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 과소화 정책 지원을 위한 마을단위 인구주택 통계 분석

        임승현(Lim, Seung Hyeon),이근상(Lee, Geun Sa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21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3 No.2

        최근 도시화에 따른 농촌지역의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다. 이에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는 농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대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농촌마을 활성화 대책들은 주로 마을 단위로 계획하고 있으나 농촌마을 경계가 명확하지 않아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에 농촌마을 이장들을 중심으로 조사체계를 구성하였으며 항공정사영상 도면을 활용하여 농촌마을 지도를 구축하였다. 또한 농촌문제를 검토하는데 필요한 인구, 가구, 주택 등 다양한 통계정보도 마을단위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체 조사한 2018년도 통계정보를 비롯하여 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통계청 정보를 통합하여 마을 단위로 다양한 인구주택 통계를 분석하였다. 기본통계 분석을 위해 거주인구, 거주가구, 유소년인구, 경제활동인구, 노인인구, 청년인구, 출산기여성인구, 독거노인가구, 빈집 그리고 노후주택수 등 총 10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마을 단위로 2000년부터 2018년까지의 기본통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라북도 농촌마을의 인구감소, 고령화, 젊은 층의 인구유출 그리고 빈집 증가로 인해 농촌 과소화 문제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라북도 농촌마을의 경계지도 제작 및 기본통계정보 분석 결과는 농촌 고령화 등 농촌지역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Recently,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in rural areas due to urbanization are at a serious level, and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preparing various measures to revitalize rural villages. These measures are mainly planned for each village, but the boundaries of rural villages are not clear, making it difficult to implement the project. In this study, a survey system was constructed around the heads of rural villages in 2018, and a map of rural villages was constructed using aerial orthomosaic images. In addition, various statistical information, such as population, households, and housing, necessary to review rural issues, was also investigated at the village level. By integrating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2000 to 2015, including statistical information for 2018, which was self-examined, the demographic and housing statistics were analyzed for each village. For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a total of 10 items were selected, including the resident population, residential households, youth populatio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elderly population, youth population, female childbirth population,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vacant homes, and the number of retired hom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basic statistics from 2000 to 2018 at the village level,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 of rural depopulation is increasing significantly due to the population decline, aging population, outflow of young people, and the increase of vacant homes in rural villages in Jeollabuk-do. We would expect that the results of making village maps and basic statistical information in rural areas of Jeollabuk-do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to solve problems in rural areas such as rural aging.

      • KCI등재

        지자체 농촌마을 공동급식의 실태와 과제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박경철(Park, Kyong Cheol) 한국농촌사회학회 2020 農村社會 Vol.30 No.1

        농촌마을의 과소 · 고령화의 심화로 인해 마을 공동급식(공동식사)의 필요성이 높아가고 있다. 더욱이 이 사업의 긍정적인 효과로 인해 일부 지자체는 2012년부터 농번기에 한해 농촌마을 공동급식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지역주민의 호응으로 전남도, 충남도 등 타 지자체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농촌마을 공동급식은 급식지원 인력, 운영 자금의 부족, 식사 관리 등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마을의 과소 · 고령화로 점점 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농촌마을 공동급식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특히 농사일과 가사 노동이라는 이중의 부담을 앉고 있는 여성농민의 가사 부담을 경감시켜주고 고령농가의 고립과 음식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현재 실시되고 있는 농촌마을 공동급식 지원 사업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해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결론적으로 농촌마을 공동급식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자체가 농촌마을 공동급식 사업을 주민의 복지 증진 차원에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기간도 농번기에서 다른 시기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지자체가 농촌마을 공동급식을 공공급식의 영역으로 확대하고 이를 꾸준히 지원할 필요가 있다. Due to the population reduction and aging of rural villages, the need for community meals is increasing. In addition, due to the positive effects of this project, some local governments began the community meal support project in rural village in 2012. Since then, it has been spreading to other local governments such as Jeonnam-do and Chungnam-do due to the response of local residents. However, village meals (community meals) suffer from various problems such as lack of meal management manpower, lack of operating funds, lack of meal meal management skill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ommunity meals in rural village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in the situation of losing vitality due to the aging and reduction of population in rural villages of Chungchengnam-do. In particular, the community meal support programs in rural villages by many local governments have been implementing to alleviate the double burden of women farmers who are burdened with farming and household work, to solve the problems of isolation and food imbalances of older farmers, and to contribute to the community activities. In this background, we identified the problem and found ways to activate it. In conclusion, in order to revitalize community meals in the rural village, the local government needs to expand the rural village common meal project in order to improve the welfare of the residents, and the period needs to be expanded from the agricultural season to another period. Above all, it is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s to expand the rural village community meals to the area of public meals and continue to support them.

      • KCI등재

        농촌관광마을에서 갈등이 마을 운영성과와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민간 갈등을 중심으로

        김보미,이응진 동북아관광학회 2010 동북아관광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의 운영에서 농촌관광사업의 성패를 좌우하고, 농촌의 지속적인 발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농촌 사회가 붕괴될 우려까지 내재하고 있는 주민간 갈등문제를 파악하였다. 주민간 갈등문제의 발생 대비와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나아가 농촌관광마을의 지속적인 운영과 농촌관광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분석결과, 농촌관광마을의 주민간 갈등 중 공동체의식 요인은 마을운영성과와 마을분위기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농촌관광마을의 주민간 갈등 중 상호의존성 요인은 마을운영성과와 마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을운영성과는 마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갈등요인 중 공동체의식은 마을운영성과와 마을분위기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갈등요인으로 작용하여, 높은 공동체의식을 지닌 마을주민들은 성공적인 마을운영성과를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이 크고 이러한 현상은 마을분위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를 위해 주민간 갈등유형, 갈등변수 등과의 추가적인 관계분석이 필요하고, 농촌관광마을에서의 주민간 갈등원인에 대한 명확하고 다양한 척도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더욱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연구 결과가 필요하다는 과제가 남아있다

      • KCI등재

        농촌의 에너지마을과 일반마을의 색채 현황 분석

        김은자,한채원,김상범,임창수,박미정,권순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3

        농촌경관을 아름답게 가꾸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여전히 농촌마을에는 자연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대규모 시설, 주택 등의 원색계열 외장색채로 인해 자연환경과의 부조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촌의 급진적인 발전에 의하여 신재생에너지사업이 실시되며 지붕과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판으로 인해 농촌의 색채경관이 변화되어 점점 정체성이 상실되고 있는 상황이다. 무분별한 색채 사용과 시설들은 지역의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천편일률적인 형태로 분포하여 모든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마을의 색채를 유형별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먼저 농촌마을을 입지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색채관리대상요소를 농촌마을 및 경관색채 관련연구 30건을 분석하여 자연환경요소(12)와 인공환경요소(20)를 도출하였다. 조사지역은 신재생에너지사업이 실시된 마을과 실시되지 않은 일반마을로 선정하여 총 6곳의 색채현황을 시감측색·사진측색법으로 근경·중경·원경에 따라 촬영하였다. 조사된 사진을 한국표준색 색채분석프로그램(KCSA)을 사용하여 색채 분포 그래프를 작성하고, 마을 유형별로 자연환경요소와 조화될 수 있는 색채계획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의 광범위한 농촌경관 색채계획이 아닌 마을의 입지유형별로 신재생에너지사업이 실시된 마을과 실시되지 않은 일반마을 색채계획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People are making efforts multilaterally to create agricultural landscape beautifully. Still in farming villages, however, large-scale facilities or houses are disharmonized with natural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outer colors, mostly primary colors, not considering natural environment. Also, along with dramatic development in farming area, new renewable energy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and agricultural color landscape is being changed with solar panels installed in roofs and rooftops. Thoughtless color use and similar forms of facilities distributed not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make every farming village equipped with similar color landsca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colors used in farming villages and figure out ways to improve them. First of all, this author divided farming villages by their location and analyzed 30 studies on farming villages and landscape colors regarding the factors of color management to draw natural environment factors (12) and artificial environment factors (20). As regions for research, total six places, villages where new renewable energy projects were carried out and those not,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status of colors. They were photographed through visual colorimetry and photo colorimetry by their close, medium, and distant-range views. With the photos analyzed, this author prepares color distribution graphs based on KCSA and suggests color plans to make villages harmonized with the factors of natural environment by their types. This can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applicable to village color plans for those carrying out new renewable energy projects and those not by their location, not the agricultural landscape color plans broadly applied before.

      • 홍천강 자원을 활용한 농촌테마마을의 개발 방안

        안승우 ( Seung Woo Ahn ),송아영 ( A Young Song ),용지현 ( Ji Hyun Yong ),김기성 ( Ki-su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고령화, 인구감소, 도시와의 소득격차 등 농촌이 안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마을, 권역, 읍면 등 생활권에 따른 특화된 농촌지역개발사업을 통하여 농촌지역의 생활환경의 개선과 대외 경쟁력 강화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 최근 들어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급부상하고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농촌지역의 농촌전통자원을 활용한 녹색관광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농촌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 변화와 여가기회의 증대로 새로운 다양한 여가기회를 요구하는 도시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농촌지역의 개발을 통한 농촌테마마을 조성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를 통해 농촌지역은 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하여 관광자원으로 발전시키고 새로운 소득을 창출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마을 전설이나 전통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마을자원을 이용한 특색 있는 먹거리, 숙박시설, 마을홈페이지 구축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마을의 인구 분포와 설문분석 등을 통한 마을 간의 긍정 비교 분석 결과, 동일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마을사업 조차 마을발전 정도와 마을이 추구하는 마을발전방향과 주민들의 참여도가 모두 다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천강 주변지역의 노일리, 개야리, 마곡리 3개마을의 주민들의 인식과 마을 자원 등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마을발전에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농촌마을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농촌마을이 가진 다양한 자원을 발굴, 활용하여 마을별로 특색 있고 다양성이 확보된 공간으로 발전해 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의식조사 연구

        구원회,백민호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3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유사 유형의 재난으로 반복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농촌지역에 재난안 전마을을 구축하기 위해 전문가 및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 담당자 의식조사를 통해 구축방 향을 검토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농촌지역의 재난 위험성을 살펴보고 마을단위의 대책 중 면단위의 대책인 재난안전마을에 대한 개념 및 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의견조사와 재난안전 및 마을만들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마을 구축 방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에서 지방자치단체 담당자 의견을 살펴보면 농촌지역은 폭설, 태 풍, 호우 등의 풍수해와 산불에 의한 위험성이 높다고 응답하였고 농민의 주 업무로 인해 재난관리활동의 자발적인 참여가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개선대책에는 농촌지역 주민 의 지원 및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전문가의 의견을 살펴보면 재 난안전마을 사업의 문제점은 단발성 공모사업 위주로 사업이 지속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애로사항은 중앙, 지자체, 주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적 절한 예산확보방안은 정부, 지자체, 주민이 함께 추진해야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업추진체 계 방향은 중앙정부, 지자체, 주민이 함께 추진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유형 및 특성을 고려한 재난안전마을 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및 운영 시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마을 조성 기금까지 활용할 수 있는 예산확보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농 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 후 지속적으로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재공인제도 등 장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농촌지역 주민이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세부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where damage from a similar type of disaster occurs repeatedly by conducting the consciousness survey targeting at experts and disaster safety officials in a local government. Method: The risks of disaster in rural areas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isaster safety village which is a measure on the basis of Myeon (township) among the measures of village unit were examined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In addition, opinion polling targeting at officials-in-charge in the local government and survey targeting at experts in disaster safety and building village were conducted. Based on the findings, th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that fitted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were examined. Result: The officials-in-charge in the local government answered that rural areas have a high risk of storm and flood such as heavy snowing, typhoon, drought, and heavy rain as well as forest fire, and it is difficult to draw voluntary participation of farmers for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due to their main duties. They also replied that active support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rural areas are necessary for future improvement measures. The experts mostly replied that the problem of disaster safety village project is a temporary project which has low sustainability, and the lack of connection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was stressed out as the difficulties. They said that measures to secure the budget and the directions of project promotion system should be promo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togeth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isaster safety village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aster types and characteristics. Second, measures to secure the budget for utilizing the central government fund as well as local government fund and village development fund should be prepared when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Third, measures to utilize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the re-authorization system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continuously operate and manage such villages after its establishment. Fourth, detailed measures that allow residents of rural areas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for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영주시 농촌문화마을 주거 특성에 관한 연구 : 장수, 봉현, 이산 농촌문화마을을 중심으로

        황용운,신재윤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3

        도시의 공간구조 확대와 농촌지역에 인접한 신도시의 아파트 건축으로 인하여 농촌주택은 도시형 주택들과 혼재되면서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이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농촌주택의 형태와 문화마을의 주택형태에 관한 자료제공과 미래 문화마을의 주택 형태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영주시에 위치하고 있는 3개의 문화마을이며, 직접 면접조사와 설문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가구는 65호이며 12호는 설문에 응하지 않아 제외하였다. 연구결과는 대부분 거주자는 도시의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였고, 높은 학력을 가진 거주자들은 도시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넓은 대지, 자연, 그리고 가족의 생활 사이클의 담을 수 있기 때문에 문화마을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행복지수의 경우 문화마을 주택에 거주하기 전 도시의 아파트에 생활한 경험이 있는 거주자가 다른 주택형태에 거주한 거주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문화마을의 주택들은 농촌주택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농촌주택에서 볼 수 있는 박공지붕과 같은 단순한 형태가 아닌 다양한 형태와 입면의 당양한 창문형태 그리고 다양한 건축재료를 사용하고 있어 2000년 이전의 문화마을주택들과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농촌 체험마을 성공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친환경 관광 창업 현황과 성공요인 분석

        심상오(Shim, Sang-Oh),박경배(Park, Kyung-Bae),신동선(Shin, Dong-Seon)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3 No.1

        주 5일제 정착과 교통의 발달, 도시민들의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갈망 등으로 빠른 속도로 성장한 농촌관광은 정부의 많은 지원에 비해 체계적이지 않은 사업추진으로 인해 마을에 갈등을 유발 시키고 농촌마을에 혼란만 가중되었으며 실질적으로 투입된 시간과 노력, 자금에 비해 그 성공사 례는 드물게 나타났다. 따라서 철저한 계획이 수반되지 않는 지역 경쟁적인 농촌체험마을의 난립으로 효과적인 농촌관광 창업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농촌관광의 동향과 적절한 농촌체험 마을 성공모델 제시를 통해 농촌관광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려 하였으며 그세부 내용으로는 농촌체험마을 분야에서 성공사례로 분류할 수 있는 7곳을 선정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성공할 수 있었던 공통적인 요인을 도출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된 공통적 시간 단계별 성공요인은 첫째, 혁신적 마을리더의 존재, 둘째,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한 체험 인프라 구축, 셋째, 리더의 봉사와 청렴, 그리고 주민을 대상으로 한교육과 화합, 넷째, 차별화된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다섯째, 친환경적인 어메니티의 활용, 여섯째, 마케팅과 컴퓨터의 활용, 그리고 마지막으로 농촌체험마을 경영체의 조직전환 등이다. 이러한 7가 지의 성공요인 외에도 농촌마을을 성공시킬 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하는 2가지 외부적 환경적인 요소를 발굴하였는데, 그것은 도시지역과의 접근성과 마을 주변의 관광자원의 유무이다. 이를 통해 확인된 내외부적인 요인들을 토대로 농촌체험마을 성공모델을 수립하였다. Green tourism is growing drastically since the five-day work week has become common, a better transportation is developed and people are interested in healthy food. Therefore, a lot of fund for green villages are supported strategically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to develop green tourism. However, most of these green villages are considered as premature so far due to the lack of preparation or conflict caused in the villages. Recently, to mature green tourism, studies on effective green tourism are addressed. This study also figures out the trend of green tourism and finds a way of the appropriate success model for green villages. The seven common factors on the successful green villages are derived from the research on several village cases, i.e., seven successful cases. These factors suggested in this research might be seven important steps to make green villages successful, i.e. i)innovative leader of the rural village ii)building infra for rural experiences by public funding iii)devotion and integrity of the leader and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mmunity about green tourism iv)the differentiated experience program v)utilizing eco-amenities vi)marketing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vii)establishing corporate body for green tourism. In addition to those seven factors, two external environment variables are found to influence the success green villages, that is, distance to metropolitan area and tourist attraction. Therefore, with thes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success model for the green village is devised.

      • 농촌어메니티를 활용한 박물관 교육콘텐츠 활성화 방안

        김형준 한국박물관교육학회 2009 박물관교육연구 Vol.- No.3

        WTO 출범과 FTA로 인하여 농촌은 힘들어하고 있다. 현재 농촌에서는 대외소득 기반 향상을 위해 농촌체험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농촌체험마을은 많은 문제 점 가지고 있다. 그중 국가지원 체험마을 중 가장 활발하게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농 촌전통테마마을 사업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순히 농촌체험마을에 대해 연구가 아니라, 박물관이 참여한 새로운 형태의 체험마을을 운 영하고자 하는 것을 다룬 연구이다. 현재 농촌전통테마마을을 비롯하여 국가지원 체 험마을들은 전국적으로 비슷한 주제로 운영되고 있고, 또한 체험프로그램 운영, 마을 주민간의 갈등 등의 비슷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고자 박물관이 농촌체험마을과 연계하여 현재의 운영 체계가 아닌 박물관이 참여하는 농촌체험마을 을 운영하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 예시로 들은 농촌전통테마마을은 농촌진흥청 에서 주관기관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협력 기관으로 시군 농업기술 유관기관, 체험마 을이 3자간의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마을을 중심으로 농촌진흥 청 및 협력기관은 하드웨어적인 성격(시설, 예산 지원 등), 박물관은 소프트웨어적인 성격(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운영 방안 등)을 제안 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단순히 박물관이 중심이 되는 체험 교육을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 라 농촌의 어메니티를 활용하여 마을이 중심이되 박물관과 협조 하여 서로 상생하는 효과를 가지자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는 실제 국립민속박물관의 “박물관과 함께 하는 민속마을여행”이라는 체험마 을 교육프로그램을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모형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농촌진흥청의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지정된 강원도 인제 군의 냇강마을을 사례를 들어 박물관의 전문성을 통해 체험마을을 운영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새로운 모형은 박물관 뿐만 아니라 시군 관청이 직접 마을을 지원해 주면서 체험마을을 문화상품 및 관광자원화하는 시켜야 할 것을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박물관은 체험마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시 반드시 그 지역의 어메니 티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소도읍 지역의 자원기반 관광활성화 방안 :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허중욱 동북아관광학회 2011 동북아관광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소도읍 지역인 농산촌 지역의 자원기반 관광마을인 농촌전통테마마을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마을과 정부는 정주인구가 한정된 지역에 재원을 투입하여 농촌 전통테마마을과 같은 농촌관광마을을 형성하는 이유는 환경변화에 따른 농촌의 생존력을 확보하고 도시와 농촌간의 교류를 촉진하는데 있다. 농촌전통테마마을을 통한 소도읍 지역의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첫째, 농촌전통테마마을의 관광활성화를 위해서는 마을의 핵심 주제에 대하여 명확한 정체성을 부여하는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둘째, 농촌전통테마마을의 관광활성화를 위해서는 마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및 가격에 대한 인증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농촌관광이 지향하는 바는 1차, 2차, 3차 산업이 공존하는 것으로 농촌전통테마마을 방문객이 구매할 수 있는 마을의 유형재 명품을 생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농촌전통테마마을의 성공적 육성을 위해서는 마을 내부 인력을 육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농촌전통테마마을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내부 구성원의 소통과 이해를 통한 내부 동력을 확보하는 것과 지역의 정체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지역은 지역의 가치, 지역의 정체성, 지역의 미래와 행복을 가져올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야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