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버스 노선망 설계를 위한 평가모형 개발

        한종학,이승재,김종형 대한교통학회 2005 대한교통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버스 노선망 설계 과정에서 다양한 평가지표의 정량적 산출이 가능하고 관련 주체들의 입장과 시각을 반영할 수 있는 버스 노선체계 평가모형(BTRAEM: Bus Transit Route Analysis & Evaluation Model)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대도시 버스 노선망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고 노선체계를 새롭게 정비하는데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평가지표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자료기반의 미흡과 노선망 분석체계 알고리즘의 한계로 계획가의 직관이나 경험에 의존하거나 교통수요분석 프로그램(EMME/2)에 기반하여 평가지표를 산출하여 노선망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이 연구에서는 평가모형의 정립을 위해서 국외의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의 개발추이를 검토하고, 평가모형에 적용할 버스 노선망 설계 문제의 목적함수와 제약조건을 정의하였다. 또한 평가모형의 구동을 위해서 요구되는 입출력자료구조와 정량화된 평가지표자료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버스 이용자들의 대중교통 노선선택 및 통행배분모형을 평가모형내에 반영하였다.Visual-C++로 구현된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을 Mandl's Transit Network에 적용한 결과, 노선망 구조의 성능을 특징짓는 변수들에 대한 의미있는 결과값이 도출되었다. 향후 이 연구에서 개발된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은 다양한 버스 노선망 대안에 대해서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입장과 시각을 균형 있게 반영할 수 있고 다양한 목표를 조화시킬 수 있는 평가가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Bus Transit Route Analysis and Evaluation Model that can product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measures for a Bus Transit Route Network Design.So far, in Korea, there are no so many models that evaluate a variety of other performance measures or service quality that are of concern to both the transit users and operator because of lower-level bus database system and transit route network analysis algorithm's limit.The BTRAEM in this research differ from the previous approach in that the BTRAEM employs a multiple path transit trip assignment model that explicitly considers the transfer and different travel time after boarding. And we develop input-output data structur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measure for the BTRAEM.In the numerical experimental applying BTRAEM to Mandl transit network, We got the meaningful results on performance measure of bus transit route network. In the future, we expect BTRAEM to give a good solution in real transit network.

      • KCI등재

        불확실한 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의사결정행태 연구

        조혜진,김강수 대한교통학회 2003 대한교통학회지 Vol.21 No.1

        This paper explores the way and the extent to which drivers' route choice was influenced by uncertain inform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qualitative information on route choice when drivers face a choice with different degrees of uncertain information. The SP survey was conducted and route choice logit models were estimated. We also applied Prospect Theory to the analysis of drivers'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 information. The main findings are firstly, drivers tend to prefer a route with information than(to) one without information. This indicated that providing charge information encouraged drivers to choose the routes for which information is provided in preference to those for which it is not provided. Secondly, drivers also prefer a route with a certain and precise infor- mation over one with uncertain and imprecise information. Thirdly, when the information is given as a range, the size of the range of the information influenced route choice slightly and as the range of the charge increases, the route becomes slightly less unattractive. Fourthly, when the information is given as a range, drivers' route choices are influenced more by the median value of the ranges than by the size of the overall ranges of the information. Application of Prospect Theory to the results explains the way drivers may be interpreting the choice situation and how they make a route choice in response to uncertain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paper implicate that drivers'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seem to be very complicated and flexible, depending on the way drivers interpret the choice situa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pply wider related theories to the analysis of the drivers' behaviour. 교통정보의 정확도는 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반응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교통상황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교통정보는 불확실성을 내재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많은 관련 연구에서는 정확한 정보와 그에 대한 운전자의 신뢰를 가정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불확실한 정보가 운전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선선택에서 불확실한 통행료 정보의 선택상황을 가정해 SP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행료 정보의 불확실정도를 정량화 하기 위해 범위값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확률효용이론(Random Utility Theory)이 설명하지 못하는 불확실한 정보가 노선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Prospect Theory를 적용하여 정보의 불확실성에 따른 운전자의 노선선택행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운전자는 정보가 주어진 노선을 정보가 주어지지 않는 노선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자는 확실한 정보를 선호해 노선선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의 불확실정도가 증가하면서(범위값이 증가하면서) 노선의 선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범위값으로 제공된 정보에 대해서는 범위값의 크기와 더불어서 중위값도 운전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에 Prospect Theory를 적용한 결과, 불확실한 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의사결정은 선택상황을 이해하고 평가하여 변형, 재형하는 일련의 과정에 따라서 다양한 행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불확실한 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의사결정을 분석할 때는 운전자가 선택상황을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하고 융통성 있게 접근해야 한다. 본 논문은 Prospect Theory의 기본 개념과 의사결정단계에 따른 원칙만을 적용하였으나 향후 불확실한 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행태를 설명할 수 있는 좀 더 상세한 분석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의 이론이 적용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소비자 선택기반의 항공사 노선경쟁력 모형개발 연구

        윤문길 ( Moon-gil Yoon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7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5 No.3

        우리나라 국제선 항공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국적 항공사의 수익성은 저비용 항공사를 제외하고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항공시장에서의 수익성 확보는 항공사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필수적 요소지만, 최근 수년간 국제선 시장의 성장추세에 비하여 국적항공사의 성장 추세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항공시장에서의 성장은 항공사의 경쟁력에 의해 견인됨으로, 항공사의 경쟁력에 대한 적절한 분석과 평가가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항공사 경쟁력 평가를 항공사의 효율성 분석 또는 생산성 분석등의 연구를 통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 같은 연구는 항공사 조직 전체의 포괄적 성과에 대한 분석으로, 각 노선에서의 경쟁력 평가에는 적절하지 못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경쟁력을 개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노선경쟁력을 대상으로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노선경쟁력이 소비자의 선택에 의해 나타나는 것임으로 소비자 선택을 고려한 노선경쟁력 모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항공사의 공급경쟁력과 항공사 특성경쟁력으로 분해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항공사의 현재의 경쟁력 입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향후 노선경쟁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2010년~2015년의 여객수송 실적을 이용한 실증분석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을 통해 노선경쟁력을 분석하는 데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항공사 노선경쟁력 분석 모형이 고객선택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항공사 경쟁력 분석과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향후의 연구에서는 항공사 특성경쟁력을 가격, 서비스 품질, 고객관계관리등의 세부적인 속성으로 세분하여 분석함으로써 항공사 특성경쟁력에 미치는 각 속성의 영향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연구에 효과적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irline market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for past several years in Korea. However, even the market volume is enlarged, the legacy carrier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re financial profitability excepting low cost carriers. The profitability will be driven by the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s. With literature review, we can find many researches dealing with competitiveness in airline industry. However, most of them has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efficiency or/and productivity among airlines. In this paper, we focus to develop a model for evaluating market competitiveness of each airlines in airline market. The market competitiveness can be divided into two attributes; supply and airline self competitiveness. Using customer choice model, we suggest a new model for analyzing market competitiveness of airlines. From empirical analysis with historical data, we can find that our model will be good to evaluate the market competitiveness of each airline in each route or each regional market. Furthermore, it can be useful to drive some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each airline. Even we have tried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arket competitiveness model in airline markets, our model may be expandable to further study effectively.

      • KCI등재

        자전거전용도로의 통학목적 이용특성에 대한 실증 연구

        박하나(Park, Hana),김영석(Kim Youngsuk),양승우(Yang, Seung-W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학목적의 자전거 전용도로 이용특성을 밝히는 것이며, 서울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산분석과 통학도로와 자전거 전용도로의 이용률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전거를 통학 수단으로 선택하는 이유는 보도, 버스 등 다른 통학수단과 비교하여 빠르고, 편리하기 때문이었다. 둘째, 자전거 통학 노선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자전거 전용도로의 설치 유무, 통행시간의 최소화 가능성 그리고 젓돌의 위험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자전거를 오래 타면 탈수록 사고나 젓돌의 위험에 대하여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전거 도로 설치 시 고려해야 되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된다. 셋째, 집에서 학교까지 자전거 통학권역은 1.6㎞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자전거 노선 선택 특성 분석을 종합하면, 자전거 전용도로의 설치는 자전거 통학노선의 선택으로 바로 이어지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통학로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설치해야 활용도가 높아지며, 보행자와의 젓돌이나 장애물이 많은 경우에는 선택되지 않았다. 또한 아무리 자전거 전용도로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우회하는 노선은 거의 선택되지 않았고, 방향을 바꾸는 수를 최소화 하는 노선을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iking to school on the exclusive bike lanes through the survey to high school in Seoul.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in reasons that students use a bike to school are because it is faster and more convenient than bus and walking. Second, the study shows that the installation of exclusive bike lanes influences the bike route choice most, and the possibility of minimizing the time and the safety from the crash with pedestrians, obstacles, cars. The longer it is to bike to school, the more seriously students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llisions or accidents. Third, the catchment area of biking to school is 1.6㎞. Forth, the characteristics of route selection indicates that creating an exclusive bike lanes along the school routes often used by students can lead to maximizing its utility. Bike lanes are not chosen in case of the higher possibility of collisions with pedestrians, obstacles, cars, and the detour route. Also students tend to choose the bike routes in order to avoid excessive turns.

      • KCI등재

        제주노선 항공여객의 항공사 선택속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강재민 ( Jae-min Kang ),박용화 ( Yong-hwa Park ),임철현 ( Cheol-hyun Lim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7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5 No.5

        본 연구는 제주노선을 이용하는 여객 및 노선 자체의 특성과 제주노선의 경제적, 사회적 여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공항을 출발하여 국내 타 공항으로 여행하는 만 20세 이상의 내국인 항공여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계절성을 고려하여 1차, 2차 설문조사를 다른 시기에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과 일원 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일원 분산분석을 통한 결과에 따르면 여행목적, 여행일수, 그리고 여행자들의 연령에 따라 항공사 선택속성의 중요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의 항공사 선택속성 중에서 안전운항, 항공운임, 승무원 친절성, 정시 출·도착, 예약의 용이성 등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응답하였다. 항공여객을 특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항공요금’, ‘정시 출발·도착’, ‘예약의 용이성’, ‘예약 확인의 신속성’, ‘안내 방송의 정확성’ 등에서 각 속성별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항공사들은 ‘항공기의 안전운항’에 더욱 집중하고 ‘보다 저렴한 항공운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항공사의 역량을 전략적으로 재편함과 동시에 항공기 운항의 정시성 확보와 예약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의 개선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분석되었다. 또한 항공사 선택 속성의 중요도에 있어서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에 주지하여, 항공사들은 자사를 주로 이용하는 여객들의 연령을 파악하고 각 연령대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내용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고려해야 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Jeju air passengers and did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Jeju air rout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surveys on passengers over 20 years of age, except airline employees, on Jeju air routes. Specifically, the surveys were based on departing flights from Jeju airport(CJU) to other domestic airports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irlines. The surveys had been conducted for the different dates to consider seasonality.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had been perform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flight safety, ticket price, cabin crew kindness, on-time departure and arrival, and reservation convenience ranked higher than the other factors of consumer preferences. Howev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ssengers,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airfare, competent reservation system, reservation convenience, speedy reservation confirm, and accuracy of information. As a result, airlines must make all-out efforts to provide ‘safe flight’ and ‘low airfare’ to passengers. It is also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lot of efforts into improving on-time aircraft operations and enhancing the reservation related servic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by age, and it will be necessary to identify the age of the major passengers and provide tailored customer service to those attributes.

      • KCI등재

        SSA를 이용한 지하철 노선 Chain OD 구축 및 활용

        이미영,남두희 한국ITS학회 2019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8 No.5

        기존의 선별역사분석(SSA)은 특정 역사를 통행하는 개별승객의 기종점간 연계통행수단정보를 미시적으로 분석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지하철 노선과 같은 거시적이고 통합적인 분석방안으로 기존 SSA를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개별승객의 지하철 통행의 경로탐색을 통하여 노선연계OD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우선 승객이 이용한 연계통행수단에서 지하철 통행에 대하여 통행경로를 탐색하고 이를 SSA의 노선분석에 적용하는 개념을 제안한다. 이 개념은 기존 SSA에 비하여 개별승객의 완전한 통행경로정보가 특정역사에서존재하기 때문에 역사를 통과하는 노선과 노선에 포함된 역사의 상반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역사에 대하여 접근하는 노선연계OD를 통합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허용된다. 개념적이해를 위하여 서울메트로9호선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통하여 특정역사를 중심으로 노선연계OD의 통합적 구축개념과 노선에 포함된 역사로 접근하는 통행의 거시적 특성을 시연한다. The existing selected station analysis (SSA) method analyzes the link transfer mode data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of individuals passing through stations from a microscopic standpoint. As such, existing SSA is insufficient as it uses integrated analysis using macroscopic data such as subway lines. This research builds a line chain OD based on path search of individual passenger’s movement through the subway, and explores means to utilize the findings. First, a method is proposed that searches the traversed subway path from the linked passage modes that the passenger uses and applies the results to SSA line analysis. Compared to the existing SSA, this method provides for analysis of commonly conflicting features such as the line on which the station is passed, and the stations included on the line thanks to the presence of complete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passenger’s traversed path. It also allows for integrated observation of the line chain OD that approaches a certain station. For enhanced understanding, Seoul Metro Line 9 is used as a case study to demonstrate the integrated formulation concept of line chain OD centered around a certain station as well as the macroscopic features of the traversed path that approaches stations included on the line.

      • KCI등재
      • KCI등재

        신교통수단 건설사업에 있어 환승을 반영한 교통수요 예측기법

        김익기,한근수,방형준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복합대중교통체계 하에서 환승을 명확하게 반영하면서 신교통수단의 수요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분석방법은 통행특성별로 그룹을 나누어 각 그룹별로 별도의 적합한 교통수요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좀 더 현실적인 교통수요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신교통수단만 이용하는 통행수요(신교통수단 노선구간 내 통행), 신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출발하거나 도착하는 통행수요(신교통수단 노선구간 내-외부 통행), 신교통수단의 노선을 통과하는 통행수요(신교통수단 노선구간 통과 통행)로 구분하여 통행의 특성별로 적합한 교통수요분석방법을 별도로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신교통수단 정책과 같이 승용차에서 대중교통으로의 수단 전환이 가능한 정책 분석에서 사업 시행시와 사업 미시행시 간의 수단별 O/D 값에 차이가 있을 때에도 동일한 지표에 의해 일관된 정책평가 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통행시간 편익산출 방법도 제안하였다. The study suggested a demand forecasting method which explicitly reflects transfer between various transport modes especially related light rail transit project with multi-modal transit system. The suggested method classifies several groups depending on characteristic of trips and applies different demand model for each group to explain travel pattern more realistically. More specifically, the trips was classified by trips within the LRT route, trips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LRT route, and through trips via the LRT route. The study also suggested a evaluation measurement of time saving due to the LRT construction, which are consistent along with the do-case and the do-nothing-case even though some mode shift could be happen after introducing the LR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2013 한반도 위기: 북한 시선으로 해석하기

        김근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4 평화학연구 Vol.15 No.3

        The explanation of the “2013 Korean Peninsula Crisis” by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tists based on Western theories present fundamental limitations. North Korea is a unique country but at the same time displays some consistencies, wherein the application of Western theories becomes problematic. As an alternative, the strategic analysis of North Korea from its standpoint is an effort to analyze the strategic motives and objectives of rising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North Korea’s own claims and explanations. The official statements and documents revealed by North Korea in 2012 suggest the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in 2013 can be explained as a transition from changes in its foreign policy and nuclear strategy. Unlike in the past, North Korea is moving away from its security dependence on the United States and economic dependence on South Korea and is seeking more aggressive and proactive strategies toward these two countries. Similarly,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is making a qualitative transition from the pursuit of autonomous nuclear deterrence capability to becoming a full‐fledged nuclear state. The Kim Jong Un regime has secured logical legitimacy of bolstering its nuclear capabilities in order to fully immerse in economic reconstruction through the promotion of parallel policy of economy and nuclear development and it is persistent in the peace regime negotiation-the legal mechanism that ensures regime recognition and security guarantee. Thus, the strategic analysis of North Korea from the North Korea’s own standpoint will allow for an unfeigne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and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s strategies. In addition, it will lay an important groundwork for the establishment of a feasible and viable policy towards North Korea. 현재 국제정치학자들의 서구의 위기조성 이론과 국제정치 이론을 통한 북한발 ‘2013 한반도 위기’설명은 근본적인 한계를 보이고 있다. 북한은 서구 이론의 적용이 불가능한 특수성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상당한 일관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 대안인 북한의 ‘시선’에 따른 북한의 전략 분석은 한반도 긴장고조를 주도한 전략적 의도와 목적을 북한 스스로의 주장과 설명에 근거해 분석하는 작업이다. 2012년 북한의 공식 주장과 입장을 그들의 자료를 통해 분석해보면, 2013 한반도 위기는 북한의 대외전략 변화와 핵전략의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설명 가능하다. 북한은 과거와 달리 대미 안보의존과 대남 경제의존에서 벗어나 보다 공세적이고 적극적인 대미 대남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핵전략도 기존의 자위적 핵억지력을 넘어 공세적 핵보유국으로 질적 전환을 꾀하고 있다. 김정은 체제는 이른바 병진노선을 통해 핵무장을 이유로 더욱 경제건설에 매진할 수 있는 논리적 정당성을 확보했고 체제인정과 안전보장의 법적 장치로서 평화체제 협상을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북한의 시선에 따른 북한의 전략 분석은 있는 그대로의 북한을 파악케 하며, 북한의 전략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고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현실에서 작동가능하고, 실현가능한 대북정책의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