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 세대’ 담론의 젠더화를 위한 시론

        배은경(Bae, Eun-Kyu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5 젠더와 문화 Vol.8 No.1

        이 글은 한국 청년 세대 담론이 가진 남성중심적 한계를 극복하고 오늘 /여기 청년기 인구집단이 가진 다층성과 이질성을 포착하기 위해, 남성성 연구의 성과를 활용하여 청년 세대 담론의 젠더화를 시도한다. 최근의 청년 세대 담론은 청년층을 몰젠더적인 남성인 것처럼 표상하고, 그들의 위기와 좌절을 젊은 남성들이 표준화된 근대적 남성 생애주기 과제를 달성하기 어려워진 것에서 찾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 정상가족의 표준이나 근대적 성별분업은 상당부분 이미 해체, 변형되고 있으며, 따라서 청년 세대에 대한 담론이 여전히 이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은 불합리하다. 생애가족임금을 전제로 하는 ‘1인 생계부양자’와 근대적 핵가족이 약화되는 가운데 일상문화의 소비주의는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대체할 대안적 남성성은 등장하지 않고 있다. 최근 젊은 남성들 사이에 좌절과 불안, 분노를 더욱 증폭시키고 있는 요인을 여기서 발견할 수 있다고 본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oretical tools for gendering the discourse on the ‘young generation’ in Korea, using the language of masculinity studies. Most of the existing ‘young generation’ discourse tends to represent this generation as young men who are failing to achieve the tasks set for them in the standard male life-cycle script of the modern family. Difficulties in securing a stable income and employment and the subsequent impossibility of holding the position of ‘the sole breadwinner’ in the family are considered as the main causes of young people’s frustrations and crises. However, the standards of the normal family and modern division of labor by gender have been weakening in Korea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of 1997, necessitating new visions for young people’s lives. However, as long as modern gender relations are reconstructed along the lines of the modern stereotype, while consumerist culture continues unchecked, no alternative masculinities that can replace the old hegemonic masculinity will appear. It is proposed that this is the main reason for the amplification of frustration and anxiety among young men in Korea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