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학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

        전란영(Jeon, Ran Yeong)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21 교육과 문화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우울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두 변인의 관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하여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 방안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조사2010의 중학교 1학년 패널 7차 연도 자료(1,348명)를 사용하였고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 1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은 우울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쳐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을 수록 우울 수준은 낮아졌다. 둘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대학생활만족도에 의해 조절되었다. 대학생활만족도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자아정체감이 우울에 미치는 부적 효과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정체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대학생활만족도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모색기 발달과업인 자아정체감이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며 대학생의 우울을 중재하기 위해 대학생활만족도를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upon self identity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 sample was derived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0(KCYPS 2010) 7ᵗʰ data, and the data of 1,881 college students collected was analyzed. To process the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s, Hayes(2013)’s Process macro Model 1 were employed. As a result, first, self ident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Secondly, level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elf identity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promotion of self identit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lleviate college student’s depression.

      • KCI등재

        대학생들의 진로선택동기와 대학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

        서명선,정정희,안성식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2

        대학생은 청년 후기 혹은 성인 초기에 해당하며, 정신적 발달과정상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 는 시기라 할 수 있다. 특히 대학생의 경우 신체적인 측면에서 보면 성장이 끝난 시기이지만 심리적 측 면에서 아직 미성숙한 상태에서 사회인이 되기 위한 자아정체성을 형성해야 되는 발달과업을 수행하는 시기이다. 대학생 시기는 사회인으로 나가기 전 진로를 선택하는 실천단계로서 진로선택에 필요한 교 육과 경험을 바탕으로 진로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교하고 구체화된 계획을 세우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대학생들이 전문성을 갖추고 사회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진로선택이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진로 선택은 개인의 대학 생활뿐만 아니라 장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처럼 진로선택은 미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잠재요소로 미래를 설계하는 시작으로 자신의 적성과 자신감 등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 다. 우리나라 대학시장은 장기화된 경제 침체 이외에도 정보화의 급류와 함께 정부의 탈 규제정책 등과 같은 거시적인 교육환경이 빠르게 변함에 따라 무한경쟁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특히, 외식 관련 전 문학교 수요의 증가로 인하여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욕구를 반영한 과목 개설 및 전공제, 강의평가제 등 을 도입하는 등 무한경쟁의 교육환경에서 성장ㆍ유지ㆍ발전하기 위해 재학생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 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식전공대학생들을 대상으로 ISA분석을 활용하여 대학교 서비스 전반의 품질을 측 정하고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선택동기와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 기 위한 전략적 제시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진행한 결과, 진로선택동기와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college student is in the latter period of youth and the initial stage of adulthood, and this stage holds highly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the mental development process. In particular, even though the physical growth of college students had stopped, their psychological aspect still stays in an immature state where their self-identity needs to face further developmental tasks of formation to prepare themselves as professional members of the society. A college student is in a stage of practice for selecting a career before becoming professional social members. Thus, a college student is in a stage of establishing a career goal based on education and experience necessary for career selection and setting up detailed and specific plans to achieve the goal. Since career selection plays a crucial role in preparing for specialty and professional life in the society, career selection gives an influence on not only one’s college life but also his/her future. Like this, career selection is considered an important potential factor influencing one’s future life as a start of designing the future, for which one’s aptitude and self-confidence are indispensable. Our country’s college market is entering an age of unlimited competition in line with the quick changes of macroscopic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deregulation policies of the government along with the prolonged economic recession and rapid stream of digitization. In particular, colleges are making a constant effort to maximiz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to grow, maintain and develop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cused on unlimited competition, by opening subjects reflecting students’ needs and adopting major (specialty) system and lecture evaluation system, due to the growing demand of schools specialized in food service industry.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measured the overall quality of college services and analyz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hile applying the ISA analysis oriented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ood service industr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strategic suggestions to improv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their motives for career selection and their college life. The analysis turned out to give an influence on motives for career sele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college life.

      • KCI등재

        지방대학생의 입학동기가 대학생활만족을 매개로 전공 관련 취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윤서(Jo Yun-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의 입학동기가 대학생활만족을 매개로 전공 관련 취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가장 최근 공개된 자료인 2019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하였고 지방대학교 졸업자 5,975명을 대상으로 t-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95%이다. 결과 첫째 지방대학교에 입학한 동기가 전공분야에 학업을 위한 그룹과 수능 성적에 맞춘 그룹으로 나누어 볼 때 두 그룹의 대학생활만족, 전공 관련 취업, 직무만족은 차이가 있으며 전공분야에 학업을 위한 그룹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분야에 학업을 위한 그룹이 수능 성적에 맞춘 그룹에 비해 대학생활만족, 전공 관련 취업,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이 주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활만족이 입학동기와 전공 관련 취업과 내재적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지방대학생의 입학 동기는 대학생활의 만족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취업과 직무만족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지방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은 입학동기와 취업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지방대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본인의 흥미에 맞는 전공을 공부할 수 있는 지방대학교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리고 대학생활만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방대학교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양질의 수업과 복지를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이 결과는 지방대학교 입학생들이 지방대학교에 입학을 할 때 가장 우선 고려해야 할 내용을 검증하였으며, 지방대학교와 정부의 정책 수립에도 기여하리라 생각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entrance motivation of university in the non-capital regions students on employment related to major and job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satisfaction as a mediator. Methods Using The Graduates Mobility Survey(GOMS) 2019 Year and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5.975 peopl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students in the non-capital regions.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college life satisfaction, major-related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a group that entered the school for the major field of study and a group that entered the school in line with score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it all came out high in a group that entered the school for the major field of study. Second, a group that entered the school for the major field of study was a positive (+) effect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major-related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than a group that entered the school in line with score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ird, the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showe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ance motivation of university and employment related to the major. And the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showe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ance motivation of university in the non-capital regions and inherent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Therefore, The entrance motivation of university in the non-capital regions has been proven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not only enhances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but also increases the employment related to major and job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ance motivation of university in the non-capital regions and employment related to major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reason, students who enter university in the non-capital regions should choose a university in the non-capital regions with a long-term perspective. They should choose a major that suits her interest. And becaus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university in the non-capital regions should try to provide quality classes and welfare. The results have verified what the university in the non-capital regions students should consider most when entering the university in the non-capital regions, and i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university in the non-capital regions and governments.

      • KCI등재후보

        대학생들의 축구동아리 활동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상준,박영환,최옥진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축구동아리 활동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G도 K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67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학생들의 축구동아 리 참여 여부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만족 차이에서는 인지된 신체능력,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교우관 계, 모교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축구동아리 참여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만족에 상관관계 및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자신감,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과 수업만 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신체능력은 교우관계, 수업만족, 모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은 교우관계, 모교만족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occer club activities on their physical self-efficacy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soccer club,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physical ability,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friendship, and school satisfactio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soccer club on their physical self-efficacy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in all factors except perceived physical ability and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and class satisfaction. Perceived physical ability had an influence on friendship, class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and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had an influence on friendship, school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과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윤서(Jo, Yun-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과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은 자기효능감, 낙관성, 탄력성으로 구성하였고, 대학생활적응은 학업적응, 환경적응, 정서적응으로 구성하였으며, 대학생활만족 은 교육과정만족, 교육환경만족, 진로취업지원만족, 교우관계만족, 교수관계만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의 한 대학교의 2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거된 431부 중에 불성실 설문지, 미응답 문항이 있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5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학업적응, 환경적응, 진로취업지원만족, 교우관계만족, 교수관계만족 등에 정(+)의 영향을 보였다. 자기효능감은 진로취업지원만족에 가장 높게 영향을 주었으며 학업적응, 환경적응 등에 높은 영향을 주었다. 둘째 낙관성은 학업적응, 환경적응, 교육과정만족, 교육환경만족, 진로취업지원만족, 교우관계만족, 교수관계만족 등에 정(+)의 영향을 보였다. 낙관성은 교육과정만족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었으며 교수관계만족, 학업적응, 환경적응 등에 높은 영향을 주었다. 셋째 탄력성은 학업적응, 환경적응, 정서적응, 교육과정만족, 교육환경만족, 교우관계만족, 교수관계만족에 정(+)의 영향을 보였다. 탄력성은 정서적응에 가장 높은 영향을 보였으며 환경적응에도 높은 영향을 보였다. 이로써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은 대학생활적응과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대학교에서는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도입하여야 함을 주장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 . The target of the study are university students in Gangwon Province.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showed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to college studies,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of a university, satisfaction with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satisfaction with friendship, satisfaction with professor s relationship. Second, Optimism showed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to college studies,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of a university, satisfied with the course of university education, satisfied with the university education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satisfaction with friendship, satisfaction with professor s relationship. Third, Resilience showed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to college studies,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of a university, adaptation to personal emotions, satisfied with the course of university education, satisfied with the university education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friendship, satisfaction with professor s relationship. Therefore,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Universities should introduc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대학교수의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수업몰입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campus-life satisfaction by the professor’s emotional leadership, the professor trust and the class concentration. Methods A survey was held to th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Chungcheong cities from June 10 to 21, 2021. 196 copies were in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was used. Results As a result, the professor’s emotional leadership, the professor trust and the class concentration in university students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accounted for 41.6%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campus-life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counseling and developing and activation education program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campus-life, to promote interaction with professors and to immerse in the class.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대학교수의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및 수업몰입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각 요인 간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이 좀 더 건설적으로 전공학문탐구와 연구에 흥미를 느끼고, 교수님과의 교류를 활성화시키며 대학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대학생으로 2021년 6월 10일부터 21일까지로 총 196부의 자료를 통계프로그램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수업몰입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대학교수의 감성리더십, 교수신뢰, 수업몰입은 대학생활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585 p<.000, r=.496, p<.000, r=.536, p<.000)가 있었고, 대학생활만족도를 41.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교수와의 교류를 활성화시키고 수업몰입을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자료로 활용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만족과 직장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김현주(Kim, Hyunjoo),손은령(Son, Eun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대학생활과 직장만족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증진 방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청년노동시장 및 학교생활의 대표통계를 제공하는 청년패널 2007(YP2007)의 9차(2015)년도와 12차(2018)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 진로계획과 같은 정서·인지·행동적인 다양한 변인 간의 관계에서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간접적으로 대학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이 직장만족도에 정적 또는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대학생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이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직장인 시기의 부정적 자기개념은 직장만족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시기의 진로관련 변인과 대학생활만족이 직장인 시기의 직장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활과 직장만족의 영향요인 검토를 통해 대학생 시기의 대학생활만족 정도에 따라 직장인 시기의 직장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정서·인지·행동적 특성을 고려하여 진로교육이 선행되어야함을 확인하고 나아가 대학생활만족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 운영과 대학의 역할, 상담적 개입의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llege life and work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experiencing school-to-work transition periods an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promotional plans. For thi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from the 9th year (2015) and 12th year (2018) of the Youth Panel 2007 (YP2007) from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that provides representative statistics of the youth labor market and school lif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in relationships among various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variables such as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occupational values, and career planning during the college period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s of the working period positively or negatively affect work satisfaction. In particular, negative self-concepts during the college period do not significantly affect college life satisfaction, but negative self-concepts during the working period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work satisfaction. Third, career-related variable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llege period were shown to have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work satisfaction during the working perio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at work satisfaction during the working period may differ depending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during the college period by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nd work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career education must be provided first in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he roles of universities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for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interven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 여가문화학회 2016 여가학연구 Vol.14 No.1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As for research subjects,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3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total and excluding 7 which were inappropriately or incompletely answered, 29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verific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Second, in the analysis of subjective happiness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ender among the factors of environment and personality, and in gender, school year,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among the factors of life events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Third, among sub fa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the factor of environment and personality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sub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peer relationship, while factors of life events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had an influence on both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peer relationship among the sub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In conclusion, in order to raise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enhance subjective happiness of students by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various and active leisure activities and by providing differentiated leisure programs, realistic and practical measures should be taken. 본 연구는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서울지역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을 표집 하였으며 설문지 회수결과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답변이 누락된 7부의 설문을 제외한 총 293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대학생활만족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분석 결과 주변환경 및 성격 요인에서는 성별, 생활사건 및 활동참여 요인에서는 성별, 학년, 참여빈도 모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여가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의 하위요인 중 주변환경 및 성격요인은 대학생활만족의 하위요인인 학교만족과 교우관계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생활사건 및 활동참여 요인이 대학생활만족의 하위요인 중 학교만족, 교우만족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다양하고 활발한 여가활동 참여유도와 차별화된 여가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대학생활만족을 높여 주관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도록 보다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성우,김병주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반대학교 대학생 9,453명이며,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하고 있는 201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8GOMS)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변인은 독립변인으로 개인특성(입학전형, 취업목표 설정, 전공 재선택시 동일전공 선택)과 대학재정(학생 1인당 교육비,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 학생 1인당 자료구입비), 매개변인으로 전공만족도, 종속변인으로 대학생활만족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는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 중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인특성은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취업 목표를 설정하고 동일 전공을 재선택하려는 대학생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를 통해서만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개인특성 중 학생부 종합 및 교과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은 정시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재정 중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는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학생 1인당 교육비와 자료구입비가 많을수록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와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은 매개변인인 전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종속변인인 대학생활만족도에는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학생 1인당 교내장학금이 많을수록 대학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개인 및 대학재정변인이 대학생활만족도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점에 의한 심리적 영향: 대학생활만족과 졸업 후 행복을 중심으로

        조윤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점이 주는 심리적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대학생의 학점의 수준에 따른 대학생활만족과 졸업 후 행복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고, 학점이 대학생활만족과 졸업 후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방법 연구 결과의 안정적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7~2020년을 활용하여 4년제 대학생26,691명(2017년 6,521명, 2018년 6,980명, 2019년 7,075명, 2020년 6,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대학생의 학점의수준에 따른 대학생활만족과 행복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학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만족과 졸업 후 행복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학점은 대학생활만족의 학업만족과 학교지원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학점은 졸업 후 행복의 삶의 만족과 긍정정서에 정(+) 의 영향을 그리고 부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영향은 2017~2020년에 걸쳐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학점은 대학생활만족과 졸업 후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학점은 단순히 학업적인성과가 아니라 대학생의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이끄는 심리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은 학점에서얻어지는 심리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학업에 더욱 성실히 매진해야 할 것이며 교수는 신중하고 공정하게 학점을 부여하며 대학교는대학생의 성적 평가 제도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개선해야 하겠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college students' grades. The psychological effects are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and happiness after graduation. This verifies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and happiness after gradu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ollege students' grades and it is to verify the effect on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and happiness after graduation according to grades. Methods In order to secure the stable effect of the method study results, 26,691 four-year college students (6,521 in 2017, 6,980 in 2018, 7,075 in 2019, and 6,115 in 2020) were surveyed using the GOMS 2017-2020. ANOVA and post-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hange i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happiness according to the grades of college student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grade of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and happiness after gradu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grades have positive (+) effects on academic satisfaction and school support satisfaction of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grades have positive (+) effects on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of happiness but college students' grades have an negative (-) effect on negative emotions of happiness. This effects are consistent from 2017 to 2020.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college students' grades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and happiness after graduation. As a result college students' grades are not just academic achievements, but have psychological effects that positively leads to college students' quality of life. Through these results, college students should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their grades and focus more faithfully on their studies. And professors should give grades carefully and fairly. Also universities should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the grading system and it needs to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