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이에게 다가가는 초조한 발걸음: 중산층 난임 부부의 경험

        김성희 한국가족관계학회 202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7 No.2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of infertility in middle-class couples.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iddle-class infertile couples who have experience with in vitro fertilizatio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Results: The participants reported a change in their perceptions, from expecting to obtain a child through a “natural pregnancy” to “something they cannot get even if they desperately want it and try hard to get it.” The couples experienced anxiety and nervousness in relation to their expectation of pregnancy or failure throughout their experience of in vitro fertilization. During the stressful period, the spouses’ support systems were an important coping strategy against traditional family norms. The infertile coupl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regarded having children to be part of “family completion.” Conclu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dure of linking the experience of in vitro fertilization of middle-class infertile coupl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체외수정을 경험한 난임 부부의 난임 및 시술 관련 경험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난임 부부의 경험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자 현상학적 접근에 기반하여, 눈덩이표집을 통한 총 15쌍의 난임 부부를 대상으로 남편과 아내를 개별적으로 심층면접 하였다. 2021년 3월부터 7월까지 약 다섯 달에 걸쳐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개념을 추출하는 분석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난임을 경험하며 ‘자연스럽고 당연한 임신’에서 ‘간절히 원하며 노력해도 할 수 없는 임신’에 대한 인식 변화를 나타냈다. 특히 체외수정 과정을 통하여 임신에 대한 기대와 실패에 대한 불안감과 초조함을 경험하며 기다림의 연속을 보고하였다. 지속적 임신 실패로 인한 좌절감과 시술을 통한 신체적 고통 속에서 부부는 공동의 목표를 가진 동지애를 발전시켰다. 이는 부부에게 가장 큰 힘이 되며, 정상 가족에 대한 사회적 압박과 주변의 시선에 대한 대처로 작용하였다. 한편 아내에게 직업은 양가적으로 나타났는데, 난임 시술 중 일상생활의 활력이 될 수 있는 반면,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많은 난임 부부에게 자녀는 배우자의 분신으로 자녀의 출산은 “가족의 완성”을 위한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중산층 난임 부부의 체외수정 과정에서 배우자 관계의 중요성과 한국 난임 경험에 대해 탐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는 난임 부부의 스트레스 대처 방법 강구뿐 아니라, 난임 정책 및 사회적 인식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難經 1-23難中 脈學條에 관한 硏究

        金法震,朴元煥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2000 東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Vol.8 No.2

        <難經>은 <內經>의 思想을 보다 仔細하고 深度있게 問答을 假說하여 疑難을 해석하는 방식으로 편찬된 書籍으로써, 論述은 基礎理論을 위주로 하고, 또 일부 病說도 分析하였는데 그 내용이 簡要하며, 辨析이 매우 精微하게 되어있다. 그 중 1-23難은 脈을 論하고, 23-29難은 經絡을 論하고, 30-47難은 臟腑를 論하고, 48-61難은 病을 論하고, 62-68難은 穴道를 論하고, 69-81難은 鍼法을 論하였다. 특히 <難經>에는 診法으로써 오늘날 까지 한의학의 脈診方法으로써, 가장 많이 응용되고 있는 '獨取寸口法'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이에 本 著者는 <難經>의 脈論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위하여 <難經之硏究>를 중심으로 1-23難에 나오는 脈論들을 정리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八十一難經中 一難부터 二十三難까지의 脈學에 關한 條文中에는, 百脈이 朝會하고 그 始作과 끝이 되는 寸口를 中心槪念으로 하고 正常的인 生理的 脈과 病的인 脈이 對比되면서 提示되어있다. 1. 十難에서 五邪와 剛柔의 理論과 各 臟腑의 固有한 脈狀이 登場하고 있다. 2. 十三難에서는 色과 脈, 形肉의 세가지 要素가 相應또는 相勝하는가에 따라서 病의 難·易治를 決定한다고 하였다. 3. 十四難에서는 脈을 損(遲脈)과 至(數脈)으로 구분하는데, 脈의 損에 따른 離經, 奪精, 死, 絶命의 區分과, 脈의 至에 따른 離經, 奪精, 死, 絶命을 區分을 說明하였다. 4. 十五難에서는 弦, 鉤, 毛, 石脈으로 四時에 따라서 脈이 다르다는 것을 말하였다. 이와같이 難經에서는 "獨取寸口"의 脈法을 明確하게 確立하였으며, <內經>의 理論을 더욱 다져서 進步시키면서도 <內經>과는 다른 獨創的 理論을 提示하는 것이 <難經>의 價値를 더하게 하였다. Nan Jing(Difficult Classic), as a catechism, describes in detail and deeply the ideas in Nei Jing(Huangdi s Internal Classic). The description of Nan Jing is focused on basic theories including theories about some disease and is excellent in identification and analysis. The contents of Nan Jing are as follows: 1-23 Nan-pulse and pulse condition, 24-29 Nan-channels and collaterals, 30-47 Nan-viscero and bowels(Zang Fu organs), 48-61 Nan-disease, 62-68 Nan-acupuncture points, 69-91 Nan-acupuncture. Especially, diagnosis techniques in Nan Jing make Only method of cunkou pulse taking that is a techruque for feeling the pulse widely applied in these days in Oriental medicine clear. Thus, this book adjusts the theory of pulse and pulse condition given in 1-23 Nan of The Study of Nan Jing in order to enhance an understanding about the theory of pulse and pulse condition. The text of 1-23 Nan about pulse lore centers on all pulse of human body interconnected each other and cunkou, both ends of the pulse, and contrasts regular pulse with irregular pulse. 1. 10 Nan describes the theory about five kinds of evils and hardness and softness, and unique pulse condition of each bowels. 2. 13 Nan explains that the relative difficulty of mdcal treatment is determined by the degree of balance or unbalance among three factors-colors, pulse and pulse condltion, flesh shape. 3. 14 Nan divides pulse and pulse condition into slow pulse and rapid pulse, and explains separately abnormality, great loss of semen, death caused by slow pulse, and abnormality, great loss of semen, death caused by rapid pulse. 4. 15 Nan about taut pulse(??), full pulse(??), floating pulse(毛), deep pulse(石脈) describes that pulse and pulse condition differs according to four seasons. Therefore, Nan Jing establishes clearly techniques of feeling the pulse in 'Only method of cunkou pulse taking(獨取寸口) and advances the theory of Nei Jing. Futhermore, Nan Jing is more valuable in that it suggests unique theory different with Nei Jing.

      • KCI등재

        난임 당사자들의 ‘낳을 권리’로서의 재생산권에 대한 인식 : ‘청와대 국민청원’을 중심으로

        류숙진(Ryu, Sukjin) 한국가족학회 2022 가족과 문화 Vol.34 No.1

        이 연구는 난임 당사자들이 공유하는 난임 지원의 담론을 경험적으로 이해하고 학문적, 정책적으로 논의되어 온 ‘낳을 권리’로서의 재생산권과 비교해 봄으로써 함의를 도출하는 탐색적 작업이다. 수집 자료는 청와대 국민청원의 ‘난임’검색 결과치 371건이며 분석 방법은 파이썬 프로그램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출현 단어들의 빈도 분석을 통한 주요 단어 추출과 주요단어들의 의미 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담론적으로 구성하고 낳을 권리의관점에서 함의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임 관련 청원글에서 추출된 주요 단어는 난임에 대한 의료적 진단 및 시술과 관련된 용어, 난임에 대한 심리적, 사회적 고통과난임 시술의 경제적 부담을 표현한 단어, 정부의 난임부부 지원 정책과 관련된 용어들이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둘째, 난임 당사자들이 난임 지원에 대한 사회적 동의를 구하는 근거는 저출산위기 담론이 바탕이 되었다. 그리고 보조생식술에 대한 의존과 국가적 저출산 위기 담론이 재생산권 담론을 압도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 결과 난임 당사자들이 공유하는 난임 담론은 국가적저출산 위기를 해소하기 위하여 난임 지원 사업의 대상과 범위의 규제를 없애줄 것과 아이를 낳을 때까지 의료적 처치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난임 당사자들이 공론장에서 전달하려는 난임 담론은 낳을 권리로서의재생산권의 담론보다는 저출산 대응책이라는 인구정책적 담론에 기대어 자신의 요구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평가하며, 이들이 경험하는 개인적, 사회적 맥락들이 의료적이고 경제적인 사안으로 환원되면서 여타의 재생산 권리들이 간과되는 문제를 지적하고자 한다. 그리고 재생산권이다양한 재생산 주체들의 권리를 옹호하고, 유용한 담론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재정립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아울러 저출산의 문제를 출산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담론을 전환하고 재생산권이대안적 담론으로서 수용될 수 있도록 사회적인 환기와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한다.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o derive implications by empirically understanding the infertility discourse shared by infertile persons and comparing it with the claim of right to bear children as one of the reproductive rights. The collected data were 371 results of searches for “infertile/infertility” on Blue House petitions. Through frequency analysis, the Python program was text mining to extract key words, following which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key words. The results were then constructed discursively and implications were draw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ey words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included specific terms that related to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fertility, words expressing emotional and social pain about infertility and the economic burden of infertility procedures, and terms related to the government s support measures for infertile couples. Second, discourse on the low fertility crisis was the basis for infertile couples to seek social consent for support. The reliance 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the low fertility discourse overwhelmed the reproductive rights discourse. Third, the infertility discourse shared by infertile persons consisted of requests to remove restrictions on the potential beneficiaries and scope of infertility support to resolve the national crisis of low birth rates, and expand support to mak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vailable to them.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he infertility discourse that the infertile persons wanted to convey in the public forum to justify their own desires based on the population policy discourse, and the overlooking of reproductive rights in the process. It raised the need for re-establishing reproductive rights to defend the rights of various and to be accepted as a useful discourse. Additionally, it is also required to change the discourse that is trying to resolve the issue of low fertility through childbirth and to engage in raising social awareness such that reproductive rights can be accepted as an alternative discourse.

      • KCI등재

        난임 여성들의 난임 스트레스 영향요인

        송보경,지영주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5

        The purpose of this correlation survey research wa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ertility stress in infertile women.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1 to July 31, 2020, and The subjects were 131 infertile women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C city to treat infertility and they agreed on the participation voluntari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é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8.0 progra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n fertility stress of infertile women, cost burden, depression, and marital intimacy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and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33.7%.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ost burden, the more depressed, the lower the marital intimacy, the higher the fertility stres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fertility stress of infertile women, a policy of continuous support for infertility treatment and procedure costs will be needed. In addition,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and to develop measures to improve marital intimacy.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난임 스트레스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난임 여성의 난임 스트레스로 인한 영구 난임 결과를 줄이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난임 스트레스 감소 중재 연구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종합병원 산부인과에 난임 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난임 여성이며, 이들 중 본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26세이상 46세이하의 13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제공한 후 직접 작성하게 하였다. 설문내용은 일반적 특성, 난임 관련 특성,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 사회적지지, 우울 및 난임 스트레스를 포함한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éffe test,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비용부담이 클수록, 우울할수록, 부부친밀감이 낮을수록 난임 스트레스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난임 여성의 난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난임 치료 및 시술 비용의 지속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난임 여성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부부친밀감 증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의 난임 간호 교육 요구도 조사

        박점미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8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rses’ educational needs for the infertility care. Methods: The 194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nurses in charge of infertility health services in 5 infertility hospitals and 1 public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cluding education for disease and symptom of infertility, education for daily life of infertile patients and supporting and counselling for infertility patients. Results: Nurses had an average score 3.52 for the need of education for disease and symptom of infertility, 3.36 for the need of education for daily life of infertile patients and 3.32 for the need of supporting and counselling for intertility patients. Among the each subcategories, ’Infertility treatment procedure and intervention’, ‘Exercise’ and ‘ How to form a supportive relationship with your spouse’ showed the highest average of nurses’ educational needs for the infertility care counselling programs item for the infertility patients. Conclus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nduct infertility care for the infertility patients, it is necessary for nurses in charge of infertility health services to understand clear concept and objective of it. 본 연구는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의 난임 간호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5개의 난임 전문 병원과 1개 보건소에서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 194명이었다. 자료는 난임 질환과 증상에 대한 정보, 난임 대상자의 일상 생활에 대한 정보 제공, 난임 대상자의 지지와 상담 내용을 포함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난임 질환과 증상에 대한 정보 요구도의 평균 점수는 3.52점이었고, 난임 대상자의 일상 생활에 대한 정보 제공 교육 요구도는 평균 3.36점이었으며 난임 대상자의 지지와 상담에 대한 교육 요구도는평균 3.32점이었다. 각 하부 영역중에서는 ‘난임 치료 과정과 중재’, ‘운동’, ‘배우자와의 지지 체계 형성’이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들의 교육 요구도 항목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난임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교육을 하기 위해서 난임 환자를 담당하는 간호사는 난임 간호 교육에 대한 분명한 개념인식과 목적을 가지고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전략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국 고전시에 나타난 난초 묘사 분석

        배다니엘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4 No.-

        중국 역대 고전 시가에서 난을 소재로 한 작품은 매우 많으며 난에 관한 역대 시에 대한 연구 역시 다양한 분야에서 실행되어 왔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난 관련 시가에 대한 그간의 연구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난이 지닌 문화적 의미, 특정 시기나 특정 시인의 작품에 나타난 난의 형상, 제화시 속에 나타난 난의 이미지, 梅蘭菊竹의 틀에서 본 난의 특징 등의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세부적인 특징에 관한 연구가 많은 편이라고 보이며 난에 대한 관심과 애호에 비해 작품에 관한 전반적 분석은 아직도 보완을 필요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중국 시가에서 난을 소재로 한 작품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문학적 의미를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고는 이 점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역대 중국시가에서 난을 언급한 작품을 내용에 따라 구분해보고 각 작품들이 지닌 상징성과 특성을 고찰해보았다. 난은 화려하지도 않고 자신을 잘 드러내지 않지만 단아한 자태를 지닌 식물이다. 강인한 외형이나 화사한 외형을 갖추고 있지 않기에 가까이 하기 전에는 연약한 초본식물이라고 느낄 수도 있지만 문화적 속성을 알게 되면 난이 지닌 고아한 기품과 이미지에 어느덧 매료되게 된다. 孔子와 屈原이 난을 들어 속내를 표현한 것을 필두로 후대 문인들이 난에 담긴미적 감각을 계승해 온 결과 난은 어느 화목보다 다양한 이미지와 상징성을 지닌 식물로 발전해 오게 되었다. 난의 우아하고 섬세한 곡선은 아름다운 감각을 제공하고, 드러내지 않고 본분을 지키는 고아한 인품은 정신적으로 좋은 본보기가 되며, 강인한 절개와 향기는 세인들의 처신에 경종을 울리는 상징성까지 함유하고 있다. 난에 관한 작품을 일차적으로 예거하고 각 작품에 담긴 상징성을 살펴본 본 논문은 난이 지닌 매력과 문학적 의미를 총괄적으로 정리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study the various symbols of Orchid in Ancient Chinese poetry. The various symbols of Orchid in Ancient Chinese poetry are summarized as that : The first, the Orchid is the messenger that represent summer, and chaste and pure. Although the Orchid usually grow in deep valley and nearly had no attention, they retain their attribute of chaste and pure. Many poetry of Orchid are generally expressed the symbol of chaste and pure. The second, the Orchid is the owner of fine figure and clean scent, and also expressed as the symbol of fascinating beauty. This attribute of Orchid well beloved by all the people and many poets represented the special beauty in their expression. The third, the Orchid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special ability or gift that people hold within themselves. There are many cases where Orchid are sometimes expressed as an object symbolizing someone's ulterior ability or gift. The fourth, the Orchid very often used of the expression of strong vitality or a firm will. When poets wanted to maintain a noble spiritual world, they often reminded themselves of the dignity of Orchid. The Orchid very often used as the sprit of the man of virtue.

      • KCI등재

        난임 커플의 난임 스트레스와 난임 관련 삶의 질 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김성희,이가연,전혜정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1

        A number of infertility-related research have mainly focused on rather women than men, even though infertility is a joint experience of couples and the responsibility of reproduction should be borne to the couples.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dyadic associations between infertility-relat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infertile couple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87 married infertile couples. The SPSS 25.0 program and the Mplus 7.4 program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PIM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fertility-related stress was similar to the median value, and the infertile couples showed higher levels of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than the median scale. Infertile men indicated higher levels of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eir partners. Second, regarding actor effects, infertile-related stre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both men and women. The partner effect of infertile-related stress on the infertile-related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 among only women. The investigation on sub-scales of infertility-related stress showed that men’s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improved as their level of infertility-related stress in the domain of need for parenthood rose. On the contrary, men’s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dropped as their level of infertility-related stress in the rejection of child-free lifestyle, social, and sexual domain rose. Meanwhile, women’s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decreased as their stress in the social, relationship, and sexual domain increased. Finally,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omote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infertile couples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them. 난임은 커플 공동의 경험이며 재생산의 책임은 커플에게 모두 부여되지만, 연구를 비롯한난임의 초점은 여성에게 맞추어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난임 커플을 중심으로 난임 스트레스와 난임 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에 있어 부부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온라인상에서 모집한 난임 치료 경험이 있는 커플 87쌍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 25.0과 Mplus 7.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행위자- 상대자 상호의존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난임 커플의 난임 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을 나타냈으며, 난임 관련 삶의 질은 커플 모두 척도 중앙값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난임 관련 삶의 질에 있어서 아내보다 남편의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편과 아내 각각 자신의 난임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자신의 난임 관련 삶의 질이 저하되는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상대방효과에서는 아내의 난임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남편의 난임 관련 삶의 질은 저하되는 반면, 남편의 난임 스트레스는 아내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난임 스트레스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남편의 부모됨의 필요성영역에서의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할수록 남편의 난임 관련 삶의 질은 향상된 반면, 남편의 아이가 없는 일상에 대한 거부, 사회 및 성적 영역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남편의 난임 관련 삶의 질이 저하되었다. 한편 아내의 사회적, 관계적 및 성적 영역에 대한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아내의 난임 관련 삶의 질이 저하하였다. 이들 결과를 통하여 난임 커플에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난임 커플에 대한 이해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사회화 과정의 공백으로서의 난임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들의 난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류숙진(Ryu, Sukjin)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2

        난임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서 난임을 겪을 뿐만 아니라 난임에 대한사회적 편견에도 직면하게 된다. 그런 만큼 난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난임 당사자들의 정체성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강조되어 왔다. 본 연구는 난임 연구의 대상으로주목하지 않았던 사회 구성원들 중 성인 초기 발달 과정에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난임에대한 인식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수집 자료는 난임 및 대처 방식에 대한인식을 서술한 자기기술식 보고서 48편이고,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난임에 대한 인식은 ① 난임이 아니어도 아이를 낳기 힘든 사회 ② 난임에대한 배경지식이 전무함 ③ 힘들긴 하겠다는 생각을 처음 해 보았다 ④ 보조생식술에 대한 상반된 기대와 두려움 ⑤ ‘차라리’ 입양을 선택하겠다지만 ⑥ 생식세포 공여와 대리출산에 대한거부감 ⑦ 가족 다양성과 가족 해체 사이라는 7개의 핵심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통하여 난임은 ‘사회화 과정의 공백’으로서 난임에 대한 인식이 부재한 자리에는 난임을 접하지 않았던 이들의 무감각함과 오해, 대안적 선택지들에 대한 막연한 인식들로 채워져 있다는함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난임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위하여 좀 더 포괄적인 관점에서 난임과재생산을 다루는 성사회화가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한다. Though infertility among people is on the rise and becoming a major issue on a policy level, social perception of it remains low.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perception of infertility through the ey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going through early adulthood. The collected data is based on 48 self-described reports detailing their perception of infertility and the measures taken in response, which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participants’ perception of infertility was based on seven key factors: (1) the belief that we are living in a society where having children is difficult, even if one doesn’t suffer from infertility; (2) absence of preexisting background information on infertility; (3) thought given to the hardship brought on by infertility; (4) conflicting feelings of hope and fear towar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5) adoption rather than high cost; (6) aversion toward gamete donation and surrogacy; and (7) conflicting feelings between family diversity and having no family.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the space created due to the absence of the percetion of infertility, as “a gap in the socialization process,” is filled by insensitivity, inaccurate perceptions, and vague ideas about alternatives from those who have never experienced infertility.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approach reproduction and infertility from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as well as the need for gender socialization.

      • KCI등재

        계란 농후난백의 높이 측정부위에 따른 Albumen Index와 Haugh Unit의 변화

        하정기,김태호,나재천,강보석,하광수,김동혁,이상진 한국가금학회 2002 韓國家禽學會誌 Vol.29 No.3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egg qualify by the height of thick albumen of egg,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The albumen index and Haugh unit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five different storage periods(0, 2, 4, 6, and 10 days), four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TXT>$15^{\circ}C$</TXT> , <TXT>$20^{\circ}C$</TXT> , <TXT>$25^{\circ}C$</TXT> and <TXT>$30^{\circ}C$</TXT> ), and five different Parts(0, 3, 6, 9, and 12 mm) aparted from egg yolk. The albumen index and Haugh unit were as follows: the albumen index of eggs was significantly(P<0.01) different by the storage temperature and by the measuring position of thick albumen of eggs. It means that the albumen index can be differed by the measuring position of thick albumen even if eggs have a same qualify. For measuring egg qualify in this country, it should be announced that which Parts in thick albumen of eggs are measured. The albumen index of fresh eggs was 0.16. However, the index when measured at 3 hour after oviposition was lower than 0.16. Therefore, it indicates that the criterion of 0.06 lower than 0.16 is required to set for considering practical point during the marketing periods of eggs. When the criterion of albumen index puts 0.06, it is as 100%. Therefore, eggs can be kept the same quality for 6, 4 and 2 days when eggs were stored at <TXT>$15^{\circ}C$</TXT> , <TXT>$20^{\circ}C$</TXT> and 25 ~<TXT>$30^{\circ}C$</TXT> , respectively. When the criterion of Haugh unit score puts 79 as 100%, the eggs can be maintained the quality for 6, 4, and 2 days when eggs are stored at <TXT>$15^{\circ}C$</TXT> , <TXT>$20^{\circ}C$</TXT> and 25~<TXT>$30^{\circ}C$</TXT> , respectively. When the criterion of Haugh unit 55 as 100%, the eggs can be maintained the same quality for 10, 8 and 2 days when eggs are stored at <TXT>$15^{\circ}C$</TXT> , <TXT>$20^{\circ}C$</TXT> and 25~<TXT>$30^{\circ}C$</TXT> , respectively.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considered that calculathing egg quality by the height of thick albumin of eggs which was measured at the attachment Parts of thick albumin layer and yolk of eggs was most reasonable and suitable when considering the marketing periods of eggs. 공시란을 15, 20, 25 및 <TXT>$30^{\circ}C$</TXT> 에서 산란 당일(0일), 2, 4, 6, 8 및 10일간의 6단계로 각각 저장하면서 5단계의 농후난백 의 높이 측정 부위별 난황과 난백의 부착부분(0 mm), 난황으로부터 3, 6, 9 및 12 mm 떨어진 부분에서 측정에 따른 난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난질은 각각의 측정부위에서 구한 농후난백의 높이로서 구한 Albumen index와 Haugh unit는 다음과 같다. 공시란의 저장온도별 난백계수는 농후난백층의 측정부위에 따라 상이하였으며(P<0.01), 이것은 난백계수 측정시 동일한 난질이라도 측정 부위에 따라 계수 자체가 아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난질 측정시 필수적인 농후난백의 높이 측정부위를 확정하여 통일되게 고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산란 3시간 후에 측정한 공시란에도 Albumen index의 신선란 기준인 0.16인 난질은 없었다. 이 사실은 우리나라 계란 유통과정 시 현실적인 점을 고려하여 0.16보다 낮은 0.06의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암시한 결과로 사료되었다. 본 시험에서 측정한 난백계수의 기준을 0.06로 정하고 이것을 100%으로 기준했을 때, <TXT>$15^{\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6일까지 100%이상, <TXT>$2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4일까지 100% 이상, 25~<TXT>$3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전까지 100% 이상 난질을 각각 유지하였다. 본 시험에서 측정한 Haugh unit 의 신선란 기준인 79를 100%으로 기준했을 때, 15$^{\circ}C$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4일까지 100%이상, <TXT>$2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까지 100%이상, 25~<TXT>$3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전까지 100% 이상의 난질을 각각 유지하였다. 본 시험에서 측정한 Hauah unit의 신선란 기준을 55를 100%로 정했을 때, <TXT>$15^{\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10일까지 100%, <TXT>$2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8일까지 100%, 25~<TXT>$30^{\circ}C$</TXT> 에서 공시란을 저장하면 저장 2일까지 100% 이상의 난질을 각각 유지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 난황과 농후난백의 부착부분에서 측정한 농후난백의 높이로 난질을 계산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계란 유통과정을 고려했을 때 가장 합리적이고도 적합하다고 사료되었다.

      • KCI등재

        난황:난백 비율에 의한 닭의 계통형성에 관한 연구

        석윤오 한국가금학회 2001 韓國家禽學會誌 Vol.28 No.3

        전체 난중에 대하여 난황의 구성비율이 낮은 저난황란을 생산하는 계통을 선발하고자 29주령, 33주령, 38주령 및 43주령시에 계란의 주요 경제형질들을 측정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시작시인 29주령 전후 연속 3일동안에 생산된 계란들로부터 난황:난백의 비율을 기초로하여 분류된 두 난황군 중 저난황군은 고난황군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난중에 대한 난황의 비율 및 난황:난백의 비율은 더 낮고, 난황의 무게는 더 가벼웠던 반면에,평균난중, 난백의 무게 및 난각의 무게는 유의 (P<0.05)하게 더 무거웠다. 각 시험주령 전후 연속 3일 동안에 생산된 계란 상호간 두군 평균 난황:난백 비율의 상관관계는 상당히 높은(P<0.01 ∼ 0.001) 정(+)상관 관계를 나타냈고, 각 란황군별로 4개 시험주령을 합한 전체 평균 난황:난백 비율의 상관관계도 또한 두군 모두 높은 유의성 (P<0.001)을 나타냈다. 난중에 대한 난백의 무게, 난황의 무게 및 난황:난백 비율의 회귀분석의 결과는 두 난황군 모두 난백의 무게는 난황의 무게보다 전체 난중의 변화에 더욱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전체 난중에 대한 난황:난백 비율의 상관관계는 난중에 대한 난백의 무게 혹은 난황의 무게와의 상관관계보다는 상대적으로 두 난황군 모두 낮은 편이었다. The repeatabilities on Yolk percentage and yolk to albumen (Y:A) ratio of the eggs produced consecutively wer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yolk lines in major egg characteristics were also evaluated. The investigations using one hundred ISA-Brown layers were conducted at 29 wk, 33 wk, 38 wk, and 43 wk of age. At the initiated age (29 wk of age) of the experiments, the birds producing eggs with lower or higher Y:A ratio than the overall mean Y:A ratio were classified as Low Yolk Line (LYL) or High Yolk Line (HYL), respectively. Overall, the eggs of LYL were significantly (P<0.05) lighter in yolk weight and lower in yolk percentage for the whole egg weight and Y:A ratio, but heavier in egg weight, albumen weight, and shell weight than those of HYL. The overall mean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consecutive laying days in Y:A ratio showed highly significant (P<0.001) in both lines. At four different ages, the mean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r$_{p}$) among the three consecutive laying days in Y:A ratio also had very high significant(P<0.01 ~ 0.001) positive values. The egg weight wa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albumen weight than with yolk weight in both yolk l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