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프트웨어 교육과 연계한 뉴미디어 아트 교육프로그램 개발

        김시내(Kim, Si Na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1

        뉴미디어 아트 제작 활동에 있어 중요한 도구인 코드와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디지털 미디어의 더 넓은 창의적 잠재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교육과 연계한 뉴미디어 아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자는 프로그래밍을 기초로 하는 새로운 매체의 표현에 필요한 문해력 향상과 뉴미디어 예술의 미학적 측면, 정보 시대에 대한 새로운 미디어 예술의 비판적 참여에 중점을 둔 뉴미디어 아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먼저 이론적으로 스튜디오 사고와 컴퓨팅 사고의 연관성, 디지털 미디어의 제작 및 표현을 위한 창의적 코딩, 사회·정치 및 행동주의적 담론으로서의 비판적 코드 등의 개념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뉴미디어 아트 영역 중 소프트웨어 교육과 연관성을 맺는 코드 아트, 인터랙티브 아트, 사운드 아트, 라이트 아트, 로보틱 아트, 웹아트 등을 소개하고, 제시된 예술가들의 작품과 소프트웨어 교육 과정 등을 반영하여 뉴미디어 아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학생들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뉴미디어 아트 영역에 대해 경험하고, 디지털문화의 영역에서 창의적으로 코드를 사용하여 디지털 매체를 통한 제작 및 표현활동에 참여해 볼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media arts education program in conjunction with software education in order to bring out the wider creative potential of digital media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code and programming which are important tools for new media art production. The researcher has developed a new media art program that focuses on improving code literacy, the aesthetics of new media art, and the critical participation of new media art in the information age based on programming. First, the concep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io think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creative coding for the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digital media, and critical code as a social, political and activism discourse were examined. code art, interactive art, sound art, light art, robotic art, web art, etc. that relate to software education were introduced, and a new media art program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works of artists and software curriculum. Through this program, students will be able to experience various new media art areas, and develop the ability to creatively use codes in the field of digital culture to participate in production and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digital media.

      • KCI등재

        공간디자인 연출 요소로의 뉴미디어 아트에 관한 연구

        우영희 ( Young Hee W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매체를 활용하는 미디어아트의 경우 매체의 기술적 발전과 관련이 있으며, 기술적 발전은 다양한 미디어 아트 연출방식의 도입을 가져왔으며, 또한 대중매체의 기술적 발전의 영향에 따라 뉴미디어아트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게 되었고 기존의 한정적인 공간연출방식에서 탈피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기술적 발전에 따른 뉴미디어아트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뉴미디어아트 작품들의 국내외 사례 분석과 문헌조사를 통해 뉴미디어아트가 공간연출요소로 활용되는 예시와 그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아트의 공간연출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요소의 공감각적인 표현이 공간에 미치는 변화를 이해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발전 방향에 대해 지향되는 바를 제시하고자 한다. 뉴미디어 아트 특성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그의 내용은 첫째, 뉴미디어아트의 이론적 배경과 특성을 살피고 둘째, 문헌조사를 통한 국내 외 뉴미디어아트 현황을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공간디자인 연출요소로의 뉴미디어 아트 연출방법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한 특성의 분류와 새로운 가능성의 제시로 이어진다. 연구를 통해 디지털 기술이 공간과공간 사용자에게 확산되고 공간디자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새로운 형태의 공간디자인 개념을 분석하는 뉴미디어아트의 표현방식과 소통의 구조를 분석하였고, 디지털기술이 공간과 파사드와 공간요소 이미지 창출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media art, the utilization of media still carries a close relationship with its technological development. As 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also driven the development media art .Accordingly, like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on mass media,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art has also changed rapidly and brought about variety of changes with respect to spatial design.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terial and technology, the methods by which media art can be expressed have become limitless; breaking away from the previously restricted spatial design methods has allowed for a diversity in materials and technology design. Articles that approached it at this angle have introduced the concept of new media resulting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n new media art works based off this con media art may resonably be utilized as an element of space production. In this present study, instances where spatial design art works utilizing new media were investigated and through this research, how space’s visual elements of presetation changes the space’s character was also considered. In the utilization of the new media art element of space production chracteristics of fantasies that analyzes how to use than it serves artist’ intention because it is usually focus on the composition of new media art wish to classify.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is fist, new media art of theoretical background and personality of its, be open and second, a literature investigation, through the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and new media art as an element of space production in identifying and finally, as an element of space production, by advanced studies about how new media art in space design in the future of categorizing characteristics, which makes new potential, development. Advanced studies on the above through the digital space be spreading to the use of space and space technology and design fields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in new forms of space design new media art to analyze the concept of digital technology als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way of expression, communication, and the space of the facade and changes in spatial elements image creation possible to make sure that they can know.

      • KCI등재

        뉴미디어아트의 속성과 재매개 이론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양승수 ( Yang Seung-soo ),이원섭 ( Lee Won-sub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0 No.-

        뉴미디어아트는 뉴미디어를 사용한 새로운 형식의 예술작품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뉴미디어아트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제작되었거나 전시된 작품이다. 따라서 그것의 범위는 컴퓨터로 편집된 비디오아트에서부터 컴퓨터로 제작되고 전시되는 웹아트(web art)에까지 이른다. 또한 컴퓨터로 제작된 이미지를 종이에 출력하여 전시하는 작품에서부터 넷아트(net art)라고 불리는 작품까지 뉴미디어아트가 된다.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이론은 뉴 미디어 아트를 계층적, 인지적으로 파악한 최신의 이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오늘날 생산되고 유통되는 뉴미디어아트의 창작방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최근의 뉴미디어아트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는데, 뉴미디어아트의 범주를 크게 추상적 속성, 복제적 속성, 상호작용적 속성으로 나누었다. 또한 뉴미디어아트의 계보적인 연원을 이루는 전통적인 회화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뚜렷한 공통점과 변별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재매개 이론에서 제시하는 비매개, 재매개, 하이퍼매개를 보다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재매개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함과 동시에 그것이 포괄하지 못하는 범위의 한계를 드러냄으로써 보다 확장된 형태의 분석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급변하는 시각문화환경 속에서 뉴미디어아트가 차지하는 위상을 확인함과 동시에 현대예술이 추구하는 대중과의 소통이라는 지평을 넓히기 위함이다. New media art can be defined as a new form of art works using new media. New media art is created or exhibited using computers. Accordingly, the scope of new media art ranges from video arts edited with computers to Web arts created and exhibited using computers. Furthermore, new media art includes images created with computer, printed out on paper and exhibited, and works called net arts. The remediation theory of Bolter and Grusin is one of the latest theories that perceive new media art hierarchically and cognitively.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creation methods of new media arts produced and distributed today based on the remediation theory of Bolter and Grusi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losely examined recent cases of new media arts, categorizing the properties of new media arts into abstraction, reproduction and interaction. In addition, clear common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new media arts and traditional paintings, which are the genealogical origin of new media arts, were identified through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m. This attempt was to clarify immediacy, remediation and hypermedia suggested in the remediation theory. Through this, we tested the validity of the remediation theory, and at the same time, suggested the necessity of an analysis frame in an extended form by revealing the limitation of the scope of the theory. This attempt was to confirm the position of new media arts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visual culture and to expand the horizon of communication with the masses pursued by contemporary arts.

      • KCI등재

        시뮬라크르를 반영한 뉴미디어아트 전시 공간 표현 특성 연구

        최진경,양은지,김개천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Modern art is digitized by changes in the media and shows replicated virtuality. The exhibition space that expresses art through continuous informatization utilizes new media. New media art is a simulacre art of repetition and original copy, which is repeated with art showing particularity based on new media. Today's exhibitions utilize new media art to show virtual reality that is not present, and induce viewers to interactiv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onvey the message of the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new media art exhibition space reflecting simulacre, which is difficult to experience in general exhibition spaces due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new media art. Also, this course examines how to express new media in exhibition spaces and builds on future research on exhibition spaces.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concept of simulacre is examined and three characteristic elements that the researcher thinks are derived. Second, new media art understands the concept in the same way and then derives three elements. Third, we analyze the exhibition spaces selected as examples after deriving four new elements as “transcendence of aura, existence of unreality, interaction of illusion and immersion of fiction” by combining the derive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study how the coupling elements are applied in the case. Immersion of fiction is most clearly seen, and the remaining three elements are identical. Transcendence of aura appears as a virtual copy of the original disappearing and the image of the non-existence of existence of unreality appeared on the digital screen. Interaction of illusion had an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er, the space and the work. Finally, immersion of fiction shows the work technically, allowing viewers to immerse themselves without restriction. In the 21st century, there will be more arts utilizing digitally reproduced virtual new media, and new media art exhibition space will increase. The exhibition space in the future expresses the space in various ways and requires two-way communic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new media art exhibition space design plan and is expected to be used for future exhibition space trends. 현대 예술은 매체의 변화로 디지털화 되며, 복제된 가상성을 보여준다. 계속된 정보화로 인해 예술을 표현하는전시 공간은 뉴미디어를 활용한다. 뉴미디어아트란 새로운 매체를 바탕으로 특수성을 보이는 예술로 반복되는복제, 원본 없는 복제의 시뮬라크르화 된 예술이다. 오늘날의 전시는 뉴미디어아트를 활용해 현실에 없는 가상을 보여주며, 관람자들에게 쌍방향의 상호소통을 유도하고 작품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뉴미디어아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반 전시 공간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시뮬라크르가 반영된 뉴미디어아트 전시 공간 연구이다. 또한, 전시 공간 내에서 뉴미디어의 표현 방법을 알아보고, 향후 전시 공간 연구에 기반을 둔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시뮬라크르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연구자가 생각하는 특징 요소 3가지를 도출한다. 둘째, 뉴미디어아트도 동일한 방법으로 개념을 이해한 후, 요소 3가지를 도출한다. 셋째, 각각 도출한 특성을 결합해 새로운 요소 4가지를 ‘아우라의 초월, 비실재의 현존성, 환영의 상호작용, 허구의 몰입’으로 도출 후사례로 선정한 전시 공간을 분석한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결합 요소가 사례에서 적용된 방식을 연구한다. 허구의 몰입이 가장 명확하게 보이고, 나머지 3개의 요소는 동일하게 드러났다. 아우라의 초월은 원본의 고유함은사라지고 복제된 가상으로 나타나고, 비실재의 현존성은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가 디지털 화면상에 나타났다. 환영의 상호작용은 관람자, 공간 그리고 작품이 쌍방향으로 소통하는 관계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허구의 몰입은작품을 기술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관람자들은 제약 없이 몰입할 수 있었다. 21세기에는 디지털로 복제된 가상의뉴미디어를 활용한 예술이 많아지고, 뉴미디어아트 전시 공간도 증가할 전망이다. 앞으로의 전시 공간은 여러방식으로 공간을 표현하며,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아트 전시 공간디자인 계획에 기반이 되고, 향후 전시 공간 트렌드에 활용을 기대한다.

      • KCI등재

        뉴미디어아트의 경험요소가 이용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여선,안병훈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4

        디지털 패러다임으로 인한 다양한 매체와 기술의 발달은 문화예술산업과 더불어 시대적 인식 변화를 가져 오고 있고 뉴미디어(New Media)의 혁신적 영향은 예술을 경험하는 환경에도 변화를 가속화 하였다. 디지털 환경의 변화로 기술과 예술이 융복합되어 출현하게 되었고, 상호작용과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뉴미디어아트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한다. 국내·외 디지털 패러다임에 관한 사례와 뉴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지속 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도 이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아트에 있어서 경험요소를 정의하고 이용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뉴미디어아트(New Media Art)에 있어서 기존의 경험요소를 이론적 바탕으로 두고 이용동기 요인들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험요소들은 매우 유용한 변수로 적용됨이 검증되었고, 실질적으로 이용동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아트에서 상호작용 특성에 따라 경험자의 이용동기에 관한 경로로 사용된 초기의 연구라는 점을 근간으로 결론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and technologies as a digital paradigm brought about a change in perception of the times along with the culture and art industry, and the innovative influence of new media accelerated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 for experiencing art. Technological and art converge and emerge due to chang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New Media Art centered on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As research on the interac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paradigms and New Media Art continues,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is. In this study, the elements of experience in New Media Art were defined and their effects on motivation to use them were verified. In New Media Art,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existing experience factors and apply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of motiv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factors of experience were applied as very useful variabl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actually affect usage motivation. The conclusion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at it was an early study that was used as a path on the use motives of experienced user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in New Media Art.

      • KCI등재

        뉴미디어 아트 보존에 대한 고찰

        배수빈(Bae, Su bin),한경순(Han, Kyeong s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기술과 예술의 만남으로 이루어진 뉴미디어 아트는 더 이상 낯선 예술이 아니다. 다양한 주제와 표현 방식으로 가상공간을 이용한 작품들이 창출되면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등의 일반 대중이 개입하는 상황을 보여줌으로써 더욱 접근하기 쉬운 예술이 되었다. 또 사회적인 관심도가 높아지고 대중화되면서 개인 컬렉터나 미술관들의 수집 대상이 되고 있다. 첫 번째로 미술관의 지역별 분포를 조사, 그것을 대상으로 뉴미디어 작품의 소장 현황을 파악하고, 뉴미디어 아트에 중점이 되어 있는 전시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연도별 조사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내미술관 소장품 수집 현황을 조사, 뉴미디어 작품의 분포를 분석하고, 더 자세한 뉴미디어 아트의 추세를 살펴보기 위해 국내 미술 기관 중 뉴미디어 작품을 100점 이상 소장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의 연도별 수집 현황을 조사한다. 두 번째로 국외의 미술관 보존환경들을 조사하고, 뉴미디어 아트 보존을 위한 기술적 보존 전략들을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뉴미디어 작품 보존을 위한 기술을 통해 다학제적 접근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 결과, 국내 미술관의 연도별 미술품 수집 현황을 통해 2013년도에 저조하던 뉴미디어 작품수집 비율이 2014년부터 조금씩 증가됨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국내에서 100점 이상의 뉴미디어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의 연도별 수집 현황을 통해 뉴미디어 소장품의 증가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국외미술관들의 경우 변화에 따른 다양한 미술품 수집에 적절한 보존부서를 신설하고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체계적인 환경을 갖추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뉴미디어 관련 연구 프로젝트인 〈가변매체 네크워크〉,〈미디어아트의 문제들〉은 전문적이고 구체화된 보존 연구를 보여준다. 연구 그룹은 다양한 장르의 미디어 작품의 유형을 매체의 성격에 따라 새롭게 분류하여 제시하고, 원래의 매체보다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는 데 기반을 둔 보존 전략을 제안한다. 또한 현장 적용 가능한 사항들에 대해 연구하고 각종 양식들을 공유함으로써 소장, 전시, 대여, 관리 등의 업무가 필요한 미술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 보존 현황 조사와 연구는 국내 뉴미디어 작품의 관리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을 고찰하는 과정이라 볼 수 있으며, 국외의 연구 그룹처럼 국내에도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지속적인 보존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보존 연구에는 보존처리가 이외에도 기술적인 정보를 주고받을 테크니션이나 작가에게 자문을 구할 수 있는 다양하고 조직화된 전문가들의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국내 시스템에 맞는 표준 지침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New media art combined with technology and art is not an unfamiliar art any more. With the creation of works using virtual space based on diverse themes and expression methods, the general public intervened in it such a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o that it has become a more approachable art. Also, owing to the increased social interest and popularization, it was subject to collection for private collectors or art museums. First, after researching the distribution of art museums in each area, it understood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new media art works, and also examined exhibitions focusing on new media art. On top of researching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domestic art museums from 2013 to 2016, and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new media art works, in order to understand more detailed trend of new media art, it researched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Seoul Museum of Art possessing more than 100 new media art works by year out of domestic art institutions. Second, it researched the conservation environment of foreign art museums, and arranged technical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e conservation of new media arts. Lastly, new media works conservation techniques provid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ccording to the result, it confirmed that the rate of artwork collection of new media which was low in 2013 increased a little bit from 2014 through the yearly artwork collection status of domestic art museums. It also confirmed the tendence of increase for new media collections through the yearly status of the National Museum and the Seoul Museum of Art which had new media artworks. In case of overseas’ art museums, they have tried to have systematic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controling new departments suitable for the conservation and 〈Variable media network〉 and 〈MMA〉 which were the new media related research projects showed professional and detailed studies for the conservation. The research group newly classified and suggested a variety of genres of media artwork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s well as the conservation strategies based on finding ways of conserving longer than the original media. In addition, it could be helpful for art museums which needed works of collection, exhibition, rental, and management by studying things which were available to apply at the site and sharing various forms. Therefore, the status research and studies on the conservation of new media could be seen as a process of reviewing systematic ways in the managing environment of domestic new media artworks. It is necessary to discuss about the conservation continuously through forming networks in Korea like research groups in overseas. The research for the conservation requires diversified approaches among technicians or artists that can exchange technical information and diversified and organized specialists that can get consultations. Through the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 guidelines suitable for the domestic system.

      • KCI등재

        중국 회화와 뉴미디어 아트의 적용과 융합 효과

        왕위잉,박명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4

        As new media art became an independent art category, the change in expression style by using new media as a medium for artistic creation also influenced the creation of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s. Starting from the development of the craze of new media art, it is analyzed that new media is widely used for art creation in various categories, and various emerging art styles are emerging. Next, it is considered that new media technology provides more possibilities for artistic creation by intersecting new artistic expression styles and aesthetic changes in art in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creation. At present, the fusion of new media art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creation is still in the stage of constant exploration and innovation, and it has to go through a long process from imitation to reproduction. Artists constantly explore new media art, from reproduction to re-creation, which eventually influenced the creation of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On the other hand, the convergence effect of new media art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creation is not clearly seen in that China has a relatively short history of development of new media art, and the history of overseas new media art schools and the development of art theory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Chinese new media art research. Factors that mak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uncertain due to these influences cannot be predicted, so more practical support is needed.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provide a better artistic thinking and form for the future creation of Chinese painting while experimentally exploring the development trend of Chinese painting under the influence of new media art. 뉴미디어 아트가 하나의 독립적인 예술 카테고리로 자리잡으면서 뉴미디어를 예술 창작의 매개물로 하여 표현 스타일의 변화는 중국 당대 회화 창작에도 영향을 미쳤다. 뉴미디어 아트의 열풍이 발전하는 과정으로부터 출발하여 뉴미디어가 다양한 카테고리의 예술 창작에 널리 활용되어 다양한 신흥 예술 스타일들이 출현하고 있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뉴미디어 기술이 중국 당대 회화 창작에 새로운 예술적 표현 스타일과 예술의 심미적 변화를 서로 교차시켜 더 많은 예술 창작의 가능성을 제공하게 한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현재 뉴미디어 아트와 중국 당대 회화 창작의 융합은 여전히 ​​끊임없는 탐구와 혁신의 단계에 있으며 모방에서 재현에 이르기까지 기나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예술가들은 복제에서부터 재창조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뉴미디어 아트를 탐구하여 마침내 중국 당대 회화 창작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중국의 뉴미디어 아트 발전 역사가 비교적 짧고, 해외 뉴 미디어 아트 유파와 예술 이론의 발전사를 중국의 뉴미디어 아트 연구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뉴미디어 아트와 중국 당대 회화 창작의 융합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발생된 발전 방향을 불확실하게 만드는 요소도 예측할 수 없어 보다 많은 실천적 뒷받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뉴미디어 아트의 영향 아래 있는 중국 회화의 발전 추세를 시험적으로 탐구함과 동시에 향후 중국 회화 창작을 위한 보다 훌륭한 예술적 사고와 형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예술의 미적 개념 변화와 뉴미디어 아트 특성

        송은주 ( Song Eun-joo ),정회경 ( Jung Hoe-ky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3 No.-

        뉴미디어의 등장에 따라, 뉴미디어 아트의 표현 양식과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에도 변화가 초래됐다. 뉴미디어 아트의 매체 형식 변화로 인해 그동안 중심이 되었던 시각적 요소이외에도 청각, 촉각, 참여적 요소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따라서 본 논문은 뉴미디어 아트의 이러한 변화요소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6가지의 뉴미디어 아트 특성을 도출하였다. 즉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의 구현, 네트워크(network) 구조, 촉각성(tactility)을 활용한 다감각, 시각과 청각의 공감각(synesthesia) 표현, 가상공간(virtual-space)을 포함한 공간 확장, 하이퍼미디어(hypermedia)의 복합성 이다. 이러한 각 특성은 독립적 성격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특성 간 연계되어있거나 서로 포괄하기도 한다. 뉴미디어 아트의 특성으로 인해, 사람들은 과거 그림을 감상하던 관람자 입장에서 직접적으로 작품의 인터페이스에 개입하여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사용자 입장으로 전환되었다. 콘텐츠와 관련된 뉴미디어 아트의 형식적 구조도 하이퍼미디어의 특성과 같이 비선형적, 다선형적, 다층적 구조로 변화되어 나타났다. 본 연구의 뉴미디어 아트 특성 파악은 현재의 시점에서 새롭게 변화된 뉴미디어 아트를 규정하고, 과거와의 연계 선상에서 향후 도래될 뉴미디어 아트의 세계를 조망하기 위한 것이다. The style of expression of New media art, that is component parts is changed recently according to new media expansion. Through the changes of media form of new media art, it showed that auditory, tactile, participatory elements besides visual elements. In this study, six new media art characteristics came from analysis of new media works on the following. In other words, realization of interactivity, network structure, multisensory by tactility, synesthesia of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space extension including virtual space, complexity of hypermedia. These characteristics exist, in the art works, not separately, but they are inter-related to and dependant on each other. The audiences, who were passively appreciate the art works, now can participate the production by controlling or even manipulating the interfaces for the interactivity of the art works, due to these innov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rt. The forms of the content have also changed for these new characteristics. They are nonlinear, multidirectional, and multi layered, just as the hyper media. This article defines the new media art from new perspective by characterizing the contemporary media art works, and foresees the new media art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속가능한 뉴미디어아트 전시공간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김소희,김정범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5 No.-

        동시대 예술에서 지속가능성은 실천적 예술로 분류되며 특정 장소에서 이탈하여 하나의 미적 공간으로 환경에 접근하며 과정을 중시하는 비(非)물질화적 전시 경향이 생겼다.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예술은 다양한 매체로 표현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예술에 개입하는 뉴미디어아트도 다양한 장르의 예술을 융합하는 문화현상으로 표현된다. 뉴미디어아트의 전시공간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고 실험하는 장소로써 다양한 디지털 매체와 인터랙티브 장치, 생성형 AI 등을 이용하여 전시를 구현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뉴미디어아트 전시공간이 향후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뉴미디어아트 전시 공간의 전시방식 및 특성은 AI와 같은 프로그램 툴을 통해 관람자 또는 전시 데이터와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작품 등을 전시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대화형 인터랙티브 아트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기술의 융합 및 협업으로 전시 형태가 전시장, 미술관 등의 오프라인 공간에서 벗어나 온라인 공간으로 전시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더불어 뉴미디어아트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예술작품들은 예술과 다른 분야의 융복합을 시도하고 있고, 전시 특성에 맞게 서로 간 상호작용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다양한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뉴미디어아트 작품은 주제와 관람객이 서로 간의 반응에 따라 대화하고 변화하는 시스템을 갖추어 과거 단순히 관람하는 시각적 표현에서 벗어나 청각, 촉감, 후각 등을 사용하는 공감각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뉴미디어아트는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통해 창의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In contemporary art, sustainability is categorized as practical art, with a trend towards non-materialistic exhibitions that prioritize the process and approach the environment as a single aesthetic space by departing from specific locations. In addition, advancements in technology have allowed art to be expressed through various media, including new media art, which utilizes digital technology to intervene in art and represents a cultural phenomenon that blends various genres of art. The exhibition spaces for new media art utilize cutting-edge technology and experimentation, implementing exhibitions using various digital media, interactive devices, generative AI, and more. Through this research, aim to explore how sustainable new media art exhibition spaces will evolve in the future.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exhibi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art spaces include showcasing works that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viewers or exhibition data through program tools such as AI. They also strive for interactive art using cutting-edge technology. Furthermore, through technological integration and collaboration, exhibition formats are expanding from offline spaces like galleries and museums to online spaces. Additionally, sustainable art pieces utilizing new media art attempt to blend art with other fields, promoting mutual interaction and networking in line with exhibition characteristics. New media art using various digital media have systems that enable them to engage with viewers and adapt based on mutual reactions, moving beyond mere visual representation to incorporate sensory elements such as hearing, touch, and smell, displaying empathetic characteristics. Moreover, new media ar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raising awareness about environmental issues and sustainability, as it seeks creative solutions through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logy.

      • KCI등재

        뉴미디어아트,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은 가능할까?

        박신의 ( Shin Eui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웹 2.0 시대 혹은 스마트폰의 출현과 더불어 뉴미디어아트의 산업적 결합과 융합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뉴미디어아트는 과학, 기술, 산업, 인문학 등의 전문가와 협업하는 학제간 연구의 성격을 내재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형태의 산업적 연계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보다 본격적인 논의와 그 가능성을 점검하기 위해 본 논문은 뉴미디어아트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한국형 지원체계를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뉴미디어아트의 다양한 재원 및 수익구조 창출과 관련한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하되, 실제 해외 관련 기관을 방문하고 전문가 및 예술가와의 면접을 통한 경험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뉴미디어아트의 수익 구조 창출의 유형을 국내외 사례를 통해 분류하고,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갖춘 관련 해외 사례를 살펴본 후, 한국에서 가능한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2000년대 후반에 들어 해외 유수의 아트센터나 미디어랩에서도 프로토타입(prototype) 수준에서 뉴미디어아트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더욱이 단순한 이윤 추구가 아닌 인간과 사회적 가치를 구현한다는 의미의 혁신적 접근이 전제된다는 점에서 사업 모델의 새로운 지점이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현실에서 가능한 인큐베이팅 시스템으로 렙 기반 프로젝트와 오픈 리소스 매칭을 통한 프로토타입 개발을 제시하였다. With the advent of web 2.0 and development of smartphones, new media arts has entered into a new era regarding to the convergence of arts and industry. New media arts is closely related to the new form of industry as it is based on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including the professionals in science, technology, business and humanities. For examining the further possibilities, this research seeks to claim the needs of developing business model in new media arts field and suggest the supporting structure for the local art community in South Korea. In this article, the researcher covers literature reviews about financing or creating profits in new media arts studies and investigates individual cases based on the field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from renowned art organizations in foreign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categorized the different types of creating profit structures in new media arts area, discovered the relevant foreign cases of incubating programs, and eventually, suggested a new media arts incubating system which would be possibly applied to Korean local market. Since the late 2000`s, there have been efforts to develop the business model for new media arts in many art centers or media labs and for this reason. In particular, it`s so remarkable condition that the innovative approach must be translated not by simple profit purpose but by a realization of social and human value. As a result,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Korean incubating system can be applied for prototype development through the lab based projects and open resources matching in a creative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