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사증후군 노인과 골다공증을 동반한 대사증후군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비교

        김은숙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3차 년도(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노인과 골다공증을 동반한 대사증후군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2차 자료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대사증후군 노인 639명, 골다공증을 동반한 대사증후군 노인 161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은 복합표본 Rao-Scott χ²검정, 일반선형 모형 t-검정 및 회귀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노인의 삶의 질 저하 요인은 연령, 배우자 동거, 근력운동, 주관적 건강 상태, 활동제한, 체질량지수 및 우울이었으며 설명력은 50.4%였다(F=515.96, p<.001). 골다공증을 동반한 대사증후군 노 인에서는 연령,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 및 스트레스가 삶의 질 저하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48.6%였다(F=10.42, p<.001). 이 결과를 토대로 골다공증 동반 대사증후군 노인에게는 건강상태에 대한 긍정적 수용, 도구적‧사회적지지 및 돌봄 지원을 통한 활동제한 문제 해결 및 스트레스 감소 관리를 위한 집중적이고 공격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study that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etabolic syndrome and the elderly with metabolic syndrome with osteoporosis using data from the 7th year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8).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39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161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with osteoporosis. For data analysis, the composite sample Rao-Scott χ² test, general linear model t-test, and regression model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s that lowered the quality of life of metabolic syndrome were age, cohabitation, strength training, subjective health status, activity restriction,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50.4% (F=515.96, p<.001). In metabolic syndrome with osteoporosis, age, subjective health status, activity restriction, and stress were the factors that lowered the quality of life,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8.6% (F=10.42, p<.001).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an intensive multidisciplinary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etabolic syndrome accompanied by osteoporosis to solve the problem of activity restrictions and manage stress reduction through positive acceptance of health status, instrumental and social support, and caring support.

      • 노인학대사례개입에서 피해노인의 안전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호정,송영신,이미진,백민소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 연구는 노인학대사례에서 피해노인의 안전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학대사례개입의 실천적 · 정책적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8년 6월 11일부터 7월 10일까지 각 지역 노인보호전문기관 사례집을 통해 연구목적에 맞는 사례를 유의표집한 후, 해당기관에게 사례일지를 요청하고 IRB 승인을 받은 질문지를 활용하여 10명의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5개 기관)을 대상으로 13개의 노인학대사례에 대해 심층개별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집된 13개의 노인학대사례 중 자기방임유형사례 2개를 제외한 11개의 노인학대사례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분석방법은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안전이 확보되지 못한 사례에서 피해노인의 성격 및 행동과 피해노인과 학대행위자간 상호관계 양상이 더 복합적이고 부정적으로 도출되었으며 안전이 확보된 사례에서만 유관기관의 적극적 대응과 협조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피해노인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사례개입에 대한 실천적 ·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남녀 독거노인들의 우울 위험요인 비교연구

        김혜령 ( Hye Ryoung Kim ) 대한보건협회 2014 대한보건연구 Vol.40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우울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 가운데 여성독거노인 1,462명과 남성독거노인 28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우울 유병률은 여성독거노인 35.0%, 남성독거노인이 34.9%로 차이가 없었다. 우울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여성독거노인은 국민기초생활수급 대상이 아닌 노인에 비해서 수급 대상인 노인, 친인척·친구와 매일 접촉하는 노인에 비해서 매일 접촉하지 않는 노인, 진단받은 질병이 없는 노인에 비해서 세 개 이상의 질병을 진단받은 노인, 6-8시간 수면을 취하는 노인에 비해서 6시간미만의 수면을 취하는 노인, 쉬지 않고 열 계단을 오를 때 전혀 힘들지 않는 노인에 비해서 약간, 매우 힘들거나 전혀 불가능한 노인에서 우울 발생이 높았다. 이에 비해 남성독거노인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노인을 기준으로 했을 때,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가진 노인, 읍면부에 거주하는 노인에 비해 동부에 거주하는 노인, 자가 주택을 소유한 노인에 비해서 월세 주택에 거주하는 노인, 진단받은 질병이 없는 노인에 비해서 세 개 이상의 질병을 진단받은 노인이 우울의 고위험인구로 추정되었다. 진단받은 질병 수와 BMI는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 노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기초국민생활보장 수급 여부, 친인척·친구 매일 접촉 여부, 수면시간, 쉬지 않고 열 계단 오르기는 여성독거노인에서만, 교육수준, 거주지역, 주택소유는 남성독거노인에서만 우울 유병률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우울 위험요인은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가 한국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우울 위험요인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독거노인 우울 고위험인구 관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among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in Korea. Methods: A total of 1,462 of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from 2011 Report on the Korean National Older Adults Life Survey were selected. Results: There is no difference in prevalence of depression between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Depression was more prevalent as the elderly female living alone who have received basic livelihood support; in the elderly female who contacted with relatives or friends less than everyday; as the elderly female with 3 and more of diagnosed diseases; in the elderly female who slept less than 6 hours; as the elderly female who can hardly climb stairs without respite. Depression of the elderly male living alone was affected by lower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s; home ownership, diagnosed diseases, and BMI. Conclusion: The finding of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between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is expected to promote the differentiated strategy for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at risk of depression in Korea.

      • KCI등재후보

        근로노인의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적 요인

        박강석,강순희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7 직업과 자격 연구 Vol.6 No.1

        Among the rapid aging progress, a lot of Korea's elderly have been shown poor, despite the longest and oldest working.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limit to access the poverty problem of the elderly by the welfare through work policy away from the traditional welfare policy. This paper, from this point of view, analyzed the voc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poverty of the working elderly. Using the raw data of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we carried out discriminant analysis targeting the 361 elderly wage workers and the 423 elderly non-wage work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vocational impact factors on poverty were, in the case of the elderly wage workers, wage level, industry, company type, full-time or part-time, job type, number of job changes, and in the case of non-wage workers, most of them were the self-employed, income, number of job changes, number of employee, business registration. It indicates that the major cause of poverty of the working elderly are low wages of poor quality work, employment instability, such as non-regular workers, frequent workplace change in the case of wage workers, and low income and business instability derived from the small-scale of the self-employed in the case of non-wage workers. For poverty elimination of the working elderly, it needs to guarantee the proper labor income exit from a job offer, and strengthen preventive working poor policies such as a personalized job service. 유래 없이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노인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 일을 함에도 불구하고 가난한 노인 또한 매우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전통적 복지정책에서 벗어나 일을 통한 복지정책으로 노인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일을 하고 있는 근로노인을 대상으로 근로와 관련된 요인, 즉 직업적 요인 가운데 어떠한 특성들이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패널조사의 1∼12년간의 직업력 자료를 활용하여 임금근로노인 361명과 비임금 근로노인 423명을 대상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임금근로노인의 경우 임금수준, 업종, 기업형태, 정규직 여부, 직종, 일자리 횟수의 순으로, 비임금근로노인의 경우 소득액, 일자리 횟수, 종업원유무, 사업자 등록 여부의 순서로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금근로의 경우 저임금의 질 낮은 일자리, 비정규직 등 고용불안정, 잦은 직장이동, 비임금근로의 경우 자영업의 영세성에서 비롯된 소득과 사업의 불안정성이 근로노인의 빈곤의 주된 원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노인빈곤문제의 해소를 위해서는 단순한 일자리 제공에서 벗어나 적정 실질소득 보장을 통한 근로빈곤 노인의 빈곤탈출과 더불어 근로노인의 적정소득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개인맞춤형 일자리 제공 등 예방적 근로빈곤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인학대 사례 분석을 통하여 본 노인학대와 가정폭력 문제

        김혜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Elder abuse is prominent public health issue but still under-studied. Especially, it has been increasing numbers of residents of elder abuse protection shelters while lack of research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detailed abusive experiences among victims of elder ab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ir abusive experiences that include abuse types and whether having domestic violence issues or not in elder abuse cases. To attain information in details, this study examined the cases in elder abuse protective shelters by using national report of elder abuse protective shelters in 2015. The various types of elder abuse were described such as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neglect, financial exploitation, and self-neglect. In many cases, multiple abuse types occurred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Most majority of perpetrators of domestic violence was from the male spouse. from the son Also long term abusive experiences from the domestic violence in the decades were reported.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need of collaborative efforts between elder abuse protection systems and domestic violence protection systems in order to prevent elder abuse in the community. Based on the findings, future intervention directions and prevention strategies in the community level were addressed. 노인학대는 지속적인 사회문제였으나, 최근에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법적 장치와 예방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서비스 체계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이 중의 하나가 노인학대 피해자를 위한 쉼터의 운영이다. 노인 학대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쉼터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학대 경험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노인학대의 경우 대부분이 가정에서 발생하고 가해자도 가족인 경우가 다수이다. 노인학대에서 가정폭력의 문제를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학대피해노인쉼터 입소자 사례를 활용하여 이들의 학대경험과 가정폭력 문제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국 16개 쉼터에서 보고된 42개의 사례 중 노인학대 피해자 관련 사례가 아닌 경우를 제외하고 39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성별 분포는 여자 노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학대 피해 양상은 다양하고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수의 사례에서 중복학대와 장기간에 걸친 가정폭력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다수의 사례에서 가정폭력 가해자는 배우자, 아들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에서 노인학대와 가정폭력 예방이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노인학대 예방에서 가정폭력 문제에 대한 이해는 치료를 위한 개입의 방향과 전략을 고안하는데 기여할 뿐 아니라 쉼터 퇴소 이후 이들의 보호역량을 높이고, 주변의 자원의 구축 등에 대한 개입 전략을 세워 학대 피해의 재발 방지를 도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요양병원과 노인성 질환

        이대희(Dae Hie Lee),이재숙(Jai Sook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2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3 No.4

        2008년 7월부터 노인 장기 요양 보험제도가 시행되었으며, 2009년 5월 21일 노인 장기 요양 보험법개정, 법률 제9693호가 제정되었고, 2011년 12월 8일 시행, 노인장기요양보험법[법률 제10785호, 2011-6-7 타법 개정]이 또 다시 개정 작업이 이루어져 오늘에 이른다. 그리고 2012년 2월 5일 시행, 법률 제11013호, 치매 관리법이 규정되었다. 이러한 법률적 배경과 더불어 현재의 요양 병원에 관한 질환 및 치료 대책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요양 병원에 입원하는 대상 환자는 법률적으로 한정되어 있다. 보건복지부 시행 규칙에 의거하여 만성 질환, 노인성 질환 및 수술 후 회복을 필요로 하는 상태에 국한된다. 실제 요양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들의 대부분은 노인 환자들이며, 노인성 질환으로 인해 입원을 필요로 하는 상태이고, 만성병 환자나 혹은 외과 수술 후 회복을 위해 입원하는 경우도 노인환자에서 발생한 경우들이며, 이들의 대부분은 치매, 뇌졸중 및 파킨슨병 등 신경과 질환 환자들이다. 결과적으로 요양병원에서는 노인 환자들을 위한 병원이며, 만성적인 신경과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병원인 셈이다. 그리고 장기 요양 보험법에 의거한 등급 판정과는 상관성이 없다고 하지만, 요양원과 연계됨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노인 문제와 더불어 노인성 질환, 특히 신경계 질환을 다루는 병원으로서 노인 신경과학의 관점을 도입해야만 한다. In 2008, it was incompletely set up the long term care system in Korea. Whereafter the act for long term care insurance was officially announced in Nov. 2011 and the act for dementia, Dementia Management Act, was drafted in Feb. 2012. In Korea health care system and public welfare system are slowly and step by step changed and improved. It make efforts to promote the welfare of the people, but is not provide good benefits for geriatric patients. In long term care center, there are so many elderly patients suffering from the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strokes, dementias and Parkinsonism. Moreover, the neurological diseases have combined with multiple chronic diseases or geriatric problems (ex, gait and balance disorders, decreased nutritional status, constipation, depression, sleep disturbances, urinary incontinence, or joint pain). Principally, specialists including with neurologists or geriatric physicians are involved in these cases. In practice we are concerned about the special care plans of neurology and geriatric medicine in long term care center.

      • 노인자살에 대한 고찰

        황영아 ( Young A Hwang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14 성경과 상담 Vol.13 No.-

        노인 자살율은 1997년에 1,174에서 2003년 한 해 동안은 65세 이상 노인 2,760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2004년에는 61세 이상 노인 자살자가 4,220명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sup>*</sup> 따르면“2008년에는 4,364명, 2009년에는 5,051명으로 증가하였으며 65세 이상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은 국제사회에서 자살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일본보다 두 배 이상 높았고 노인자살자수는 전체 자살자 수의 32.8%를 차지하는 심각성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sup>**</sup> 이처럼 증가하고 있는 노인자살 문제는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될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자살 문제는 개인적인 생명을 훼손하는 것과 개인의 삶이 질의 문제에도 영향이 있겠지만 이러한 자살의 증가는 그 가족과 공동체의 파괴를 가져오며 더 나아가 사회의 통합을 헤치게 된다. 이처럼 증가하는 노인자살에 대하여 개인과 우리사회,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다각적인 노력과 대책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노인자살문제 대한 다양한 연구가 더 확장되고 전개되어서 여러 가지 대책과 방안들이 노인자살예방에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the advance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medicine, preventing human illnesses and prolonging the average lifespan. In South Korea, one in ten people are over the age of 65. Especially after 2010, the reason behind the rapid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that around the world, baby boomers entered old age.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hich announced the `Aged population statistics of 2007` in celebration of Senior Citizens Day, the elderly population outlook is such that in 2016 the elderly population will supersede the under-14-years-old juvenile population. In 2026 South Korea will see an increase in its elderly population with two in ten people being elderly, resulting in the elderly population reaching 20.8%, becoming a super aging society. South Korea is experiencing unparalleled speedy aging,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any other country around the world. The various elderly problems generated by an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is no longer a personal or family matter but acknowledged as a societal and national matter. The author counseled elderly people who were more susceptible to suicide, narrowed down based upon thoughts of suicide and suicidal tendency tests,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reasons they had behind suicidal thoughts.

      • KCI등재

        노인 주야간보호시설 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박성준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Korean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provide the conveniences to care geriatric illness such as dementia and stroke. The medical welfare facility categorizes elderly care facilities, nursing homes, and geriatrics hospitals based on the Korean welfare of the aged act. The government makes an effort to secure feed rate and finances of medical welfare facilities. Howeve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facilities is inadequ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ditions and problems of existing facilities using an environmental evaluation and to discuss the improvement direction related to the daycare centers for the elderl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Firstly, we analyzed the previous studies to develop the tool, evaluating the environment of day care centers for the old. Secondly, the items of environmental evaluation are deduced. Thirdly, we select the facilities to conduct field survey and analyze the results of field survey. Lastly, We discuss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the results. It is judged that this study is an useful as the basic guideline to strengthen the minimum legal standards of da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due to the suggestion of insufficient environmental evaluation items. 우리나라 노인의료복지시설은 치매 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한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전문병원으로 분류하여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정부는 치매 환자의 급증이라는 측면에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공급량과 재원 확보에 힘쓰고 있지만,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질적 개선 측면은 미흡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환경 개선을 위해 노인요양시설 중 노인주간보호시설의 환경평가를 통해 기존의 시설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분석과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첫째, 주간보호시설 환경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한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주간보호시설의 환경평가도구를 도출한다. 셋째, 현장 조사 대상지를 선정하여 환경 평가도구로 조사 및 분석을 한다. 넷째, 분석결과를 통해 기존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노인주간보호시설의 공간 별로 미흡하거나 보완해야 하는 환경 평가 항목들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최소 법적 기준들을 강화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노인범죄 출소자의 사회복귀 지원 방안

        양혜경 한국교정학회 2021 矯正硏究 Vol.31 No.1

        노인범죄자는 수용시설에서 그들의 연령층에 적절한 재사회화 학습과정을 충분히 거치지 못한 채 사회로 복귀하게 된다. 다시 말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현대 사회 의 새로운 규범이나 질서, 가치, 행동, 지식, 기술 등의 습득을 미처 학습하지 못한 채 사회로 진입하게 된다는 것이다. 근래 우리나라 노인범죄 재범률 증가는 노인범죄자의 출소 후 당면하는 생계 문제 와 사회적 환경에 대한 직간접적 불만의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즉 노인 출소자의 사회복귀 실패요인으로서 사회 내 편견으로 인한 심리적 위축, 경제활동 제 약, 건강 문제 등 복합적 문제가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노인출소자에게 절실한 노후문제 대책은 출소자 개인의 인권뿐만 아니라 우 리사회의 질서와 사회적 공존 확립이라는 가치를 이루는 데도 의미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출소자의 안정적인 사회생활을 위한 보호복지 대책을 모색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노인범죄 출소자의 보호복지 대책으로서 노인수용자 및 노인출소자의 심리 정서적 문제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보호복지사업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노인출소자의 재범 경로 과정 을 설명하였고, 특별처우 대상자 관점에서 공공체계와 민간체계의 연계 지원 체계를 제시하여 보호복지서비스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Elderly criminals tend to return to the society from prisons without receiving re-socialization learning process suitable to their ages. In other words, they enter the society without sufficiently learning new norms, order, values, behaviors, knowledge, and techniqu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Recently, the re-offending rate among old-age ex-prisoners has increased. The phenomenon may b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with their hard livelihood they face after being released from prison, and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ir social conditions. That is, they fail to be normal citizens because of various reasons such as psychological shrinkage to social prejudice against them, limits in social activities, and health problems. Finding solutions on such problems of elderly ex-prisoners are not only important in the respect of their human rights, but are meaningful in the aspect of social order and social co-existence. This study examined psychological, emotional problems of old-age prisoners and ex-prisoners as welfare measures, and protective welfare projects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protective welfare measures to elderly ex-prisoners to help them enjoy stable social lives. To fulfill the research aim, this study explained the re-offending path they tend to fall into, and suggested a supportive system to which the public system and the private system are linked in the respect of special treatment objec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welfare service. It is the way to prevent them from succumbing to repetition of crimes.

      • KCI등재후보

        노인보호구역 설치로 인한 노인들의 보행환경 의식 비교 - 울산광역시 시립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

        박문오 ( Park Moon-oh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2 교통안전연구 Vol.31 No.-

        고령화 사회로의 급격한 진입과 더불어 노인 보행자를 배려한 여러 가지 교통정책이 시행되고 있고, 그 중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노인보호구역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어린이보호구역을 답습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설치 역사가 짧아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보호구역 설치 여부가 노인보행자들의 주변 보행환경에 대한 의식에 차이를 가져왔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노인보호구역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노인보호구역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지역의 복지관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대조군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두 지역 노인 보행자들의 의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횡단보도 신호시간의 부족이나 보행 시 사고위험도에 관한 질문 등에서 노인보호구역 설치의 효과가 일정부분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노인보호구역 설치로 인한 주변 보행환경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그 곳을 통과하는 차량들의 행동은 크게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노인보행자 교통사고의 원인에 대한 의식 분석 결과 노인보호구역 설치가 노인들의 교통사고 내적귀인(Internal Attribution)을 높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지역 노인들의 경우 주거지 주변과 복지관 주변의 의식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다섯째, 노인보행자 교통사고 원인을 묻는 질문에서 안전시설물의 부족, 차량들의 난폭운전, 사고 운전자에 대한 약한 처벌 등 법제도의 미흡과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한 평가에서는 노인보호구역 노인과 일반지역 노인들 간 의식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노인보호구역 사업 시 운전자의 난폭운전을 통제할 수 있는 시설과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