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도풍란과 유향성 호접란의 향기분석

        빈철구,김강권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3 화훼연구 Vol.21 No.3

        한국의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나도풍란과 유향성 호접란 계통(VIO-6)을 대상으로 하여 꽃향기 성분과 향기패턴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GC/MS 기기를 이용한 꽃향기의 chromatogram peak 양상을 비교한 결과, 나도풍란에서 약 15개의 다양하고 높은 peak가 나타났고 호접란에서는 약 17개의 peak가 나타났으나 피크의 강도와 검출 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도풍란의 꽃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linalool, benzoic acid methylester(niobe oil), 2,6-octadienal, 3,7-dimethyl(neral), 3,7-dimethyl- 3,7-dimethyl-,(Z)-(Z)-geraniol, cinnamic acid methyl ester, 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palmictic acid methylester), benzoic acid phenylmethyl ester성분들이 향기 발현에 주로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향종 호접란의 꽃 향기 성분분석에서는+linalool, (-)-isoledene, delta carcinen, alfa-farnesene, geranyllinalool isomer, 1,6-cyclodecadiene, bicyclo[2.2.1] heptane등이 주요 향기성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도풍란과 호접란에서 발현되는 공통적인 향기성분으로는 linalool, geraniol 등의 terpenoid이었으며 호접란과는 달리 나도풍란만 강하게 나타난 성분은 benzoicacid methyl ester(niobe oil) 였다. 이 성분이 나도풍란의 향기의 특징을 구분짓는 주요성분으로 사료되었다. GC/SAW 전자코 분석을 통해 유향성 호접란과 나도풍란에서 chromatogram의 peak와 VaporPrint™ 이미지 분석에 의한 각각 특징적인 전자코 향기패턴을 얻어내었다. 호접란과 나도풍란의 전자코 향기 패턴을 비교해 본 결과 서로 상이성이 확연하게 드러났다. 이 전자코 향기패턴 분석 자료는 앞으로 나도풍란과 호접란의 속간잡종에서의 향기성분 유전 양상 연구와 꽃 향기에 관여한 유전자 분리와 도입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flower scent components and fragrance pattern between Nadopoongnan (Sedirea japonicum) and fragrant Phalaenopsis Breeding line (VIO-6). From chromatogram obtained by GC/MS, fifteen peaks in Nadopoongnan and relatively weak seventeen peaks in fragrant Phalaenopsis were detected. In the analysis of fragrance components in the Nadopoongnan, (+ -)-linalool, benzoic acid methyl ester(niobe oil), 2,6-octadienal, 3,7-dimethyl(neral), 3,7-dimethyl-3,7-dimethyl-,(Z)-(Z)-geraniol, cinnamic acid methyl ester, 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 (palmictic acid methylester), benzoic acid, phenylmethyl ester were identified as majorcomponents for floral scent. But in the case of fragrant Phalaenopsis,+ linalool, (-)-isoledene, delta carcinen, alfafarnesene, geranyl linalool isomer, 1,6-cyclocadiene, bicyclo [2.2.1] heptan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compounds. Terpenoids like linalool and geraniol were common components between Nadopoongnan and fragrant Phalaenopsis. Specially niobe oil was unique component found only in Nadopoongnan. This could be a key component of floral scent of Nadopoongnan discernible from other flower scent. In the comparison of GC/SAW electronic nose analysis of flower scent between Nadopoongnan and fragrant Phalaenopsis GC chromatogram and fragrance image pattern were quite different. This data of fragrant pattern may be useful to investigate inheritance of flower scent gene and to breed new fragrant intergeneric hybrids in orchids.

      • 기체크로마토그래피-다중 질량분석법에 의한 매화나무(Prunus mume) 꽃 향기 성분 분석

        이동선,김남선 한국냄새환경학회 2002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 No.1

        For the first time, fragrance components of ume (Prunus mume Siebold et Zucc.) blossom have been reported in this paper. The accurate characterization of fragrances from ume blossom collected at Sumjin riverside farm was carried out by solid-phase trapping-solvent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ion trap multiple mass spectrometry. Benzaldehyde, benzyl acetate, benzyl alcohol, and eugenol are the principal fragrances of the blossom. Most easily found from the pink-flowers are largely benzaldehyde (60.2%) and benzyl alcohol (37.1%). Benzyl acetate (48.4%), benzaldehyde(36.4%) and benzyl alcohol(13.0%) were mainly found from the white-flowers which have pink calyx. However, an interesting finding is that a major characteristic fragrance from the white-flowers possessing green stamen and calyx was benzaldehyde (96.3%). 매화나무 꽃 향기 성분의 특성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섬진강변 농원에서 채집한 매화 꽃 향기 성분을 고체상 포집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이온 포집-다중 질량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매화나무 꽃 향기의 주성분은 벤즈알데히드, 벤질 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오이제놀 들로 확인되었다. 분홍색 홍매화 꽃 향기는 벤즈알데히드(60.2%)와 벤질 알코올(37.1%)을 더 많이 함유하였다. 꽃받침이 분홍색이고 꽃잎이 백색인 백매화 꽃 향기에는 벤질 아세테이트(48.4%), 벤즈알데히드(36.4%), 벤질 알코올(13.0%)이 많았다. 그러나 꽃받침이 녹색이고 꽃잎이 백색인 백매화 꽃 향기는 벤즈알데히드(96.3%)만이 많다는 흥미로운 지견을 얻었다.

      • KCI등재

        한시에 형상화된 패랭이꽃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수용

        강지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59

        A China pink (Caryophyllaceae) is a flower all Korean people are very familiar with. Korean poets have long composed poems on the China pink. Seeing this small and cute flower by the roadside and in the noiseless forest, they found simple and natural beauty. They praised the virtue of this flower which endured through autumn winds. Chinese people also loved this beautiful flower. Chinese poets praised the life force that kept it alive during the cool autumn months. But they described it as a flower embroidered on clothes of a belle, and often referred to Utopia and a shining glow imagining the China pink blooming there. From this perspective, I think, Chinese people directed their attention to its sexy shape and attractive scent more than its chasteness and friendliness. Historically, many poets in Korea have been profoundly impressed by the geniality of this flower. They projected their loneliness onto the China pink, and sought deep consolation through it. Korean people have loved its natural beauty and fragrance. A hermit, such as an old farmer, often had a feeling of intimacy for it. Some people also loved its simplicity and silence, and praised its strength for withstanding the cold. Korean people have many various and peculiar images of the China pink in their minds. Korean poem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on the subject of the China pink, have influenced on modern Korean poems. 패랭이꽃은 한국인에게 친숙한 꽃이다. 한국의 시인들은 오래 전부터 패랭이꽃을 소재로 시를 지어 왔다. 그들은 길가 또는 조용한 숲에 피어 있는 작고 아기자기한 꽃의 모습에서 소탈하면서도 담박한 천연의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또한 가을바람이 불어도 지지 않고 남아 있는 그 인고의 미덕을 노래하였다. 패랭이꽃은 중국에서 ‘석죽화(石竹花)’라고 불렸다. 역시 이 꽃의 아름다운 외양에 매료되고 가을까지도 피어 있는 질긴 생명력을 예찬하였다. 그러나 미인들의 옷에 수놓이는 꽃, 신선세계, 찬란한 노을 등을 언급한 것은, 이 꽃의 소박하고 친근한 모습보다는 농염함과 짙은 향기에 더 주목하였음을 뜻한다. 예로부터 시인들은 패랭이꽃의 다정한 모습을 인상 깊게 보았고, 그에게 자신의 고독한 상황을 투영하였으며, 그로부터 깊은 위안을 받았다. 패랭이꽃을 통해 느껴지는 천연의 자태와 향기, 전옹(田翁)․유인(幽人)과 같은 은자(隱者)들에게 다가오는 친근함, 소박하고 고요하게 피어 있으면서도 추위를 이겨내는 강인함 등은 한국인의 마음에 새겨진 독특한 심상이라 할 수 있다. 한국 한시에서 드러나는 패랭이꽃의 모습과 상징은 한국의 현대시에도 일정하게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전자코를 이용한 주요 화훼류의 향기 패턴 분석

        박부희,김미선,이영란,박필만,이동수 한국화훼학회 2014 화훼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국내 육성 화훼류의 향기 패턴을 비교하고육종과정의 선발단계에서 향기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구분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향기를 보유한 대표적인 화훼작물인 장미, 나리, 프리지아, 카네이션, 난의화기조직으로부터 향기를 포집하였다. 전자코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에서 향기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과 판별분석(DiscriminantFactoria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판별분석 결과 나리는1사분면, 프리지아는 2사분면, 카네이션과 장미는 3사분면, 난은 4사분면에 위치하였다. 이것은 센서 감응도에 따라 다른 그룹을 형성하고 있어 화훼류 향기 패턴의 구분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같은 화훼류 품목 내에서도상대적으로 강한 향기를 가지는 품종은 control에서 멀고,향기가 없거나 약한 품종은 control가까이 군집을 형성하여 향기의 강약에 대해서도 객관적인 자료 제시가 가능하였다. 나리와 난의 센서 반응곡선을 레이더 형식으로나타내 보았을 때 향기의 강약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전자코를 이용한 화훼류 향기 분석 시스템은 향후 주요 화훼류의 방향성 육종을 위한 선발단계에객관적인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fragrance pattern in domestic breeding floriculture crops anddistinguish objectively evaluate whether the degree of floralscent in the selection stage of the bred process. We collectedthe volatiles from the flower tissues in representative flowerhaving different intensity of fragrance such as rose, lily,freesia, carnation, and orchid. Then we analyzed PrincipleComponent Analysis (PCA) and Discriminant FactorialAnalysis (DFA) for the identification of fragrance difference insoftware of electronic nose system. As a result of DFAanalysis, flowers were categorized in different quadrants as,lily was in quadrant 1, freesia, carnation were in quadrant 2,3 respectively and rose and orchid were in quadrant 4. Thisshowed it was possible that fragrance pattern could representthe different group depending on the sensor’s sensitivity. Although the same floricultural crops, that could be expressedobjective data about the degree of fragrance intensity,because the strong fragrant variety was far from the controland non or weak fragrant one was near in grouping. Wecould distinguish significantly the floral scent intensitythrough analyzing the radar plot of the responses ofsensors. So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the fragranceanalysis system for the fragrant breeding as objective datain the future.

      • 영화 속 주제를 인용하여 ‘스토리텔링’을 구현한 POP음악(OST)이 갖는 음악적 시너지 효과 : 영화 국화꽃향기 OST. 희재를 중심으로

        김희주,이우창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

        현대사회는 문학, 교육, 미술, 음악 등 다양한 매체에 ‘스토리텔링’을 접목시켜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공급과잉의 시대인 2000년 이후 음악들은 차별되어 돋보일 수 있도록 좀 더 직접적 또 자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매체웅 접목시켜, ‘스토리텔링’의 효과웅 더 가미해서 작품을 발표한다. 이러한 활용은 음악 산업에도 필시 큰 변화의 영향을 끼쳤다. 필자는 영화 ‘국화꽃향기’의 OST 곡 ‘희재’가 가지는 영화 속이야기를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을 구현한 음악과 매체 간 시너지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KCI등재

        『それから』における<花><香><指輪>の意味

        이영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硏究 Vol.- No.56

        In ‘Sorekara', Natzme Soseki developes its story introducing flower, stage properties etc. fequently. In this paper, I suggested my viewpoint to the role of object like ‘Flower', 'Ring' etc. which seems to Soseki's factitious intention in different point of view from preceding-studies. Although there are fragmentary and shortly mentioned studies to the ‘Flower' and ‘Ring', I studied how these stage properties are related to the characters' mental state, using a keyword like flowers ‘Amaranth', ‘Lily', etc. and ‘Perfume', ‘Ring', ‘Red' which always appeared with Mitziyo's entrance on the stage. And examining how these stage properties are influence with the story development and lead to the settlement, I analysed ‘Sorekara' more synthetically and creatively than preceding-studies, especially attention to the ‘Perfume' and ‘Red'. I analysed not only the symbol of flower language and guess about the future of Daiske and Mitziyo, but also the ‘Perfume' which is appeared in describing mental state of preparedness accepting their destiny. And at the same time I analysed the ‘Ring' which set up the moment of accomplish their love. In conclusion, I suggested that we can see Soseki's factitious intention in the course of composing structure of his works. 나츠메 소세키(夏目漱石)의 『그 이후(それから)』에서는, 꽃이나 소도구 등을 빈번하게 도입하여 스토리를 전개해 간다. 본고에서는 소세키의 작위적인 의도라고 보여지는 꽃과 반지 등의 오브제의 역할에 대해,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와는 상이한 각도에서 논지를 전개했다. 꽃과 반지에 대해서는 단편적이고 짧게 언급한 연구가 있지만 필자의 연구는, 미치요(三千代)의 등장과 함께 반드시 출현하는 아마란스, 은방울꽃, 백합 등의 꽃을 비롯해 향기, 반지, 적색을 키워드로 하여, 이들 소도구들이 등장인물의 심리에 어떻게 연관되어 가는지, 또 이야기 전개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결말로 이끌고 가는지에 대해 고찰하여, 기존의 연구보다 종합적으로, 특히 향기와 적색에 대해서는 독창적으로 분석했다. 꽃말의 상징과 다이스케와 미치요의 미래에 관한 추찰, 또 두 사람의 운명을 받아들이고자하는 각오의 심리묘사에 향기를, 두 사람이 맺어질 계기를 설정하고 있는 반지 등에 대해서도 분석, 작품의 구조를 구성해 가는 과정에서 소세키의 작위적 의도를 엿볼 수 있다고 고찰해 보았다.

      • KCI등재

        셰익스피어의 꽃과 일상생활

        김창호(Chang-Ho Kim)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1 셰익스피어 비평 Vol.47 No.3

        Shakespeare used the wild flowers which he met in the fields and by the river in his hometown, where he returned and spent his last years with flowers in the new house. What is the real nature of flowers of herbs and weeds? Shakespeare says that even the small flower has the power of poison and medicine just like human beings. People in Shakespeare's day were full of fears about disease because there was little medicine. So they had herbs hung in the house for flavor and medicine. In a word, flowers in Shakespeare were not materials for his plays but material basis for everyday life. The structures of everyday life are based on the material world where all kinds of flowers blossom and fall. As every name of flowers does not retain the fragrance of its own, so flowers in Shakespeare are always related to material life. Shakespeare used the images of flowers to illustrate his ideas about characters, actions, and even nations, and the paraphrase of ‘to hold the mirror up to nature by playing’ would be ‘to hold the mirror to nature by flowers.’ Shakespeare's wild flowers were plucked to be used in everyday life while nowadays we purchase flowers of imitation and hybrid to enjoy various kinds of color. It seems that in our time people come to lose the fragrance of flowers because they prefer appearance to reality. But Shakespeare's flowers grow in the field and have their own fragrance and they do not wither away in the mind with the magic which make us see everything like flowers.

      • KCI등재

        김정일 사후 북한소설에 나타난 ‘통치와 안전’의 작동

        오창은(Oh, Chang E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급격한 정치적 변화에 주목하면, 특정 공동체의 성격이 드러난다. 북한 사회는 2011년 12월 17일에 김정일 사망이라는 전환기적 사건을 겪었다. 김정일의 갑작스런 사망에 대한 기존의 북한문학 연구는 새로운 지도자인 김정은 시대의 도래에 초점을 맞춰졌다. 하지만, 이 연구는 북한 체제가 ‘통치와 안전’의 작동을 통해 ‘정상성’으로 나아가는 양상을 살핀다. 구체적으로는 김정일 사후 북한 소설이 ‘정치지도자의 사망’을 ‘기억과 재현의 정치’라는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북한의 ‘통치와 안전’의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김정일 사후 북한 소설에는 ‘불안과 안전’이 공존한다. 김하늘의 ?영원한 품?은 김정일에 대한 애도의 감정을 ‘불안과 안전’의 긴장을 통해 표현했다. 그러면서, 체제의 안전을 위해 인민의 애도 감정을 생산의 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통치성’이 발현되기에 인상적이다. 최종하의 「깊은 뿌리」와 김금옥의 「꽃향기」, 그리고 석남진의 「사진에 깃든 이야기」 등도 김정일에 대한 기억과 재현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김정일 사후 북한소설은 ‘불안과 안전’을 병치시킴으로써, 혁명의 일상화를 기획하고 있다. 새로 등장한 김정은 체제도 단지 김일성과 김정일에 이은 유사 수령의 탄생이 아니라, 체제의 안전을 위한 인민통치의 안정화로 볼 수 있다. 북한소설에는 인민의 자발성에 기반한 헌신성을 강조하고, 혁명을 계승을 위한 인민의 자주성을 동원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선군정치’라는 상징적 성과를 전면화하면서도, 내부적으로 ‘경공업’과 ‘인민생활 향상’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김정일이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피폐해진 인민경제를 복원하고, 김일성의 업적을 복원하는 것을 과제로 삼았다면, 김정은은 체제의 안전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통치성을 발현할 가능성이 높다. 김정은 체제는 수령의 압도적 카리스마에 기반한 통치이기보다는 국가의 운명에 자신을 동일시하는 광범위한 인민들의 자발성에 의해 작동하는 통치로 전망할 수 있다. 따라서, 김정은이라는 정치 지도자의 ‘자기통치’에 주목함으로써, 북한 체제의 ‘통치와 안전’의 지속 가능성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If we pay attention to a sudden political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a particular community are revealed. With regard to the changes of the North Korean society, we need to take notice of the death of Kim Jeong Il occurred on December 17, 2011. It is interesting to note the actions of the North Korean system to cope with the sudden death of Kim Jeong Il. While the existing researche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arrival of a new leader, Kim Jeong Eun, this research examines the aspects of the North Korean system returning to ‘normality’ through the operation of ‘rule and security.’ In particular, this research examined the fact that North Korean novels after the death of Kim Jeong Il deal with ‘the death of a political leader’ from the aspect of ‘politics of memory and reproduction.’ Through this,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Korean people’s self-mobilization aspect and the rule was analyzed. In the North Korean novels after the death of Kim Jeong Il, uneasy consciousness is revealed everywhere. Kim Ha Neul’s Eternal Bosom, which describes the mourning for Kim Jeong Il with a sense of uneasiness and at the same time as the energy to convert it into the security of the state, is impressive. Choi Jong Ha’s Deep Roots, Kim Keum Ok’s Fragrance of Flowers, and Seo Nam Jin’s Stories in the Photograph are all noteworthy from the aspect of memory and reproduction. North Korean novels after the death of Kim Jeong Il are planning to institutionalize revolution by juxtaposing mourning and daily life. The new Kim Jeong Eun system can be viewed as not just another similar leader subsequent to Kim Il Sung and Kim Jeong Il but as the stabilization of the rule of the people for the security of the present system. North Korean novels emphasize the voluntary dedication of the people and the mobilization of the people’s autonomy. Concentrating on ‘light industry’ and ‘improvement of life of the people’ internally while claiming to advocate the symbolic outcomes of ‘military first’ policy also can be understood in the similar context. While Kim Jeong Il restored the people’s economy impoverished by ‘March of Hardship’, Kim Jeong Eun is most likely to give priority to social security through the sovereignty of the state system. It is expected that Kim Jeong Eun’s rule will be the rule operated by the broad spontaneity of the people who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destiny of the nation, rather than the rule based on the leader’s overwhelming charisma. Accordingly, the sustainability of ‘rule and secur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 needs to be explor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self-rule’ of the political leader, Kim Jeong E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