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湖南 性理學의 전개와 특징

        박학래(Park Hak-Rae) 한국국학진흥원 2006 국학연구 Vol.9 No.-

        본 논문은 19세기 호남 성리학에 대해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과 노사학파蘆沙學派를 중심으로 그 학문 활동과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조선성리학의 흐름 속에서 호남 지역은 기호나 영남과 비교하여 독자적인 학맥이나 학파, 그리고 학풍이 수립되지 않았던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19세기에 접어들어 호남 성리학은 기정진을 종장으로 하는 노사학파, 전우田愚를 종장으로 하는 간재학파艮齋學派 그리고 다수의 연재학파淵齋學派 문인과 화서학파華西學派 문인들이 활동하면서 조선성리학의 중심지역으로 부상하였다. 특히 기정진을 중심으로 하는 노사학파는 리理 중심의 일원적 세계 구성과 현실 인식을 통해 학술적 위상을 높였고, 기정진 사후에 빚어진 논쟁을 통해 학파적 동질성과 일체성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학파적 결집과 지향성은 학술논쟁에 그치지 않고, 한말의병으로 연결되는 실천적 의리구현에도 같은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면모를 이해하기 위해 본 논문은 19세기 이후 호남을 지역적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고 전개된 유학 사상을 기정진과 노사학파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특히 기정진을 중심으로 형성된 노사학파의 위상을 호남사림이 형성되고 전개되었던 시기의 그것과 관련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기정진의 성리설을 대략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저작을 둘러싸고 제기된 기호학파 문인들의 논쟁 과정과 추이 등을 정리하여 노사학파 성리설의 한 단면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대前代의 호남유학과 차별화된 19세기 호남 성리학의 구도를 확인하여, 시론적試論的인 접근이지만 이들의 학문과 활동이 호남 사림 형성기의 위상을 계승하여 독자적인 학파를 수립하고, 호남유학의 위상을 정초한 것으로 정리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d 19th century Honam neo-confucianism centering on Nosa Ki, jung-jin and his school scholar's doings and its meanings. It was mainly understood that In the current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Korea, there isn't any independent scholaristic school and culture in Honam region comparing to Kiho and Yeong-nam region. However, since the 19th century, Ki jung-jin and his school, jun woo and his students, and other Yeonjae school scholars and Hwaseo school scholars studied actively in Honam region and Honam region became one of the centers of Chosun neo-confucianism. Especially, the Nosa school enhanced academic level by recognition of Li centered monistic world consitution and recognition of real world, and reinforced its homogeneity and unity through the academic debates after the death of Ki jung-jin. Furthermore their unity and orientation was embodied as the righteous army riots in the late chosun period. To understand these aspects, the nee-confucian schools in Honam region will be sorted out by centering Ki jung-jin and his schools. Especially, the Nosa schools' academic status will be acknowledged by comparing other contemporary neo-confucian schools. Moreover, Ki jung-jin's sungri theory will be looked over and one aspect of Nosa schools' sungri theory will be revealed by sorting out the debates on Ki jung-jin's work among Kiho school scholars and Nosa school scholars. Acknowledg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rlier Honam region nee-confucianism and 19th century Honam neo-confucianism, the Nosa school is tentatively understood as an independent school inheriting the formation movement and comprehended as a founder of Honam neo-confucianism

      • 嶺南地域에서의 蘆沙學派와 寒洲學派의 成立과 學說交流

        김봉곤 한국공자학회 2007 공자학 Vol.14 No.-

        Nohsa(蘆沙) Scholars’ faction in Youngnam area was formed through Yeongnam Sarim(士林-gentlemen) increasingly keeping company with Nohron (老論-a political party). in the 19th century. Not only Jung Yeo Chang(鄭汝昌)’s family firmly tied with Kim In Hoo(金麟厚)’s family by marriage but also many scholars all around Jinju, Sancheong and Hapcheon including Jo Sung Ga(趙性家), Choi Sook Min(崔琡民), Jung Jae Gyoo(鄭載圭) and etc. Most of Nohsa Scholars’ families in Youngnam area tried to make scholarly achievement based on their economical success around the 19th century. They made strong connection with Nohron families in that area based on their scholarly power and extended their activity spaces by conducting various activities in that area where Jo Sik and Jung Yeo Chang were respected. Gi Jung Jin’s philosophy of Li-Yil-Li-Bun-Soo(理一理分殊) and idea of Wi-Jung-Cheok-Sa(衛正斥邪) deeply influenced Hanju Scholars’ Faction. For although Hanju(寒洲) Scholars’ Faction in 1870’s period was formed in Youngnam area by the scholars including Heo Yu(許愈), Gwak jong suk(郭鍾錫), Lee Jeong Mo(李正模) etc, facing to Lee Hwang(李愰) scholars’ attact to the theory of mind equal to reason(心卽理), Hanju Scholars’ Faction wanted to firmly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faundation by suppoting Nohsa(蘆沙)’s theory. Therefore in the theory Hanju(寒洲) Scholars’ Faction was similar to Nohsa(蘆沙) Scholars’ faction and Heo Yu(許愈), Gwak jong suk(郭鍾錫) was deeply tied with Jung Jae Gyoo(鄭載圭) in the many sides including political, social, scientific activites. 본고는 19세기 후반 전반적으로 주리설이 확산되는 배경하에 영남지역에서 기호학파인 노사학파와 심즉리설을 주장한 한주학파가 어떻게 성립되었으며, 두 학파간에 어떠한 학술 교류를 진행하였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먼저 영남지역의 노사학파는 영남 사림들이 기호학통 계통의 인물들과 활발히 교유하면서 형성되었다. 기정진 대에는 함양의 정여창 가문과 장성의 김인후 가문이 혼반관계로 연결되어 있어서 함양의 사림들이 기정진을 자주 찾아오기 시작하였다. 이후 함양의 정여창 가문과 가까운 산청의 여흥민씨 가문을 비롯해서 진주의 趙性家, 崔琡民이 찾아오고, 합천에서 鄭載圭 등이 찾아오면서 노사학파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대체로 영남의 노론가문 출신으로, 왜란 때 창의하였거나 이괄의 난 등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웠으나, 상당기간 동안 영락한 집안의 후손들이었다. 이들은 당대나 부친 대에 재산 형성에 성공하고 학문을 통해서 영남지역에 다시 두각을 나타내고자 한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학문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이 지역 노론 가문과 연대를 강화해 나갔으며, 조식과 정여창을 숭앙하는 기풍이 강한 이곳에서 그들의 선양 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해 갔다. 그러한 결과 하동, 진주, 산청, 함양, 합천, 의령 일대에 노사학파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지고, 많은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한편 한주학파는 寒洲 李震相(1818-1886)이 1870년에 이르러서야 허유 등에게 비로소 적극적인 강학활동을 전개하면서 형성되었다. 그러나 영남 서부 지역은 오랫동안 퇴계학설의 영향이 깊은 곳으로 이진상의 심즉리설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이진상은 자신의 심즉리설이 주자와 퇴계설의 근본 취지를 계승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이진상이나 그의 문인들은 정재규와의 논쟁을 통해 호남의 저명한 성리학자였던 기정진으로부터 자신들의 학설을 입증받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진상의 호발설이나 명덕, 지각설 등이 기정진에 의해서 검토되었고, 이진상이나 허유, 곽종석 등은 기정진의 학설중에 사단칠정을 리발로, 명덕을 리로, 지각을 리의 작용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남 지역 노사학파는 지각설이나 심설에 대해서 이진상의 학설과 밀착되게 되어 기정진의 학설이 더욱 주리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영남지역 노사학파와 한주학파는 이진상 사후에도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져 노사학파의 조성가와 최숙민, 정재규, 그리고 한주학파의 허유, 곽종석간에 밀접한 교분이 있게 되었다. 특히 정재규는 허유와 함께 삼가지역의 학문을 이끌면서 함께 조식을 크게 선양하였으며, 곽종석과도 자주 성리학과 시국에 대해 토론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국에서의 노사관계론의 쇠퇴 요인

        한종수(Jong Soo Han) 한국경영사학회 2008 經營史學 Vol.46 No.-

        본 논문에서는 어떠한 요인들이 미국에서의 노사관계론의 위상을 훼손시켰는가를 기존의 미국의 노동 및 노사관계 분야의 논문 및 저서를 통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해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20세기 후반기의 미국에서는 자본과 노동의 관계에서 어떤 중대한 갈등이나 분열을 경험하지 않았으며, 경제적으로는 196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법규제정으로의 전환과 1980년 레이건 대통령 취임 이후 신자유주의의 발흥으로 인해 미국의 노동운동은 지속적으로 약화되어 왔고, 노조조직률도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한편 노사관계 분야 내의 인간관계로부터 파생되었으나, 정량적 및 이론적으로 타당성 있는 분석을 가능케 하는 행동과학으로 발전한 인적자원관리론이나 조직행동이론에 오히려 노사관계론이 흡수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노사관계론 자체는 뒤늦게 정밀한 사회과학으로서의 자신의 위치를 주장하고자 하는 그야말로 일종의 소학문(mini-discipline)으로 축소되었다. 노동문제를 인적자본에 대한 연구에 적용하고, 이후 연역적이고, 개별수준의 미시분석이 될 수 있는 모든 것에 적용하는 신고전학파적 분석방법이 등장함에 따라서 그 동안 노사관계론을 특징지어 왔던 역사적이고 학제간 성격을 띠는 제도학파 경제학이 구축되기 시작하면서 방법론적 절충주의는 사라져갔으며, 동시에 노사관계 분야는 자체의 독특한 정체성과 존재이유를 점점 상실해 갔다. 마지막으로 다원주의, 의지주의, 집단주의라는 미국노사관계의 기존의 규범적 가치와 이념이 노사관계의 장기적인 성장을 저해함에 따라 급기야 미국노사관계학회의 명칭을 바꾸면서까지 협소한 노동-경영관계의 분야에 갇히는 처지가 되었다. 본 논문의 공헌으로는 미국에서의 노사관계론의 쇠퇴 요인을 조망함으로써, 노사관계에 있어서 선진국을 지향해가고 있는 한국의 노사관계론의 재정립에 있어서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예시해 주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clining factors of the industrial relations in the United States. Just as the industrial relations field was spreading to the far corners of the world it entered into a long period of slow but cumulatively significant decline in the country of its birt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causes of this phenomena are as follows: the rise of neoclassical economics and of the field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long term decline of the American labor movement; a narrowing conceptualization of the domain of industrial relations and a shift toward unidisciplinary area; and the field’s normative tilt in favour of collectivist solutions to labour problems. There was a retreat from the interdisciplinary scope and the methodological eclecticism that had for so long characterized labor scholarship. Sociologists, political scientists, and anthropologists lost interest in labor topics, while labor economics took up neoclassical analysis with a vengeance, applying it first to the study of human capital, then to whatever else could be subjected to deductive, individual-level microanalysis. The academic high ground was meanwhile seized by the new discipline of organizational behavior, which had sprung from the human relations strain within the post-war industrial relations field and now pronounced itself a behavioral science capable of conducing rigorous quantitative and theoretically grounded analysis. Industrial relations itself shrank down into a kind of mini-discipline, confined as before to the union sector, but striving belatedly to assert its own credentials as a rigorous social science.

      • KCI등재

        노사학파(蘆沙學派)의 남명 조식(南冥 曹植)의 경의(敬義)사상 계승양상

        김봉곤 ( Bong Gon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2

        영남과 호남사이에는 18,9세기 경 진주-하동-구례-곡성을 잇는 섬진강 유역의 인구와 경제력의 성장으로 많은 사족들이 성장하였고, 서로간에 자주 왕래하였다. 이러한 교류 결과 영남지역에 기정진의 문인들이 다수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들은 당시까지 영남 일대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었던 16세기 중엽의 남명 조식의 사상을 재조명하고 선양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노사학파에서는 시비분별을 통하여 외적인 사특함을 막고, 경을 통해 시종여일 천리를 마음속에 보존하려고하였기 때문에 경을 통해 심을 활성화시키려는 조식의 경 사상에 깊이 경도되었던 것이다. 이에 노사학파인 정재규, 최숙민, 김현옥 등은 허유가 지은 신명사도명혹문(神明舍圖銘或問) 에 대해 신명사도명의 위치나 내용에 대해 검토하고 남명의 사상이 경의에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정재규는 ‘국군사사직(國君死社稷: 임금은 사직을 위해 죽어야 한다)’에 ‘한적불양립(漢賊不兩立: 한 나라의 역적과는 양립할 수 없다)’을 추가하자고하여 위정척사(衛正斥邪)에 대한 강한 신념을 토로하였고, 최숙민은 신명사도의 전체적인 면에서 심의 주리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김현옥은 조식의 경의 사상이 황제-여상-주자-남명으로 도통을 계승한 것이며, 신명사도가 선천도나 태극도와 동일한 비중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사론(士論)이 쇠미해지고 구차스러워진 것은 신명사도의 국군사사직의 뜻이 강론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조식이 ‘국군사사직(國君死社稷: 임금은 사직을 위해 죽어야 한다)’을 기록한 이유가 일신(一身)의 사직에 죽지 않은 자를 위하여 경계한 것이라고까지 하였다. 이러한 조식의 사상은 노사학파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최숙민은 남명의 학문자세를 본받아 뜻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심(心)을 심성정(心性情) 일리(一理)로 보는 견해를 발전시켰다. 이는 심군(心君)이 경을 통해 성정을 주재한다는 신명사도의 논리가 일관되게 흐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정재규는 심은 주재하고 상정(常定)하는 것으로서 하늘로 말하면 상제이며 사람에게는 심(心)이라고 하여 조식과 같이 심의 주재를 강조하였기 때문에, 영남지역 노사학파에서는 심을 주재적 측면에서 리(理)로 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조식의 경의사상과 출처의리를 높이 받들었던 노사학파에서는 허목의 덕산비보다는 송시열의 남명신도비가 남명의 기절(氣節)이나도학을 잘 드러내었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남명의 ‘한적불양립’과 ‘국군사사직’을 중시하였던 영남지역 노사학파에서는 조선조말 조선조말 개화파와 일본의 침략에 반발하여 전개된 위정척사운동과 의병운동에 적극 가담하였으며, 일제 치하에서도 도학과 나라의 혼을 지키자는 운동을 지리산 일대에서 강인하게 전개하였던 것이다. Lots of family tribes increased due to the growth of population and economic power of Somjin river basin which connected Jinju - Hadong - Gurye - Gokseong during the 18th, 19th century between Youngnam and Honam, and they often exchanged with each other. Here, literary persons of Gi, jeongjin from Honam Jangseong appeared a lot in Youngnam region, and the life and idea of Nammyung Jo Sik of mid 16th century was reilluminated, besides exchange between literary persons between Youngnam and Honam. Jo Sik``s study and fidelity was highly evaluated by Youngnam region Nosa school in late 19th century again. Since, originally in western Gyeongnam region, Nosa Gi, jeongjin``s literary persons was closely related with Josik``s discipline center or the descendents, and Nosa Gi, jeongjin highly evaluated academic attitude of Jo Sik based on Gyung Jeong, jaegyu, Choi, sukmin, and Kim, hyunok, etc. of Nosa school reviewed the location and content of Sinmyeongsadomyung based on Heo Yu``s 「Sinmyeongsadomyung hokmun(神明舍圖銘或問)」, and clearly determined that Jo Sik``s idea was based on Gyung Ui. Particularly, Kim, hyunok considered that Jo Sik``s Gyung Ui idea succeeded Dotong through Hwangje-Yeosang- Juja-Jo Sik, and Sinmyeongsado had the equal importance with Seoncheondo or Taegeukdo. Also, he insisted that the reason why Saron(士論) went weakened and shabby was because Gukgunsasajik of Sinmyeongsado was not preached, and the reason why Jo Sik wrote ‘Gukgunsasajik (國君死社稷, A king must die for Sajik)’ was to protect those were not dead in Ilsin Sajik. This way, Jo Sik``s idea greatly influenced Nosa school. Choi, sookmin insist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idea based on Jo Sik``s academic attitude, and developed that opinion that viewed the mind (心) regarding Simseongjeong(心性情) as Ilri(一理). This shows that Sinmyeongsado``s logic that Simgun(心君) presided Seongjeong through Gyung consistently flowed. Also, Jeong, jaegyu emphasized that Sim was to preside and Sangjeong(常定), which is Sangje in respect of heaven, Sim(心) for human, emphasizing presiding of Sim as Jo Sik, therefore, Youngnam region Nosa school resulted in the result of determining Sim as Li in presiding aspect. Also, Jirisan region Nosa school highly respected Song, siyeol by evaluating Song, siyeol``s Nammyungsindobi revealed Gijeol(氣節) or Dohak of Jo Sik, better than Heo Mok``s Deoksanbi. Also, Youngnam region Nosa school, which highly evaluated ``Gukgunsasajik`` of Jo Sik, actively participated in Wijeongcheoksa movement and righteous army movement developed her during late Joseon, also, a movement to protect Dohak and spirit of nation was developed in Jirisan region even under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노사학파 심포(心圃) 문형(文炯)의 학술 관계망

        조우진 ( Cho Woo-ji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호남학 Vol.- No.74

        본 논문은 노사학파 재전문인 심포(心圃) 문형(文炯)의 학술 관계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문형은 전남 화순 청풍면 출신으로 개항기와 일제강점기를 걸쳐 살았던 성리학자이다. 어려서는 민우식(閔佑植)에게 13년 동안 유학을 배웠으며, 민우식이 죽기 직전 정의림(鄭義林)을 찾아가 9년 동안 기정진(奇正鎭)의 이론을 수학하였다. 정의림이 죽자, 『노사집(蘆沙集)』을 스승으로 삼아 노사학의 정수를 확인하였다. 문형은 영ㆍ호남의 노사학파와 화서학파의 재전문인 뿐만 아니라 영남의 한주 학파의 재전문인 및 당대 최고의 문장가 등과 교류를 확대하면서 학문적 유대와 사상적 통합을 이루고자 했다. 이것이 바로 지역과 사상을 횡단하는 문형의 학술 관계망의 특징이다. 특히 문형은 자신의 호를 ‘심포(心圃)’라고 했던 것처럼 성리학의 핵심 개념인 심(心)을 바탕으로 자신의 철학 체계를 완성하였다. 그는 화서학파 김평묵(金平默) ㆍ최익현(崔益鉉)의 문인들과 교유하면서 이항로(李恒老)의 심주리(心主理)에 대한 견해를 적극적으로 옹호하였으며, 한주학파 곽종석(郭鍾錫)의 문인들과 소통하면서 이진상(李震相)의 심즉리(心卽理)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였다. 더불어 문형은 리(理) 중심의 사유체계를 바탕으로 <성사심제변(性師心弟辨)>을 지어 간재(艮齋) 전우(田愚)가 심을 주기적(主氣的) 입장으로 보는 병폐를 지적하였다. 문형의 위상은 다양한 학파와 심을 중심으로 한 학술 관계망을 형성하여 당시의 성리학적 문제의식을 통합하고자 했다는 점이고, 그의 역할은 화순 노사 학맥을 이어 확산을 주도했을 뿐만 아니라, 화순 노사학파의 중심에 서 있었다는 점이다. 문형은 정주학을 토대로 노사학을 전수하여 화순 근현대 유학을 정립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미래지향적 지역학으로써 화순학(和順學)을 수립할 수 있는 학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academic network of Shimpo[心圃] MunHyeong(文炯, 1882-1936), a redeliver disciple[再傳門人] of Nosa School[蘆沙學派]. MunHyeong is a Neo-Confucian scholar who was born in Cheongpung-myeon[淸風面], Hwasun, Jeollanam-do, and lived during the opening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era. When young, he learned to study Neo-Confucianism from MinWoosik[閔佑植] for 13 years, and just before Min Woo-sik died, he visited JungEuirim[鄭義林] and studied KiJeongjin[奇正鎭]’s theory for 9 years. When JungEuirim died, he confirmed the essence of Nosahak[蘆沙學] regarding 『Nosajip[蘆沙集]』 as his teacher. MunHyeong sought to achieve academic ties and ideological integration by expanding exchanges with not only redeliver disciples[再傳門人] of Nosa School[蘆沙學派] and Hwaseo School[華西學派] in YeongnamㆍHonam but also redeliver disciples[再傳門人] of the Hanju School[寒洲學派] and Good writers[文章家] of the time.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academic network of MunHyeong that crosses regions and ideas. In particular, MunHyeong completed his philosophical system based on the core concept Shim[心] of Neo-Confucianism, as he called his pen name ‘Shimpo’. He actively advocated IHanglao [李恒老]’s view of Shimjuli[心主理] while interacting with the writers of the Hwaseo School of KimPyeongmuk[金平默] and ChoeIckhyun[崔益鉉], and critically accepted IJinsang[李震相]’s Shimjeukli[心卽理]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writers of KwakJongseok[郭鍾錫] of the Hanju School. In addition, Moon Hyung wrote < Seongsashimjebyeon[性師心弟辨] > based on the Li[理]-centered thinking system and pointed out the problem of Ganje[艮齋] JeonWoo[田愚]'s view of Shim[心] as Jugi[主氣] position. MunHyeong's status was to form an academic network centered on various schools and Shim and to integrate the Neo-Confucian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time, and his role was not only to lead the spread of Hwasun Nosahakmaek, but also to be at the center of Hwasun Nosa School. MunHyeong played a pivotal role in establishing modern and contemporary Hwasun Confucianism by transferring Nosahak based on ChéngZhūxué[程朱學], and provided an academic foundation for establishing Hwasunhak[和順學] as a future-oriented regional studies.

      • KCI등재

        鄭載圭의 講學 活動과 蘆沙學의 계승

        박학래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8 No.-

        The differentiation of Confucianism in Joseon, which was embodied since the mid-19th century, continued through the lecture activities of literary people of each school until the middle and late 20th century. The study of each school in this period,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interpretation of Neo-Confucianism and the critical review of the issues of the Neo-Confucianism theory of the previous era, became the basis of practical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is aspect continued by the disciples of each school. Through this study, I reviewed the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of Jeong Jae-Gyu, who represents Gangwoo region among the Nosa school disciples who have formed in the background of Honam area and expanded the influence of the study. In addition, I analyzed the disciples who were educated by him comprehensively and confirmed the succession of Nosahak. Jung Jae-Gyu was already evaluated for his academic ability when Ki, Jeong-Jin was alive, and led various academic activities of Nosa school after Ki, Jeong-Jin's death. Through this, he became a key disciple of the Nosa school, and continued his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duced special disciples in Gangwoo region. In particular, he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center of succession of Nosahak, representing the Nosa school literary figures and responding to criticism of Nosahak in the process of controversy over Ki, Jeong-Jin’s theory, which was carried out with a new version of Nosajip. In addition, he has conducted extensive academic fellowship and lecture activities with other scholars in order to promote Confucianism in Gangwoo region. His disciples, who were produced through various education and lecture activities of Jung Jae-Gyu, continu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Confucian topography in Gangwoo region. In this study, I tried to summarize the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that Jung Jae-Gyu has conducted extensively and to summarize various materials about the disciples who were released through his lecture activities. And I tried to analyze the general scale and contents of his disciples together. 19세기 중반 이후 구체화하는 학파 분화는 이후 각 학파의 문인들이 펼친 강학 활동을 통해 그 학맥이 20세기 중후반까지 이어졌다. 주자학에 대한 특징적인 해석과 전 시대 성리학적 쟁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구체화한 이 시기 각 학파의 학문은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 대처하는 실천적인 대응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각 학파의 문인들에게도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본고에서는 호남 지역을 배경으로 형성되어 그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한 奇正鎭(1798-1879)의 蘆沙學派 문인 가운데 강우 지역을 대표하는 鄭載圭(1843-1911)의 강학 활동과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문인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기정진 학맥의 계승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기정진 생전에 이미 학문적 역량을 평가받은 정재규는 기정진 사후에 펼쳐진 노사학파의 다양한 학문 활동을 주도하며 노사학파의 핵심 문인으로 자리 잡았으며, 지속적인 교육 활동을 통해 특기할만한 문인들을 강우 지역에서 배출하였다. 특히 『蘆沙集』 重刊을 계기로 촉발된 기정진 학설에 관한 논쟁 과정에서 그는 노사학파 문인을 대표하여 蘆沙學 비판에 대응하는 반비판을 주도하는 등 노사학 계승의 중심에서 활약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강우 지역의 儒風을 진작시키기 위해 타 학파 문인들과의 광범위한 학문 교유와 강학 활동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재규의 다양한 강학 활동을 통해 배출된 그의 문인들은 이후 계속 이어져 강우 지역 유학 지형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본고에서는 정재규가 폭넓게 진행한 강학 활동을 입체적으로 정리 분석하고, 그의 강학 활동을 통해 배출된 문인들에 대해 다양한 자료를 검토하여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문인들도 정재규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펼쳐 20세기 중후반까지 적지 않은 문인을 지속적으로 배출하며 기정진으로부터 연원하여 정재규를 통해 이어진 노사학파의 학맥을 계승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정재규의 再傳 및 三傳 제자들의 대체적인 규모와 내용도 함께 정리 분석하였다.

      • KCI등재

        노백헌(老柏軒) 정재규(鄭載圭)의 「두류록(頭流錄)」에 나타난 일생의 한 국면

        강정화 ( Kang Jeong-hwa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1

        이 글은 19세기 江右地域에서 활동했던 蘆沙學派의 首長인 老柏軒 鄭載圭가 1887년 8월의 지리산행에서 남긴 「두류록」을 통해 그의 ‘일생’에서 이 유람이 갖는 의의를 살폈다. 당시 강우지역은 노사학파 외에도 性齋學派와 寒洲學派가 활발하게 활동하였고, 강우학자의 지리산 유람은 이들 학파 간 교유의 場이었다. 그러나 노사학파는 두 학파에 비해 출발이 늦었고, 문인의 숫자도 월등히 적었다. 따라서 정재규는 강우지역에 노사학파를 확산시키는 것이 일생의 과업이었다. 1887년의 지리산 유람은 그의 학문적 여정에서 분명한 分岐가 될 만큼 다분히 의도된 것이었다. 정재규는 기정진의 문하에 든 지 10년 만에 노사학의 핵심을 전수받았다. 스승이 세상을 떠난 후에는 문집 간행과 문인 간의 강학을 통해 강우지역 내 노사학의 심화와 확산에 전력하였다. 특히 지리산행이 있기 1년 전에 강우지역을 풍미했던 두 학파의 首長이 세상을 떠나면서, 그들 학파 내에서도 스승의 문집을 간행하고 강학을 통해 학문을 확산하는 등의 활동이 성대히 전개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정재규는 강우지역 노사학파를 아우르는 지리산행을 감행하였다. 그의 지리산행은 동시대 여타산행과 달리 오로지 노사학파 인물만으로 이루어졌고, 코스를 에둘러서라도 동문이나 문인의 집을 방문해 우의를 다지는 행보를 보였다. 그의 지리산행은 처음부터 끝까지 ‘스승 기정진’으로 이루어졌다. 「두류록」은 1887년 봄 꿈에서 ‘孔子가 泰山에 오르지 않았다면 후학들은 어찌 했을까?’라며 자신을 꾸짖는 스승의 질문에서 시작하고, 하산 후 그 답을 얻는 것으로 끝맺는다. 강우지역에서 노사학파를 결속시키고 학문적 심화를 위한 산행이었으므로 스승을 중심에 둘 수밖에 없었다. 또한 당시 강우지역은 서세동점의 급박한 정세 속에서 지역의 師表로서 南冥 曺植의 학문과 정신을 추숭하는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지리산 유람에서 남명의 유적지 덕산을 필수 코스로 넣어 진행한 것이 이에 해당하며, 남명 관련 기행시가 쏟아져 나오는 현상도 이러한 흐름을 방증하였다. 정재규 일행은 유람 내내 남명을 스승보다 더 많이 언급하고, 일화나 작품 등을 인용하여 관련 유적에서 남명을 회고하였다. 이는 노사학파가 강우지역 내의 이러한 변화를 적극 수용함으로써 지역 내에서 학파의 위상을 강화하는 한 방법이었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excursion in the life of Nobaekheon Jeong Jae-gyu, who was the head of the Nosa Gi Jeong-jin school that was active in the Gangwoo region in the 19th century, by looking into Duryurok that he wrote after his trip to Mt. Jiri in August, 1887. Those days, the Seongjae and Hanju schools were active in the Gangwoo region along with the Nosa school. Gangwoo scholars' excursion to Mt. Jiri provided a venue of social intercourse among these schools, but the Nosa school made a late start compared with the other schools and had much fewer literary figures as its members than the others. Jeong Jae-gyu found his lifetime task in the spread of the Nosa school across the Gangwoo region. His full intention was reflected in his excursion to Mt. Jiri in 1887 as it became a clear source of divergence in his academic life. It took only ten years for him to inherit the core of Nosahak once he started study under Gi Jeong-jin. After the death of his teacher, he devoted himself to the intensification and spread of Nosahak within the Gangwoo region by publishing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and promoting the pursuit of study among literary figures. The heads of two schools that dominated the Gangwoo region passed away one year before his trip to Mt. Jiri, and the schools engaged in grand activities to publish the collections of their teachers' literary works and intensify their learning through pursuit of study. In this atmosphere, Jeong decided to take a trip to Mt. Jiri encompassing the entire Nosa school within the region, which was why only the members of the Nosa school accompanied him on the trip unlike other trips those days. Those who were not able to accompany him on the trip went around the excursion course and made a visit to their alumni and literary peers to solidify their friendship. His excursion to Mt. Jiri happened on August 18~28, 1887, starting in Samga, Hapcheon and returning home after Danseong, Sancheong, Daewonsa, Cheonwangbong, Deoksan, and Sinan. One theme that penetrated his trip to Mt. Jiri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as "his teacher Gi Jeong-jin." His Duryurok was conceived in his dream that he dreamt in Spring of 1887. In the dream, his teacher scolded him, asking "What would the pupils of Confucius have done if he had not climb the Great Mountain?" Believing that his teacher appeared in his dream to make him realize that he had not been working hard on his study, he climbed Mt. Jiri in August of the same year. Even standing on the highest peak Cheonwangbong, however, he was not able to find an answer to his teacher's question. Only after climbing down the mountain did he find an answer through twists and turns. The answer he found was that "a progressive process of study through excursion to mountains and its benefits." It was his personal opinion of study and also his perception of the Nosa school's situation in the Gangwoo region those days. It also represented the lesson that his teacher tried to make him realize even by scolding him in his dream and the realization that he had through the process of excursion to the mountain.

      • KCI등재

        노사(蘆沙)의 기정진(奇正鎭)의 성리설(性理說)을 둘러싼 기호학계의 논쟁 : 「외필(猥筆)」을 중심으로

        박학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民族文化硏究 Vol.48 No.-

        한말에 접어들어 기호학계는 이전 시대에 비해 학파의 분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9세기 중엽 이후 가속화된 기호학계의 학파 분화는 단순히 학통의 전승에만 머무르지 않고 학파별로 차별화된 성리학적 입장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기호학계는 전대 성리학의 계승과 분화라는 특징적 면모를 드러내었다. 그리고 각 학파의 차별화된 학문적 입장은 타 학파에 의해 문제가 제기되어 시비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한 기정진의 性理說, 특히 그의 理氣論的 입장이 집중적으로 나타난 「猥筆」에 대한 논쟁도 연재학파 문인들에 의해 처음 문제가 제기되어 논쟁의 주체가 기호학계 전반으로 확대된 논쟁이었다. 그리고 이 논쟁은 19세기 이후 뚜렷해진 학파의 분화가 20세기에 접어들어 어떠한 학문적 차별성을 보이는 가에 대한 단초가 되는 논쟁이기도 하다. 논란이 촉발되고 지속되면서 논쟁이 학파 간 대립과 연대라는 구도 하에서 진행된 만큼 20세기 기호학계의 지형을 구축하는 데도 일정한 영향을 미친 논쟁이라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20세기 기호학계의 최대 논란 중 하나인 기정진 성리설에 대한 논쟁을 「외필」을 중심으로 그 경과와 논란의 추이, 그리고 주요 논쟁점을 대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논란의 발단과 전개과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논쟁의 주체가 확대되어가는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기호학계의 학파 간 구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 한 논란의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각 학파의 리기론적 입장을 통해 기정진을 비롯한 주요 학자 및 학파의 리기론적 입장 차를 확인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 논쟁은 기본적으로 기정진의 리기설이 율곡의 리기설에 대한 비판이라는 혐의를 받고 촉발되어 진행된 만큼 기호학계 내부에서 율곡설에 대한 계승의 편차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호학계의 율곡설 계승의 분화 양상을 검토하는 데 일정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Kiho畿湖 school notably started to differentiate into sub-schools. After mid-nineteenth century, the specification of Kiho school was accelerated and each sub-schools not only inherited the neo-confucian tradition, but also concretely differentiated their viewpoints on neo-confucianism. Furthermore, the difference frequently induced disputes which were raised by other sub-school members. The dispute in Eopil猥筆 which intensively reveals Ki, Jung-jin奇正鎭's view on neo-confucianism in Rigiron 理氣論 standpoint, was also raised questions by Yeonjae sub-school scholars initially, and the dispute was spreaded to the whole Kiho school. It was a initial dispute that the sub-schools started to differentiated and this difference was risen to the surface by this dispute after 19th century. Moreover, it had considerably shaped the topography of the Kiho school of 20th century that the confrontations and solidarities among sub-schools on this dispute. Accordingly, the dispute on Ki Jung-Jin's neo-confucianism, which was one of the main disputes in the 20th century,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dispute and main disputing points. By examining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dispute, the aspect of expansion of subjects in the dispute will be revealed and the composition of the sub-schools in Kiho school will be confirmed as a result. Moreover, the viewpoint differences in the dispute among main scholars, for example Ki Jung-jin, and sub-schools will be identified. In addition, because the dispute was started and developed as basically Ki Jung-jin's Igiron was recognized as a criticism on Yul Kok's Rigiron, the difference in inheritance of Yul Kok's doctrine among sub-schools in Kiho school can be revealed. As a result,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identify the differentiated aspect of inheritance of Yul Kok's doctrine among the sub-schools of Kiho school.

      • KCI등재

        노사학파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

        박학래(朴鶴來)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5 No.-

        본고는 한말 기호학계의 대표적인 문인집단인 ‘노사학파’의 학문과 사상을 지역적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19세기에 접어들어 기호학계가 학파의 분화라는 특징적 면모를 드러내는 가운데 노사학파의 종장인 기정진은 율곡 성리학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통해 특정적인 성리설을 제시하여 일찍부터 기호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그는 호남 유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가학과 혼맥을 통해 이루어진 인적 기반을 바탕으로 호남과 영남 서부에 이르는 지역에서 많은 문인을 배출하면서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호남을 대표하는 문인집단이자 기호학계의 대표적인 학파로 성장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노사학파의 위상과 성격을 밝히기 위해 학파의 종장인 기정진의 학문적 특징을 19세기 기호학계의 지형 속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의 학문적 관심이 두드러졌던 율곡 성리설과 호락논쟁에 대한 그의 특징적 면모를 검토하였고, 이것이 집중적으로 드러난 저작의 면모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특징적인 성리설 이외에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통해 문인을 배출한 것에 주목하여 그 기반이 되는 인적 기반을 그의 가문과 혼맥, 그리고 학문 교유임을 밝히고, 나아가 문인들의 활동이 기정진의 학문으로부터 연원하는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al diffusion of the Nosa school which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ristocratic group in late Chosun dynasty period. In 19th century, Kiho school was divided into several aristocratic sects. One of the sects, Nosa school was heralded by Ki Jung-jin who was the chief scholar of the school. He had a unique analysis on Yulgok's neo-confucian theory and other aristocratic sects of Kiho school payed attention to his arguments. Especially, he inherited the confucian tradition of Honam region and raised a lot of scholars of Honam and western Youngnam region basing on his familial and matrimonial human networks. By these efforts, the Nosa school became the representative scholar group in Honam and Kiho region.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d to map out Ki Jung-jin's ideological specialities in relation to the Kiho school and intended to identify the Nosa school's status and trait in Kiho school of 19th century. Especially, this article examined his ideological speciality by analysing his view on Yulgok's Sungrisul and Horak dispute in his works. Moreover, the author tried to identify the aspects of his works. Furthermore, the author payed attention to Ki Jung-jin's activities of raising disciples and could find out that his human network resources were based on his family relations, and marital relations. Also it could be revealed that his students' scholastic activities were derived from Ki Jung-jin's original wokrs.

      • KCI등재

        노사(蘆沙) 문인 최숙민(崔琡民)의 현실인식과 대응양상

        김준형 ( Jun Hyeong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1 No.-

        구한말 경남 서부지역에서는 각 고을마다 南人·老論세력이 형성되어 서로 대립하면서도 서로 교유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들은 각각의 당파적·학파적 입장에서 당시의 사회변화에 다양하게 대응하고 있었다. 노론계 蘆沙學派의 일원인 崔琡民에게서도 그 모습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다. 최숙민은 衛正斥邪의 입장을 견지하면서 외세침략과 기존의 유교적 질서를 파괴하는 현상에 대해 앞장서서 반대의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義兵에 대해서도 상당히 긍정적으로 보았지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입장은 아니었다. 노사 문인인 최숙민은 스승의 학문을 전승하고 후배들에게 확산시키려 노력하였다. 그는 「蘆沙集」의 刊行과 重刊 등에 간여하였고, 이론적인 면에서도 스승을 따라 主理論을 앞서 강조하고 있었다. 南冥學派의 본거지에서 자란 최숙민은 조상의 가풍을 따라 남명학파의 계승이라는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南冥集」 重刊 등의 일에 깊숙이 간여하거나, 남명이 남겼던 학문과 실천의 정신을 환기하면서, 이를 다른 사람에도 확산시키려 하였다. 최숙민은 영남 지역 유림들뿐만 아니라 호남이나 경기 지역의 노론계 인물들과도 폭넓게 교유하였다. 그러나 그는 남인과도 폭넓은 교유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남인 집안 출신으로서 노사의 문하에 들어갔지만, 남인의 입장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지는 않았던 것 같다. 이런 입장으로 인해 노사학파에 참여하면서도 학설 수용이나 기타 문제에 대해 매우 신중한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었다. In the latter era of Chosen Dynasty, in each village of the southern area of Gyungnam, Namin party((南人) and Noron Party(老論) were formed, and although they were in antagonistic relationship, they would frequently carry out their mutual exchange. They responded to the social change of that period variously in the aspect of factions and schools. A member of Nosa school(蘆沙學派) of Noron party, Choi Suk Min, showed one of such aspects. Holding fast the view of expulsion of foreign culture, Wijungchuksa(衛正斥邪), Choi Suk Min had a leading role in expressing the opposite perspective against the phenomenon of foreign invasion and destruction of existing order. He showed a very positive attitude towards Euibyong(義兵), but he did not participated in it actively. Nosa Scholar, Choi Suk Min tried to pass down his master`s learning and spread it to the juniors. He was involved in the publication of Nosajip and participated in edition. In the theoretical aspect, he followed his master, emphasizing Juriron(主理論). Grown up in the central part of Nammyong school(南冥學派), Choi Suk Min was interested in the issue of succession of Nammyong school, in accordance with his family tradition. He was deeply involved in the edition of Nammyoungjip, and made an effort to spread Nammyong`s learning to others, recalling his learning and spirit of practice. Choi Suk Min was broadly associated with scholars in the area of Yongnam as well as persons of Noron party in the areas of Homam and Gyonggi. However, he had a broad association with Namin. As a member of Namin family, he was under the Nosa school, but he did not seem completely independent from Namin`s view point. Due to such view point, while he was taking part in Nosa school, he could not help being very careful of accepting academic theories an other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