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육의 목표 및 글쓰기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비교 : 대구ㆍ경북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염철(Youm, Chul)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7 No.-

        이 글에서는 대구 경북 지역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대학의 교육 목표를 비교해 보고, 현재 각 대학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육 목표, 그리고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글쓰기 교육과정 사이의 상관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확인한 것은 첫째, 대학들 간에 교육 목표의 차이점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점, 둘째, 대학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육의 목표 사이의 상관성이 부족하다는 점, 셋째, 글쓰기 교육과정이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 등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총장이 바뀔 때마다 글쓰기 교육 체계 전체가 흔들리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학들이 교육 목표를 차별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걸맞은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과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hat compare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of university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writing and the writing course of the DaeguㆍKyungpook Universities. As a result, firs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University that are nearly invisible, and secondly, between the University’s educational objectives and writing course, there is the lack of correlation. Third, there are limit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nd writing instruction. For the above reasons whenever the senior administration of the university changes the entire writing educational system could become unstable. In order to fix this, first of all, they need to classify their university educational objectivess, and alsothis the objectives of education should be set up first. An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ffective writing curriculum.

      • KCI등재

        국내 주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전개 양상과 발전 방향

        김현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folding aspect of writing education over the past 20 years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and to present further development plans for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o this end, the study divided the period between 2000 and 2005, 2006 to 2015, and 2016 to 2020,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writing education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for each of those period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learned: from 2000 to 2005, the necessity of writing education was introduced in domestic universities. Around 2005, this necessity spread to universities nationwide, and from 2010 to 2015, a dedicated organization for general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university’s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to strengthen the quality management of general education. Since 2016,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has emerged as a type of education for enhancing core competencies, while education goals and the contents of that education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In light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wo ways to improve domestic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curriculum aimed at improving communication capacity and thinking ability among the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competencies of writing instructors.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 동안의 국내 주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국내 대학글쓰기 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00~2005년, 2006~2015년, 2016~2020년까지로 시기를 구분하고, 각 시기별 국내 주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전개양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지난 20여 년 동안의 국내 주요 대학 글쓰기 교육의 흐름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아볼수 있다. 2000~2005년은 국내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의 필수화가 도입된 시기라 할 수 있다. 그리고2005년 전후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필수화가 전국 대학에 확산되었다. 이후 2010~2015년에는 교양교육질 관리 강화라는 대학의 내적⋅외적 요구에 따라 교양교육 전담기구가 설치되고, 대학 글쓰기 교육에대한 다양한 질 관리 체계가 도입되기에 이른다. 2016년 이후에는 대학 글쓰기 교육이 핵심역량 증진을위한 교육으로 부각되면서 교육 목표 및 내용이 다변화된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발전 방향을 두 가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의사소통역량 및 사고력 증진 목적의 교육과정 간 연계성을 구축해야 한다. 다음으로 글쓰기 교수자의 전문성및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양상 - 전국 4년제 대학 소속교원 110명의 설문응답결과를 중심으로

        이윤빈 한국작문학회 2022 작문연구 Vol.- No.5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by professors who have planned and oversee education in the fiel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aculty members in charge of writing at four-year colleges nationwide, and 110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investigated professors' perceptions of the following three issues: ⑴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conducted so far, ⑵ changes in the writing education environment of the colleges to which the professors belong, ⑶ future directions of change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tasks to be solved. This study presented the tendency of college writing professors' perceptions by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ing the survey responses of 110 participating professors and the interview contents of 10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post-interview.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tendency of college writing professors' perception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presents concrete data to prove this.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 교육을 기획하고 담당해온 교수자들이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을 인식하는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글쓰기 교육을 시행하는 전국 4년제 대학의 글쓰기 담당 소속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고, 전체 교원의 31.7%인 110명의 교수자가 설문에 참여했다. 설문은 다음 세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한 2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대학 글쓰기 교수자들은 ⑴ 지난 20여 년간 시행되어온 대학 글쓰기 교육의 다양한 유형(강좌 유형․교수학습 유형)별 효과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⑵ 현재 소속 대학의 글쓰기 교육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다고 인식하는가, ⑶ 앞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며,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이 연구는 참여 교수자 110명의 폐쇄형․개방형 응답 결과 및 사후인터뷰 참여 교수자 10명의 인터뷰 내용을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여, 인식의 경향성 및 세부 양상을 검토했다. 이 연구는 전국 대학의 글쓰기 담당 교수자들이 지난 20여 년 간 교육의 현장에서 경험하고 통찰한 바를 종합하여 전반적인 경향성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통계수치 및 교수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해당 경향성을 입증하는 실증적 자료로 제시했다. 이를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성과와 한계, 현황, 앞으로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공론화의 장을 마련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의 다양화 방안 - 교육 대상·교육 형식·교육 내용의 다양화 방안을 중심으로 -

        이윤빈 한국작문학회 2018 작문연구 Vol.0 No.39

        This study explored Korean and foreign college writing education models that overcome limitations of mainstream college writing education model and seek diversification. Thus, this study sought to establish a topographic map of alternative educational models that could be used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From the early 2000s to the present, in the field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the process-centered writing education model using the common curriculum has been mainly used for university freshmen. This research first raised a critical discussion on the limitations of the mainstream college writing education model. Secondly,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college writing education models that were proposed as alternatives to the mainstream model, by classifying them as follows: ⑴Models that diversify educational subjects, ⑵Models that diversify form of education, ⑶Models that diversify contents of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educational models could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but could be used in conjunction and in conjunc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prerequisites for diversification of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model. 이 연구는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으로부터 나아가 다양화를 모색한 국내외의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들 및 주요 시행 사례를 탐색하여, 그 이점과 한계를 확인했다. 그럼으로써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안적 교육 모형의 지형도를 구축하고자 했다. 대학 글쓰기 교육이 본격화된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대학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는 ①대학 신입생 대상의 ②공통 교육 과정을 통한 ③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 모형이 주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 연구는 먼저, 주류적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이 갖는 한계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환기했다. 이후, 주류적 모형을 대체할 대안으로 제시된 국내외의 다양한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들을 ⑴교육 대상의 다양화 유형(WAC 교육, 고학년 대상 심화 교육), ⑵교육 형식의 다양화 유형(계열별 글쓰기 교육, 교과 및 강좌 선택 교육), ⑶교육 내용의 다양화 유형(WAW 교육, 주제 다양화 교육, 의사소통 혼합 교육, 과제 연계 교육)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의 정의․하위 유형․시행 현황․이점과 한계를 검토했다. 마지막으로, 각 교육 모형이 독립적으로 시행될 수도 있으나 상호 결합 및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 모형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전제 조건을 대학 당국 및 담당 교원의 측면에서 점검했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과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김현정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3 No.-

        It has been getting generalized within the recent 10 years that Universities choose the classes related to writing as a required elective course with grow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eaching writing skills in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results of the education for writing, it is very important to support continuously curriculum operations in a systemic policy. In this research, we are going to look over Seou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Sookmyung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and Chonnam University. These Universities will be evaluated to have a well-organized writing- education system, and based on it, look for the direction to a desirable writing-education policy. These Universities does not merely select writing classes as a required elective course but also build up curriculums that help the education in a row on elective courses or major courses. Especially, we checked that they can manage the operation more systematically by establishing a special organization to authorize them to these curriculums instead of letting a department do the work. When we make a writing-education policy in Universities, what we should consider through this curriculum practice is the policy that has to be fulfilled constantly in a long-term. Moreover, we also have to find out a way to support training and secure professional instructors to improve feedback quality, and the core of writing subjects, which should be supported by administrations of Universities. It is too general to say again that the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so important. However, apart from its importance, the effectiveness for this is much disputed. This is because although Universities have put a lot of costs on it, the results in a short term are apparently insignificant. However, in order to get fruits from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which is already ongoing, it is better to plan a more systemic and consistent policies than to stay comfortable in the current situation for drawing out the outstanding results in this field. 지난 10여 년 동안 대학 글쓰기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대학에서 글쓰기 관련 교과를 교양필수로 지정하여 운영하는 사례가 보편화되고 있다. 글쓰기 교육의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정책을 통해 지속적으로 교과 운영을 지원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체제를 비교적 잘 갖추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서울대, 연세대, 숙명여대, 경희대, 전남대의 글쓰기 관련 교과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글쓰기 교육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서울대, 연세대, 숙명여대, 경희대, 전남대는 ‘글쓰기’ 교과를 한 학기 과정의 교양필수로 지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교양 또는 전공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글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 과정을 마련해 두었다. 특히 특정 학과에서 관련 교과를 주관하기보다는 대학 본부 산하에 특정 기관을 설치하여 관련 교과를 주관하도록 함으로써, 교과목 운영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글쓰기’ 교과 운영 사례를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 정책을 마련할 때 고려할 점은 글쓰기 교육이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교과 과정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전문강사진을 양성하고 확보할 수 있는 지원책과 대학 본부 차원의 피드백 지원책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많은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높이 인정하면서도 그 실효성과 교육 정책의 방향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는 각 대학들이 글쓰기 교육에 많은 예산을 투자함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에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왕 시작한 대학 글쓰기 교육이 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현재의 지원 정책에 안주하기보다는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함으로써,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성과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 설정과 지식 정보화 시대의 대응

        정희모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6 No.-

        이 논문에서는 우선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가 무엇인가를 탐색하고 있다.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는 일차적으로 신입생 글쓰기 교육을 통해 전공 글쓰기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미국과 한국의 여러 대학들도 학생들이 대학의 학술 텍스트를 잘 쓰기 위해 대학. 글쓰기 교육을 도입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대학 글쓰기 교육의 주된 목표는 학술적 글쓰기 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이와 다른 관점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도 있다. 그것은 표현주의 입장으로, 글쓰기를 통해 개인의 자기 탐색, 자기 성찰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관점이다. 한국에서 표현주의의 입장은 학술적 글쓰기와의 결합을 통해 개인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의 조합을 추구하고 있다. 세 번째로 대학 글쓰기 교육을 인문학적 사고의 학습으로 보는 관점이 있다. 외국어 교육과 다르게 자국어 대학 글쓰기 교육은 다양한 고전의 학습과 함께 인문학적 사고와 성철을 수반하기 때문에 인문학적 교육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이렇게 다른 세 가지 관점은 서로 상이한 철학을 지니지만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국내 대학들은 대체로 이 세 가지 관점을 섞어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술적 쓰기 능력과 자기 성찰, 사회적 비판의식 모두들 소중하게 생각한다. 이보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더 중요하게 바라보아야 할 관점은 지식 정보화 시대에 디지털 글쓰기의 도전과 대응이다.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는 쓰기 주체의 문제, 소통의 문제, 쓰기 교육의 문제를 다시 돌아보게 한다. 디지털 시대 대학 글쓰기는 매체나 도구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아울러 학생들이 자신의 관점을 되돌아보고, 인문학적 자기 성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중요하다. This article inquires into what the principal purpose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Many universities newly instituted College Writing Education for students to improve in their scholarship texts. From this perspective, it can be considered that College Writing Education’s main genre is Academic Writing. However, contrary to the previous perspective, there are also different points of view toward College Writing Education. It is Expressionism in writing. Expressionism’s stance puts importance on individual’s introspection and self-reflection through writing. In Korea, the expressionism’s stance on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that it pursuits a combination of personal perspective and societal perspective joining with Academic Writings. Another angle on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viewing the writing education as a study of liberal art thinking. This notion is based on the contrary betwee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native writing education that native writing education accompanies liberal art thinking and introspecting with various studies of native classics. College Writing Education’s aim is divided into these three disparate concepts, but these concepts can be used together as well. Universities of Korea mostly combine the three stances and value all their scholarly Academic Writing abilities, Introspection, and Societal criticism. Above all, the perspective that needs to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preparedness and response toward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 centric society. The digital era’s writing leads us to look back upon the problems within writing subject, communication, and writing education. Despite the divergence of media, digital era’s college writing should place emphasis again on advancement of writing ability, students’ introspection towards their perspectives, and strengthening the insight of humanities.

      • KCI등재

        중소규모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 과정- 우송대 <대학글쓰기>를 중심으로

        전대석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6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a writing education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colleges which aim to develop professional abilities with a focus on vocational education by exploring the purpose, procedures and contents of academic writing in WooSong University College of Liberal Arts. In 2020, WooSong University College of Liberal Arts newly established academic writing as a common subject required for basic liberal arts and operating it. It can be evaluated that such a great change in basic liberal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in WooSong University depend on the authorit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and structure, as well as the key features of the mandatory general education course 'Academic Writing' at WooSong University, three years after its implementation. Through a reflective contemplation on the course, it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can be identified, allowing for the exploration of a practical and realistic writing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WooSong University and similar small to medium-sized universities with a similar character. To demonstrate this, we will first present an analysis of the theories and models regarding general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that WooSong University refered to or applied in order to establish the objectives of the 'academic writing' course. Then, we will briefly examin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tructure of WooSong University's 'academic writing' course to explain how the aforementioned theories and models on writing education were applied and modified. Lastly, we will summarize several aspects necessary for the 'academic writing' common course in WooSong University, which has achieved a relatively stable stat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in order to enhance its substance. Through such discussions,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practical models of writing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universiti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nd scale as WooSong University. 이 글은 우송대 <대학글쓰기> 교과목의 교육 목표, 과정 및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직업 교육을 중심으로 전문적인 직업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대학의 글쓰기 교육의 한 모형을 탐색한다. 우송대 교양대학은 2020년에 <대학글쓰기>를 1학년을 대상으로 교양필수 공통 과목으로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우송대에서 이루어진 교양기초교육과 대학 글쓰기 교육의 이와 같은 큰 변혁은 대학의 결단에 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우송대의 <대학글쓰기> 교양필수 공통 교과가 시행된 지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대학글쓰기>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과 구성 및 주요한 특징 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나름의 의미가 있다. 우송대의 <대학글쓰기> 교과목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성과와 한계를 확인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우송대와 유사한 성격을 가진 중소규모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현실적인 글쓰기 모형을 모색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을 보이기 위해 먼저 우송대가 <대학글쓰기> 교과의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참고했거나 적용한 교양기초교육과 글쓰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모형에 대한 분석을 제시할 것이다. 다음으로 우송대의 <대학글쓰기>의 교육 내용과 구성을 간략히 살펴봄으로써 앞서 살펴본 글쓰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모형 등이 어떻게 적용되고 변형되었는지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송대의 큰 결단에 의해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어느 정도 안정적인 모습을 갖춘 <대학글쓰기> 공통 교과가 더 내실을 기하기 위해 요구되는 몇 가지 내용을 정리할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우송대와 유사한 성격과 규모를 가진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글쓰기 교육의 실천적 모형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정희모 ( Hee Mo Jung ) 한국작문학회 2005 작문연구 Vol.0 No.1

        최근 많은 대학들이 글쓰기 강좌를 교양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여러 대학에서 글쓰기 과목을 영역별로 나누어 전공별 글쓰기 학습을 시도하고 있다. <의사소통센터>나 <글쓰기 교실>과 같은 글쓰기 교육의 보조기관들이 늘어났으며, 교양과목에 대한 글쓰기 조교 지원, 글쓰기 튜더 제도와 같은 지원 시스템도 생겨났다. 이처럼 글쓰기 교육은 제도적인 면에서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외적인 변화에 비해 내적인 준비가 소홀하여 여러 가지 불안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의 내부적인 문제로 교수요원의 문제, 강의 프로그램의 문제, 행정 지원의 문제가 있다.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 분야에는 강의를 담당할 교수요원이 부족하다. 또 대학글쓰기를 전공하는 연구자도 부족하다. 이 때문에 강의 프로그램 개발, 교재 개발, 평가 방법 개발 및 교수 방법에 관한 연구가 힘들어 강좌를 표준화, 특성화할 수가 없다. 따라서 대학 글쓰기 교육을 바람직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서 대학 당국의 재정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바람직한 대학 글쓰기 교육을 위해 과목의 성격과 교육 과정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먼저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문법과 진술방식, 글의 형식과 같은 텍스트 요인을 중시하는 경우가 있다. 두 번째는 다양한 문식성교육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쓰기, 읽기(독서), 토론, 한자 교육을 포함한 폭넓은 언어교육에 목표를 둔다. 세 번째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성격을 ‘교양적이고 창의적인 인간 계발’이라는 일반교양의 목표 아래 두는 경우가 있다. 네 번째로 글쓰기 교육을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 교육 속에 두는 경우가 있다. 이 네 가지 경우는 언어 기능이나 사고력 혹은 그 밖의 요소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대학 글기 교육의 교육 과정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읽기-쓰기(reading-to-write)모형이다. 읽기-쓰기 모형은 표현력과 사고력을 함께 높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대학의 지적 생산 방식에 부합할 수 있다. 대학 글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가장 시급한 것은 전문 연구자의 저변을 넓히고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일이다. 연구자가 늘어나야 기본적 이론, 교수 학습 방법, 평가방법, 글쓰기 능력 진단과 치료 방법, 첨삭과 교정 방법, 글쓰기 협동학습, 튜터링 시스템, 범교과적 쓰기 방법, 디지털 글쓰기, Writing Center에 관한 연구들을 진행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한 대학 글쓰기 교육을 위해 다양한 글쓰기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하고, 수준별 교육 및 단계별 학습과 같은 교육과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In present days, most of the universities in korea have required students to complete the writing programs. In addition, many universities are extending their writing subjects in which the diversity of writing had extended by making a program basis on each major. The communication centers are increasing in its area with a supplementary system, which are consisted of writing tutor systems and assistants supporting to take in charge of writing in cultural subjects.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has been developing in the educational system. Although many good changes can be seen in external in writing education, but it still has difficulties inside. Th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has inner problems such as hiring qualified teachers, managing effective programs, and administrating supportive systems. Present universities` major problems are that they have few qualified teachers who take in charge of writing programs. They are not able to perform theory studies in university`s writing education. Moreover, we can`t expect to develop textbooks and teaching programs either to standardize or to specify course. The desirable curriculum model is ``reading to write`` system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Not only it is to increase expression and thinking skills but also it is suitable to develop the intellectual production method of college. We try the best effort to solve the problems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o make solutions to this, we have to reorganize writing curriculum and to increase researchers who take charge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increase researchers they have to be able to study the basic writing theories, teaching methods, the way of evaluation, diagnosis, treatment, and cooperative learning in writing, tutoring system,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digital writing, and the study of writing centers. In addition to be able to introduce curriculums such as the variety of various writing programs;we have decided to train the students and replace them into each level and make them progress step by step. For those reasons, the authority of college should support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problems urgently.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 주체 회복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

        정희모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2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writing under the global competition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Under both liberal and general education, college’s liberal education aims to improve humans to holistic existence. In this article, the emphasis is on college writing education’s relevancy to inner maturity or holistic human cultivation, which the liberal education accentuates. This is because the act of writing makes it possible for us to grow into social subject through self-reflection and inner maturity. With this discussion, this article also emphasizes that writing education should belong to communication education, because writing education deals with the problem of self-expression using language that is structured with various characters. In this regard,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situated at a significant position in liberal education, because it deals with humanistic building on one hand, and language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Unlike other language education, college witing seeks for the improvement of humanistic thinking through expression instruction. In addition, this article also suggests few tasks that college writing should respond with as it encounters the advent of hypertext era through digital media. Firstly, college writing needs to reestablish the problem of writing subjects in response to the digital age’s dispersing and breaking up disintegrate subjects. Secondly, a program that allows humanistic self-examination in response to softness of knowledge and weight lightening of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needs to be developed. Lastly, college writing needs to develop various digital writing education programs in response to hypertext’s rising and convergence curriculum development. 이 논문에서는 글로벌 경쟁과 대학 인문학의 위기 속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대응 방안에 관한 논의를 담고 있다. 이런 논의를 위해 이 논문은 교양교육 속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특수한 위치, 즉 인문학 교양과목이면서도 의사소통교육(혹은 언어 교육)에 속하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성격을 탐색한다. 대학의 교양교육은 자유교육과 일반교육의 정신 아래 인간을 전인적 존재, 총체적 인간으로 성장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대학 글쓰기 교육은 교양교육에서 강조하는 전인적 인간 양성 및 내면적 성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글을 쓰는 행위는 우리로 하여금 자기반성과 내면적 성장을 통해 사회적 주체로 성장시켜 주기 때문이다. 이런 특성과 함께 대학 글쓰기 교육은 글을 쓰는 능력을 함양하는 의사소통교육(언어교육)적 요소도 가지고 있다. 글쓰기 교육은 기호로 된 언어를 조작하고 조직하여 사용하며 궁극적으로 자기표현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 글쓰기 교육은 한 편으로 인문적 교양을, 다른 한 편으로 언어 표현을 다루기 때문에 교양교육 속에서도 특별한 성격을 가지게 된다. 글쓰기는 개인이 자기 삶의 지평에서 세계에 관한 자기 생각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며, 나아가 인류가 보존한 높은 문화적 산물과 정신적 가치를 만나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글을 읽고 쓰는 것은 하나의 개인을 교양적 인간, 세계적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인문학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또 이와 함께 대학 글쓰기 교육은 언어 표현이 가지고 있는 창조적인 성격을 함께 담지하고 있다. 좋은 생각은 좋은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 좋은 표현이 좋은 생각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글쓰기 교육에서는 좋은 생각과 사상을 창조하기 위해 쓰기 능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여러 연구결과를 보더라도 언어능력이 좋은 필자들이 좋은 생각과 사상을 창조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에서는 디지털 매체를 통한 하이퍼텍스트 시대의 도래에 직면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이 대응해야 할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대학 글쓰기 교육은 디지털 시대의 분산되고 해체되는 주체에 대응하여 쓰기 주체의 문제를 다시 정립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시대에서 지식의 연성화, 지식의 경량화에 대응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은 인문학적 자기 성찰을 중시해야 한다. 셋째, 대학 글쓰기 교육은 하이퍼텍스트의 도전과 융·복합적 교육과정 개발에 대응하여 다양한 디지털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전문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안정희(Jung Hee 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는 일개 전문대학의 교양 글쓰기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하여 전문대학 글쓰기 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문대학의 일반적인 교양교육 운영 특성에 대한 문헌고찰을 수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T전문대학의 2016~ 2023년 기간 동안의 글쓰기 교육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글쓰기 교육이 포함되어 있는 의사소통 관련 교과목의 교육과정 개편 사례를 분석·제시하였고, 세 차례에 걸친 개편 시기별 주요 특징과 글쓰기 관련 교육내용이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정리·분석하였다. 실제 교과목 운영사례 분석과 더불어 교양 교육과정 운영 관련 대학의 여건 및 지원 체제에 대하여 연구자의 경험내용을 추가 기술하였다. 결과 사례 대학의 교양 글쓰기 교육과정 분석 결과, 전문대학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으로서의 의사소통 교육을 진행해 왔으며, 전문대학 내 글쓰기 전담 인력 및 전문성 부족 문제, 전문대학 재정지원사업 평가 지표와 관련하여, 최소한의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교양교육 선진화를 견인하는 외적인 요구에 기인하여, 교양교육 전담조직 구성, 교양교과목으로서의 적합성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나 소극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학생 맞춤식 글쓰기 교육 및 피드백이 부족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수기공모전 등의 비교과활동을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교육성과로 수렴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결론 전문대학의 글쓰기 교육이 취업 기술력 함양에 머무르지 않고, 미래를 살아갈 학습자의 사고력, 비판력, 문제해결력을 발달시키는 기본교육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대학 글쓰기 교육에 필요한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교수자 글쓰기 교육역량 향상 지원, 온라인 글쓰기 피드백 시스템 등 개별 학습자 맞춤의 글쓰기 교육지원을 통하여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높이도록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mprove writing education in colleges through analysiss of the case operation liberal arts writing cducation in T-College. Methods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colleges and analyzed cases of writing education at T-College from 2016 to 2023. In particular, cases of curricu-lum reform in communication-related subject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nd the main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three periods of reform were analyzed. And I organized and analyzed how the writing contents has been changed. In addition to, the researcher's experience was additionally described T-college’s educational con-ditions and support systems in liberal arts curriculum.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of writing educaion, the college has been providing communicational writing educa-tion as like a vocational skills. In addition to, addressing the problems lack of general support system, as like in-dependent liberal education support organization and overal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writing education were presented. It was suggested that minimal efforts are being made to meet national financial sup-port project evaluation standards. Conclusions It was emphasized that writing education in colleges should be improved so that it develops the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of learners who will live in the futur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writing education support system at colleges and consider writing education methods tailored to individual learners, such as an online writing feedback system. Through this, it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in colle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