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에 관한 연구

        박애란(Park Ae Ran),정미희(Jeong Mi Hee),김정애(Kim Jeong Ae),체첵델게르(Tsetsegdelger)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2018 인권복지연구 Vol.20 No.1

        한국은 2000년대 초부터 결혼이민자가 증가하면서 다문화가족이라고 하는 새로운 가족형태가 형성되었고 다문화가족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되고 있는데 그 중결혼이주여성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가정폭력의 문제는 인권이나 복지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 정부에서는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 문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정책들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주로 결혼이주여성을 한국 사회에 잘 적응시키고 많은 외국인들을 한국 사회에 유입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어서 그 실효성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다문화가족의 정착을 위하여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그 대안으로 국제결혼 대상자에 대한 상담 및 교육 실시, 국제결혼 중개업체의 관리감독 강화, 결혼이민자들의 자조모임 활성화, 부부교육 및 부모교육 지원,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상담 강화,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피해자에 대한 지원의 의무화,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피해자에 대한 주거지원 사업, 가정폭력 근절을 위한 사회분위기 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In Korea,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00s, the number of marriage immigrants has increased, and a new family type called a multicultural family has been formed a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s, various social problems are occurring. Domestic violence, which is raised in relation to married immigrant women, needs to be dealt with in terms of human rights and welfare. Although the government presents various policies related to the domestic violence problem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government mainly focuses on adapting married immigrant women to Korean society and introducing many foreigners into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domestic viole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establish a healthy multicultural family and to provide consultation and education on international marriage victims, strengthen management supervis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s, Support for parents education,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mandatory support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by localgovernm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housing support projects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by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reation of a social atmosphere.

      • 다문화가족 아동ㆍ청소년의 발달과정 추적을 위한 종단연구 III

        양계민,김승경,김윤영,정소희,이정미,박선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정에 대한 종단적 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정을 탐색하고, 다문화가족 및 비(非)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파악하며,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이 발달과정 및 성장과정에서 일반가정 청소년과 보이는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의 특성에 부합하는 정책지원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네 가지 영역의 세부연구가 진행되었다. 첫째,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양적 패널종단조사를 실시하여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의 발달 특성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였다. 둘째, 양적조사로 파악되지 않는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의 심층적인 심리사회적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질적조사도 실시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과 학부모, 다문화담당 시?도공무원 및 장학사, 현장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 개방형 설문조사, FGI 등의 방법을 통하여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 관련 정책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넷째,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 관련법과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현행 법 및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이 지니는 문제들이 모든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들에게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며, 이러한 문제가 ‘다문화’라는 집단의 특성이 아닌, ‘계층’의 문제임을 시사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들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성장해나가는 과정에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에 따라 운영되는 다양한 지원들은 오히려 그들의 성장과 발달에 불편함과 불쾌감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수요자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 지원으로 인해 효율적이지 못한 예산 및 행정력 낭비가 발생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을 위한 지원정책이 ‘다문화’에 대한 분리가 아닌 통합의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일원화된 추진체계를 통해 효율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수요자의 욕구에 맞는, 실효성 있는 지원정책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investig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versus non-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versus non-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draw appropriate support policies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a longitudinal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four different parts of a study were executed. First, we administered longitudinal and quantitative panel survey, and traced down the developmental path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this, we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al properties and development itself. Second, a qualitative study was also carried out and analysed deep psychosocial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which the quantitative survey was not able to grasp. Third, the study examined needs of policies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adolescents, by the administration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open-ended survey, and focused group interviews to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their parents, public service personnel responsible for multiculturalism, education officers, and field specialists. Fourth, we analyzed current law and policies related to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derived improvements of that laws and polic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blems supposedly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not appeared invariably in all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Those problems implied the matters of class rather tha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groups. In the path by which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growing up with their identification with Koreans, classified supports based on group stereotypes multicultural families may produce negative results such as discomfort and unpleasantness i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Finally, we found that the supports unfulfilling the need could waste the related funds and used administrative forces inefficiently. Therefore, the current study proposed that the support policies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should persue the direction of integration rather than segreg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be administered efficiently with a unified implementation system, and be restructured as support policies that meet the need and create effects.

      • 다문화가족의 미취학 자녀 교육지원방안 연구 -경기도 다문화유치원을 중심으로-

        한승수 ( Han Seungsu ),이승철 ( Lee Seungchul ) 가톨릭대학교 정부혁신생산성연구소 2017 정부와 정책 Vol.9 No.2

        한국사회는 인종적·문화적·민족적 다양성이 공존하는 `다문화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2008년 「다문화 가족지원법」이 제정되면서 다문화가족 구성원을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정하고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제도적으로 지원하였다.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은 초기에는 이주여성의 한국정착에 위한 한국어교육, 통번역 서비스 등 이주여성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최근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은 다문화가족의 자녀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여성가족부가 실시한 `2015년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다문화가족의 신생아 출생은 전국적으로 약 2만명, 경기도 다문화가족의 신생아는 매년 약 5천명, 다문화자녀의 연령별 비율에서 만 5세 이하 자녀는 전체 다문화자녀의 49%로 나타났다. 다문화학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역별, 연도별 증감을 감안하더라도 가까운 미래에는 학령기 학생의 대략 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며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의 미취학 자녀 교육지원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다문화 미취학 자녀에게 가장 직접적이며, 영향력이 큰 다문화유치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다문화유치원은 2015년 5개 시·도, 30개에서 2016년 12개 시·도, 60개로 확대되었으며 2017년에는 17개 시·도, 90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2016년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유치원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6개소로 다문화가족의 자녀가 많은 안산, 안성, 고양, 오산, 수원, 양주 지역의 유치원이 지정되었다.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유치원을 모두 방문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교직원, 학생, 다문화 학부모 3가지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유치원에 대한 5가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 유치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 이해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모국어로 번역 된 자녀교육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다문화유치원의 만족도 조사를 제안한다. 다섯째, 다문화가족 지원기관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Korea is progressing to multicultural society which is sharing backgrounds of race and cultur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MFSA) legislated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and admitted them as members of Korean in 2008. Proto-multicultural policies focused immigrant women such as providing services of education, translation, and so on, but recent policies concentra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y Survey (MFS)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OGEF) in 2015 reported annual total fertilities are about 20,000 (Gyeong-gi is about 5,000) and children of under 5 were 49% of total multicultural children. It implies that multicultural students will reach 5 percent level of total number of students even considered to regional and annual effects. We predict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crucial policy factor in near future. The study selected some multicultural kindergartens and analyzed them for improving pre-school education. Multicultural kindergartens have been gradually increased 30 branches of 5 provinces in 2015 to 60 branches of 12 provinces in 2016, and expected 90 branches of 17 provinces in 2017. Gyeonggi has the largest proportion in multicultural children and 6 cities (Ansan, Anseong, Goyang, Osan, Suwon, and Yangjoo) were declared multicultural kindergarten in 2016. We conducted a focus groups interview(FGI) to all six branches in Gyeonggi province and analyzed three perspective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We identified four main implications answers based on our analysis. First, it needs targeted supporting by considering multicultural kindergarten. Second,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be expanded. Third, providing translated information of education. Forth, it suggests multicultural kindergarten satisfaction survey. fifth, enforcing cooperation with multicultural organizations.

      • KCI등재

        다문화가족 유아의 사회성발달을 위한 누리과정 음악활동에 대한 조사연구

        장혜원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4

        본 연구는 다문화통합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다문화가족 유아의 사회성발달을 위한 누리과정 음악활동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6개의 다문화통합어린이집 담임교사 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9년 2월 25일부터 5월 31일까지 3개월이었다. 그 결과 누리과정 음악활동에서 다문화가족 유아의 사회성발달 목표를 계획하여 중재하는 교사보다 계획하여 중재하지 않는 교사가 조금 많았다. 누리과정 음악활동에서 계획하여 중재 할 수 있는 다문화가족 유아의 사회성발달 목표는 타인과의 상호작용, 자아개념, 자기규제 순이었다. 또래와 함께 즐기기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자신감 나타내기는 자아개념에서, 자율성은 자기규제에서 가장 많이 계획 및 중재할 수 있는 하위목표이었다. 교사가 가장 많이 실행하는 누리과정 음악활동 종류는 노래부르기, 주로 사용하는 음악교육자료는 일반 누리교육과정의 음악활동자료, 가장 큰 어려움은 음악선곡 등 음악적 지식 및 기술의 부족이었다. 다문화가족 유아가 가장 선호하는 음악활동 종류는 음악에 따라 율동하기이었으며 주로 참여하는 음악활동 유형은 일반유아와 함께 참여하는 대그룹 일반음악시간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다문화가족 유아의 사회성발달을 위해 교사가 계획 및 중재할 수 있는 누리과정 음악활동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시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usic activity programs which are currently offered to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ttending multicultural integrated daycare centers to improve their sociality. The study period is 3 months, from February 25 to May 31, 2019. For this study, the database is collected from 82 teachers in 26 multicultural integrated daycare centers in Seoul about plan, intervention, and music activities. Results 1)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more teachers who do not plan on social development goals than teachers who did. 2) The social development main goals that teachers can plan and intervene in Nuri-curriculum music activities to develop the socia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in the order of ‘interaction with others’, ‘self-concept’, and ‘self-regulation’.: The sub-goals of social development which were most frequently provided were ‘enjoying with peers’ in interaction with others, ‘expressing confidence’ in self-concept and ‘autonomy’ in self-regulation. 3) The most informative music educational material for teachers was the ‘Nuri-curriculum’. The difficulty of teacher intervention was lack of professional music skills such as selecting music. Singing was the most frequent teaching method among Nuri-curriculum. However,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preferred 'moving with music' and they participated in a large group of regular music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music activities of the Nuri-curriculum that teachers can plan and intervene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 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서비스에 관한 실태분석

        정상기,정윤수 한국거버넌스학회 201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service in Korea and to provide service suggestions,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MFSC). The analysis has been proceeded from two perspectives, service customer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rvice provider (the multicultural support center). From the service customer perspective, the research result shows several problems which are the low level of access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lack of considering diversity of their demands. From the service provider perspective, it is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reasons to hinder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cultural service. Programs provided in MFSC are not successful in inducing particip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MFSC is not only slow but also incomprehensive in providing relevant services. Furthermore, it does not also have an adequate system of managing follow-up services to th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service directions, providing customer-tailed services,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systematic provision of visiting education services, diversifying program operation. 정부는 다문화가족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사회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관련 법 제정, 관련 조직 신설, 관련 예산 증가 등 다양한 노력을 하였다. 특히 다문화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최일선 전담기관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설치ㆍ지정되어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가족 지원서비스의 실태를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가족 지원서비스의 수요자인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 대상자 측면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기관 측면으로 나누어 다문화가족 지원서비스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 대상자 측면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대한 다문화가족의 접근성이 낮고 지역별 다문화가족의 수요 차이를 차별적으로 고려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제공기관 측면에서는 교육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 참여할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 부족,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적절한 서비스 부족, 서비스의 신속성 결여, 포괄적이지 못한 서비스 제공, 체계적인 사후관리 부족 등이 다문화가족 지원서비스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실태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역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다문화가족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 체계적인 방문교육 서비스 제공,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발전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다문화가족자녀의 교육과 방향

        황경숙,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1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6

        현재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가족은 다양한 형태로 자리 잡고 있으며, 평균 거주기간이 늘어나면서 지속적으 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2018년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다문화가족의 부모는 자녀의 학업, 진학, 진로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학부모 참여 활동 등에 따른 어려움을 겪는 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는 다문화가족의 자녀 비율은 빠르게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재학 비율 감소와 학업 중단의 사유가 증가함이 보고되고 있다, 전체 연령에서 ‘그냥 다니기 싫어서’ 라는 부분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학교생활에 있어 학업과 또래관계가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는 선행연구들에 따라 보이지 않는 차별이나 부적응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 일반 집단은 희망 교육수준을 4년제 이상 대학교나 대학원 이상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은에 반해, 다문화가족의 자녀는 4년제 미만 대학과 고등학교 이하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가정환경과 우리 사회의 경향이 이러한 희망학력 수준에서도 차이가 존재하고, 이러한 격차가 사회계층 격차로 이어져 양극화 현상이 심해질 수 있다. 다문화가족의 자녀는 외국인 부모를 통해 접한 이중언어 능력과 양 국가간의 감각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대롤 주도하는 인재가 될 수 있는 강점이 충분하다. 따라 서 청소년의 요구에 기반을 둔 학습도움과 진로에 기반을 둔 프로그램 지원 등으로 청소년의 다양성을 고려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현행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개정 방향에 관한 연구

        박은경 ( Park Eun Gyoung ) 경성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경성법학 Vol.26 No.-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이 해체된 이후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과 경제적 활동 실태에 대한 질적 조사를 통하여 현행 다문화가족지원법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법률 개정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과 자녀 및 다문화가족 구성의 모두의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혼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터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근무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여, 다문화가족의 존재를 전제로 제정된 현행 다문화가족지원법은 이혼 등으로 다문화가정이 해체된 경우에 가족 구성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개정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다문화사회 구성원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하는 법제적인 배려가 일정한 정도로 갖추어져야 한다. 둘째, 인간다운 삶의 기본적 수단으로서 거주의 안정이 보장될 수 있는 주택정책이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안정적인 수입을 위한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기술교육과 한국어교육 및 정보교육을 받을 수 있는 근거 법률을 체계적으로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다문화가족이 해체된 이후, 어린 자녀들이 양육에 따르는 경제적 부담과 조력자의 부재로 인하여 어머니 또는 아버지의 본국으로 보내어져 성장한 후 다시 한국으로 귀국하여 교육 부적응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이 단순한 차별금지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소수자의 경쟁상 불이익을 인정하여 이들의 사회참여를 위한 일정한 정도의 재정적·법적 지원을 통해 결과적 평등을 의도하려고 노력하여야 하는 정도에까지 도달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current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to be revised so that it can act as a practical support law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divorced marriage 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ork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this, the current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which was establish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multicultural family, can not meet the needs of the family members when the multicultural family is dismantled due to divorce et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a revision of the current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First, there must be legal regulations that can meet the cultural needs of multicultural society members. Second, the housing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as a basic means of human life. Third, there should be grounds for technical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formation education so that they can get a good job for stable income. Ultimately, our country's multicultural policy should reach not only a simple ban on discrimination, but also a degree of social minority's competitive disadvantage, and try to achieve equitable results through a certain level of financial and legal support for their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 강화를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조례 개정 방안 -다문화가족지원법, 경기도와 충청북도, 안산시와 충주시 비교를 중심으로-

        민기채(Kichae Min),고대영(Daeyoung Ko),김은수(Eunsu Kim),이효은(Hyoeun Lee),박은경(Eungyeong Park),박종범(Jongbeom Park),주희지(Heeji Jo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5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관련 상위 법률, 광역단체 조례 및 기초단체 조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 강화를 위한 조례 개정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위 법률인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기초하여, 경기도와 충청북도, 안산시와 충주시의 조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족지원법을 기초로 하여, 경기도, 충청북도, 안산시 지원조례는 다문화가족 의사소통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조항들이 상대적으로 상세하게 규정되어 있는 반면, 충주시 지원조례는 부재한 조항이 많고, 명시된 조항조차도 구체성이 부족하고 모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충주시다문화가족지원조례에서 다문화가족을 위한 통·번역서비스 조항 신설, 통·번역 인력 양성 조항 신설, 다국어 서비스 지원 조항 신설, 한국어 교육 지원 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접근성 조항 강화, 다문화 이해 교육 인력 양성 조항 신설, 이중언어교육 신설이라는 구체적인 조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족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조례 제정 노력이 전국적 범위에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mendment to the ordinance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the upper law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the ordinances of regional organizations, and the ordinances of basic organiz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ordinances of Gyeonggi-do, Chungcheongbuk-do, Ansan-si and Chungju-si, based o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which is a higher law.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Gyeonggi-do, Chungcheongbuk-do, and Ansan-si support ordinances have detailed provisions to address the need for communi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while the Chungju support ordinance has many absent provisions and even the specified provisions. It was lacking in concreteness and vagu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new provisions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new provisions for training interpreter and translation personnel, new provisions for multilingual service support, reinforced provisions for accessibilit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projects, new provisions for fostering human resources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bilingual education A specific provision called new establishment was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fforts to enact ordinances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will spread across the country.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선교를 위한 교회의 역할과 과제

        이성순(Seong Sun Lee)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4 No.-

        국경을 초월한 이주민의 증가와 이질적인 문화권 간의 접촉이 활발해지면서 한 사회 안에서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공존방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다문화사회에 따른 이주민에 대한 지원은 이주민 당사자뿐만 아니라 이주민의 출신국과 관계되는 사안으로 국가별 국가적 차원에서 대응책을 마련 중에 있다. 정부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은 2006년 여성결혼이민자 가족 및 혼혈인 이주자 사회통합지원방안과 교육부의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대책의 수립에서 연원되었다. 다문화가족 지원에 있어 국가의 제도적 지원과 민간단체의 여타의 노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족의 개인의 특성 및 지역의 환경적 특성에 따라 사회서비스의 이용률이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교회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관심과 그들을 교회에서 어떻게 수용해야 하는지 등 코이노니아적 실천방법에 대한 모색을 간과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도 매우 부족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회 내에서 다문화가족을 수용하는 데 있어 전제되어야 하는 점이 무엇인지, 정부와 지자체 혹은 민간단체가 담당하지 못하는 영역이 무엇인지 등 교회의 다문화 선교적 과제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의 다문화사회의 특징과 다문화가족의 거주현황 및 생활실태, 정부와 교회의 다문화가족의 지원실제 등을 살펴보고 교회의 역할과 과제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선교의 패러다임의 전환과 다문화 선교 전문가 양성이 요구되고, 둘째, 편견해소를 위한 문화적 다양성 교육의 실시와 교회학교의 교재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목회적 돌봄과 상담체계의 구축이 요청되고, 넷째, 교회 및 다문화 유관기관과의 목회적 협력 속에서 디아코니아적 실천이 확대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방과 후 교실의 운영과 기독교 대안학교 설립 운영에 대한 제고가 요청된다. Interest in a variety of ways coexistence of peoples and cultures in a society with increasing contacts between cross-border migrants and disparate cultures of migrants has been heightened. Support for migrants in accordance with the multicultural society has provided a response in the country as a national issue that is related to the country of origin of migrants as well as migrants parties. Governmen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was established in the origins of multicultural families educational support measures for immigrant families, women and mixed race migrants social integrational support measur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2006. Thi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nd national institutional support in spite of the efforts of the other, and there was utilization of social services ba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ivate local NGO group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Meanwhile, the church had neglected to seek for such practices should be diahkoniah ever do accept them in the church and concern for multicultural families was also very lack of research on this. In this paper, what point is it required to accommodate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in the church to be investigated whether that point, What areas does not recognize responsibility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o I want to look at the status and living conditions of Korea featur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cluding the actual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church suggestions about the role and tasks of the church. First, mission paradigm is required and migrants mission specialists are required. Second, it should be carried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urch and the development of church school materials. Third, pastoral family care and counseling system build is requested, fourth, get out of enemy action in expanding the diahkoniah in cooperation with churches and related multicultural agencies, and finally it requested a raise for classroom after school, Korean as second schol founded and operated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operat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현황과 함의

        곽미정,전미숙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현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의 정의와 실태 그리고 정책적인 지원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다문화 사회의 패러다임 변화의 국제조류에 따라 우리나라 현 사회의 변화의 동향을 살펴본 것이며,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다문화 정책과 현장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론에서는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의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본론에서는 이를 위한 구성요소인 다문화 가족의 정의와 각종 실태 및 현황 그리고 정책의 지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본 다문화 사회의 고찰에서는 결론적으로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는 우리 사회에서 장기적인 전망과 단계적 전략을 정교화 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우리 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실을 바로 진단하고, 어떤 다문화주의를 적용할 단계인지 지속적으로 논의한 이후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 할 것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문화 사회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책을 주도할 수 없는 환경이기 때문에 정부와 시민 사회 구성이 협력할 수 있는 구조를 고안하여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finition, actual conditions, and political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is examines Korea's changing trends towards multicultural families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paradigm, and based on this, we should suggest the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policies and their reality. For this purpose, we have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n the introduction, and in the main body we look into the definition and various conditions or states as well as political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that, we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the elaboration of long term prospects and phased strategies in our society, which is preparing to embrace multiculturalism.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e suggest that we should first diagnose the reality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then consistently debate what stage of multiculturalism should be applied, and that way we can settle a social agreement. Also, it is true that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government is unable to take the lead in deciding and pushing policies unilaterally. From this fact, we deduce a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ystem in which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can cooperate, and we explore general conditions regarding this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