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호저수지 유입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헌 ( Kukheon Han ),박명수 ( Myeongsoo Park ),윤동균 ( Dongkoun Yun ),김해도 ( Haedo Kim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대호지는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어 방조제 및 배수갑문 공사는 1981년에 착공하여 1985년 12월에 준공되었으며, 대호지의 기본계획에 대해서는 1980년에 이루어져 현재 31개년이 경과되었다. 그간 경제사회의 급격한 발전과 주변환경의 많은 변화가 있었고 이에 따라 당초계획을 검토하면 개발면적과 몽리면적의 내용별 증감, 용수의 다양화 및 추가수요 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당초계획때 보다 확률강우량이 증대되고 대호지가 축조된 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퇴적으로 인한 내용적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등 수문조건이 변화하였다. 대호방조제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중분류 토지피복 분류도를 분석한 결과 전지역 중 농업지역이 47.23%, 산림지역37.68%로 84%이상의 토지가 농업지역과 산림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지역 중 논은 약 12,485.8ha로 84.64%를 차지하였으며 밭은 2,085.3ha, 하우스재배는 12.6ha, 과수원 50.0ha, 기타재배지 117.9ha로 각각 14.14%, 0.09%, 0.034%, 0.8%로 구성되었으며, 지구 내 수역은 내륙수와 해양수로 구분하였으며 전 지구에 대한 내륙수는 약 8.7%, 해양수는 0.1%로 전 지구의 약 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호저수지의 유입량 산정을 위해 대호유역을 답사하고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잘 나타내며 지속적인 수문관측이 가능한 15개 관측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유역면적은 1:100,000 지형도에서 산출하였으며, 유역면적이 가장 작은 지점은 대호 9지점으로 1.28㎢이고 가장 큰 지점은 대호 1지점으로 44.61㎢이다. 또한, 유량산정을 위해 관측지점별 수위표를 설치하였으며, 단면조사는 유량조사와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유량조사는 유속계를 이용해 중간단면평균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용한 유속계는 BFM 002(Valeport, Co, UK)와 Swoffer 2100 휴대용 유속계를 사용하여 유속을 측정하였다. 대호유역 15개 관측지점에 대해 2011년 각 지점별로 16회씩 유량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강우시 유속 측정은 11월18일과 11월 30일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유입유량 산정 및 분석결과, 관측 지점 중 대호 3 지점은 대호담수호로 직접 유입되는 지점으로 대호담수호 수면의 영향을 크게 받아 유속이 없고 바닥이 매우 연한 점토질로 되어 있어 도섭에 의한 유량조사가 매우 어려운 지점이었으며, 대호 4지점은 2011년 11월 18일 이후 공사 중인 제2서산사업단지 관련 관로공사가 실시되어 유량측정이 불가하으며, 이외 관측지점에 대해서도 하상정비와 하천내 줄, 갈대 등의 추수식물에 의한 해성점토질 수렁이 형성되어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고수위 이상 수위가 발생할 때와 배수갑문 조작에 의한 상류지역의 영향 등을 해석 및 대호담수호 유입유량 산정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수위관측 및 유속측정을 통한 유입량 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다호리 B1호묘 출토 대호(大壺)의 검토

        홍진근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2 동원학술논문집 Vol.5 No.-

        삼국시대 토기는 일상생활의 용기보다는 주로 분묘(墳墓)의 부장품(副葬品) 혹은 옹관(甕棺) 등 죽음과 관련하여 사용되었다. 특히 분묘 부장품으로 매장되는 토기는 출토량이 매우 많고 매납 방법도 다양하여 당시 장송의례(葬送儀禮)와 관련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제까지 영남지방에서 출토되는 삼국시대 토기에 대해서는 형식학을 이용한 편년 중심의 연구성과가 축적되어 왔으며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는 거의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대규모 삼국시대 토기생산유적이 조사되면서 토기의 생산과 분배라는 새로운 측면에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창원 다호리유적의 B1호묘 주구(周構)에서 출토된 대호(大壺)에서 관찰되는 성형흔(成形痕)과 소성흔(燒成痕)을 통하여 삼국시대 도질토기(陶質土器) 중 대형토기 제작기법의 일단(一端)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대호의 제작에 있어 저부(低部)의 마무리 공정 방법이 시기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는 데 주목하였다. 이러한 제작방법상 변화의 양상과 획기, 그리고 변화의 사회적·기술사적 동인(動因)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5世紀代 釜山地域 墳墓出土 大壺의 副葬樣相과 意味

        裵孝元(Bae, Hyo Won) 부산고고학회 2018 고고광장 Vol.- No.22

        대호는 기본적으로 50cm 이상이며, 기벽이 0.7cm 이상으로 단경호나 장경호에 비해 두껍다. 색조는 주로 (암)청색이고 속심은 자색을 띠며 타날을 한 뒤 회전물손질로 깨끗하게 지운다. 특히, 기대 위에 얹혀서 부장되는 장경호·단경호와는 달리 대호는 피장자의 발치에 구덩이를 파서 안치되어 장경호·단경호 등 他 壺類와는 다른 부장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착안하여 장경호·단경호와 대호를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부곽이나 피장자의 발치에 구덩이를 파서 대호를 안치하는 습속은 전대의 고식도질토기단계부터 이어져온 부산지역 고유의 매장방식이다. 5세기 전반대에 일시적으로 확인되지 않으나 복천동39호분 등 대형분을 중심으로 그 습속이 다시 이어지며 6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사라진다. 이는 5세기 2/4분기 후반대부터 부산 식고배를 지속적으로 창출해내며, 호류를 기대에 얹어서 대량으로 부장하는‘부산식 기종조합’의 존속기간과도 일치한다. 즉,‘부산식 기종조합’이 의연히 傳承되는 5세기대의 부산지역은 타지역 토기양식과는 차별화 된 신식도질토기문화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sically, The large-sized jar is larger than 50cm and thicker than 0.7cm, which is thicker than short-necked jar and long-necked jar. The color tone of large-sized jar is mainly (dark) blue, and internal component is purple, and it was cleared turning after paddle and anvil. Especially, the large-sized jars burial custo m is different from long-necked jar · short-necked jar. The unique burial custom in Busan region were found such as Busan-style mounted dishes, the combination of pottery stand and jar, and large-sized jars around feet in large tombs. Based on this, large-sized jars and long-necked jar · short-necked jar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tradition that dig a hole at the feet of the buried person and set the large-sized jar is unique to the Busan area that has continued from the former early-stlye pottery stage. Although it was temporarily disappearing in the first quarter of the 5th century, and the tradition continues again as Bokcheon-dong tombs No.39, etc. The tradition is finally disappearing around the 6th century. In the late secon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unique burial custom in Busan region were found such as Busan-style mounted dishes, the combination of pottery stand and jar, large-sized jars around feet in Bokcheon-dong tombs. In other words, Busan region, which has traditional combination of “Busan style pottery was found to have different pottery styles from other regions.

      • Wintering Waterbirds and Their Habitat Use in Daeho Lake , 1996~1997

        Park, Sung-Keun,Yoo, Jeong-Chil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1997 연구보고 Vol.6 No.1

        본 연구는 1996년 10월에서 1997년 4월까지 대호방조제에 도래하는 월동조류를 파악하고 서식지 이용 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조류는 총 57종, 66,520개체였다. 최대 관찰 개체수를 기준으로 보면, 최우점종은 청둥오리(Anas platyrhychos)로 32,400개체 (48.7%), 다음으로는 가창오리(A. formosa)가 25,000개체(1.3%)로 나타났다. 관찰된 수조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면성 오리류의 주 휴식 장소는 대호의 지류보다는 방조제 부근의 분류를 선호하였으며 취식장소는 석문면과 대산읍 방면의 논을 주로 이용하였다. 조사결과, 대호방조제는 20,000개체 이상의 수조류가 도래하는 지역으로 람사조약이 제시한 국제적인 습지기준에 해당된다. 또한 대호방제조는 취약종으로 보호가 필요한 가창오리, 큰고니, 고니, 큰기러기, 쇠기러기 등에게 겨울동안 주요한 서식지로 이용되고 잇다. 수조류 서식지 보호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히 요청된다. A survey of the wintering waterbirds in Daeho Lake was conducted from October 1996 to April 1997. The total of 57 species and 66,520 waterbirds were recorded. The dominant species, represented as monthly peak counts, were Mallards (Anas platyrhychos) 32,400 (48.7%), Baikal Teals (A. formosa) 25,000 (37.6%), Spot-bill Ducks (A. poecilorhyncha) 1,519 (2.3%) and Coots (Fulica atra) 895 (1.3%). The body of the lake was used as a roosting site by waterbirds wintering in Daeho Lake, while the rice paddies of Seokmoon-myun, Daesan-eup were used as the feeding site by dabbling ducks, the dominant waterbirds. As a result, Daeho Lake is to be an internationally important wetland evaluated by the Ramsar Convention Criteria, based on the records of more than 20,000 waterbirds. Daeho Lake supports some vulnerable species such as the Baikal Teal (the peak count: 25,000 individuals), Whooper Swan (Cygnus cygnus), Bewick's Swan (Cygnus columbianus), Bean Goose (Anser fabalis) and White-fronted Goose (Anser albifrons) during the winter season. Therefore, there is a need of critical plan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aterbirds wintering in this area including the prevention of deteriorating habitat quality and the preservation of species diversity.

      • KCI등재

        중국정부의 토지유전정책과 농촌공동체의 변화

        주연(Juan Zhou),김도균(Do Kyun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1 農村社會 Vol.21 No.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정부가 농업의 산업화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규모 토지유전(土地流轉)정책이 중국농촌사회에 미치는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농민의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안휘성에 있는 산하촌을 현지조사했다. 조사결과, 토지유전을 시작한 지 2~3년 만에 산하촌 전체 농지의 경작권 80% 이상이 농업자본가적 특징을 지닌 대호(大戶)에게 양도되었다. 경작권을 양도한 대다수 농민은 도시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거나 농촌 임금노동자가 됨으로써 1978년 개혁·개방 이후 부활한 중국농촌의 가족농체제가 빠르게 해체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는 가족농에 기반하는 농촌공동체의 사회적 관계의 극적인 해체로까지 확장되었다. 농가 간의 노동력 교환, 공유자원 관리를 위한 협력, 일상적인 주민교류 등이 급격하게 쇠퇴하였고, 생산대(生産隊) 운영 또한 형식화되었다. 그리고 그 자리에 대호와 주민 간의 갈등이 새로운 사회문제로 자리 잡았다. 자급적 소비를 목적으로 하는 소농과 달리 대호는 이윤극대화를 추구한다. 농민의 노동조건보다는 생산의 효율성을 추구함에 따라 농업 노동조건을 악화시키고, 공동체적 관계보다는 개인적 이익만을 추구함에 따라 농민과 크고 작은 갈등이 발생했다. 토지유전 이후 2~3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산하촌의 농가와 농촌공동체가 극적으로 몰락하고 있다. 즉 현재 중국정부의 토지유전정책은 가족농의 해체와 위축, 그리고 그에 따른 사회적 관계의 훼손을 불러와 중국농촌사회의 기층조직을 총체적으로 퇴행시킬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economic and social impact of broad scale land reform policy pushed ahead by Chinese government as a part of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on rural commun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based on a field survey at Sanha town in Anhui province. The result tells that over 80% of entire tenant right in Sanha town has been handed over to Daehoes, the agricultural capitalists, after two or three years since land reform was reinforced. Most of the peasants who have handed over tenant right have left for urban areas for job or became hired labors thus the family farms system of Chinese farming area which had revitalized since 1978 has been rapidly breaking up. This has lead to a dramatic dissolution of social relationship of the farm community based on family farm. Labor exchanges between farm families, cooperation for the management of common resources and common exchanges between residents have been rapidly declined and operation of production brigades has also been formalized. Instead, now the conflicts between the agricultural capitalists and farmers became another social problem. Differently from small farmers who work for self sufficiency, the agricultural capitalists seek for maximization of profit. The capitalists seek for efficiency of production rather than work environment of farmers and seek for profit rather than communal relationship thus arousing troubles with farmers. For the short period of two or three years after land reform, the farming family and farm community have been dramatically collapsing. In other words, the land reform policy of Chinese government, by dissolving farm family, has damaged the social relationship in farm areas and has a riskiness which can lead to a regression of the based of rural communities in China.

      • KCI등재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이동헌(Dong Hun Lee) 영남고고학회 2023 嶺南考古學 Vol.- No.96

        경주지역 신라사찰에서 출토된 고고학적 유물 중 불교관련 자료나 기와류, 석조물 등에 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지만, 토기류에 대 한 기존 연구 성과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신라왕경지역 내 황룡사지, 분황사, 전인용사지, 천관사지, 창림사지 등 주요 신라사찰에서 단위유구로서 정치 또는 도치 매납된 토기를 저장구, 지진구, 장골구 등으로 구분하여 성격별 용도와 특징, 편년 등을 파악하였다. 신라사찰에 있어서 저장구가 설치된 대호군집건물지가 대부분 확인되었으며, 이 건물지는 사찰 내 공간 배치에 따른 의도적인 정형 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사역 중심 영역의 북쪽, 북동쪽 주변 사역에서 대호군집건물지가 위치하였다. 이러한 위치적 패턴은 동시기 백 제지역과 일본 왕경지역의 사찰에도 동일하며, 사찰 조영 시 건물 공간 배치에 있어서 일정한 규범이 작용했을 것이다. 특히 신라사찰 내 대호군집건물지의 성격에 대해서 기존 창고, 장고시설 등으로 파악하였으나, 양조시설의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신라사찰 내 매납된 지진구는 특정 건물의 기단이나 초석과 연접해 있었고, 탑지나 특수건물지의 둘레로 일정한 방향성을 보이며 안 치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매납 행위는 의도성과 의례성으로 인식되며, 특정 대상에 대한 전통 신앙적 진제나 종교적 염원 의식 등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되었다. 사찰 중심사역인 예불영역에서 벗어난 주변사역에서 기존 지진구로 분류된 매납토기 중에는 장골기의 특징을 보이는 것이 있다. 장 골기와 동일한 전용 기종이며, 부장의례와 관련된 도치 매납 행위도 확인되었다. 사역에서 통일신라 장골기의 특수용기에 해당하는 연 결파수부골호가 출토되었으며, 매장관련 외피시설을 의미하는 이중구조의 매납토기도 검출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건물지의 초석이나 생활시설물과 인접해 있었다. 따라서 기존 실생활유적 내 일반적으로 지진 및 진단구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 중에는 지형적 여건이나 어 떤 특수한 상황에 따라 장례와 관련된 의식 행위 내지 그 자체가 장골구의 용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향후 사찰이나 실생활유적 조사 에서 매납토기에 대한 자연과학적 내용물 분석이 촉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ages, characteristics, and chronological records by categorizing the earthenware buried in fixed or inverse positions as a unit-structured relic in the major temples of the Silla era, which are located in the capital area of Silla within Gyeongju, such as Hwangnyongsa Temple Site, Bunhwangsa Temple, Jeoninyongsa Temple Site, Cheongwansa Temple Site, and Changnimsa Temple Site. It was confirmed that most temples of the Silla era included a large gourd-shaped building assembly site (大壺群集建物址). The large gourd-shaped building assembly sites were typically located in the surroundings of the northeast areas, especially the northern part of the central temple site. This locational pattern also appeared at the temples in the Baekje area and the royal capital area of Japan during the same period, and certain norms must have been applied to the space layout of the build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temples. This study, in particular, identified that the usage of large kettle-shaped building assembly sites was a conventional warehouse or a storage facility, but it also raised a possibility of a brewing facility. The items suppressing the bad energies of the ground buried in the temples of the Silla era were typically connected to the stylobates or cornerstones of a specific building and were often positioned around a pagoda or special building sites, exhibiting in a certain direction. Such a burial activity was perceived as an intentional and ceremonial event, and was understood to be stemmed from traditional religious rituals or religious aspirations toward specific objects. There are some potteries that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an item containing human bones among the buried potteries classified into the conventional items suppressing the bad energies of the ground in the surrounding temple sites away from the Buddist service area which is the center of a temple. In the future, the analysis on the natural scientific contents of the buried earthenware is further required in surveys of temples and real-life historical remains.

      • HSPF 모형을 이용한 대호저수지 유역의 장기유출량 산정

        한국헌 ( Kukheon Han ),조진훈 ( Jinhoon Jo ),박명수 ( Myeongsoo Park ),윤동균 ( Dongkoun Yun ),황진욱 ( Jinwook Hwang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대호지는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어 방조제 및 배수갑문 공사는 1981년에 착공하여 1985년 12월에 준공되었으며, 현재 31개년이 경과되어, 몽리면적의 내용별 증감, 용수의 다양화 및 추가수요 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당초계획때 보다 확률강우량이 증대되고 장기간에 대한 퇴적으로 인한 내용적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등 수문조건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호지 유역을 대상으로 수자원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 최근 수문조건을 고려한 장기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장기 유출 모형은 유역의 예상 유입량과 소비수량 예측을 통해 농업용 댐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유역규모, 유역특성 등을 고려해 장기유출량 산정을 위해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선정하였다. HSPF를 이용하여 장기유출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지형관련 주제도를 BASINS에서 구축하고, 강우, 온도, 풍속 등의 기상자료를 WDMUtil을 이용해 구축하여 HSPF 호환모형인 WinHSPF 모형을 통해 유출량을 계산한다. 대상유역인 대호저수지 유역의 장기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GIS 자료를 이용한 HSPF 모형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는데, 대상 유역은 준산간지역과 논, 담수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역별 지형특성은 수치지도와 ArcGIS 9.0을 이용하여 경사방향도, 경사분포도, 음영기복도, 표고분포도, 토양도, 토지이용도 등을 구축하였으며, 대호저수지 유역의 장기유출량 산정을 위하여 전체를 14개 소유역으로 분리하였다. HSPF 모형의 기상자료는 본 지구 내 주변에 위치하면서 비교적 장기간 관측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기상청 관할서산관측소의 강우,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풍속, 운량 등의 관측자료(1970-2010)를 WDMUtil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기본 GIS 자료를 BAINS 4.0을 이용하여 HSPF 모형의 지형자료를 구축하였으며, 구축한 과정은 GIS에서 구축한 대상지역의 DEM, 하천도, 유역도를 이용하여 BASINS 4.0에서 Subbasin Parameters, Stream Network을 결정하고 Watershed Delineation을 구축하였다. 생성된 Subbasins, Streams, Outlets을 기본자료로 GIS 자료인 소유역별 토지피복분류도와 기상자료인 WDMUtil 자료를 이용하여 HSPF 모델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소유역별 토지피복분류도는 시가화 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나지, 습지, 수역(Water)의 7개의 대분류로 나누었고 시가화 건조지역의 불투수성은 60%로 설정하였다. 모형의 분석 결과, 대호호유역의 연간 총 유출량은 평균 171.3백만m3이었으며 연강우량의 평균치는 1,292.5mm로 나타났으며, 2010년 강우량이 2,132.8mm로 최고치를 나타냈고 총 유출량도 약 429.4백만m<sup>3</sup>으로 최고치였으며 유출고는 1.42m이다. 연강우량의 최저치는 1988년이었으며, 총 유출량은 1975년 51.4백만m3이 최저치로 유출고가 0.17m로 기록되었다. 이와 같이 WinHSPF를 이용하여 40년간(1970-2010)의 평균치를 산정한 결과 대상기간 강우량은 1,292.5mm, 강우량에 대한 평균 유출고는 580.4mm로 유출률은 0.44이다.

      • Wintering Waterbirds in Daeho Lake , 1994~95

        Park, Jin-Young,Lee, Ki Seop,Lee, Jae-Bum,Yoo, Jeong-Chil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1996 연구보고 Vol.5 No.1

        본 연구는 대호방조제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종과 개체수를 파악하여 이 지역의 보호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관찰조류는 총 31종이었으며, 조사기간동안 누적개체수의 우점종은 청둥오리 60.6%, 흰뺨검둥오리 14.4%, 물닭 5.5% 및 알락오리 2.2%의 순이었다. 오리류를 제외한 각 종의 대관찰치 합계는 28,490개체였다. 본 조사는 이 지역의 조류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며, 조사결과 대호방조제는 람사조약이 제시한 국제적인 습지의 기준에 해당되었다. 따라서 이 지역은 보호지구로 지정하여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보호와 관리를 해야하며 앞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The avifauna of Daeho Lake has not been surveyed befo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waterbirds wintering in Daeho Lake. A total of 31 species of waterbirds was recorded. Among them, the dominant species, represented as cumulative values during the survey, were Mallards 60.6%, Spot-billed Ducks 14.4%, Coots 5.5% and Gadwalls 2.2%. A total of the peak number except unidentified ducks was 28,490. This study shows Daeho Lake to be an internationally important wetland evaluated by the Ramsar Convention criteria. Therefore, this area should be designated as a nature reserve for effective protection and management, and further surveys are needed to draw up a conservation plan.

      • KCI등재후보

        선무수연의 역사적 고찰 및 현대적 과제

        정성필 한국체육과학회 200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5 No.2

        Zen is Martial Arts on the ground of the body ability and human body physiology having the root of Religion.The martial arts has been made for the defense of a religion and self protection, a dynamic requisite dancing trained to the one of self-discipline process to achieve a purpose of quiet zen, and also, in fact, proved on the development with history of buddhism.Also, the basis exercise of Martial Arts leadership, religion training process zen, not being enough personality of harmony of the mind and body, and desirable educational condition but know the best method that can purify the convenience inclination com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and spiritual & physical imperfect cause derived into the pursuit of sensible pleasure, know that solved modern society and humanity, an modern inclination & health problem by the zen.Because structural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material, convenience, & pleasure pursuit lose their health to the mind & physical of a modern, it is important task of a modern that looking for mind of mankind, the absolute dignity of life and value display to infinite holy ground through Zen training one of buddhism self-discipline for the discipline the mind and body with positive measure, and training the dynamic body ability simultane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