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奎章閣 소장 『從宦日記』의 저자 고증 및 사료적 가치

        곽지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규장각 Vol.63 No.-

        본고에서는 道園 金弘集(1842-1896)의 저작으로 잘못 알려져 왔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從宦日記』의 저자를 約山 金炳德(1825-1892)으로 올바르게 고증하고, 『종환일기』의 내용과 그 사료적 가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종환일기』는 책의 말미에 적혀 있던 ‘金弘集從宦錄’이라는 문구로 인해 긴 시간 동안 김홍집의 저서로 잘못 알려져 왔다. 그러나 『종환일기』의 내용을 김홍집의 다른 일기인 『以政學齋日錄』, 『從政日記』와 함께 검토해 보았을 때, 이 일기들은 같은 저자의 것으로 볼 수 없다. 또한 『承政院日記』와 비교한 결과 『종환일기』의 내용은 그 전체가 김병덕과 관련된 것이었다. 따라서 『종환일기』의 저자는 김홍집이 아닌 김병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책에 붙어있는 첨지로 보아 『종환일기』는 김병덕의 문집 간행을 위한 초기 자료이며, 1883년-1884년의 기록 이외에도 유실된 『종환일기』가 더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 김병덕은 親生子가 없었기에 사후에 문집 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그 결과 저자와 관련된 자료가 다수 산일된 것으로 보인다. 『종환일기』의 저자가 잘못 알려진 원인은 분명하지 않으나 자료들 간 교차검증이 어려웠던 과거의 상황에서 이 책이 성씨의 한자가 동일하고 유사한 시기 고위 관직을 역임하였던 金弘集의 저술로 오인되기 시작하였고, 이후 작성된 여러 해제에서 잘못된 저자 정보를 답습하였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김병덕은 안동 김씨 출신으로 개항기 조선에서 고위 관직을 역임하였던 인물이었으나, 구체적인 행적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으며 문집 역시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종환일기』에는 1883년에서 1884년 사이 김병덕의 구체적인 행적 및 의론이 드러나 있으며, 당시의 시무에 대한 김병덕의 의견을 『승정원일기』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향후 김병덕의 행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종환일기』는 敦諭, 袖箚, 箚子, 筵說 등을 담은 본문과 외국 사신과의 회담, 행사 참석자 목록 등을 담은 주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종 대 『승정원일기』의 결락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승정원일기』와 동일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해당 주제에 있어 김병덕의 시점에서 보충한 보다 미시적인 내용들이 등장하기도 하여 그 사료적 가치가 크다. 주석의 내용 중 외국 사신과 나눈 회담의 내용 역시 주목할 만하다. 그중 상당수는 의례적 수사에 그치나 일부 대목에서 조례의 개정에 대한 조일 간 의견차 등을 확인할 수 있기에 개항기 외교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In this paper, the author of Jonghwan Diary(宦從記日), which has been mistakenly known as the work of Kim Hong-jip(金弘集), will be properly verified. Also, the contents of Jonghwan Diary and its historical value will be discussed. Jonghwan Diary has been mistakenly known as Kim Hong-jip's book for a long time due to the phrase that written at the end of the book. When comparing the contents of Jonghwan Diary with Kim Hong-jip’s other diaries, however, it cannot be seen as the diary of the same auth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Jonghwan Diary with the contents of the Seungjeongwon Diary(承政院日記), the whole contents deal with the Kim Byeong- deok(金炳德).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author of Jonghwan Diary as Kim Byung-deok.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 attachment to the book, Jonghwan Diary appears to be the initial publication material of Kim Byung-deok’s collection, and it is estimated that there will be more lost Jonghwan Diary in addition to the records from 1883 to 1884. Since the author Kim Byung-deok did not have any child, it is estimated that a large number of materials fo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were scattered without the smooth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after his death. It is not clear why the author of Jonghwan Diary is mistaken, but it can be assumed that the author’s collection began to be mistaken. Kim Byung-deok served as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in Joseon, but there are currently no collections of writings left, and his specific activities have not been relatively noted. It is expected that Jonghwan diary will be an important material for Kim Byung-deok’s personal research in the future, as it can confirm Kim Byung-deok’s specific activities and discussions between 1883 and 1884 and his opinion on pending issues not listed in the Jonghwan Diary. The Jonghwan Diary consists of a text containing many speeches, as well as notes containing meetings with foreign envoys and lists of participants in the event. In the case of the text, it is an important material to reinforce the missing part of Seungjeongwon Diary, and while dealing with topics such as Seungjeongwon Diary, more microscopic contents supplemented from Kim Byung-deok’s point of view appear, so it is of great historical value. Among the contents of the chairman, many of the talks with foreign envoys are also noteworthy, but some parts are important data for diplomatic research during the opening period as they can see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Japan and Joseon on the revision of the ordinance.

      • KCI등재

        『公私問答錄』을 통해 본 2차 수신사의 활동

        박한민 진단학회 2018 진단학보 Vol.- No.131

        The article examines the activities of Kim Hong-jip(金弘集), the Second Sushinsa, at the Bank of Korea Library's collection, Gong-sa-mun-dap-rok. The first part of the data includes the question and answer with Japanese officials, and the second part covers the one with Chinese diplomats in Japan. The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first half can be found in Dong-do-il-sa(東渡日史) left by Park Sang-sik(朴祥植). The latter half corresponds almost to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Daechung-heumsa-pildam(大淸欽使筆談) in Sushinsa’s Records(修信使記錄)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Recorded differences are found within the question and answer records by date in the first half. Therefore, the content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is part. The precise contrast of the two documents confirmed that Gong-sa-mun-dap-rok contains fully known question-and-answer information that was omitted from the original version of Dong-do-il-sa. Specific identification of various problems caused by missing text within Dong-do-il-sa was identified. The content could be reconstructed to match the actual date of question-and-answer, restoring what was missing. The document also confirmed that Kim Hong-jip was considered important for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recorded in detail. This point is clear even when compared to the Japanese record included in Nikkan Gaiko Shiryo Shusei(日韓外交資料集成). Even if the questions were answered on the same day, the records of the two nations differ depending on their interests and inten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cross check them. In short, Gong-sa-mun-dap-rok can be credited for helping restoration of the negotiating activities and information collection of the Second Sushinsa Kim Hong-jip in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Joseon. The two materials need to be viewed together as they can compensate for missing contents in Dong-do-il-sa and errors on record. Of course, there are some records that are not included in Gong-sa-mun-dap-rok. Nevertheless, we need to consider this point and put together the records since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the Second Sushinsa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이 글에서는 한국은행 도서관 소장 자료인 『公私問答錄』을 중심으로 2차 수신사 김홍집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현재 이 자료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위탁 관리하고 있다. 자료의 전반부는 일본 관리와의 문답, 후반부는 청국 관리와의 문답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전반부의 문답 내용은 박상식이 남긴 『東渡日史』에 대응한다. 후반부 내용은 『修信使記錄』에 수록된 「大淸欽使筆談」과 구성과 내용이 거의 일치한다. 기록상 차이는 전반부의 날짜별 문답 기록 안에서 발견되는 만큼 이 부분을 중심으로 내용을 검토하였다. 두 자료의 대조 작업을 통해 『公私問答錄』에는 『東渡日史』에서 결락되어 알 수 없다고 알려진 문답 내용이 온전하게 수록되어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東渡日史』에서 원문이 결락되어 발생한 문답 일자의 착종과 오류를 실제 문답이 이루어진 날짜에 맞게 내용을 바로 잡을 수 있었다. 또한 빠진 내용이 무엇이었는지를 복원해 낼 수 있었다. 문답 기록에는 김홍집이 조선 측 입장에서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상세하게 기록한 내용이 실려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이 점은 일본 측 기록과 비교해 보아도 명확하게 드러난다. 같은 날 문답이더라도 관심사나 의도에 따라 조일 양국의 기록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교차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요컨대 『公私問答錄』은 2차 수신사 김홍집의 일본 내 교섭활동과 정보수집 등을 조선 측 입장에서 복원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다. 『東渡日史』에서 빠진 내용과 기록상의 오류를 보완할 수 있는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두 자료는 같이 볼 필요가 있다. 물론 『公私問答錄』에 실려 있지 않은 내용도 존재한다. 2차 수신사 관련 기록들이 개별적으로 가지고 있는 독자적인 성격이 있는 만큼 이 점을 감안하면서 자료를 종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제2차 수신사의 일본 견문 태도와 교류의 실제

        이효정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1 No.-

        1876년 조일수호조규로 새로운 외교 체제에 편입된 조선은, 일본의 정세 탐색과 세관 등의 문제로 1880년 제2차 수신사를 파견하였다. 그동안 이 수신사는 주로 황준헌의 조선책략 과 연관하여 연구되어지거나, 정사 김홍집 개인의 정치활동 중 일부분으로 간략히 언급되었다. 이는 제2차 수신사의 자료가 산재되어 연구가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박상식의 동도일사 , 김홍집의 수신사일기 , 흥아회보고 그리고 당시의 일본 신문을 바탕으로 실제 제2차 수신사가 일본에서 무엇을 어떻게 견문하였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동도일사 에서 일기를 썼던 향서기 박상식은 기존의 중화주의적 시선으로 일본인들을 바라보았으며, 근대 문물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이해하려 하지 않았다. 또한 수신정사 김홍집도 흔히 개화파라 일컬어지지만 일본에서의 활동은 소극적이었다. 유람을 권하는 일본인들을 거절하며 견문을 공적인 신분으로는 할 수 없다고 하고, 대신 수행원을 보내는 일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귀국 후의 보고서에는 세계 정세와 교육체계, 근대식 군대, 재정 문제 등 경험한 견문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설명하려 하였다. 비록 수동적인 견문 활동이었지만 이러한 경험이 후에 그의 온건적 개화 정책으로 드러났다고 볼 수 있겠다. 이들은 또한 고위 관료나 민간의 지식인 등 다양한 일본인 그리고 청국 사람들과 교류하였다. 교유의 모습은 통신사 시절의 필담 창수와 다르지 않았다. 일본인들은 조선인들의 한문으로 된 글씨와 시를 얻기 원하였으며 한시를 창수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시기는 일본에서 아시아연대론이 급부상하는 시기였기 때문에, 중화 문명의 공통 교양은 이 아시아주의의 유용한 수단이 되었다. 하지만 근대 서양에 맞서기 위한 이들의 논리 역시 ‘부국’과 ‘개화’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한문’이 아닌, 중국어와 조선어 등의 자국어를 배워야 했으며 사대교린 체제에서 벗어나 ‘자주권’을 지켜야 했다. 이러한 역설적 인식의 경험들, 문화공동체의 균열 경험이 결국 제2차 수신사 이후의 대외수교, 개화정책에 일정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Chosun, which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new diplomacy system by the Chosun and Japan’s mutual recognition and action in 1876, dispatched the second Susinsa Kim Hong-Jip in 1880 to judge the situation of Japan and to resolve the issue of customs. Until recently, however, the Susinsa has been studies in conjunction with the Chosun’s Strategy written by huáng zūn xiàn or has been briefly mentioned as a part of the political activities of Kim Hong-Jip, which may have been due to the fact that the references about the second Susinsa has been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Considering these aspects, we investigated the contents and methods which the second Susinsa had experienced based on Dong-do-il-sa (by Park Sang-Sik), the Susinsa’s diary (by Kim Hong-Jip), the report of Kouakai, and Japanese newpapers, etc. We also trie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Susinsa’s second dispatch in this study. According to his book Dong-do-il-sa, Park Sang-Sik looked at Japanese in a viewpoint of Sinocentrism, and therefore he could neither explain nor understand the modern culture. Although Kim Hong-Jip was also considered as a member of Gaehwapa group, he was passive about the activity in Japan. For instance, he often refused Japanese's proposal of sightseeing euphemistically on the excuse of his public position, and sent his entourage instead of him. After returning to his country, however, he explained the world situation, education system, modern military organization, and financial problems in his report as objectively as possible. Although his activity appeared passive, such experience may have influenced on his moderate enlightenment policy later. They interchanged culture and experience with Japanese and Chinese as well. The feature of cultural exchange was not different from the written conversation and exchanged poems in the period of Tongsinsa. Japanese wanted Chinese writings written by people of Chosun and exchanged Chinese poems. Since the theory of Asian Solidarity had been emerging at that period in Japan, the common culture from Chinese civilization was a useful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theory. Because national prosperity and civilization were the tasks of Asia to stand against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y practically had to learn not the written Chinese but spoken Chinese or spoken Chosun language, and had to escape from Sadae-Kyorin system to maintain national independence. These experiences of the paradoxical recognitions and the split of cultural community may have had a certain effects on the diplomatic relations and the enlightenment policy after the dispatch of the second Susinsa.

      • KCI등재

        1883년 조일통상장정 체결과 각국의 대응

        박한민 부산경남사학회 2019 역사와 경계 Vol.111 No.-

        In the article, focusing on new documents, we analyzed the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over trade issues from the dispatch of the second Susinsa(修信使) in 1880 to the signing of the Regulations under which Japanese Trade is to be Conducted in Korea (朝日通商章程) in 1883. Kim Hong-jip, the 2nd Susinsa, actively utilized the newly obtained information and included the contents of the draft that should be maintained or acquired by the Joseon Dynasty in negotiations with Japan. The customs duties was intended to be set at a high tariff, taking into account the trend of treaty revisions between Western powers and Japan. Lee Jo-yeon(李祖淵), who was a senior official at the 3rd Susinsa, also exchanged letters with diplomats at the legation of the Qing Dynasty in Japan to gather information. He sent letters to Huang Zun-xian(黃遵憲) to inform him of the progress of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o inquire about matters that should be newly reflected in the draft. Eo Yun-jung(魚允 中), who was staying in Japan as a member of the Josa-sichal-dan(朝 士視察團), also continued discussions related to tax rules as he contacted with officials in the Qing Dynasty before and after the dispatch of 3rd Susinsa. The negotiations, which had been suspended due to the outbreak of the Imo Incident, resumed in 1883 when Shinichiro Takezoe(竹添進一郞) went to Joseon as minister resident. During the negotiations, Lucius H. Foote who was America’s Envoy Extraordinary and Minister Plenipotentiary in Joseon and Paul G. von Möllendorff were deeply involved. Their remarks and actions were detailed in a report left by Shuichiro Saito(齋藤修一郞). Between the hard-line stance of the Joseon side and the order of the foreign affairs office, Takezoe was embarrassed because it was not only able to unilaterally push through Japan’s demands. Western powers expressed their regrets and complaints to Takeaki Enomoto(榎本武揚), the Japanese minister in the Qing Dynasty. The powers demanded that the treaty between Joseon and Japan be ratified and readjusted to a low-rate tariff in step with themselves. As it quickly obtained various information such as Japan’s revision of the treaty and tax regulations of each country, the Joseon Dynasty made great efforts, setting the direction in which it should respond strategically in trade negotiations. However, it could never be free from the interests of the Western powers surrounding Joseon and the effects of political events. Within the East Asian treaty operating system, the Western power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nclusion of the treaty between Joseon and Japan, directly and indirectly. Judging that they were not in line with their own interests, they changed the flow that Joseon and Japan had drawn. The process of signing the Regulations under which Japanese Trade is to be Conducted in Korea and the response of the Western powers are examples of this. 이 글에서는 1880년 2차 수신사 파견에서부터 1883년 ‘조일통상장정’ 체결까지 통상문제를 둘러싸고 진행된 조선과 일본의 교섭을 양측의 새로운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차 수신사 김홍집은 새로 입수한 정보를 적극 활용하면서 일본과의 협상에서 조선 측이 유지하거나 향후 얻어내야 할 사항들을 초안에 담았다. 세칙은 서구 열강과 일본 간의 조약개정 추이를 감안하면서 고율 관세로 책정하려 했다. 3차 수신사의 종사관이었던 이조연도 김홍집에 이어 청국공사관 관리와 서한을 주고받으며 정보를 수집했다. 그는 황준헌에게 서한을 보내 조일 간 교섭의 진행 상황을 알리고, 초안에 새롭게 반영해야 할 사항들을 문의했다. 조사시찰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체류하고 있던 어윤중도 3차 수신사의 파견 전후로 청국 관리들과 접촉하면서 세칙과 관련된 논의를 이어나갔다. 임오군란 발발 이후 1883년 다케조에 일본공사가 조선에 부임하면서 중단되었던 교섭은 재개되었다. 교섭에는 미국공사 푸트, 묄렌도르프 등이 깊숙이 관여했다. 이들의 발언과 행동은 사이토 슈이치로가 남긴 보고서에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조선 측의 강경한 입장과 외무경의 훈령 지시 사이에서 다케조에는 일본의 요구를 일방적으로 관철시킬 수만은 없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난처해했다. ‘조일통상장정’을 두고 열강은 청국 주재일본공사 에노모토 다케아키에게 유감과 불만을 전달했다. 열강은 조약을 비준하지 말고 자신들과 보조를 맞추어 저율 과세로 재조정할 것을 요구했다. 일본의 조약개정, 각국의 세칙 등의 각종 정보를 신속하게 입수하면서 조선측은 통상교섭에서 전략적으로 대응해 나갈 방향을 주도적으로 설정하면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조선을 둘러싼 열강의 이해관계와 정치적으로 발생한 사건의 영향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었다. 동아시아 조약 질서내에서 서구 열강은 조일 간의 조약 체결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자국의 이해관계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조일이 도출해낸 판 자체를 바꾸어 버렸다. ‘조일통상장정’ 체결 과정과 서구 열강의 대응은 그러한 점을 여실히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 KCI등재

        《中朝學士書翰錄》의 脫草 原文 및 校釋

        강찬수(Kang, Chan-soo),김희경(Kim, Hee-kyoung),차영익(Cha, Young-ik)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2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에 소장되어 있는 《중조학사서한록》은 1858년 동지부사 자격으로 연행한 바 있는 소정 김영작이 귀국을 전후하여 청나라 문인인 정공수, 진한, 이함, 옹학함, 장병염, 이문원 등 6명의 청나라 문인들로부터 받은 14편의 친필서한과 그의 아들 도원 김홍집이 1892년에 조정황에게서 받은 1편의 친필서한을 모아놓은 척독자료이자, 19세기 한중 양국 문인들의 시문 교류 상황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 역사자료이다. 원문 전체에 대해 초보적으로 진행한 탈초와 교석, 한중 양국 문헌의 비교 작업을 통해 《중조학사서한록》15편의 서한 내용 중에서 현전하는 연행록 및 이들의 문집자료에 미 수록된 내용들이 발견됨으로써, 김영작 부자와 청나라 문인들의 관련 사적에 대해 새롭게 검토하고 김영작 부자의 문집에 미 수록된 내용들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외에도 본 척독자료는 19세기 한중 양국 문인들이 담론한 사학관념, 심리 변화, 문헌 교류 및 상호 문화 등에 관한 교류 정황 및 의의에 대해 검토할 수 있는 생생한 내용들이 담겨 있는데, 이에 본고에서는 그 원문과 각주, 현대어 번역문을 차례로 정리하여 학계에 소개하고자 한다. Jungjo Hagsa Seohanlog(《中朝學士書翰錄》), recently found in the rare books collection of Korea Univ. library, is a collection of cursive letters and poems that six Qing Dynasty"s scholars--Cheng Gongshou (程恭壽), Chen Han(陳翰), Li Xian(李銜), Weng Xuehan(翁學涵), Zhang Bingyan(張丙炎), Li Wenyuan(李文源) sent to two Choson Dynasty"s scholars, Kim Yongchak(金永爵), and Kim Hongchip(金弘集), in the late 19<SUP>th</SUP> century. Testifying to the various cultural exchanges between two cultures and nations, it is an invaluable historical material for the study of the responding poems by the scholars of two different regions. Through a preliminary decoding of these letters and poems collected in Jungjo Hagsa Seohanlog, an inquiry about the consensus among scholars about some of its ambiguous sentences, and a comparative study of relevant historical documents as background information, I investigate the undiscovered contents of “Yeonhaengnok”(燕行錄), and some of lost listings in poem anthologies of the period. By doing so, I hope to facilitate a further study that can discover and make up the missing contents of Kim Yongchak’s anthology and several unexplored, hidden stories of these Qing Dynasty’s scholars. Finally, this paper wishes to provide the research materials on the actual mod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at reveals different historical perspectives, and the mutual exchanges on both cultural and literary levels. A meaningful study in this field will ultimately expand the horizon of an intercultural study of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late 19<SUP>th</SUP> century.

      • KCI등재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체결 당시 미국의 ‘공평함’이 갖는 함의 - 조선의 관세자주권 확보 시도와 좌절을 중심으로 -

        한승훈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2

        이 글은 조선이 통상 부분의 불평등성을 배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미국과 조약 체결을 추진하였던 일련의 과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1880년대 초반 조선은 김홍집과 조병호의 수신사 파견과 조사시찰단의 조사를 통해서 동아시아에서 시행 중인 조약의 불평등성을 인식하였다. 특히 그들은 관세자주권 상실에 따른 저율의 수입관세율이 청국과 일본에 미친 경제적 폐해를 전해 들었으며, 일본이 서구를 상대로 조약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와 더불어 조선은 1878년에 미국이 미일관세개정약서를 통해서 일본에게 관세자주권의 회복 및 수입관세율의 상향 조정을 약속하였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이에 조선은 청국과 일본에서 시행중이었던 통상의 불평등한 측면을 반복하지 않으려는 목적에서 서구 열강 중에서 ‘공평’한 국가로 인식되었던 미국과 우선적으로 조약 체결을 추진하였다. 그 결과 조선은 관세자주권이 보장된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 하지만 미국은 최혜국 대우 조항을 근거로 「조일통상장정(1883)」과 「제2차 조영수호통상조약(1883)」을 차례로 균점함으로써 「조미수호통상조약」보다 자국에게 유리한 조건의 상업상 권리를 확보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조선의 관세자주권은 부정되었다. 결국 조선이 관세자주권 확보를 위해서 서구 열강 중에서 미국과 가장 먼저 조약을 체결하였던 전략은 실현되지 못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by which Korea pursued treaties with the United States for the purpose of excluding the unequal contents of the trade section. In the early 1880s, Korea recognized unequal treaties being enforced by Western powers in East Asia through the investigation by Kim Hong-jib and Cho Byeong-ho's diplomatic activities(Susinsa) and the Korean Courtiers Observation Mission’s investigation in Japan(Josasichaldan). As a result, Korea knew that the low rate of import tariffs due to the loss of tariff autonomy brought the economic damage to China and Japan, and that Japan tried to revise the treaties with the West. In addition, Korea also learned that the United States promised Japan to recover the tariff autonomy and raise import tariffs through “Convention Revising Certain Portion of Existing Commercial Treaties and Future Extending Commercial Intercours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1878. Thus, Korea first entered into a treaty with the United States, which was recognized as an "Evenhanded" country among Western powers, for the purpose of not repeating the unequal aspects of trade that had been in operation in China and Japan. In the end, Korea was able to sign the Korean-American Treaty, which guarantees the tariff autonomy of Korea. The United States, however, had equal shares of Regulations under which Japanese trade is to be conducted in Korea (1883) and the Second Anglo-Korean Treaty(1883) based on the most-favored-nation provision. The United States secured commercial rights on favorable terms rather than the American-Korean Treaty, and as a result, the Korea’s tariff autonomy was denied. In the end, the strategy that Korea signed the first treaty with the United States among the Western powers to secure tariff autonomy was not realized.

      • KCI등재

        제2차 修信使의 활동과 『朝鮮策略』의 도입

        李憲柱(Lee Heon-joo)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1880년 5월 28일 조선정부는 제2차 修信使 金弘集을 일본으로 파견했고, 수신사 일행이 귀국한 직후부터 조선정부는 서둘러 조미수교와 개화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 김흥집이 駐日淸國公使館에서 받아온 『朝鮮策略』(이하 『策略』)이 정부 당국자들에게 큰 감명을 주어 개화정책 추진을 자극했던 것이다. 하지만 『策略』이 그 동안 淸國에서 전해진 정보와 내용상 별로 다르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조선정부의 적극적인 개화정책 추진이 과연 『책략』에 큰 감명을 받은 결과일까 하는 의구심이 든다. 본 논문에서는 『책략』 반입과 그 직후 개화정책을 주도했던 개화세력의 의도를 통해 『책략』 전래 이후 나타난 조선정부의 정책전환을 규명하고자 했다. 청국정부는 조선의 안전이 東三省, 나아가 중국 본토의 안전과 직결된다는 인식 속에서 1870년대 후반부터는 일본 · 러시아의 침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서양과 立約通商할 것을 조선에 적극적으로 권유했다. 조선의 수신사 파견을 좋은 기회로 보았던 청국정부의 지시에 따라 주일청국공사 일행은 수신사 일행에게 문호개방을 적극 권유했고, 마침내 『책략』을 저술하여 전달하기에 이르렀다. 조선을 위해 마련한 方策임을 표방하기는 했지만, 『책략』은 궁극적으로 청국의 위기상황을 타개할 목적으로 마련한, 청국을 위한 방책이었다. 『책략』 전달을 통해서 청국이 얻고자 한 것은 러시아의 위협을 막아내고 조선에 대한 청국의 종주권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반면 『책략』을 수용한 고종과 개화세력의 입장에서 『책략』은 防俄策으로서의 의미보다 조미수교와 개화정책을 추진하는 명분과 논리로서의 의미가 컸다. 斥邪論者들의 강한 반발로 인해 1876년 강화도조약을 '舊好重修'라는 명목으로 체결했기 때문에 이후 4년여가 경과하는 동안 어떠한 개화시책도 펼 수 없었던 조선정부 입장에서는 돌파구 마련이 절실했다. 『책략』 도입으로 정책추진의 명분과 논리를 획득한 조선정부는 유생들의 강력한 반발을 마침내 무릅쓰고 조미수교와 개화정책을 적극 추진했던 것이다. 요컨대 『책략』 도입 이후의 조선의 정책 변화는 자국의 안위를 고려한 청국정부와 개화정책을 추진하려 한 조선의 개화세력의 이해관계가 일치되어 나타난 결과였던 셈이다.

      • KCI등재

        『동도일사(東渡日史)』를 통해 본 19세기 말 향촌 지식인의 동아시아 인식

        장진엽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9 No.-

        『동도일사(東渡日史)』는 1880년 제2차 수신사 김홍집이 일본에 갔을 때 향서기로 수행했던 박상식(朴祥植)이 남긴 사행기록이다. 본고는 『동도일사』의 일기 부분을 중심으로 저자 박상식의 일본 및 동아시아 인식의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19세기 말 조선의 향촌 지식인의 세계 인식의 한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동도일사』에 나타나는 저자의 일본 및 동아시아 인식의 특징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에서 접한 서구문물에 대한 박상식의 반응은 ‘몰이해’에 가까우며, 이는 개화정책이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던 1880년 당시 조선 문인들의 일반적인 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또, 박상식은 급변하는 세계정세와 러시아의 위협에 대한 일본 관료들의 주장을 과장된 것으로 치부하면서도 그에 대한 명확한 비판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것 역시 개항과 국제관계에 대한 동시대 일반 문인들의 막연한 인식을 대표하고 있다. 둘째, 박상식은 수신사행에 참여함으로써 ‘서양(西洋)’의 존재를 비로소 인지하게 되었으며, 이는 일본에 대한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같은 동양인으로서 친밀감을 느끼게 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그는 또한 청나라에 ‘중화(中華)’로서의 일정한 역할을 기대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그의 인식은 동아시아 세계에 대한 전통적인 화이론적 인식과 개항기의 새로운 인식이 착종되고 있었던 당시의 상황을 보여준다. 또한 박상식은 개인적으로 만난 중국인과 일본인을 통해 사해동포적 세계상을 접하기도 하였다. 이는 19세기 말 향촌 지식인이 해외 체험을 계기로 새로운 세계관과 조우하고 있는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개항기 조정의 요직에 있던 인물들의 세계관을 살펴보는 일이 이 시기 조선의 대외정책의 향방 및 사상적 지형을 파악하는 데 특히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박상식과 같은 일반 문인이 당시의 정세에서 어떠한 인식의 변모를 보이고 있는지 검토하는 작업 역시 당대 조선인들의 전반적인 의식의 변천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측면에서 『동도일사』의 가치에 주목한 것으로, 관련 분야의 사료에 대한 폭넓은 검토를 통해 본고의 분석을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음을 밝혀둔다. Tongdo ilsa (東渡日史, Record of Travels in Japan) was written by village clerk Pak Sangsik who accompanied the 1880 mission to Japan led by the envoy Kim Hongchip. This paper focuses on the journal portion of Tongdo ilsa to verify the world view of late 19th century Chosŏn provincial intellectuals through examining Pak’s perception of Japan and East Asia.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Pak’s perception of Japan and East Asia in Tongdo ilsa are as follows. First, Pak had close to ‘zero comprehension’ of the Western institutions he encountered in Japan, which reflected the general awareness of Chosŏn intellectuals as modernization reforms had not occurred. Moreover, Pak dismissed the opinion of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about the Russian threat and the rapidly changing world order as exaggerated. Despite not presenting a clear criticism of this opinion, this view on the opening of the port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was widespread among his contemporaries. Second, as Pak first became aware of the existence of the “West” by joining this mission, he came to feel an affinity with Japan as a fellow Asian nation despite his suspicions of them. He also expected Qing to play its presumed role as the “center of civilization,” a hodgepodge view that combined the traditional civilized/barbarian dichotomy of China and peripheral East Asian nations with that of the new awareness brought on by the opening of the ports. The Chinese and Japanese Pak personally met with also exposed him to the ideology that all men are brothers, a new world view to a late 19th century provincial intellectual brought about by overseas travel. It is true that examining the world view of those in important government posts during the open port period is quite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directions of Chosŏn foreign policy and the intellectual landscape of this period. However, examining the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circumstances in normal intellectuals such as Pak is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general awareness of Chosŏn people at the time. This paper thus focused on Tongdo ilsa from this angle, and calls for a broader examination of relevant sources for a more concrete analysi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