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천택(金天澤) 편 『청구영언(靑丘永言)』의 문헌 특성과 편찬 맥락

        권순회 ( Kwon Soon-hoi ) 한국시가학회 2017 韓國 詩歌硏究 Vol.43 No.-

        본고에서는 원본 공개를 계기로 김천택 편 『청구영언(靑丘永言)』의 서지 및 편제의 특성을 고찰하고 편찬 맥락을 탐색하였다. 김천택 편 『청구영언』은 필사본 1책, 총 70장(140면) 분량이다. 크기는 세로×가로 26.5×17.5cm이다. 표지는 결락되었지만 서발문을 통해 제명(題名)이 ‘靑丘永言’임이 파악된다. 1면 오른쪽 하단의 흐릿한 방형(方形)의 주인(朱印)은 “南坡居士”의 전서체(篆書體)로 판독되었다. 『청구영언』이 김천택의 자찬(自撰) 원고본(原稿本)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필체가 행초체(行草體)로 일관한 것으로 미루어 편집 후에 정서(正書)하고 자신의 장서인을 날인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김천택 자신이 직접 정서 했는지, 아니면 한글 서체에 능한 지인에게 부탁한 것인지의 여부는 현재로서는 판단을 유보할 수밖에 없다. 김천택 편 『청구영언』은 최초의 가집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정연한 편제를 갖추고 있다. 당대에 가곡 연행의 중심을 차지한 삭대엽곡을 중심에 놓고, 상대적으로 고조(古調)로 인식되던 중대엽곡들을 그 앞에 배치하였다. 뒤에는 이들과는 감성이 다른 낙시조, <장진주사>, <맹상군가>. 만횡청류를 두어 가곡의 흐름과 당대적 관심을 빠짐없이 담아냈다. 이 가운데 이삭대엽은 당대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던 악곡이다. 580수의 약 67.4%에 해당하는 391수를 이삭대엽에 수록하였다. 이는 다시 유명씨와 무명씨로 층위를 구분하였다. 유명씨 작품들은 작가의 신분에 따라 ‘사대부’, ‘임금’, ‘여항가객’, ‘기녀’로 나누고, 각 항목 안에서는 시대순으로 배치하였다. 무명씨에 수록된 104수는 당대 연행 공간에서 작가명을 잃고 널리 불리던 노랫말을 모아 놓은 것이다. 1728년 음력 5월 16일 『청구영언』이 완성되기까지 김천택은 10년이 훌쩍 넘은 기간 가곡 노랫말을 수집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주요 수집 대상은 소규모로 묶여 유통되던 가집이나 가첩(歌帖)들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연행 공간에서 1~2수씩 구전되던 작품들도 상당수 수습하였다. 이들을 통합하기 위해 그는 악곡이라는 객관적 지표를 근간으로 작가와 주제 분류를 중첩해서 배치하는 새로운 형태의 가집을 고안했던 것이다. 이는 김천택이 누구보다 악곡에 정통하면서도 문학적 소양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이삭대엽 무명씨는 이러한 김천택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는 여항가객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104수를 선별했을 뿐만 아니라 주제 분류까지 단행하였다. 54개 항목의 주제 분류는 정합성을 온전하게 갖추지는 않았지만 ‘강호’, ‘연군’ 등 고시조의 전통적 주제를 수용하면서도 ‘처세’, ‘관계’ 등 당대인들의 현실적 관심사에 방점을 두고 있다. 당대인들의 가곡 노랫말의 관심의 층위를 여실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만횡청류는 당시 시정 공간에서 불리던 노래들로, 김천택이 논란을 무릅쓰고 116수를 『청구영언』에 수렴하면서 가곡화의 단초가 마련되었다. 만횡청류에 대한 논란은 18세기 중엽까지도 여전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논란의 와중에도 점차 가곡 연행의 한 축으로 자리를 잡았고 18세기 후반에는 다수의 파생곡까지 등장한다. 그 동안 원본이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학계에서는 1948년 조선진서간행회(朝鮮珍書刊行會)에서 간행한 활자본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며 ‘진본 『청구영언』’, 약칭으로 ‘청진’이 이 공식적인 학술 용어로 쓰였다. 이제 원본이 공개되었다. 이를 계기로 ‘진본 『청구영언』’이 아닌 ‘김천택 편 『청구영언』’이 공식적인 학술 용어로 쓰이길 기대한다. In this paper, in the context of the release of the original edition, we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ography and composition of Cheongguyeongeon, compiled by Gim Cheontaek, and explore the context of the compilation. Cheongguyeongeon is a manuscript, measuring 26.5×17.5cm(length×width) in size, comprising a total of 140 pages. Although the cover is missing, the original title of the anthology was found to be “靑丘永言” in the introduction and epilogue(seobalmun). The red square on the bottom right of the first page was read with the jeonseo font(篆書體), written by “Nampageosa(南坡居士)”. It has been suggested that Gim Cheontaek compiled Cheongguyeongeon himself. It is clear that the sentences were written attractively and during one period, since the handwriting is consistent with the haengcho font(行草體). Having completed the editing, it is widely believed that Gim Cheontaek wrote and imprinted his ownership stamp. It is not easy to judge, however, whether or not the charged subject is Gim Cheontaek himself, or whether he asked a neighbor capable of writing Korean fonts. Cheongguyeongeon may be the first anthology, but it is as perfect as later anthologies. He centered on Sakdaeyeopgok and placed Jungdaeyeopgok at the forefront. Sakdaeyeopgok was at the center of the Gagok directing at the time, and Jungdaeyeopgok was recognized as a relatively old style. Later, Naksijo, < Jangjinjusa >, < Maengsanggunga >, and Manhoengcheongnyu, which are different from previous works, were published in order to bring out Gagok's flow and contemporary interest. Among these, Isakdaeyeop was perhaps the favorite music of the contemporary period. The number 391, which corresponds to about 67.4% of the 580 words, is included here. Isakdaeyeop distinguished between yumyeongssi(identified person) and mumyeongssi(unidentified person). According to their status, writers divided their works into the works of Sadaebu(nobility), the king, the Yeoang singer, and Gineyeo. They were then placed in chronological order. Mumyeongssi is a collection of lyrics that is widely circulated in the contemporary space but whose artist’s name has been lost. Gim Cheontaek selected and contained 104 of these and divided them into 54 topics. Until the completion of the Cheongguyeongeon in the lunar calendar on May 16, 1728, it has been confirmed that Gim Cheontaek was constantly travelling to collect the Gagok lyrics. The main object of the yumyeongssi collection was anthology or poetry circulated in small scale. Works spoken by one or two performers on stage were also collected. To unify these various works, Cheontaek devised a new form of anthology. This form overlapped the artist and subject category through the objective index song. This was possible because Gim Cheontaek was literate and also well versed in music. Isakdaeyeop mumyeongssi is an example of this aspect of Gim Cheontaek’s work. Based on his experience as a Yeoang singer, he selected and classified the 104 works by topic, which were popular in the performing arts. Fifty-four topics were not fully integrated in the classification. It is interesting to clearly show, however, the level of interest of the contemporaries' Gagok lyrics. Gim Cheontaek accepted traditional topics such as “gangho(affection for the beauties of nature)” and “yeongunaffection for their king)”, while also selecting works based on realistic interests of contemporary people such as “cheose(worldly wisdom)” and “gwangy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for Manhoengcheongnyu, the style performed in the market place at the time, Gim Cheontaek controversially recorded 116 numbers in Cheongguyeongeon. As a result, this publication is considered as establishing the beginning of the Gagok. The controversy surrounding Manhoengcheongnyu remained an issue into the mid-18th century. I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however, many versions appeared and were firmly established as an axis of the Gagok performance. This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Gim Cheontaek’s efforts in compiling Cheongguyeongeon in spite of the controversy surrounding him. In the meantime, in the absence of the original edition, academic research has been completely dependent on the printed book published by the 1948 Joseon Jinseo Ganhaenghoe(Joseon Treasured Volume Publishing House). Furthermore, the “Jinbon” Cheongguyeongeon, abbreviated to “cheongjin” was previously used in official academic circles. The original has now been released; as a result, I hope that “Cheongguyeongeon, compiled by Gim Cheontaek" will be widely used as an official academic reference, rather than the “Jinbon” Cheongguyeongeon.

      • KCI등재

        김천택의 교유와 『청구영언』의 편찬 과정 검토

        강혜정 ( Hye Jung Kang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6

        이 글은 김천택과 교유한 인물이 『청진』 편찬 과정에 미친 영향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김천택은 안동 김문, 노론의 인사들과 교유하였고, 이 교유를 통해 많은 작품을 수집할 수 있었을 것이다. 정철이 서인의 영수였으며 서인이 노론의 계보을 잇는다는 면에서 볼 때, 안동 김문과 교유 덕분에 『송강가사』를 접하기에 용이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김광욱, 신흠, 조존성의 경우 이 세 사람의 교유가 확인되며, 김광욱과 김성최가 혈연지간이며, 김성최가 김천택과 교유하였던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세 사람의 작품은 김성최를 통해 김천택에게 수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낭원군 이간의 경우 『영언』이라는 개인 가집을 가지고 있었고, 김천택이 이를 접한 후 30수의 작품과 이하조의 발문을 수록한 것으로 보았다. 김천택이 『영언』을 접할 수 있었던 것은 낭원군과 같은 왕실 인사이며 『청진『의 발문을 쓴 이정섭을 통해 가능했을 것이며, 이하조와 친분이 있었던 김창업을 통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어느 쪽이든 이들은 당대 상층 사대부라는 공통점을 갖기에 낭원군의 작품이 수록된 것 역시 김천택과 안동 김문과의 교유라는 자장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윤선도의 경우 노론과 적대적 관계에 있었던 남인이었기에『고산유고』를 접하기 어려웠거나, 접하였더라도 수록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았다. 반면 『청진『에 이황의 <도산십이곡>은 들어 있으되, 이이의 <고산구곡가>가전하지 않는 것은 앞서 설명한 노론의 입장과 상치되는 데, 이는 두 노래의 전승 양상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 <도산십이곡>은 일찍부터 판각되어 널리 유포되었으나, <고산구곡가>는 김천택 당대에 노래가 아니라 시화첩의 일부로 전해졌기에 수록되지 못했던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reviews the influence on compilation of 『Chung-Jin』 of those who associated with Kim Chuntaek. Thanks to his outstanding musicality, he could associate with the upper classes of his time. Especially he made personal connections with the figures of Andong Kim family(Noron), and this could have helped compilation of 『Chung-Jin』 through collecting musical works. As seen in the epilog of Joo Euishik and Kim Sunggi, Kim Chuntaek first got hands on a few works that were handed down orally, he tried hard to find more of the author`s works, and finally obtained the collection works from his friends and included the works after reading three times. This process was equally applicable to the case of Jung Chul who had 51 works included in 『Chung-Jin』. Considering the fact that Jung Chul was the leader of Seoin and Seoin had the same genealogy as Noron, it was easy for Kim Chuntaek to obtain 『Songang gasa』 via association with Andong Kim family. The same assumption can be made for the case of Kim Gwangwook, Shin Hum, and Jo Jonsung. It was confirmed that these three people associated with on another, Kim Gwangwook was a grandfather of Kim Sungchoi, and Kim Sungchoi associated with Kim Chuntaek. Thu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works of these three were handed to Kim Chuntaek via Kim Sungchoi. For the case of Nangwongun, he possessed his own Gajip 『Youngeon』, and Kim Chuntaek included 30 of his works after obtaining 『Youngeon』. And obtaining 『Youngeon』 could also be possible thanks to association with Andong Kim family. As Yoon Sundo belonged to Namin which was in hostile relations with Noron, it might have been difficult for Kim Chuntaek to obtain 『Gosanyugo』 or difficult to include even if it had been obtained. On the contrary, the fact that Yi Hwang`s <Dosan tewlve songs> is included but Yi Yi`s <Gosan ninse songs> is excluded seems to be a conflict with the above explained Noron`s position. <Dosan twelve songs> were published and circulated widely from the beginning, but <Gosan nine songs> were handed down as a part of a scroll not as a song in the time of Kim Chuntaek.

      • KCI등재

        『靑丘永言』 박순호본,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선행본일 가능성에 대하여

        강혜정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60 No.-

        본고는 2012년 최현재에 의해 처음 학계에 소개된 『靑丘永言』 박순호본(『청박』)과 기존에 『청진』으로 불리던 김천택 편 『靑丘永言』(『청김』)을 비교하여 『청박』이 『청김』의 선행본일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최현재는 『청박』을 소개하면서 『청박』이 『청김』의 초고본일 가능성과, 『청김』의 후대본일 가능성을 모두 제시하였다. 하지만 『청박』과 『청김』이 동일한 편자에 의한 가집이라는 사실을 토대로 둘을 비교해 본 결과, 『청박』은 『청김』의 선행본일 가능성이 농후했다. 첫째, 김천택이 남긴 여항인 발문이 『청김』에는 있지만, 『청박』에는 없으며, 여항인의 작품 수 또한 『청박』이 『청김』보다 적다는 점에서 볼 때 『청박』이 선행본일 가능성이 높다. 김천택은 『청김』 ‘여항육인’에 주의식과 김성기 작품의 全譜를 수록하고, 그 뒤에 발문을 통해 김천택이 전보를 수집하지 못해 가졌던 한스러움과 全譜 수집 과정, 그리고 전보 수집 후의 감격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반면 『청박』에는 이러한 발문이 없고, 이 작가들의 작품도 일부만 수록하고 있다. 편자가 자신이 작성한 기록을 삭제하며 재편집한다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는 점과, 김천택이 全譜 수집에 대한 강한 열망과 의지를 가졌던 점을 고려한다면, 발문도 없이 작품의 일부만을 수록하고 있는 『청박』은 全譜를 모으기 이전에 편찬된, 『청김』의 선행본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둘째, 무명씨 항목의 경우, 『청김』과 『청박』 모두 주제별 분류를 취하고 있는데, 『청김』은 주제어를 제시하고 세밀하게 분류한 반면, 『청박』은 주제어를 명시하지 않았고 『청김』보다 더 큰 범주의 주제로 분류하되 때로는 연상작용에 의해 배치하기도 하는 등 『청김』보다 덜 체계적이었다. 『청박』을 후대본으로 본다면, 『청박』은 『청김』이 작은 범주의 주제어에 따라 질서정연하게 배치한 작품들을 굳이 뒤섞어 큰 범주의 주제로 재배치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데 이는 매우 부자연스럽다. 셋째, 열성어제의 위치 또한 『청박』이 선행본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청김』의 열성어제는 이삭대엽의 중반부에 놓여 있고, 다수의 18세기 가집들이 열성어제를 이삭대엽의 맨 앞에 두는 것을 고려하면, 열성어제는 이삭대엽 중반부에서 이삭대엽 서두로 이동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청박』의 열성어제는 가집의 맨 뒤, 삼삭대엽 다음에 놓여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열성어제의 배치 경향으로 볼 때, 『청박』이 『청김』보다 후대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넷째, 『청김』은 김천택의 작품을 30수나 수록하고 있는데 비해, 『청박』에는 김천택의 작품은 단 한 수도 없다. 편자가 재편집 과정에서 자신의 작품을 모두 삭제했다고 보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 따라서 『청박』은 아직 자신의 작품을 수록하지 않은 시기에 편찬된 가집으로 『청김』의 선행본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다섯째, 작가에 관한 정보를 담은 小註와 작품 표기 양상을 비교해 보아도 『청박』이 선행본일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청박』에만 존재하는 악곡의 풍도 형용 역시 『청박』이 이른 시기에 편찬된 가집임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dvance the possibility that the Cheongguyoungan which was once owned by Park Soonho(Cheong Park) was compiled before the Cheonggu youngan which is now owned by and housed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Cheong Kim). There are many Shijo anthologies entitled Cheonggu youngan. Cheong Kim is a representative example, having been compiled by Kim Cheontak in 1728. There is a record of Kim’s compilation in Cheong Park but there is no record of exactly when it was compiled. As a result, Cheong Kim is known as the first Shijo anthology. However considering that both Cheongguuoungan were compiled by the same person, it was likely that Cheong Park was published earlier than Cheong Kim. This is because, first of all, Cheong Park contains fewer works produced by middle class authors than Cheong Kim, and unlike Cheong Kim there are no Chinese postscripts about the works which demonstrates Kim’s aspiration to assemble as compendious as possible a collection of works of such writers, and the way in which he collected them. Because Kim belonged to this middle class, he made a special effort to collect works of this class. Considering his goals as a collector, it can be assessed that Cheong Park, which contains only a small selection of middle class works without postscripts, was compiled earlier. Second, both anthologies classified the works whose writers could not be identified by theme. All the texts in Cheong Kim were identified the subject of the works and classified accordingly. Although Cheong Park also arranged the works by subject, it did not do so as systematically as Cheong Kim and it did not identify the subjects. Third, in Cheong Park, the works of the kings are placed at the end. Given that in the 18th century, the works of kings tended to be placed in the beginning of the anthologies, it is likely that Cheong Park was compiled very early. Fourth, Cheong Park has none of Kim’s works, but Cheong Kim contains 30. In addition to these indications, it is more plausible to place the publication of Cheong Park before that of Cheong Kim in the light of the information each provides about the relevant writers, their respective notations on the works they include, and their respective explanations of the melodies they contain.

      • KCI등재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과 수용 방식

        허영진 ( Hur Young-ji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이 글은 가집사적 맥락에서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을 종합·분석한 후, 『청구영언(진본)』 소재 각 작품이 후대의 개별 가집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그동안 김천택은 최초의 가집을 편찬한 인물로서의 역할과 위상이라는 관점에서 주목을 받았지만, 다수의 작품을 창작한 작가로서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그 결과 아직까지도 그의 작품이 가집사적으로 어떻게 전승되었고, 후대의 가집으로 전승된 작품이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가에 대한 연구는 본격화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현전 가집 93종을 대상으로 김천택 작품의 전승 양상과 수용 방식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우선 김천택 작품으로 알려진 것 가운데에서 2수는 후대인의 추가 수록 작품인데다가 자료적 신뢰성이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김천택은 모두 79수의 작품을 남겼다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의 작품은 『청구영언(진본)』에서 30수가 최초로 수록된 이후, 해동가요계 가집에서 49수가 추가 수록되었으므로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전승 경로가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즉 그의 작품이 『청구영언(진본)』과 『해동가요』라는 양대 가집을 중심으로 전승 경로가 확연히 구분되는 바, 김천택 작품의 해석 기반 역시 최소 두 가지 이상의 층위를 지녔다고 판단하였다. 김천택 작품의 수용 방식에 관해서는 最先本, 즉 『청구영언(진본)』 소재 작품이 후대의 다른 가집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작가, 악곡, 노랫말의 표기 방식면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상이 포착된다는 사실을 밝혀 보았다. 이러한 변화상은 『청구영언(진본)』이 편찬된 직후부터 곧바로 나타나므로 단순히 전승·수용 과정상의 오기나 착오에 의한 것은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요컨대 그의 작품은 가집사 전 기간 동안 전승이 이루어졌으나 수용 방식면에서 보편적 인식보다는 개별적 인식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고, 각각의 작품은 개별 가집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되었음을 실증해 보였다. This study put together and analyzed the transmission patterns of works by Kim Cheon-taek and examined how the works of Cheongguyeongeon(rare book) were accepted in individual anthologies by the later generations. The study looked into the transmission patterns and acceptance methods of Kim`s works in 93 anthologies and found out the followings: There are some of his works whose authenticity has been ambiguous till today, and two of them have little material authenticity. After excluding the two, it was concluded that Kim left total 79 works. Given that 30 of his works were first published in Cheongguyeongeon(rare book) and that 49 works were added in the anthology of Haedonggayo line later, a possibility was raised that there must have been at least two transmission paths. As for the acceptance methods of his works, there were noteworthy changes to the authors, tunes, and notation of lyrics. His works had been transmitted throughout the entire history of anthologies. Individual perceptions were more prominent in the specific acceptance method of each work rather than the universal ones. Each work was accepted in individual anthologies in diverse ways.

      • KCI등재

        삶의 문제와 가치 실현으로서 가객 시조의 문학교육적 탐구 ㅡ 김천택의 시조를 대상으로

        최홍원 한국시조학회 2024 시조학논총 Vol.60 No.-

        이 연구는 가객 시조에 대한 이해가 조선 후기 문학사와 연결된 거시적 담론에 압도된 나머지, 정작 문학이 현실의 문제 사태에 대한 주체의 가치 실현이라는 공리를 간과하고 있다는 반성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가객 시조의 교육적 가치와 의의를 탐색하고 교육 내용을 제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자료로 김천택의 시조 작품을 설정하였다. 2장에서는 김천택 시조의 작품 세계가 지닌 다기성을 살피고, 문학사에 경도된 교육의 국면을 추적함으로써 그동안 가객 시조에 대한 이해와 접근이 편향되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삶의 문제에 대한 주체의 가치 실현이라는 관점을 마련하여, 문학의 의미와 효용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객 시조의 다기성은 삶의 조건에서 비롯되는 갈등을 해결하는 상이한 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표현동기와 전달동기의 측면에서 양상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였다. 이에 따라 3장에서는 삶의 문제에 대한 가객 시조의 대응 양상을 ‘갈등의 드러냄과 언어적 해결’, ‘갈등의 숨김과 동경 세계의 구축’, ‘청중의 욕망과 가치의 실현’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탐색을 통해 문학사와 작자에 경도된 기존의 문학교육론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문학 활동으로서 새로운 교육 내용을 탐구하였다. 삶의 문제와 주체의 가치 실현은 가객 시조와 국어/문학 능력을 연결하고 매개하는 관점으로 기능하여 ‘문학의 본질’, ‘문학의 기능’, ‘문학에 대한 태도’의 교육을 새롭게 제언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reflection that the understanding of Gagaek Sijo [歌客 時調] is so overwhelmed by the macro discourse connected to the litera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朝鮮] that it overlooks the axiom that literature is the realization of the value of the subject in response to problems in reality. Based on this critical awarenes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newly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 and significance of Gagaek Sijo and suggest educational content. For this purpose, Kim Cheon-taek’s [金天澤] Sijo [時調] works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s. Section 2 examines the multiplicity of Kim Cheon-taek’s [金天澤] world of Sijo [時調] and traces the phases of education focused on literary history, confirming that the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Gagaek Sijo [歌客 時調] has been bias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meaning and utility of literature by establishing a perspective of realizing the subject’s values regarding life’s problems. From this perspective, the multiplicity of Gagaek Sijo [歌客 時調] was seen as originating from different ways of resolving conflicts arising from life conditions, and the problems of life and features of value realization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 terms of motivation for expression and transmission. Accordingly, in Section 3, the responses of Gagaek Sijo [歌客 時調] to the problems of life are derived as “revealing and verbally resolving conflict,” “hiding conflict and constructing a world of longing,” and “realizing the audience’s desires and values.” Through this exploration, it is possible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education theory focused on literary history and authors and propose new educational content as a learner-centered literary activity. The realization of the subject’s value for life’s problems operates from a perspective that connects and mediates Gagaek Sijo [歌客 時調] and Korean language/literature skills, and based on this, education of “the essence of literature," “function of literature,” and “attitude toward literature” is provided.

      • KCI등재

        조선 후기 가집의 여항인 항목에 대한 재검토

        권순회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5

        In this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Yeohang-in item’, which contains the works of artist Yeohang-in in the late Joseon songbook. Among the songbooks that appeared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Yeohang-in item were investigated for the songbooks in which Yeohang-in appeared in the part where the author of Isaacdaeyeop(二數大葉) was known. As a result of examining a total of 23 songbooks, 441 works by 38 Yeohang-in were confirmed. The Yeohang-in item was first set under the name of ‘Yeohang-yukin(閭巷六人)’ in Cheongguyoungeon(靑丘永言) by Kim Cheon-taek(金天澤) in the early 18th century.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artist's name was maintained, ‘Yeohang-yukin’ became the core of Yeohang-in item, showing a tendency to become canonized. Among these, the Yeohang-in item of the songbook that appeared after Cheongguyoungeon(edited by Kim Cheon-taek)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deliberately excluded Kim Cheon-taek and included Park In-ro(朴仁老), a Sadaebu(士大夫), instead. In the new Yeohang-in, only one person, Jo Eung-hyun(趙應顯), was added. On the other hand, in the songbook of the series Haedonggayo(海東歌謠) that appeared later, Kim Soo-jang(金壽長) restores the traces of Kim Cheon-taek and establishes the orthodox context of Yeohang-in. At the same time, the works of 11 Yeohang-in who were active during the Kim Su-jang era are separately recorded in Cheonggugayo(靑邱歌謠) to expand the scope of the Yeohang-in item. After the late 18th century, Yeohang-in items were differentiated in various ways. Writers who appeared in ‘Yeohang-yukin’ and Cheonggugayo are integrated into one, and a new Yeohang-in is added here. A total of 18 new Yeohang-ins have appeared. The format of the Yeohang-in items is also different.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Yeohang-in is mixed with Sadaebu, and the name of the item is not given, except for some songbooks. In the midst of thi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composition of the songbook is converted into a comprehensive piece of music and the lyrics are rearranged accordingly, the scale is greatly reduced and the Yeohang-in item gradually disappears.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가집에서 여항인 작가의 작품을 수록한 ‘여항인 항목’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19세기 전반 이전에 출현한 가집 가운데 이삭대엽 유명씨부에 여항인 작가가 등장하는 가집을 대상으로 여항인 항목의 특성을 살폈다. 총 23종의 가집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여항인 38인의 작품 411수를 확인하였다. 여항인 항목은 18세기 초 김천택에 의해 『청구영언』(김천택 편)에 ‘여항육인’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정되었다. ‘여항육인’은 작가명 표기가 유지되는 19세기 전반까지 여항인 항목의 핵심으로 자리하면서 정전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가운데 18세기 중반 『청구영언』(김천택 편) 다음에 등장한 가집의 여항인 항목에서는 의도적으로 김천택을 배제하고 대신에 사대부인 박인로를 포함했다. 새로운 여항인은 조응현 단 1인이 추가되었을 뿐이다. 반면에 김수장은 이후 등장한 『해동가요』 계열 가집에서 김천택의 흔적을 되살리며 여항가객의 정통적 맥락을 다시 확립한다. 동시에 김수장 시대에 활동했던 여항인 11인의 작품을 『청구가요』에 별도로 수록하여 여항인 항목의 외연을 확장한다. 18세기 후반 이후에는 여항인 항목이 다양하게 분화된다. ‘여항육인’과 『청구가요』에 등장했던 작가들이 통합되고 여기에 새로운 여항가객들이 더해진다. 총 20인의 여항가객이 새로 출현하였다. 여항인 항목의 수록 형태도 달라진다. 여항인들이 사대부와 뒤섞여 분산 수록되는가 하면, 항목명을 별도로 부여하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가운데 가집의 편제가 전면적인 악곡 편제로 전환되고 노랫말이 악곡별로 재배치되는 19세기 전반에 오면 그 규모는 대폭 축소되고 여항인 항목은 점차 자취를 감춘다.

      • KCI등재

        『靑丘永言』의 편찬과 의의

        신송(Shin, Song)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5

        『청구영언』은 조선 영조대의 歌人 남파 김천택이 편찬한 것으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가집이다. 그래서 조선 후기 시가사의 구도를 설정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또한, 진본 『청구영언』은 『해동가요』를 비롯하여 이후에 편찬되는 가집들의 전범으로 역할을 했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조선 후기에서 가집이 지니는 의의는 매우 중요하다. 주로 여항인들이 주도했던 가집의 편찬과 그로 인한 시조예술의 발흥은, 이전까지 사대부들이 주로 담당했던 시조의 창작 및 연행 문화와는 전혀 다른 문화적 배경을 전제하고 있다. 여항 예술인들은 시조의 내용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변화를 앞장서서 이끌었고, 음악사적인 측면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했던 주역이라고 볼 수 있다. 시조사에서 이러한 움직임의 선두에 김천택이 편찬한 『청구영언』(1728)이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비추어 『청구영언』에 대한 연구는 다각도로 진행되었고, 그 결과 가집이 지니고 있는 적지 않은 의미와 자료적 가치들이 확인될 수 있었다. 김천택은 나름의 편찬의식을 가지고 당대 음악사의 실상에 부합한 가집을 편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청구영언』은 작품을 곡조별 · 작가별 · 내용별로 나누어 수록하고 있어, 가능한 작품의 배열방법이 모두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 『청구영언』은 현전하는 최초의 가집으로서, 조선 후기 시조사의 변화를 주도했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편찬자인 김천택의 시조와 가창에 대한 적극적인 의식이 한 몫 했음은 두말 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Cheongguyeong-eon is the oldest poem collection in existence, which was compiled by Kim, cheontaek, a poet(歌人) Nampa(南坡) of Joseon Yeongjo era. Therefore, it has taken a very important role, e.g. establishing the structure of poetry history of late Joseon, etc. Also, the original copy of Cheongguyeong-eon is taking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aspect of taking the role of a classic of the poem collections which have been compiled ever since, including Haedonggayo. The significance of poem collection(歌集) in late Joseon dynasty is very important. Compilation of poem collection, which was mainly performed by middleclass people, and the rise of sijo art lead by it were based on completely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from the creation of sijo and yeonheng culture, which had been, meanwhile, performed mainly by noblemen. Middleclass artists lead sijo in respect of content and form, taking the lead of various changes, also, can be called as the leading role who enabled continuous development through a lively activity in the aspect of musical history. In the lead of this movement in sijo history, Kim, cheontaek’s Cheongguyeongeon(1728) was positioned. In the light of this importance, researches on Cheongguyeong-eon have been progressed from various angles, as the result, substantial meaning and data values could be confirmed, which the poem collection has. It was confirmed that Kim, cheontaek exerted lots of efforts with his own editing consciousness to compile the poem collection, which accorded with the fact of the musical history of the time. Particularly, Cheongguyeong-eon included the works, dividing into melody · writer · content, which can be said to display all possible arrangement methods of the works. Cheongguyeong-eon is the first poem collection, in existence, which has the greatest significance in respect of having taken the lead of the change of sijo history of late Joseon dynasty. Herein, needless to say, the compiler, Kim, cheontaek"s active consciousness about sijo and poetry played a part.

      • KCI등재후보

        『청구영언』(진본) 소재 김천택 시조의 내용 분류와 그 특징

        이상원 ( Sang Won Lee ) 택민국학연구원 2016 국학연구론총 Vol.0 No.17

        이 글은 김천택 시조 연구의 1단계 작업으로서 『청구영언』(진본)에 수록된 김천택 시조 30수를 대상으로 내용 분류를 시도해 본 것이다. 내용 분류는 『청구영언』(진본) 무명씨에서 김천택 스스로가 명명한 주제어들을 차용하는 방식을 취했다. 그 결과 ‘강호’ 3, ‘전가’ 3, ‘은둔’ 1, ‘지지’ 1,‘명건’ 2, ‘방랑’ 3, ‘유락’ 3, ‘한적’ 2, ‘민세’ 1, ‘선고’ 1, ‘태평’ 1, ‘공자’ 1,‘맹자’ 1, ‘두보’ 1, ‘악비’ 1, ‘문천상’ 1, ‘진시황’ 1, ‘장자’ 1, ‘하지장’ 1, ‘백이 숙제’ 1 등 20개 주제어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크게 보아 자연적 삶과 관계된 주제어들과 도시적 삶과 관계된 주제어들이 비교적 균형을 이루는 가운데 역사적 인물을 다룬 작품이 9수로 매우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청구영언』 무명씨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어임에도 불구하고 김천택의 작품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주제어들도 일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군’, ‘견적’, ‘보효’ 등 임금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는 주제어들이 나타나지 않는 것과 자연적 삶과 관계된 주제어들 중 ‘산림’, ‘야취’, ‘수분’ 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 외에도 윤리적 문제와 관련된 주제어나 늙음과 관련된 주제어 등이 나타나지 않는 것도 주목해볼 만하다.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categorize the contents of 30 Korean odes in 『Cheongguyeongeon』 compiled by Kim Cheontaek, as the first work for a study on Kim Cheontaek’s Sijo. Kim Cheontaek selected keywords from anonymous authors`` Sijos in 『Cheongguyeongeon』, so the study borrowed the selected keywords for the contents categorization. The categorization included 20 various keywords as follows: ``Gangho`` 2, ``Jeoga`` 3, ``Eundun`` 1, ``Jiji`` 1, ``Myeonggeon`` 2, ``Banglang`` 3, ``Yurak`` 3, ``Hanjeok`` 2, ``Minse`` 1, ``Seongo`` 1, ``Taepyeong`` 1, ``Confucius`` 1, ``Mencius`` 1, ``Tu Fu`` 1, ``Yue Fei`` 1, ``Wen Tianxiang`` 1, ``Qin Shihuang`` 1, ``Chuang-tzu`` 1, ``He Zhizhang`` 1, and ``Bo-yi Shu-qi`` 1. Largely, the above keywords kept a balance between natural life and urban life, and the categorization was characterized by 9 Korean odes handling historical character. Meanwhile, although several keywords were regarded as important things from anonymous authors`` Sijos in 『Cheongguyeongeon』, the keywords were not found from Kim Cheontaek``s work. For example. there were ``Yeongun``, ``Gyeonjeok``, ``Bohyo``, etc. for the relation to king, and ``Sanlim``, ``Yachwi``, ``Subun``, etc. for natural life. In addition to that, the keywords for ethical issue and agedness were not found.

      • KCI등재

        만횡청류의 운명 - 『청구영언』 수록 전과 후

        이상원 ( Lee Sang-won ) 한국시가학회 2017 韓國 詩歌硏究 Vol.43 No.-

        이 글은 만횡청류가 김천택 편 『청구영언』에 수록되는 것을 계기로 그 운명이 달라졌음을 고찰한 것이다. 김천택 편 『청구영언』에 수록되기 전의 만횡청류는 가곡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김천택은 『청구영언』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제일 먼저 왕족 출신의 이정섭을 찾아가 만횡청류를 수록해도 좋을지 물어 보고 긍정적 반응을 얻는다. 그럼에도 김천택은 만횡청류를 『청구영언』의 맨 마지막에 마치 부록처럼 별도로 수록하고 있다. 그리고 그 앞에는 특별히 2종의 서문을 통해 그 수록의 이유를 애써 밝혔다. 이 모든 것들은 당대 상황에서 만횡청류가 가곡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지 못했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그랬던 만횡청류는 『청구영언』 수록을 계기로 가곡으로 인정받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만횡청류의 가곡 편입 과정이 순탄했던 것만은 아니다. 김천택 편 『청구영언』 직후에 편찬된 초기 가집들에 만횡청류가 수록되지 않은 것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18세기 중반에 편찬된 가집들부터는 만횡청류가 실리기 시작한다. 그런데 만횡청류가 수록된 가집들에서도 그 명칭은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를 통해 만횡청류가 일단 가곡의 일부로 인식된 후 그 다음에 당대 가곡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던 삭대엽과 동일하게 인식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만횡청류가 가곡의 영역으로 편입된 데는 김천택의 역할이 가장 컸다고 할 수 있다. 그때까지만 해도 가곡으로 인정받지 못하던 상황에서 『청구영언』에 이를 수록하는 결단을 내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횡청류가 가곡으로 정착되는 과정에서는 일부 사대부들의 선구적인 역할이 큰 기여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set out to demonstrate that the fate of Manhoingcheongryu changed following its inclusion in Kim Cheon-taek's Cheongguyeongeon. It seems that Manhoingcheongryu was not a collection of Gagoks until it was included in his Cheongguyeongeon. While compiling Cheongguyeongeon, Kim first asked Lee Jeong-seop,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whether he could include Manhoingcheongryu in the collection, and received a positive answer in response. Despite this royal approval, however, Kim included Manhoingcheongryu at the end of Cheongguyeongeon as a separate appendix, and attempted to explain his reasons for its inclusion by adding two specific prefaces to it. All of these factors suggest that Manhoingcheongryu was not naturally accepted as a Gagok work i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Manhoingcheongryu started to be recognized as a Gagok work after being included in Cheongguyeongeon, but the process was not a smooth one, which is demonstrated in the fact that it was not included in the early collections of Gagoks that followed the publication of Kim Cheon-taek's Cheongguyeongeon. The collections of Gagoks published in the mid-18th century, however, started to include i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to the name of Manhoingcheongryu across the various collections of Gagoks that included it. This indicates that it was first recognized as a part of Gagok works, before being later identified in the same manner as Sakdaeyeop, which was the mainstream Gagok work in those days. Kim Cheon-taek played the most significant role in ensuring the inclusion of Manhoingcheongryu in the domain of Gagoks, since he made a conscious decision to include it in his Cheongguyeongeon at a time when it was not recognized as a Gagok work. Some members of the nobility also played pioneering roles and made a huge contribution to the process of its consolidation as a Gagok work.

      • KCI등재

        가집편찬에서 음사(淫辭) 수록의 논리: 시교(詩敎)와 정교(情敎) -김천택(金天澤)과 풍몽룡(馮夢龍)의 경우-

        조성진 ( Seong Jin Jo ) 한국고전문학회 2012 古典文學硏究 Vol.41 No.-

        이 논문은 김천택과 풍몽룡의 가집편찬에서 음사 수록이 지닌 문제성을 지적하며, 그것을 정당화 하는 논리로 ``시교론``과 ``정교론``을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청구영언』 서발문을 중심으로 정래교와 이정섭, 김천택이 『청구영언』 편찬과 음사인 만횡청류를 어떻게 인식했는가를 살폈다. 그 결과 그들은 공통적으로 채시의식을 강조하며 노래가 지닌 교화적 효용을 중시하였는데, 특히 김천택이 두드러졌다. 이 점은 풍몽룡의 경우에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는 악부민가를 ``風雅``로 지칭하며 자신의 가집 편찬을 태사의 陳詩와 견주었다. 여기에는 악부민가집 편찬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게 배어있다고 할 수 있다. 이로부터 김천택의 시교론과 풍몽룡의 정교론이 지닌 핵심 개념과 의도, 문학적 실천의 양상을 간단히 살폈다. 그리고 이들 ``시교``와 ``정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그 의미를 탐구하였다. 한편으로 이들 교화의 이론이 지닌 표면적 성격 외에 그 이면의 특징을 두어 가지로 나누어 살폈다. 이런 가운데 교화론의 성과와 한계를 살폈다. 성과라고 한다면, 음사 수록을 정당화 하는 구실로 쓰였을 뿐만 아니라, 노래, 특히 시속의 노래를 긍정했다는 점이 그렇다. 한계라고 한다면, 이는 시대적인 것으로서 음사를 그 자체로 긍정하지 못하고 교화의 수단으로서 긍정했다는 데에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problematic aspects of including obscene language in a compilation of collections of poems by Gim Chentaek and Feng Mengrong, from which compares the logic of ``Sigyo (edification by poetry)`` and ``Jeonggyo(edification by emotion)`` justifying that obscene language. This comparative study begins with an examination of the Jeong Laegyo, Lee Jeongseop and Gim Chentaek`s recognition of compilation of Chengguyeong-eon and its including obscene language in a compilation of collections of poems expressed in a preface and a postscript of Chengguyeong-eon. From this, we know that they emphasize consciousness of collecting poems and regard their effects of edification as important in common. This point is not so different from Feng Mengrong`s case. He regards Yuefu-Minge as ``Fengya(風雅)``, and compares his own compilation of collections of poems to Taishi(太史)`s telling emperor about those poems. Further more, this paper analyzes concepts, intention, and aspects of literary practice the logic of Sigyo by Gim Chentaek and the logic of Jeonggyo by Feng Mengrong. And then investigates common points and the differences, and their meanings between those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