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누수 발생 저수지의 효율적 개보수 방안

        허건 ( Gun Heo ),김현수 ( Hyeonsoo Kim ),박우임 ( Wooim Park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한국 농업용저수지의 약70%는 설치된지 50년이 지난 노후된 상태이며 대부분이 흙으로 이루어진 필댐(Fill Dam)이다. 이러한 필댐은 근본적으로 누수를 완벽히 차단할 수 없으며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누수량의 규모, 누수량의 변화, 누수의 발생위치, 누수 시 토사 동반 여부 등에 따라 제체의 안전여부에 대한 판단은 달라진다. 농업용저수지 1,404지구에 대하여 과거 실시한 개보수 이력 조사 결과, 누수 발생으로 인한 제체보강은 전체의 68%인 959개소에 달하며 이들 누수 발생 제체에 대한 대책으로 그라우팅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누수부위에 그라우팅을 실시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라우트재의 열화 등으로 누수가 재(再)발생하기도 하고 그라우트 재료(시멘트 등)와 기존의 성토재료(흙)와의 강성 차이로 새로운 누수경로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그리고 누수발생 부위가 복통주변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그라우팅 공법으로 보강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누수 발생으로 인한 저수지의 보수 보강 대책을 마련할 시에는 기존의 그라우팅 공법뿐만 아니라 누수부위별, 누수경로별로 구분하여 부위별로 적정하고 보다 경제적이며 항구적인 공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 저수지에 대한 개보수의 효율화를 꾀하고자 누수발생 저수지에 대한 개보수공법으로 기존에 적용하여 오던 그라우팅공법에 추가하여 누수경로 및 누수부위에 따라 제체부, 기초부, 복통부로 구분하여 누수 발생 저수지에 대한 적정 개보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수압기반누수해석에 기반한 상수관망의 누수량 불확실성 분석

        이찬욱,전정석,주진걸,유도근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7

        Continuous leakage and damage of pipes in the water pipe network can cause local ground clearance (sinkhole), therefore, the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are important. The amount of water leakage varies not only with the pressure in the pipe network, but is also affected by the connection characteristics, tube materials, installation conditions, an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water supply network system. Therefore,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estimating and managing the amount of water leakage in the water supply network, especially when they are based only on measured data.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ology to quantify the sensitivity of the parameters used in hydraulic-based leak analysis, for rational leak assessment through hydraulic analysis. The proposed methodology is applied to the representative virtual pipe network, and the variation pattern of leakage amou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efficient is qua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e, to quantify the uncertain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ydraulic pressure and leakage, for estimating a more realistic leakage amount. 상수관망에서의 지속적인 누수와 관 파손 사고는 국부적인 지반함몰(싱크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지하시설물의 안전 및 재난관리에 있어도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누수량은 관망내의 수압에 따라 변화될 뿐 만 아니라, 상수관망 시스템의 연결특성, 관 재질, 매설환경, 그리고 운영조건 등에 영향을 받게된다. 따라서 계측된 자료만을 기반으로 상수관망의 누수량을 추정하고 관리하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해석을 통한 누수량의 합리적인 산정을 위해 수압기반누수해석에 사용되는 매개변수의 민감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을 대표적인 가상관망에 적용하고, 계수의 변화에 따른 누수량의 변화양상을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보다 현실적인 누수량의 산정을 위한 수압-누수량 관계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는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선 누수 탐지 시스템

        최수환(Soo Hwan Choi),엄두섭(Doo Seop Eom) 大韓電子工學會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8 No.3

        상수도 누수 탐지 시스템은 상수관로상의 누수 발생을 탐지하고 누수 위치를 추정하여 그 결과를 관제 서버로 알리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누수 탐지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장비를 들고 이동하면서 누수 발생 탐지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도 느리고 작업자의 경험에 많은 부분을 의존해야 한다. 또한 누수 탐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물 사용이 적은 심야시간에 탐지를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선 누수 탐지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에서 각 누수 탐지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탐지 결과를 주고받으며 이를 통하여 탐지의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정확한 탐지를 위하여 상수도관의 수중음의 특성을 분석하고 누수음을 분리해내는 사전 신호처리 과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누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두 지점에 설치된 누수 탐지 장치의 시간 동기가 매우 중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GPS에서 제공하는 1PPS(1 Pulse Per Second) 신호를 이용하여 정확한 시간 동기를 획득하였다. 본 시스템은 남양주시의 상수관로상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1]. Water leak detection system is a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WSNs) which detect a leak on water supply, localize the leak position and finally inform a water management center. A traditional leak detection method is to use experienced personnel who walk along a pipeline listening to the sound that is generated by the leaks and their effectiveness depend on the experience of the user. Also making more successful detection, it should be processed at middle of the night when people do not use water, as the result users have to operate the leak detection system at midnigh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the water leak detection system based on the WSNs and describe it in detail. Leak detection devices which detect a leakage of water transmit and receive the result of water leak detection with each other by configuring WSNs to improve reliability of the detection result. Also, we analyzed the sound from water flowed in pipeline, proposed the pre-signal processing to separate a leakage sound from noisy sound. And lastly,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make a time synchronization with water leak detection devices that are installed on the pipeline, we used 1PPS(1 Pulse Per Second) signal generated by GPS, therefore we could get a precise time synchronization. The proposed system set up in Namyangju and performances were evaluated.

      • KCI등재

        누수 사고의 보험 보상에 관한 연구

        김현태,이경재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2 동북아법연구 Vol.16 No.1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거주유형 중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 이미 절반을 넘었으며 앞으로도 계속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공동주택에서는 여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건물의 배관 파손에 의한 누수로 아래층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공동주택을 임대한 경우 임대인과 임차인 중 누가 수리비를 부담해야 할 것인지를 두고 다툼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임대차관계에 따라 손해배상책임의 주체가 누구인지, 손해배상의 범위 는 어디까지 인지에 대하여 다루었다. 또 누수 사고는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고, 주변 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고이므로 이를 담보하는 보험상품들이 판매되고 있는데 이런 보험상품에 서 보험회사의 담보책임 유무 및 책임의 범위 등을 살펴보았다. 개인이 거주하는 주택(아파트, 다세대주택 등)은 ‘일상(가족)생활배상책임보험'을 가입하고, 개인주택이 아닌 영업장이나 업무 용 빌딩 등은 '시설소유관리자배상책임보험'을 가입한다. 누수 사고가 발생하면 누수 원인을 탐 지하고, 누수 지점을 수리한 후 아래층의 피해를 복구하는 절차로 수리를 진행한다. 복구 관련 수리비는 누수 지점 수리비와 아래층 피해 세대의 수리비가 발생한다. 아래층의 피해는 제3자에 대한 배상이므로 원상복구가 기준이 된다. 이와 달리 피보험자 자택의 수리비는 보상과 관련하 여 많은 이견이 있고, 보험사마다 보상기준을 달리했었는데 2013년 06월 15일 금융감독원 분쟁 조정위원회에서 누수 지점의 수리비를 원인 제거 비용으로 보아 손해방지비용으로 인정하였다. 법원판결로는 대법원판결은 아직 없고 각 지방법원마다 결론이 다른 판결들이 나오고 있다. 2018년 서울남부지법에서는 누수 지점 수리비를 손해방지비용으로 판결하였고, 2019년 광주지법과 서울동부지법은 손해방지비용이 아니라고 판결하였다. 그리고 2020년 07월 08일, 금융감독 원 분쟁조정위원회의는 피보험자 자택 누수 지점의 수리비를 손해방지비용의 일환으로 지급해 야 함을 재확인하였다. 보험금의 지급은 보험료의 상승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합리적인 지급기준이 있어야 한다. 누 수 지점인 피보험자 자택의 수리는 자기 주택의 노후화로 인한 보수와 구분이 어렵다. 또 상법상 손해방지경감의무는 보험사고가 발생한 이후 생겨나는 의무이므로 그 성격상 자기 주택의 누수 지점의 수리 비용은 손해방지비용에 포함될 수 없으며 법에서 손해방지경감의무를 인정한 취지 와도 거리가 멀다. 최근 건축자재의 고급화 등으로 누수 사고의 수리비가 점차 고액화되어가고 있으며, 누수 지점의 수리비가 피해 세대의 피해액보다도 더 많이 발생하는 예도 많다. 이러한 면에서 원인 제거 비용을 손해방지비용으로 인정하는 것이 취지에 맞는지 사고사례를 기준으로 하여 의견과 함께 약관 개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 그런 부분까지 위험 담보를 하려면 위험을 세분화하여 ‘위험 동질성의 원칙’이나 ‘보험계약자 등의 평등대우의 원칙’에도 부합하도록 별도 의 특약을 개발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계기로 우리 주변에서 많이 발생하는 누수 사고와 관련하여 보험약관의 올바른 해석과 합리적인 보상기준이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housing situation survey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re than half of the housing types in Korea, such as apartments, have already been buil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housing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Multiple accidents can occur in multi-unit dwellings, and in many cases, damage to the lower floors is caused by leaks caused by pipe damage in buildings. By the way, in the case of renting an apartment building, many disputes arise over who is responsible for the cost of repairs between the lessor and the lessee. In this paper, we have been discussed who is responsible for damages according to such a rental relationship, and how far is the scope of compensation. In addition, since leakage accidents are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and occur frequently in our surroundings, insurance products that cover them are sold. For who lives in residential housing (apartments, multi-family houses, etc.) are allowed to subscribe ‘daily (family) life liability insurance’, and for stores or business buildings other than private homes, are applicable for ‘Premised & Operations Liability’. When accident of water leakage occurs, the cause of the leakage is detected and the leakage points are repaired, and finally restoring the damage on the lower floor. Repair costs for restoration include the repair cost of the leak point and the repair cost of the damaged household. Damaged household is applicable for a third party liability, so restoration of original state is the standard. Contrary to this, there were many disagreement regarding the compensation for the repair cost of the insured's home, and each insurance company had different compensation standards. On June 15, 2013,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Dispute Mediation Committee recognized the repair cost of the leak point as the cost of removing the cause and judged it as ‘expenses for fulfilling the Duty to Prevent Loss’. There has not been a Supreme Court decision yet, and each district court has different conclusions about ‘expenses for fulfilling the Duty to Prevent Loss’. In 2018, the Seoul Southern District Court ruled that the cost of repairing the leaking point as ‘sue and labor charges’, and in 2019, the Gwang-ju District Court and the Seoul Eastern District Court ruled that it was not ‘sue and labor charges’. And on July 08, 2020,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Dispute Mediation Committee reconfirmed that the repair cost of the insured's home leak point should be paid as ‘Duty to Prevent Loss’. Since the payment of insurance money is linked to an increase in insurance premiums, there must be a reasonable payment standar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eason of repairing points whether it is caused by deterioration or due to leakage of water. In addition, since the duty to reduce damage to prevent damage under the Commercial Act is an obligation that arises after an insurance accident occurs, the cost of repairing a leak point in one's house cannot be included in the cost of damage preven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log, and it is far from the purpose of acknowledging the duty to reduce damage prevention in the law. Due to the recent advancement of building materials, etc., the repair cost of a leak accident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repair cost at the leak point is higher than the damaged household. In this regard, I wrote opinions based on accident cases whether the ‘Expense for Fulfilling the Duty to Prevent Loss’ can be recognized as the repair cost of the leak point. In addition, in order to guarantee risk to such a level, it is proposed to develop and utilize a special contract terms to subdivide risks and comply with the ‘principle of risk homogeneity’ or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of policyholders’. It is expected that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insurance terms and conditions and reasonable compensation standards will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leakage accidents that occur frequently around us.

      • KCI등재

        책임보험계약상 손해방지비용의 인정 범위에 관한 고찰 -누수사고에 대한 금융감독원 분쟁조정결정을 중심으로-

        조규성(Cho, Gyu Seong)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과기업연구 Vol.11 No.3

        손해방지비용의 인정 범위와 관련된 최근의 분쟁 유형은 아파트나 상가 등과 같은 집합건물에 거주하는 피보험자가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을 가입한 상태에서 누수사고가 발생한 경우 누수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면서 발생한 방수공사비용과 누수탐지비용, 기타수리비용 중의 어느 정도까지를 보험자가 손해방지비용으로 지급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보험자는 손해방지비용의 범위에 대해 피해 확대방지 및 누수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행해진 조치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인정함으로써 대부분의 자택 수리비에 대해 피보험자 본인의 이익을 위해 시공한 공사비이자 예방비용이라고 해석해 손해방지비용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에서 누수와 관련된 손해방지비용의 인정 범위와 관련해서 시의적절한 2건의 조정안을 의결한 바 있어 해당 결정문에 대한 분석은 향후 이와 관련된 분쟁의 해결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제2020-7호의 판단은 피보험자가 누수사고의 발생 후 누수원인을 탐지하고 누수가 발생한 온수배관 분배기를 수리한 행위는 기 발생한 누수사고로 인하여 손해가 늘어나거나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사고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취한 조치로 이는 피보험자가 보험사고로 인한 손해를 방지·경감하기 위해 노력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그에 따른 비용인 수리비는 손해방지비용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제2020-8호의 판단은 상법(제680조 제1항)이나 특약에서 보험계약자나 피보험자에 대해 “손해의 방지와 경감을 위하여 노력하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 노력한 결과로 목적(손해의 방지·경감)을 이룰 것”을 요건으로 하지는 않고 있다. 또한 누수사고에서 손해방지·경감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특약의 보상하는 손해인 배상책임손해를 방지·경감하기 위해 피보험자가 노력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그런데 누수사고와 관련해서 오탐지 비용에 대해서도 비록 그 결과를 볼 때는 실패한 것이지만 누수원인을 찾아내서 누수로 인한 손해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아 손해방지비용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분쟁조정결정은 결론에 있어 타당하며, 해당 분쟁조정사례들을 검토해서 분석하는 것은 금융감독원이 법률 및 약관의 해석과 관련된 분쟁이 생기면 그 의미에 대한 해석을 통해 보험실무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고 있다는 점과 특히 분쟁조정결정은 최근 법원에서 중요한 참고자료로 인용되기도 하고 나아가 보험업계의 실무자들에게도 업무의 지침이 되는 등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끝으로 배상책임보험에서 누수사고와 관련한 손해방지비용의 인정범위에 대한 다툼은 개별 보험약관에서 어떤 비용을 전보의 대상으로 할 것인지를 명확히 해두지 않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손해방지비용은 사고로부터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비용이 아니라 보험사고가 발생한 후에 손해의 방지·경감이라고 하는 인위적 행위의 결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사고와 비용지출 간의 인과관계에 있어 인위적 행위라는 요소가 개입하고 있고, 인과관계의 측면에서 보더라도 사고로부터 직접 유래된 손해가 아니라는 변칙성이 있기 때문에 손해방지비용의 인정기준과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향후 배상책임보험 약관에 누수사고와 관련된 손해방지비용의 범위에 대해서는 이번 분조위 결정문을 참고해서 소비자가 알기 쉽게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약관조항의 표기에 있어서도 정제되고 적확하게 기술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In non-life insurance, the policyholder and the insured shall endeavor to prevent and mitigate loss. Imposing the duty of sue and labour to the policyholder, etc. even after the occurrence of the insured accident is to emphasize the protection of public policy for the aspect that it is beneficial in national economy to prevent occurrence and expansion of damage on the subject matter of insured. And also, it is interpreted that expansion of damage due to negligence of policyholder or insured not to take any action when an insured accident occurs after conclusion of insurance contract brings up a problem of moral hazard and conflicts with the principle of good faith, so the duty of sue and labour is necessary. The expense of sue and labour is amount of expenses necessary or beneficial for the prevention of occurrence of damage caused by the insured accident and for prevention of expansion of damage or for mitigating damage. Even if no result was obtained despite of this effort, it is interpreted that this duty has been fulfilled. In other words, efforts do not guarantee the effect of prevention of occurrence of damage or mitigation of damage. This dispute settlement decision was judged on the scope of recognition of insurer’s sue and labour expense related to the leakage accident under liability insurance contracts. I agree with the conclusion of the dispute settlement decision. In order to resolve disputes related to sue and labour expens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the provisions of policy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by referring to this dispute settlement decision.

      • KCI등재후보

        국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누수 실태 및 주요 누수 부위 조사

        이정훈(Jung-Hun Lee),송제영(Je-Young Song),오상근(Sang-Keun Oh)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6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4 No.4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누수실태를 파악하고, 실제 누수가 가장 빈빈하게 발생되고 있는 주요 누수부위를 파악하여 향후 공동주택 지하부위 누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18개 단지를 대상으로 누수실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외방수를 적용한 전체 80% 단지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내방수를 적용한 단지에서는 전부 누수가 발생되고 있었다. 방수와 관련된 건설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현재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누수 문제는 심각한 수준으로써, 누수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며, 무엇보다 정책적 기준 마련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누수 실태조사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누수가 빈번한 주요 구조부위는 외벽과 최하층 바닥 슬래브이며, 누수 취약부위는 벽체 시공 이음부와 바닥 신축줄눈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향후 해당부위의 누수 예방을 위한 방수 설계지침 및 시공시방 등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This paper studies the leakage situation of domestic residential building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main leakage areas. 18 complexes were studi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80% of buildings with exterior waterproofing had no leakage, but all buildings with interior waterproofing had leakage. According to a survey among professionals, water leakage problems are considered to be severe in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a preventative measure is required by the government. By comparing the survey and the actual situation at h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west floor slab, wall construction joints, and floor expansion joints were the most prone to leakage.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study to develop a design manual for the appropriate prevention of leakage is deemed necessary.

      • KCI등재

        Leakage experiments and applications of leakage detection algorithm in the pilot plan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Kwon, Hyuk Jae 한국수자원학회 201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0 No.9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의 최적 수압모니터링 지점선정 알고리즘과 역추적 계산법을 이용한 누수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파일럿 플랜트에서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먼저 누수탐지를 위한 최적의 모니터링 지점선정을 선정하고 압력계를 설치하여 누수로 인한 압력변위를 측정하였다. 누수탐지를 위한 역추적계산법의 검증을 위하여 누수탐지를 수행하였고 파일럿플랜트에서 실제 재현된 누수의 지점과 누수량을 정확하게 산정하였다. 누수량을 0.0005 m3/s로부터 0.0018 m3/s까지 변화시키며 누수를 재현하였고 누수지점에 근접한 장소를 찾는데 성공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실험을 통해서 누수탐지기법으로 사용된 역추적계산법이 유효함을 검증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lgorithm for the selecting the optimum monitoring location and leakage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back tracing calculation method were developed and verified by the experiments in pilot plan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First of all, optimum monitoring locations were selected and pressure changes were measured due to artificial leakage by pressure gauges in pilot plant. Simulations of leakage detection was performed for the verification of back tracing calculation method as a leakage detection method.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leakage locations and leakage amount were exactly estimated. Various leakage amount from 0.0005 m3/s to 0.0018 m3/s were reproduced and leakage location was detected by back tracing calculation method. It was verified that back tracing calculation method as a leakage detection method is effective.

      • KCI등재

        상수관망 파일럿플랜트에서의 누수실험 및 누수탐지 알고리즘의 적용

        권혁재,Kwon, Hyuk Jae 한국수자원학회 201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0 No.9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의 최적 수압모니터링 지점선정 알고리즘과 역추적 계산법을 이용한 누수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파일럿 플랜트에서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먼저 누수탐지를 위한 최적의 모니터링 지점선정을 선정하고 압력계를 설치하여 누수로 인한 압력변위를 측정하였다. 누수탐지를 위한 역추적계산법의 검증을 위하여 누수탐지를 수행하였고 파일럿플랜트에서 실제 재현된 누수의 지점과 누수량을 정확하게 산정하였다. 누수량을 $0.0005m^3/s$로부터 $0.0018m^3/s$까지 변화시키며 누수를 재현하였고 누수지점에 근접한 장소를 찾는데 성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서 누수탐지기법으로 사용된 역추적계산법이 유효함을 검증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lgorithm for the selecting the optimum monitoring location and leakage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back tracing calculation method were developed and verified by the experiments in pilot plan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First of all, optimum monitoring locations were selected and pressure changes were measured due to artificial leakage by pressure gauges in pilot plant. Simulations of leakage detection was performed for the verification of back tracing calculation method as a leakage detection method.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leakage locations and leakage amount were exactly estimated. Various leakage amount from $0.0005m^3/s$ to $0.0018m^3/s$ were reproduced and leakage location was detected by back tracing calculation method. It was verified that back tracing calculation method as a leakage detection method is effective.

      • KCI등재

        음향방출 및 가속도 신호를 이용한 지하매설 상수도배관의 누수지점 탐지연구

        이영섭,윤동진,정중채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3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3 No.3

        지하매설 상수도 배관의 누수는 사회적, 환경적 그리고 경제적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누수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의 하나로서 배관의 누수지점에 대한 탐지 및 수리가 해당될 것이다. 누수음은 배관의 누수지점의 식별에 좋은 탐지원이다. 비록 청음봉, 층음기 또는 지상마이크로폰과 같은 누수음으로 누수지점을 탐지하는 몇가지의 방법이 있어 왔지만, 그들은 그렇게 효율적인 도구들은 아니었다. 본 논문에서는, 좀 더 쉽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할수도 있는 음향방출센서와 가속도계를 사용한 누수위치탐지를 다룬다. 누수지점 탐지를 위해 센서로 부터의 입력신호에 대한 필터링, 신호처리 및 알고리듬을 기술하였다. 120 미터 길이의 배관이 실험을 위해 설치가 되었고, 실험결과들은 음향방출센서와 가속도계가 누수지점의 정밀탐지에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누수지점의 탐지에 극히 중요한 지하매설배관 속의 유체의 음파 전파속도에 관한 이론적 해석 또한 기술되었다. Leaks in underground pipelines can cause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problems. One of relevant countermeasures against leaks is to find and repair of leak points of the pipes. Leak noise is a good source to identify the location of leak points of the pipelines.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methods to detect the leak location with leak noise, such as listening rods, hydrophones or ground microphones, they have not been so efficient tools. In this paper, acoustic emission(AE) sensors and accelermeters are used to detect leak locations which could provide an easier and more efficient method. Filtering, signal processing and algorithm of raw input data from sensors for the detection of leak location are described. A 120 m-long pipeline system for experiment is installed and the results with the system show that the algorithm with the AE sensors and accelerometers offers accurate pinpointing of leaks. Theoretical analysis of sound wave propagation speed of water in underground pipes, which is critically important in leak locating, is also described.

      • KCI등재

        피해규모를 고려한 용수공급시스템 누수복구 우선순위 선정

        김률,권희근,최영환 한국수자원학회 202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6 No.10

        누수는 용수공급시스템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비정상상황 중 하나이다. 누수는 관로가 매설된 이후부터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 직후부터 즉시 경제적 및 수리학적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적시에 감지하고 탐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시스템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어 이를 빠르게 인지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인지한다 하여도 복구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가용자산이 요구된다. 따라서 다중 누수가 발생할 시 누수규모 및 위치에 따라 복구 우선순위에 대한 우선순위를 선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최적의 복구전략이 도출되어 이를 수행할 시 시스템의 탄력성 측면에 있어 유리함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기반 모의 누수를 발생시켜 비정상상황 시나리오를 구축하였으며 이에 따라 딥러닝 기반 모델로 누수탐사를 수행하였다. 탐사 결과로 얻어지는 누수위치와 누수량은 이 후 누수복구 우선순위를 위한 요소로써 활용되며 타 요소와 함께 최적의 누수복구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Leakag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abnormal condition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WDSs). Leakage can potentially occur and cause immediate economic and hydraulic damage upon occurrence. Therefore, leakage detection is essential, but WDSs are located underground, it is difficult. Moreover, when multiple leakage occurs, it is required to prioritize restoration according to the scale and location of the leakage, applying for an optimal restoration framework can be advantageous in terms of system resilience. In this study, various leakage scenarios were generated based on the WDSs hydraulic model, and leakage detection was carried out containing location and scale using a Deep learning-based model. Finally, the leakage location and scale obtained from the detection results were used as a factor for the priority of leakage restoration, and the results of the priority of leakage restoration were derived. The priority of leakage restoration considered not only hydraulic factors but also socio-economic factors (e.g., leakage scale, important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