 통합체 전반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이는 전체 질서의 변화와 연관된다. 이는 빠롤의 다양한 상황과 조합되면서 극적 재미는 더해진다. 이는 극적 장르의 일반적 구조와 다른 다축의 확산적 구조를 형성하여 김수현만의 독특한 빠롤로 나타난다. 김수현의 대사는 직전, 직후로 연결되어야만 그 의미가 드러나 주고받는 것이 대사라는 특성을 완성시킨다. 대표적인 예는 이것이다. ‘방법이 있어? 가르쳐 주’라고 말하는 동우에게 윤희는 ‘죽어’라고 답한다. ‘죽어’라는 발화는 독립해서는 인상적이지 못하다. 궁색한 변명을 늘어놓으면서 마지막 출구를 찾는 동우에게 ‘죽어’라고 발화하기 때문에 인상적인 대사가 된다. 놀이의 네 가지 범주 아곤(Agon), 알레아(Alea), 미미크리(Mimicry), 일링크스(Ilinx)적 요소와 이 범주를 세분화하여 특성화하는 루드스와 파이디아적 요소를 기준으로 살폈다. 각각의 등장인물들과 여러 개의 상황이 이들의 요소에 그 특징이 분석된다. 한 인물에 또 한 상황에 여러 개의 요소가 복합되어 있다. This thesis studied Kim, Su Hyeon's TV drama within the framework of a structuralism & play. 『Love & ambition』, 『The trap of youth』 are studied by this thesis. Kim, Su Hyeon has written 51 scripts from 1972. She is the great master in Korea TV drama world. She has written various masterpieces. Her dramas adopted unique structure which is the contrast. Contrast structure contrasted between characters and characters or between characters and situations or between situations and situations. Characters and situations conflict in one point. That characteristic is named by closed ploy-axis structure that differentiate Kim from the other. 'Taejun', 'Mija', 'Taesoo',(『Love & ambition』) 'Yunhee', 'Dongwoo', 'Yongju'(『The trap of youth』) - those are main characters. They love & ambition. They had the high ambition to be a great person. Kim, Su Hyeon writes extraordinary dialogue which is reflected in characterristic of dramatic genre. Her drama's contents can be analyzed by play. those are Agon, Alea, Mimicry, Ilinx.

      • KCI등재

        유럽의 세계경제체제가 유럽, 북·중미, 아프리카 인구변동에 미친 영향: 1492-1950

        이성용 한국인구학회 2018 한국인구학 Vol.41 No.4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population changes in Europe, America and Africa from 1492 to 1950,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European global economy system. From the 16th century(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to be specific) to the 1950s, the European population has continually increased while the other continents’ population has fluctuated. According to the Western demographic theories, the former grew rapidly because she has escaped the Malthusian trap through continual technical innovations, while the latter was fatally caught by the trap. Recent historical studies, however, argue that European countries could escape from the trap not only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but by the help of the ‘American Money’. The ‘American Money’ refers to the ‘wealth’ obtained from mining industries and sugar-cane plantations in America, exploiting slaves brought from Africa. While the ‘American Money’ provided European countries with wealth as well as population growth, it caused both the genocide of Native Americans and the population decline in Africa which was accelerated by the transatlantic slave-trade. The Western social theories based on the abstract concept, i.e. ‘Malthusian trap’, arguably commit such following errors. First, the demographic theories based on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Western Europe simply tend to regard non-Western history and culture as ‘vacancy’. Second, European ontology, which emphasizes the ‘subject(Europeans)’ while excluding the ‘other(non-Westerners)’, runs the risks of ‘banality of evil’ as Hannah Arendt called it. In conclusion, I strongly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alternative demography which should recognize the other as well as our side. Such a paradigm-shift requires the ‘Scientific Revolution’, which will certainly turn ontological approach into human-based one. 이 글의 목적은 1492년 콜럼버스 발견이후, 유럽과 아메리카 및 아프리카의 인구변동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유럽의 세계경제체제 접근방식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16세기이후, 특히 산업혁명이후 유럽 인구는 계속 증가했지만, 아메리카와 아프리카는 인구가감소하는 등 상이한 패턴을 보였다. 유럽의 인구증가는 산업혁명(기술혁신)이 가져온생산성 향상이 맬서스 덫을 탈출하게 했기 때문이고, 기술혁신이 부재했던 다른 나라들은 맬서스 덫을 탈출하지 못해 인구가 감소했다. 즉, 인구성장은 기술혁신에 따른 맬서스 덫의 탈출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역사인구학 연구들은 산업혁명보다 그것의 기초자금을 형성해 준 ‘아메리카 화폐’가 유럽이 맬서스 덫을 탈출하게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아메리카 화폐는 아메리카 원주민과 아프리카노예 노동력을 통해 신대륙의 광산업과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에서 일군 ‘부’를 말한다. 이러한 유럽의 세계경제체제는 유럽에는 부와 인구증가를 가져다주었지만, 아메리카에는 원주민 인구소멸을 그리고 아프리카에는 노예무역을 통한 막대한 인구손실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추상적 개념에 근거한 서구의 유럽중심주의 인구학(사회과학)은 다음과같은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첫째, 유럽의 경험에 근거한 서구 인구학은 비서구인의 역사와 삶을 ‘빈 공간’으로 만든다. 둘째, ‘타자’를 배제하고 ‘주체(서구인)’의 자율성에 근거하는 서구의 주류 이데올로기(특히 ‘존재론’)는 한나 아렌트가 언급한 ‘악의 평범성’을범할 위험소지를 내포하고 있다. 우리의 해답은 ‘지피지기’ 인구학(사회과학)의 형성이다. 지피지기 학문은 패러다임을 ‘존재론’에서 ‘관계론’으로 전환하는 과학혁명을 요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