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일상적 차별경험이 매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부귀인의 조절효과

        민예슬,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6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students' daily discrimination on depression, and identifies behavioral and dispositional internal attribution coping strategies that may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process. 61 international students completed daily questionnaires for 10 day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daily discrimination predicted daily depression. Second, internal attribution coping and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However, internal attribution coping conflicted the discrimination-depression relationship and internal attribution dispositions strengthened the depression due to discrimination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broadens the methodological boundaries of international student studies by revealing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also appears on a daily basis, which was widely proven in the single measure surveys.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to help counselors understand the adaptation process and the coping methods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internal attribution coping and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on discrimination experiences.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일상적 차별경험이 그날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내부귀인대처 및 성향이 이 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된 일기법(Daily Diary) 설문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61명을 대상으로 10일 간의 차별경험, 내부귀인대처, 우울 및 내부귀인성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적 차별경험은 당일의 우울을 예측하였다. 둘째, 내부귀인대처 및 내부귀인성향은 차별과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다만 내부귀인대처의 경우 차별경험과 우울의 관계를 대립시켰으며, 내부귀인성향의 경우 차별경험으로 인한 우울을 강화시켰다. 본 연구는 단회 측정 설문연구에서 널리 입증된 차별경험의 부정적인 영향력이 일상적 맥락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밝혀, 외국인 유학생 연구의 방법론적 지평을 확대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내부귀인대처 및 내부귀인성향이 차별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의 적응과정 및 대처방식에 대한 상담자들의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한국 음악전공자의 유학 후 실태와 새로운 유학모델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조부환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3

        The present music education system reveals numerous problems and limitation. These problems raise the performance cost higher and higher. But the high cost in performance never returns with high income because public audience(buyers) do not intend to pay a lot for such public goods(concerts). This is really a vicious circle in present music society.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reality and solve the problem, young students go abroad to practice and study more for better musical quality, proper high degree. In doing so, they expect to achieve better opportunity in performance and education and of course higher social position with better income. But the statistic shows musicians who have studied abroad in European or American countries , traditionally so-called elite musicians, do not guarantee themselves a good social status. A deep infra-structural problem and closed system in music society are making the situation even worse. Music major students simply pay a lot during their studyng abroad period but still earn little after their expensive study. Here we need a new paradigm for advanced music education with lower cost and better quality. A joint degree program between Korean and Germany which has been launched 5 years ago would be a alternative way for traditional expensive educational system. With some practical difficulties in 5 initiative operating years, the joint degree program has successfully been growing and expecting more participants. 현재 한국의 음악교육 시스템과 음악인이 처한 사회적 지위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고 판단된다. 사회의 엘리트 구성원으로서의 음악인에 대한 인식은 높으나 그에 따르는 경제적 보상은 상당히 낮다. 연주력이 높은 경쟁 음악인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자신의 음악을 관객에게 들려주기 위한 공연비용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공연비용의 상승은 음악인들의 수입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관객(소비자)이 그러한 공공재(공연)에 높은 대가를 지불하려는 의사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현 우리 음악계의 가장 심각한 악순환 구조이다. 이러한 현실을 피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젊은 음악학도들은 더 좋은 환경에서 더 좋은 교육을 받고 상위의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유학을 떠나고 있다. 그들은 유학을 통해 더 좋은 공연과 교육 기회, 그리고 나아가 귀국 후에 사회적으로 더 나은 대우와 수입을 기대한다. 그러나 조사에 의하면 유럽이나 미국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온 음악인들, 즉 엘리트 음악인들이 사회적으로 상위의 지위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 수많은 음악전공자들이 연주력 상승과 학위의 취득 그리고 귀국 후 더 나은 처우를 위해 해외 특히 미국과 유럽으로 유학을 떠나고 이를 위해 상당한 규모의 비용을 지불하지만 유학 후의 수입과 대우는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이므로 저비용으로도 고급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개념과 형태의 대안적 유학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과 외국의 교육기관 간의 복수학위 운영 프로그램이 바로 그 예인데, 전통적인 방식의 고비용 유학교육시스템을 대체할 교육체제로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대안적 교육기관을 실제로 운영하는 데는 약간의 어려움이 없지 않지만, 한국과 외국 유수 대학 간의 복수학위 운영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하고자 하는 수요는 대안적 교육으로 차츰 증가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