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과 월남지식인, 냉전문화기획자 오영진 : 한국전쟁 전후 오영진의 문화 활동

        이봉범 ( Lee Bong-beo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오영진의 삶과 예술은 냉전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미소분할 점령 하 남북한 모두에서 민족국가(문화)건설에 실천적으로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지리적 경계를 넘나든 국제적 냉전경험을 바탕으로 문화냉전 전을 수행한 대표적인 지식인이다. 북한에서 조선민주당과 평양문협을 거점으로 한 민족문화건설이 좌절된 후 월남하여 대한영화사, 문총, 한국문화연구소 등을 기반으로 단정수립 후 격화된 남한사회의 ‘내부 냉전’의 중심에서 반공 분단국가 강화를 선도했다. 한국전쟁 기간에도 월남지식인들이란 특수집단을 기반으로 문총북한지부 결성 및 기관지 『주간문학예술』발간, 중앙문화사 창설 등 문예조직과 미디어의 공고한 연계를 토대로 한 전시 문화전을 주도했다. 조선민주당, 서북청년단, 반공통일연맹 등 월남인반공단체들과의 공조에 힘입은 바 크다. 오영진은 한마디로 숨은 냉전문화기획자 였던 것이다. 그 일련의 과정은 세계냉전과의 접속을 통해 촉진/ 제약된다. 오영진은 가장 앞서 세계자유문화회의, 유네스코 등 전후 문화냉전 전을 수행하고 있던 세계적 냉전문화 기구들과의 협력채널을 개척하여 연대를 모색했다. 이 채널을 통해서 최신의 서구 냉전문화를 수용하여 특유의 냉전문화론을 정립하는 한편 이를 자신이 관장한 미디어를 거점으로 효과적인 인정투쟁전략을 구사함으로써 문화 권력을 확보하기에 이른다. 또한 미공보원, 미극작가협회, 아시아재단 등 다양한 경로로 미국과 접속해 물적, 인적, 사상적 후원을 받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문화냉전 전이 가능했다. 이로 볼 때 오영진은 한국의 냉전문화연구의 유효적절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오영진의 냉전문화기획이 가장 돋보인 것은 전향공간에서 그가 기획ㆍ총괄한 한국문화연구소 주최의 종합예술제 개최이다. 이 종합예술제는 문학예술계, 지식인사회 전체를 전향의 한복판으로 끌어들여 문화지식인들의 자진 전향을 독려ㆍ강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지리적, 사상적 남북적대를 확대재생산하는 동시에 지배체제의 우월성을 배타적으로 승인ㆍ공고화 하는데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했다. 분산적으로 진행되던 문화적 내부냉전을 공세적으로 확산시켜 내부평정작업에 크게 기여했던 것이다. 문화적 헤게모니투쟁의 역동적인 장으로 기능했던 전향공간의 정치적 논리를 기회로 포착해 월남지식인이란 불리한 신원을 역전시키며 문화 권력의 중심부로 진입하는 놀라운 정치력을 발휘했던 것이다.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는 전향공간에서 자기신원을 증명하기 위한 목적이 강하게 투사된 텍스트이자 내부냉전에서 승리한 친일문화인들이 냉전진영론에 입각해 한국문화계를 장악하고 구국 또는 애국의 이름으로 문화냉전을 주도하는 주체로 재탄생하는 극적 전환을 암시ㆍ정당화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열전의 와중에서 전개된 오영진의 문화냉전 전은 조직, 미디어의 물적 토대에다가 국방부 정훈국, 미공보원, 아시아재단 등의 후원과 원조까지 받음으로써 더욱 공세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특히 아시아재단과의 긴밀한 유대를 통해 오영진을 정점으로 한 월남예술인 집단은 대한민국 국민으로, 문화제도권으로 안정적인 진입이 가능했고 대공 사상(심리)전, 문화전의 전초가 될 수 있었다. 오영진의 문화냉전 전의 예술적 전략과 논리는 ‘기록주의’이다. 기록주의는 민족현실에 대한 처절한 위기의식의 산물로서, 열전 및 냉전의 한복판에서 존망의 위기에 처한 민족현실의 특수성을 비판정신에 입각하여 리얼하게 형상화하는 정신 내지 방법으로 제기된 것이었다. 기록성에 대한 지향은 당면한 반공 산주의 투쟁의 효과적인 방법적 대안이었으며, 서구 냉전예술과 접속하는 매개 고리로 세계의 초점으로 부상한 민족현실에 대한 기록주의를 통해 문화냉전 전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기 위한 욕망의 발현이기도 했다. 그의 기록주의는 대중계몽성 제고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선전전, 심리전의 유력한 수단으로 기능하고 또 문학 예술적으로 새로운 기풍을 진작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반공주의와 민주주의의 모순적 결합을 내포한 것이기에 저항적인 담론으로 발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소군정하의 북한』은 기록주의의 전략적 텍스트였다. Oh Young Jin``s life and art are undivided from the cold war. He practically participated in South and North Korea``s nation building, each were under US and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He was also a typical intellectual who performed cultural cold wars with his borderless, international cold war experience. He led to entrench anticommunism(and the divided country, the result of that) in the center of South Korea``s internal cold war that had been intensifi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separate government.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he also led cultural wars by the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media and the literature organizations of which the group of the defector intellectuals to south Korea. In a word, Oh Young Jin was a hidden cultural cold war planner. The process of that was promoted/limited by the access to the worldwide cold war. The cultural cold war planning by Oh Young Jin reached its peak at his planning of Composite Art Festival held by Korean Culture Institute. This Composite Art Festival bringing literature artists, intellectuals to the center of the conversion, encouraged and forced self conversions of them. So that it spread and reproduced geometric and ideologic hostil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served to recognize exclusively the superiority of South Korean ruling system at the same time. Living Lee Jung Sang his excellency is the text for the strong purpose of proving Oh Young Jin himself in conversion situation, as it implies and justifies the moment pro-Japanese winning the internal cold war was reborn who dominated south Korean cultural fields by logic of ideological blocs and led cultural cold wars in the name of patriotism. Oh Young Jin``s cultural cold wars during the hot war could be pushed forward with material foundations of the institute and media, in addition to the aid from AFIED(Armed Forces Information and Education Division) of Korea defense ministry, the US information service, and Asia foundation. The group of defector intellectuals to south Korea was able to join stably in Korean nation and orthodox culture by the strong bond with Asia foundation especially, so that it made an outpost for ideological(psychological) and cultural wars to communism. The artistic strategy and logic of Oh Young Jin is ``record priority principle.`` The emphasis on record was a effective method for urgent anti-communism struggle, as a result of ambition to seize the initiative in cultural cold wars. It was also a method of an access to western cold war art that the ``record priority principle`` of Korean national reality which was focussed on globally. North Korea under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is the strategic text on record priority principle.

      • KCI등재

        냉전 미학의 서사욕망과 대중감성의 젠더 - 해방 후~1950년대까지의 신문소설을 중심으로 -

        김복순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여성문학연구 Vol.27 No.-

        When cold war period is regarded as modern era, the characteristics of new colony is concealed. Cold war-aesthetics is ideas that cold war system discoursed to artistic goals and narratives. The inner forms that interpreted Homo-sensus, interest for private-categirized, genderedness, unlogicalness, binary opposition covered up the problems of cold war system, and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n that method woman was elements of 'inner cold war',and gender was the core element of basic contradition of cold war aethetics. 냉전 시기를 단지 근대화(성) 시기로만 간주하면 여러 가지 오류가 발생할수 있다. 냉전 체제의 ‘차이’가 소거된다는 점, 서구적 근대화(성)에 대한 의식적ㆍ무의식적 지향성이 포착된다는 점, 신식민적 제 특성이 은폐된다는 점이다. ‘냉전 미학’은 냉전 체제 하에서의 예술적 지향성 및 서사적 특성을 담론화하는 미학적 장치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신식민성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지배(종속)와 저항의 양면을 고찰하고 담론화 과정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기 위해고안된 개념이다. 해방 후-1950년대 신문소설의 감각화, 사적 영역화, 젠더화, 무논리성ㆍ즉자성, 극단적인 이분법이라는 내적 형식들은 냉전체제의 문제를 ‘제시’해 주기보다 ‘은폐’하였고, 신식민적 타자들을 양산하는데 더 기여하였다. 이러한 방법하에 특히 여성(성)은 ‘내부 냉전’ 요소로 확대ㆍ배치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냉전-분단이 남성의 노이로제였음도 확인시켜 주었다. 당시의 신문소설은 냉전의 다양한 국면을 반영하면서 냉전 미학을 창출해보여 주었다. 체제경쟁, 이념경쟁, 이분법적 대립, 내부 냉전 요소 만들기, 특정주제 다루지 않기, 특정 주제 극단화 하기, 냉전에 대한 풍자 결여 등 당시의신문소설은 비정치적 형태의 위장된 냉전 무기였다. 당시 신문소설의 계몽구조는 신식민적 타자의 생산을 통한 계몽구조였다. 이는 잡지 소재의 단편이나장편, 전작 장편의 서사전략과 다른 것이었다. 냉전 미학은 내적 형식을 통해‘여성성’을 가장 근본적인 냉전 요소로 배치하였고, 냉전 미학에서 ‘젠더’는 기본모순의 핵심이었다.

      • KCI등재

        냉전 금제와 프로파간다 ― 반란(叛亂), 전향(轉向), 부역(附逆) 의제의 제도화와 내부냉전

        李奉範 ( Lee Bong-beo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7 No.-

        이 글은 반란, 전향, 부역 등 주요 냉전의제의 기원 및 제도화 과정과 그것이 장기 지속될 수 있었던 원천을 프로파간다에서 찾고 있다. 미소 분할점령 하 한반도는 세계 냉전체제가 본격적으로 출현하기 이전부터 냉전의 소용돌이에 갇힌다. 특히 모스크바 삼상회의협정을 계기로 국내 모든 세력이 반탁/지지로 분립되어 형성된 왜곡된 프레임의 극단적 전개는 때 이른 냉전질서가 부식되는 구조적 조건으로 작용했다. 1947년 9월 한국문제가 유엔으로 이관되면서 한반도의 대내외적 냉전화가 촉진되는데, 그것은 냉전이 한반도에서 명시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선단정 국면을 거치며 민족국가 수립 관련 의제들의 압축적 분출과 이데올로기적 대결을 거쳐 분단의 제도화로 귀결된 뒤 국가보안법 제정을 계기로 반란, 전향, 부역 의제가 한층 강화된 냉전적 진영대립과 결합하여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의미 변용과 계기적 연쇄를 통해 한국사회에 전일적 냉전구조가 고착되기에 이른다. 여순사건은 극우반공체제가 촉진·구축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공식적으로 토벌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리산공비토벌, 제2, 제3의 여순사건 등의 명명을 통해 재생되어 내부평정작업을 뒷받침하는 이념적 도구로 이용되면서 반란의 대명사로 고착, 각인되었다. 그 과정에서 문학, 영화, 사진의 특정 이미지 재현과 관민합동의 프로파간다를 통해 반란으로서의 여순사건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학살의 정당화, 공산주의에 대한 막연한 공포, 적대, 증오가 조장되었다. 국민보도연맹 창설로 본격화된 전향은 국가보안법의 뒷받침 속에 대량탈당을 통해 사회주의자는 물론이고 중도파, 자유주의자, 민족주의자까지 망라된 방대한 전향으로 현시된다. 국민보도연맹은 전향자의 포섭, 교화 단체였을 뿐만 아니라 좌익섬멸단체로서 남·북로당 분쇄를 비롯해 반정부세력 일체를 파괴하는 공작을 시행하였고, 전향-감시-동원의 권력테크닉을 구사했다. 인간의 사상을 개조한다는 어쩌면 불가능에 가까운 논리로 전향제도가 시행되었기에 이 시스템은 더욱 폭력적으로 운용될 수밖에 없었다. 문화영역의 전향은 색출, 포섭, 전향, 동원, 감시의 전향메커니즘이 잘 구현된 경우로 문화적 내부냉전구조와 상시적인 동원·감시체계를 정착시키고 반제반봉건 문화의제가 완전히 좌절되는 가운데 친일문화인의 제도적 복권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민특위 해체와 한국전쟁, 법적으로는 반민법과 부역법의 교차로 인해 이데올로기적 가치가 민족 가치를 압도한 가운데 附共 부역이 반역의 단일한 표상으로 대두한다. 친일파가 빨갱이를 단죄하는 아이러니컬한 형국이 조성된 것이다. 잔류했거나 부역혐의가 의심되거나 부역자로 입증된 문화인들은 합동수사본부와 자체 부역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했더라도 자신의 부역 체험을 고백, 참회하는 절차를 거쳐야 했고, 그로 인해 각종 체험수기가 속출했다. 당시의 모든 체험기는 체제 우월성을 선전하고 대공전선 강화를 위한 선전전 자료로 활용되면서 공포와 적의를 고취시켜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담론 효과를 발휘했다. 일부는 자유세계로 전파, 확산되어 냉전 심리전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문화계는 부일 부역과 부공 부역을 결합시킨 민족반역프레임이 가동되었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좌익, 전향, 부역, 월북(남) 등의 냉전금제들이 종합적으로 재구성된 민족반역프레임이 주조, 구축되면서 국가폭력을 능가하는 규율장치로 군림하는 가운데 냉전분단체제의 문화권력을 (재)생산하는 장기지속적 장치로 기능했다. 이 같은 냉전금제들은 프로파간다를 통해 침투, 부식되었다. 대내외적 냉전구조의 정착과 대응해 한반도는 선전전(Propaganda War)의 전장으로 비화되었고, 미국의 전략심리전과 한국정부의 대북 선전전 및 대내 선무심리전이 결합적으로 전개되었다. 냉전반공을 공동의 자원으로 마음의 점령을 목표로 한 관민협동의 선전전을 통해 생성한 이미지가 반복 재생되어 고정화되고 그것이 법, 제도, 담론, 일상, 신체, 정신의 영역 전반에 이데올로기로 기능하는 회로가 구축됨으로써 疑似합의적 냉전mentality가 용이하게 부식될 수 있었다. This study finds out the origin of major Cold War taboo like rebellion, conversion, treachery and its process of institutionization and the sources it could have lasted for a long time in propaganda. In September 1947, Korean issues transfer to the United Nations and it causes to promote internal and external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means the Cold War has been clarified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an the phase of single-handed election and separate government,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compressed eruption of agenda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state are concluded by institutionalization of division. After that, the Cold War confrontation caused by enactment of National Security Law is combined with agendas like rebellion, conversion, treachery, thus, a full time Cold War structure has set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opportune connection and transformation of various ideological meaning. Yo-Soon Revolt became an opportunity to promote and construct the anti-communism and extreme right system. In that process, a fear, hostility, hatred about communism and justification of genocide and distorted recognition about Yo-Soon Revolt has been fuelled by private-public joint propaganda and the reappearance of special image in literature, film, photographs. National guidance federation, an organization for bring round convert and also annihilate left party was implement the operation that destroy the opponents of the regime and commands the power technique of conversion-surveillance-mobilize. Conversion in cultural area is instance of best implemented conversion technique of hunt down, bring round, conversion, mobilize, surveillance. Institutional reinstatement of pro-Japanese cultural artist is realized while constant surveillance-mobilize system and cultural interior Cold War structure become established and ultimately discouraged anti-imperialist and anti-feudal cultural agenda. While ideological value overwhelmed the nation value because of the Korean War, communism treachery has emerged as single representation. Treachery cultural artists had to go through the procedure of confession and repentance, it caused appearance of various memoirs of experiences. At that time, all experience records used for propaganda material to reinforce the anticommunist front by inspiring fear and hostility, which strongly demonstrates ideological discourse effect. The Korean War caused forming frame of the nation rebellion entangled with Cold War taboo like the left, conversion, treachery, defection to North Korea. It functioning as long-lasting apparatus reproducing the cultural power of the Cold War division system and reigning as discipline apparatus which surpass the state violence. Cold War taboos as above are infiltrated and rotten by propaganda. The image made by the propaganda war cooperation between the state and people which aimed at the occupation of the mind and made a Cold War against communism to common resources has been displayed repeatedly and fixed. Through this codification, the course formed and it functioning as ideology in law, system, discourse, daily life, the body, spirit so that pseudo-Consensual Cold War mentality could corroded easily.

      • KCI등재

        냉전텍스트 『실패한 신(The God That Failed)』의 한국 번역과 수용의 냉전 정치성

        李奉範 ( Lee Bong-beo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7 No.-

        이 글은 1949년 문화냉전이란 분명한 의도에 의해 기획·탄생한 『실패한 신(The God That Failed)』이 한국에서 번역되는 맥락과 그 수용의 양상에 초점을 두고 『실패한 신』이 지닌 냉전텍스트로서의 위상과 그 영향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패한 신』은 공산당에 입당했거나 공산주의에 동조한 바 있는 스티븐 스펜더, 아서 쾨슬러, 이냐치오 실로네, 리처드 라이트, 루이스 피셔, 앙드레 지드 등 저명한 서구지식인들의 공산주의 가담, 체험, 환멸, 탈퇴의 과정을 상세히 고백한 공산주의체험 에세이집이자 공산주의 (재)전향의 기록이다. 이 전향텍스트의 특장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소비에트체제)/자유주의 이데올로기(자본주의체제)에 대한 동시적인 비판이라는데 있다. 그러나 『실패한 신』은 CIA의 문화냉전 전략에 의해 공산주의(체제) 실패를 입증해주는 결정적 증거로 의미화 되면서 문화냉전의 대표적인 심리전 텍스트로 활용되었다. 또한 문화자유회의를 비롯한 국제적 냉전문화기구를 매개로 세계적인 확산과 냉전텍스트로서의 권위와 영향력이 확대되기에 이른다. 따라서『실패한 신』은 문화냉전의 세계적 연쇄와 냉전지식의 동아시아적 및 한국적 변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보기 드문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의식 아래 본고는 『실패한 신』의 한국 번역 및 수용의 양상을 연대기적으로 살피는 가운데 네 가지 지점을 해명하는데 주력했다. 첫째, 문화냉전의 세계적 연쇄와 냉전지식의 한국적 변용에 대해 탐색이다. 국제적 냉전문화네트워크와의 연계하에 이루어진 한국에서의 번역메커니즘과 복수의 번역주체가 변용·전유한 냉전정 치성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냉전문화사의 특수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둘째, 『실패한 신』의 번역 실제에 대한 총체적 정리이다. 셋째, 전향 의제의 냉전정치성과 사상사적·문화사적 영향이다. 넷째, 동아시아 문화냉전의 기원에 대한 비교사적 고찰이다. 큰 시차 없이 한국 및 동아시아 국가들에 번역되는 특징에 주목하여 그 수용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사적으로 분석하여 냉전아시아 문화냉전의 기원을 탐색하고자 했다. 『실패한 신』의 한국 수용은 냉전분단체제의 거시적인 규율 속에 반공산주의의 정당성을 확증해주는 텍스트로, 체제옹호를 뒷받침해주는 대내외 심리전텍스트로 두루 활용되는 기조가 유지되었다. 좌익에 남아 있던 공산주의전력자의 증언으로만 구성한 『실패한 신』의 텍스트성과 그로 인해 출간 당시 『실패한 신』 및 저자들이 좌우 진영 모두로부터 의혹과 비판을 받은 바 있는 이 냉전텍스트가 한국에서는 반공산주의텍스트로 비교적 단일한 의미 변용을 거쳐 수용되었고, 그것이 오랫동안 지배적으로 관철된 특징이 있다. 포도레츠가 특히 경계했던 제3세계에서 이 텍스트의 반공주의 지식으로서의 불충분성과 반 소주의의 정치적 미흡함이 한국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실패한 신』의 기획 의도가 한국에서 가장 실질적으로 구현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것이 가능했던 원천은 냉전분단체제하 사상 전향이 내포한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구속성 때문이었다. 이 같은 수용은 지배 권력의 통치술로 확대 강화된 면이 컸으나 한국사회에 광범하게 정착된 냉전멘털리티가 이에 못지않게 작용했다는 판단이다. 특히 공산주의의 실제 체험은 『실패한 신』의 냉전텍스트성과 심리전 효과를 증폭시키는 주된 바탕이었다. 이는 동아시아국가들의 번역 수용과도 구별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실패한 신』은 문화냉전텍스트로 규정되어 전파되었으나 그 내용과 영향을 고려하면 러시아혁명 이후 20세기 세계사를 포괄한 지성사의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공산주의전력자들의 사상적 고뇌와 지적 유토피아니즘에 대한 복원이라는 관점에서 『실패한 신』의 재독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ntext in which 『The God That Failed』, which was planned with the clear intention of the Cultural Cold War in 1949, was translated in Korea and the aspect of its acceptance, and aims to investigate its status as a Cold War text and its influence. 『The God That Failed』 is a collection of essays on communism experience and a record of conversion to communism, which confessed in detail the process of joining, experiencing, disillusioning, and withdrawing from communism by prominent Western intellectuals who joined the Communist Party or sympathized with communism. The special feature of this conversion text is that it is a simultaneous critique of communist ideology(Soviet system)/liberal ideology(capitalist system). However, 『The God That Failed』 was used as a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warfare text of the Cultural Cold War as it was meant as decisive evidence to prove the failure of communism by the CIA’s Cultural Cold War strategy. In addition, through international Cold War cultur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Cultural Freedom Council, it has spread worldwide and its authority and influence as a Cold War text have been expanded. Therefore, 『The God That Failed』 can be said to be a rare text that can simultaneously grasp the global chain of the Cultural Cold War and the East Asian and Korean acculturation of the Cold War knowledge. The acceptance of 『The God That Failed』 into Korea was maintained as a text that confirms the legitimacy of anti-communism in the macroscopic discipline of the Cold War system, and is widely used as a psychological warfare text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o support the advocate system. In Korea, it was accepted as an anti-communist text through a relatively single meaning change, and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has been dominantly carried out for a long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insufficiency of this text as anti-communist knowledge and the political inadequacy of anti-Sovietism in the Third World, which Podhoretz was particularly wary of, did not exist in Korea. This shows that the planning intention of 『The God That Failed』 was most practically implemented in Korea.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strong ideological constraints implied by the ideological conversion under the Cold War system. This acceptance was largely strengthened by the ruling art of the ruling power, but it is judged that the Cold War mentality that was widely established in Korean society worked no less than this. In particular, the actual experience of communism was the main basis for amplifying the Cold War textuality and psychological warfare effect of 『The God That Failed』. This is also a point of distinction from the acceptance of translation by East Asian countries.

      • KCI등재

        ‘탈식민‒냉전’과 ‘65년 체제’에 대한 한국문학의 서사적 대응 -최인훈, 하근찬, 선우휘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명철 한민족문화학회 2022 한민족문화연구 Vol.80 No.-

        Through World War II, Asia requires a frame of ‘Decolonization- Cold War’ rather than a separate issue of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so Korean society should look at the San Francisco system and the ‘65-year system’. This is because the ‘65-year system’, which has political and historical issues of ‘Decolonization-Cold War’, lies at the horizon of the San Francisco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rovides a useful study for discussing the response of Korean literature to the ‘Decolonization-Cold War’ and the ‘65-year-old system’. Therefore,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discussion of Korean literature related to the ‘65-year system’, but it examines the Korean literature's response to the ‘Decolonization- Cold war' as an issue. To this end, we paid attention to Choi In-hoon's series of <the sound of the governor>, Ha Geun-chan's short stories and novel <Yaho(야호)>, and Sun Woo-hwi's novel <wave to Mekong (river)>. Through the strategy of satire's narrative, which combines ‘literal representation’ and ‘oral representation’, Choi In-hoon makes the ‘65-year system’ an issue as his own narrative in series of <the sound of governor>. This is a critical reflection of the global clock that not only the San Francisco system, but also the modern European system, which firmly supports the San Francisco system, is embodied in colonial rule under the name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oward the non-Western world, and 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face a crisis in the cold world amid political and political and economic chaos. Ha Geun-chan's literature is linked to colonialism in imperial Japan, and when the narrative related to the Korean War is understood in conjunction with the ‘65-year system’, a more contentious approach to his literature is possible. The anticommunism and Cold War order under the ‘65-year system’ disprove that the author's epic reenactment of <Yaho>'s ‘Decolonization-Cold War" cannot be free from anticommunism and subjugation of politics that absorbs and converges into the Cold War order rather than critical reflection. In this respect, <Yaho>’s literature on the ‘65-year system’ constitutes an issue of Korean literature in a different dimension from the epic completeness of the work. Vietnam War is a very important event when looking at the ‘65-year system’ in the frame of ‘Decolonization-Cold War’. Sun Woo-hwi's <wave to the Mekong River> deals with Vietnam War, which forms a ‘65-year system’, but does not activate the view of antiwar peace, nor does it fully defend or criticize the rule of the country that participated in Vietnam War. As such, the respons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o the ‘65-year system’ is bound to be multilayered, which requires a contentious approach to Korean morern literature. This is also a task that Radical and contentious discussion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realize the grand task of actively constructing ‘new world literature’. Since then, it is hoped that more controversial discussions on the ‘65-year system’ will continue in Korean modern literature to further raise awareness of this problem.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아시아는 탈식민과 냉전에 대한 사안이 별개의 차원에서 궁리될 성질의 문제가 아니라 ‘탈식민‒냉전’이란 프레임이 요구되는바, 한국사회는 샌프란시스코 체제와 ‘65년 체제’를 중층적으로 살펴봐야 한다. ‘탈식민‒냉전’의 정치역사적 쟁점을 지닌 ‘65년 체제’는 샌프란시스코 체제의 지평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이 둘의 관계는 이후 ‘탈식민 냉전’과 ‘65년 체제’에 대한 한국문학의 응전을 톺아보는 데 요긴한 공부거리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이 글은 그동안 ‘65년 체제’와 관련한 한국문학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되, ‘탈식민‒냉전’에 대한 한국문학의 응전을 쟁점화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해 최인훈의 「총독의 소리 」 연작, 하근찬의 단편 및 장편 『야호(夜壺) 』, 선우휘의 장편 『물결은 메콩(강)까지 』를 주목해 보았다. ‘문자적 재현’과 ‘구연적 재현’이 어우러진 풍자의 서사 전략화를 통해 최인훈은 「총독의 소리 」 연작에서 ‘65년 체제’를 그만의 서사로 쟁점화한다. 이것은 ‘65년 체제’를 배태한 샌프란시스코 체제는 물론, 샌프란시스코 체제를 튼실히 떠받치고 있는 유럽발(發) 근대가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속성을 띠면서 비서구 세계를 향해 문명과 계몽의 미명 아래 식민성의 통치로 구체화되고, 동아시아와 한반도의 경우 근대 민족국가의 정치경제적 혼돈의 와중 냉전 세계의 질곡 그 냉엄한 국제질서 속 아주 위태로운 위기에 직면해 있음을 지구적 시계(視界)로서 비판적 성찰을 수행한 것이다. 하근찬의 문학은 제국 일본의 식민주의와 연결된 가운데 한국전쟁 관련 서사를 ‘65년 체제’와 연동하여 이해했을 때 한층 더욱 그의 문학에 대한 쟁점적 접근이 가능하다. ‘65년 체제’가 거느린 반공주의와 냉전 질서는 『야호 』의 ‘탈식민‒냉전’에 대한 작가의 서사적 재현에서 비판적 성찰보다 반공주의와 냉전 질서에 흡수 및 수렴하는 정치의 예속화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반증한다. 『야호 』의 ‘65년 체제’에 대한 문학은 이런 면에서 작품의 서사적 완결도와 다른 차원에서 한국문학의 쟁점을 구성한다. ‘탈식민‒냉전’의 프레임에서 ‘65년 체제’를 살펴볼 때 베트남전쟁은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선우휘의 『물결은 메콩강까지 』는 ‘65년 체제’를 이루는 베트남전쟁을 ‘탈식민‒냉전’의 시각으로 다루되, 반전평화의 시각을 적극화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베트남전쟁에 동참한 국가의 통치를 전면 옹호 내지 비판하는 것도 아닌, 구체적 정치의 맥락이 결여된 윤리로 귀결된다. 이렇듯이 ‘65년 체제’에 대한 한국문학의 대응은 중층적일 수밖에 없으며, 이것은 한국문학에 대한 쟁점적 접근을 요구한다. 이것은 또한 한국문학의 래디컬하고 쟁점적 논의들이 ‘새로운 세계문학’을 적극 구성하는 원대한 과제를 실현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후 이 문제의식을 더욱 벼리기 위해 ‘65년 체제’에 대해 한층 더 쟁점적 논의가 한국문학에서 이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냉전과 원조, 원조시대 냉전문화 구축의 역동성-1950~60년대 미국 민간재단의 원조와 한국문화-

        이봉범 ( Lee Bong-beom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9

        아시아재단을 비롯해 민간재단의 존재는 냉전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따라서 민간재단의 원조와 한국의 냉전문화 구축의 상관성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양자 사이에 놓여 있는 여러 매개요소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본고는 그 중 (경제)원조를 중요 변수로 설정했다. 원조가 냉전체제의 범세계성을 가장 잘 함축한 키워드이며 동시에 한국의 냉전문화 축조의 핵심 동력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원조는 냉전의 본질적 요소로서 냉전체제를 현상 유지시킨 기본적인 수단이었다. 냉전체제 전 시기를 일관해 확대/축소재생산의 형태로 이루어진 미소의 군사적·경제적 원조경쟁은 양국의 전략적 이해관계를 관철시키기 위한 유력한 방편으로 작용하면서 양국의 지속적인 대립 및 긴장 완화의 요인이 되었고, 나아가 미소관계를 넘어서는 또 다른 갈등, 특히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냉전의 주변부를 냉전의 격전장을 흡인해내면서 냉전을 세계적인 차원으로 격상시킨 주된 요인이었다. 특히 1950년대는 냉전이 유럽적인 현상에서 세계적으로 파급·확산되어 국제적인 신체제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는데, 원조전 또는 경제냉전이라 일컫는 미소의 본격적인 원조경쟁이 이를 더욱 추동했다. 그로 인해 냉전은 미소의 세계패권 경쟁뿐만 아니라 주변부국가들의 탈식민의 과제와도 밀접하게 내접될 수밖에 없었다. 냉전의 초점이 주변부로 다변화됨에 따라 경쟁적으로 시행된 원조는 그러나 경제 원조조차 군사적 성격을 농후하게 지녔던 관계로 경제적 후진성, 사회문화적 낙후성 극복 등 주변부국가의 탈식민과제에 대한 기여가 미미했다. 이런 조건에서 민간재단의 원조가 상당한 효력을 갖게 된다. 미국의 대한원조도 동일한 맥락에서 축소재생산의 형태로 지속되는데, 특히 정부·민간원조를 통틀어 일본을 중심으로 한 미국의 아시아지역통합 전략의 기조에 따라 제공됨으로써 군사적 성격이 더욱 강했으며 원조집행의 자주성, 특히 원조물자의 대일구매와 바이아메리칸정책을 둘러싼 첨예한 갈등으로 원조의 효과를 약화시켰다. 이렇듯 미국의 대한원조의 전체적 구성과 내용의 특성상 민간재단 원조가 중요한 위상을 부여받을 수 있었고 그 효과가 배가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같은 정부 간 원조와 민간재단 원조의 구조적 역학관계 외에도 민간재단의 한국원조를 제대로 살피기 위해서는 아시아재단, 한미재단, 포드재단, 록펠러재단 등 민간재단 전체를 포괄적으로 균형 있게 다뤄야 한다. 민간재단별 서로 다른 특화된 원조영역이 존재할 뿐 아니라 한국원조의 영역 또한 상당부분 겹치기 때문이다. 또 민간재단 원조가 한국에서 실행되는 제반 조건 및 주체적 대응도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민간원조의 규모, 지원 대상, 운영 절차 등 원조의 형식은 물론이고 원조의 효력, 즉 냉전문화 구축의 실질을 규정하는 요소였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과 구도 아래 아시아재단과 포드재단의 한국원조의 조건과 논리 그리고 그 효과를 사례 분석해보았다. 아시아재단의 자유문학상 원조를 통해 아시아재단이 주목한 한국의 냉전적 가치와 문학을 체제 경쟁의 가장 매력적인 무대로 활용한 점을 파악했으며, 포드재단의 아세아문제연구소에 대한 집중적 원조가 데탕트 추세 속에서 국가권력-학계-포드재단의 공조관계에 의해 이루어진 가운데 외원에 의한 한국학 정립이라는 냉전(학술)문화 형성의 한 전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간재단의 주요 문서들이 공개됨으로써 냉전문화 연구의 여러 가설수준의 설명이 입증가능한 단계로 진전되고 있다. 입수한 스탠포드대 후버아카이브에 소장되어 있는 아시아재단, 한미재단 등의 자료 분석을 거쳐 본고의 미진했던 부분을 발전적으로 확산시킬 예정이다. The existence of the private foundations including Asia Foundation and the Cold War are indivisible relation. This paper, focusing (economic) aid which is the best keyword implying the globality of the Cold War system,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id from private foundations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Cold War Culture. In 1950’s the Cold War system spread worldwide in the form of the aid war or the economic war. However, even the economic aid did scarcely contribute to postcolonial projects of fringe nations, for it had deeply military characteristics. In the same way America’s aid to Korea maintained as the reproduction on a regressive scale, which is especially supplied with the keynote of America’s strategy of Asia regional integration so that it has strong military characteristic. The private aid was able to raise its status and also the effect of it could be increased, due to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America’s aid to Korea. This paper analyzed the examples of the conditions, the logic, and the effects of the aid to Korea of Asia Foundation and Ford Foundation under this theme. It can figure out the aid to freedom award literature of Asia Foundation that parlay Korea’s value in cold war system and the literature into the stage of system competition. And it can be checked that Ford Foundation’s intensive aid to Asiatic Research Institute was the typical model of cold war academy of Koreanology built by Foreign aid as which was carried out by the cooperation among the government power, the academy, and Ford Foundation in detente.

      • KCI등재

        ‘냉전 현실’을 상상적으로 구성하기 : 1950, 60년대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의 청취자 조사와 ‘아마추어 무선문화’의 냉전적 전유

        윤상길(Sangkil YOO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1 언론정보연구 Vol.58 No.4

        이 연구는 1950, 60년대 ‘자유대한의 소리’방송의 해외청취자 조사가 광복 이후 전 세계적인 냉전질서 속에서 남한의 방송관계자들이 어떻게 냉전의 상징 질서를 만들어갔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라는 인식과 냉전적 언론보도와 미디어 활동이 적극적으로 ‘적과 동지를 구별하는 담론과 서사’를 생산·재생산하는 통로이자 장치로 기능함으로써 실제 현실과는 다른 ‘냉전 현실’을 상상적으로 구성하는 데 기여할 개연성이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문제의식으로부터 이 연구는 1950, 60년대 한국의 방송담당자들이 ‘자유대한의 소리’방송의 해외청취자조사를 통해 어떻게 ‘냉전현실’을 구성해 갔는지를 살펴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의 분석층위(맥락적 층위, 제도적 층위, 문화형식적 층위, 텍스트적 층위)를 고려하여, ‘자유대한의 소리’방송의 해외청취자 조사의 배경과 의도를 분석하고, 당시 해외청취자 조사의 주요방법이었던 ‘수신보고’의 수집경로와 해외청취자 반응을 보도하는 양식, 지역별 분포 및 수신 상태 등 청취자 조사결과를 보도하는 텍스트의 서사전략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냉전기 한국 대외방송의 청취자 조사활동과 조사결과의 보도양식이 가지고 있는 냉전적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Starting with the sense that Cold War media coverage and media activities are likely to contribute to the imaginative formation of a different ‘cold war reality’ by actively producing and reproducing ‘discourses and narratives’ that distinguish enemies and comrades, This study examine how South Korean broadcasters created a symbolic order of the Cold War in the wake of Korea’s libera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and intent of overseas listener surveys by considering four layers of analysis (contextual, institutional, cultural, and textual), and reports on the collection path and local distribution of listener surveys. Through this,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Cold War nature of the overseas listener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reporting mode of Broadcasting magazines.

      • KCI등재

        ‘탈냉전’ 시대 동아시아 북방학의 가능성

        任佑卿 ( Im Woo-ky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8 No.-

        이른바 세계적 ‘탈냉전’ 시대, 과거로 물러나 버린 ‘냉전’ 시대의 역사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최근 글로벌냉전사 연구가 활발하다. 이들은 냉전의 지역적 다양성과 주변의 행위주체성에 주목하면서 연구패러다임의 ‘지역적 전환’을 꾀하고, 냉전이 개인들의 일상적 문화적 층위에 미친 깊은 영향을 강조하면서 ‘문화적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냉전은 종식되었다’라는 역사적 명제와 ‘냉전은 종식되어야 한다’는 가치 평가적 명제는 거의 모든 분야의 담론에 암묵적 전제를 이루고 있다. 또한 ‘냉전’이라는 패러다임 자체는 대결하는 양쪽 진영의 세력이 대등하다는 착시를 초래하고 나아가 냉전 대결의 양방을 양비론적 태도로 접근한다. ‘탈냉전’ 시대 이와 같은 냉전서사는 애초 사회주의적 이념이 자본주의를 극복하려는 아래로부터의 민주적 열망과 연계되어 있음을 간과하게 만들고, 그와 관련된 역사를 정리되어야 할 과거로 치부하거나 아예 역사의 지표 아래로 소거해 버렸다. 그런 점에서 본 논문은 1989년 제기되었던 북방관계연구 시론에 주목하고 ‘북방’이라는 개념과 범주에 기대어 실은 패권적 패러다임인 ‘냉전’과 ‘탈냉전’ 패러다임 자체를 심문하고 해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남한의 이북으로서 북방이란 북한을 포함하여 중국, 몽골, 소련 및 동구의 공산권 국가들을 가리킨다. 북방은 사회주의적 이념과 실천의 연쇄, 그리고 상호연대를 통해 구축된 관계적 구성물이었다. 사회주의적 이념과 실천의 연쇄라는 점에서 북방범주는 또한 남한과 일본, 대만, 베트남과 동남아시아의 혁명과 민족해방운동으로 확장된다. 그런 점에서 필자는 동아시아 북방학을 제안한다. 동아시아 북방학은 동아시아라는 지역을 토대로 북방의 트랜스내셔널한 연대의 사상과 실천을 교훈삼아 현실개혁의 동력으로 삼는 학술적 실천이며 지적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As the era of the so-called "post-cold war" has come, historicalization of the "cold war" era, which has already become a past, has been carried out, and research on global cold war history has been active recently. Noting the regional diversity of the Cold War and behavioral subjectivity of the periphery, they are trying to make a "local transformation" of research paradigm and they are trying to seek a "cultural transition" by emphasizing the deep impact the Cold War has had on individuals' daily and cultural strata. However, the historical premise of "The Cold War is over" and the valuation premise of "The Cold War should be over" are implicitly prefixed to discourse in almost every field. In addition, from the very beginning the paradigm of "Cold War" leads to the illusion that the forces of the opposing camps are equal, and furthermore, the two sides of the Cold War confrontation are all bad. Cold War narratives such as this one in the era of the "post-cold war" initially made us forget that socialist ideology was linked to democratic aspirations from below to overcome capitalism, and dismissed the history associated with it as a past that should be sorted out, or even wiped it out below historical indicators. In this regard, this paper notes the theory of Northern Relations Research, which was raised by Sunho Hong in 1989, and argues that the hegemonic paradigms "Cold War" and "Post-Cold War" paradigm itself need to be interrogated and deconstructed by raising the concept and category of “the North”. Here, the “North” means north of South Korea, referring to communist countries including North Korea, China, Mongolia,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e north was a chain of socialist ideologies and practices, and a relational construct built through mutual solidarity. Given that it is a chain of socialist ideologies and practices, the northern category also extends to revolutions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in South Korea and Japan, Taiwan, Vietnam and Southeast Asia. In this regard, I propose Northern Studies of East Asia.

      • KCI등재

        문화냉전 시기 남북한 민족예술의 경합: 1950-70년대 해외공연을 중심으로

        김희선 ( Kim Hee-sun ) 민족음악학회 2021 음악과 민족 Vol.- No.61

        이 글은 문화냉전의 차원에서 전개된 남북한 국제적 경합의 전개를, 냉전이 가장 극심하게 대립되던 1950년-1970년대 진행된 남북 민족예술 해외공연의 양상을, 남한에서는 정권과 민족예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북한은 사회주의 민족예술의 전개 단계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면서, 민족예술이 냉전 정치학에 호명되어 냉전 민족주의(허은 2011)와 냉전 세계주의(클라인 2017)를 수행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전후 복구과정에서 소련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받았던 북한은 민족예술의 국제경쟁에서 남한보다 앞서 있었다. 모든 것을 국가가 관리하는 강력한 사회주의 국가주도 체제는 문화냉전의 국제경합에서 유리했다. 반면 초기 남한의 문화예술보다 아시아의 반공의 보루로서만 관심을 두었던 미군정과 민족적인 것의 발굴하고자 했지만 경제·정치적 입지가 약했던 초기 정권에서 민족예술을 통한 국제경합은 열세에 놓인 상황이었다. 남북 민족예술의 해외공연에서 가장 다이나믹한 시기는 1960년대이다. 세계적 냉전의 심화, 아시아 역내 정치학의 변화, 남북관계 등이 역동적으로 돌아가던 시기였다. 북한은 인민을 위한 균질화된 민족예술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공연양식으로 해외공연을 확대하였다.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이 시기 남한의 해외공연은, 정권의 조국 근대화와 반공 민족주의의 역군으로 호명되며 미국 문화냉전 전략과 틀 안에서 전개되었다. 사회주의 혁명 완수를 위해 호명된 민족예술과 반공과 근대화의 역군으로 호명된 남한의 민족예술은 각각 체제유지와 국제경합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북한은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거리를 유지하며 주체사상에 기반한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양식을 확립하여 1970년대부터는 해외공연의 주요 종목으로 채택하게 된다. 유신헌법과 함께 더욱 강력한 조국 근대화와 민족주의의 부흥을 내세우고 강력한 통제체제를 작동시켰던 박정희 정권의 1970년대는 국립단체를 중심으로, 남북 민족예술 국제경합에 적극적 대응에 나서며 대규모 공연단을 해외에 파견하면서 민족예술의 국가봉사를 더욱 강조하였다. 당대 글로벌 문화냉전은 한반도의 민족예술의 수립에 근간으로 역할 했고 특히 해외공연의 레퍼토리 구성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국가적 유용성과 민족주의적 경합은 국내적으로도 민족예술의 위상에 영향을 주었다. 미-소 군정기에 보여주었던 서구식 문명화를 향한 동경, 타자를 통해 민족예술의 우수성을 인정받고자 한 점, 민족예술에 대한 근원적 고민보다 국민통합과 국제경합의 도구로 민족예술을 위치시킨 점은, 그 과정에서 구축된 민족예술 결과물의 벌어진 간극을 초월하여, 남북이 거울처럼 서로 비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문화냉전의 차원에서 전개된 해외공연을 통한 남북 민족예술의 경합은 ‘이념성’, ‘민족성’, ‘문명화’의 과시이자 경쟁이었고 이후 한반도 민족예술의 향방을 결정짓고 있음도 유의해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between two Koreas under the context of Cultural Cold War, through overseas performance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f both Korea from the 1950 to 70s. The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U.S. and the U.S.S.R after World War II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wo Koreas in 1948 and the peninsula’s positioning as the battlefield in a Cold War. “National” discourses as well as ideology have been emphasized to demonstrate ideological superiority. In this situation, the two Koreas have competed in terms of their respective Koreanness, by preserving and reinventing “tradition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paganda on systemic, ideological, state, national authenticity has fed on “Cold War Nationalism” (Heo, 2011) and “Cold War Cosmopolitanism” (Klein 2017), and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ecame very effective means of propaganda for international competi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post-war period, South Korea was not able to organize its cultural infrastructure at a state level. The first international performance tour was organized by the nation, but funded by the USIS. Other performing troupes were also sent to Free Asia Alliance nations. In the 1960s, several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roupes made performance tours of the US, supported and invited by Cold War-related institutions including the Asia Foundation. During the 1970s, more strong nationalistic yusin rhetoric forced national performing arts troupes to serve the nation through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performed frequently throughout the world than before and it was based on cold war competition. North Korea led the way in systemizing national art troupes for international tours. It re-organized the cultural infrastructure and artist groups beginning in the 1950s to prove the superiority of its system and competing “Korean-ness”. The North frequently dispatched folk performing arts troupes, including Choe Seung-hui, to socialist alliance states on tour. North Korea expanded its diplomatic relations beyond USSR, China and Socialist alliance nations during the 1960s. Along with its establishment of socialist revolutionary opera during the 1970s, North Korea expanded its overseas performances to other part of the world. This paper examines the competition between the two Koreas’ national discourses in the Cold War period, focusing on international performance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etween 1950s and 1970s. At the same time, it reveals that the internal politics of the peninsula intertwined with the global Cold War have defined the direction of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both Koreas, in completely opposite ways.

      • KCI등재

        냉전과 일본의 자유주의

        장인성(JANG In-Sung)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9

        이 글은 ‘진보주의자’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의 ‘냉전자유주의’를 해명함으로써 패전과 냉전 초기의 일본에서 영위된 진보적 자유주의의 실체를 해명한다. ‘민주’와 ‘평화’가 모색된 패전과 냉전 초기의 공간에서 일본의 자유주의가 냉전적 현실에 투사되는 양상을 마루야마의 리얼리즘과 내셔널리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마루야마의 냉전자유주의는 자유주의의 냉전적 존재양태와 냉전의 자유주의적 해석의 두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자유주의의 냉전적 존재양태가 근대일본의 자유주의의 시간적 계승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라면, 냉전의 자유주의적 해석은 냉전 상황에서의 자유주의의 공간적 표출을 포착하는 것이다. 마루야마의 냉전자유주의는 내셔널리즘과 리얼리즘을 매개로 표현된다. 마루야마는 냉전적 현실에 대응하여 ‘민주’와 ‘평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냉전 구조에서 생겨난 반공 논리에 근거한 새로운 형태의 파시즘을 비판하였고, 리얼리즘의 입장에서 평화를 모색하였다. 마루야마에게 냉전체제의 ‘두 개의 세계’를 벗어나는 길이 ‘중립’과 ‘평화’였다면, 파시즘을 벗어나는 길은 ‘공평한 판단’과 ‘자주적 결사’였다. 마루야마의 냉전자유주의에서 주체는 ‘시민’보다는 ‘국민’을 지향하는 것이었고, 국민 형성을 지향하는 내셔널리즘은 ‘민주’와 ‘평화’를 위한 조건이었다. 마루야마의 비판적 자유주의는 내셔널리즘과 리얼리즘을 매개로 작동하였다. This paper explains what Japanese progressive liberalism was in postwar Japan by clarifying Maruyama Masao’s “Cold War Liberalism,” focusing especially on his realism and nationalism searching for “democracy” and “peace” in the context of the early Cold War Japan. Maruyama’s Cold War liberalism can be grasped from two perspectives: how the Cold War defined his liberalism and how Maruyama interpreted the Cold War as a liberalist in postwar Japan. The liberal interpretation of the Cold War captures the spatial manifestations of liberalism in the Cold War while Cold War liberalism was to grasp the temporal succession of modern Japan. Maruyama revealed his liberal thinking by combining it to his idea of nationalism and realism. He was concerned about the reshaping of the fascist atmosphere provoked by anti-communism emerging from the Cold War confrontation structure. He sought “neutrality” and “peace” to overcome the so-called “two worlds” of the Cold War. And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fair judgment” and “autonomous association” to restrain the fascistic atmosphere in postwar Japan. For Maruyama, subjectivity aimed at the concept of “nation” rather than “citizen,” and nationalism was a condition for “democracy” and “peace” in postwar Japan. Maruyama’s critical liberalism worked through nationalism and re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