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김승옥 소설과 문학교육

        김명석(Kim Myung-Seok) 돈암어문학회 2009 돈암어문학 Vol.- No.22

        이 글의 목적은 김승옥 소설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김승옥 소설의 본질을 자아정체성 탐구와 일상성 탐구, 감수성의 문체로 규정하고, 이러한 특성을 문학교육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자아정체성을 수립해야 할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김승옥의 소설은 문학 작품을 통한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자아성찰의 계기를 제공해 줄 것이다. 또한 196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 자본주의 도시의 일상성 탐구를 통해 학생들이 시대적 맥락을 파악하고 일상성의 구조와 본질을 성찰하게 한다. 또한 작가 감수성이 가진 새로움을 통해 문학의 원리와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글은 김승옥의 대표작들이 실제로 교과서에 어떻게 수록되어 교실에서 교육되고 학생들에게 수용되는지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제7차 과정 문학교과서 속에 수록된 김승옥의 소설 중 「서울, 1964년 겨울」과 「무진기행」을 집중 분석하였다. 이어서 국어과 평가의 대표적 사례로 수능 시험과 대업논술 시험에서 김승옥 소설이 어떻게 출제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09년도 수능 언어영역에 출제된 「역사」의 문제를 분석하고,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관련 부분과 비교해 보았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김승옥의 소설을 실제 현장에서 교육할 때 필요한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writing's purpose was to find about Kim Sung-ok's novel's educational significance. First, this thesis studied the esthetic and thematic character in the aspect of the writing of sensibility and a questing of self and everydayness in Kim Sung-Ok's novel. Kim Sung-Ok formalizes the experiences of everyday life in Seoul, and deals with the essence of capitalistic everydayness. Like this, his themes ate very fresh in modem novel. Therefore he takes very important statu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His novel establish self-identity literature to do with adolescent students through indirect experience will provide the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In addition, the center of Seoul in the 1960s, the city's capitalist ilsangseong quest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contemporary student life is to reflect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castle. The novelty with the artist through the sensibility of the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nature can help. The masterpiece of this article gimseungok what actually contained in the textbooks for students in the classroom and education ate looked acceptable. In the point, his novel Seoul-1964-winter, the strong man, A journey to Mujin, were, and the fog focused on analysis. Finally, the conclusion of Kim Sung-ok' the novel real need to educate the development challenges in the field presented.

      • KCI등재

        여성 객체화 전략의 실패와 침묵의 정치성 -김승옥의 「서울의 달빛 0장」 재독-

        이영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2 No.-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roblematic nature of Kim Seungok’s short story Chapter 0 under the moonlight of Seoul(Chapter 0) and intends to newly place it in the genealogy of literary history. It also aims to confirm Kim Seungok’s politicality as a novelist revealed in this work. The politicality of a novelist is revealed by the way that the desire and response to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novelist I want to be” are ‘repeated’ and ‘varied’ through both content and form. “Objectification” suggested by Martha Nussbaum, is a repeated strategy of creativity in Kim Seungok’s work, so it is a perspective that meets the purpose of this article’s. The method of objectification revealed in the representative work Mujin Travel in the 1960s is also repeated in Chapter 0 in the 1970s. In Kim Seungok’s novel, women are supposed to be the lowest and last ‘object’, and are used as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male subject’s “self-world.” However, in Chapter 0, variations occur when the existing female objectification strategy fails. As the supposed woman who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self-world,” leaves, the male subject's “self-world” collapses, forcing the subject to try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However, both “Disgust” that protect the subject by pushing the object to the outside and the narrative device of “Conflict” that establishes the subject’s identity in conflict with the object’s values are fundamentally impossible due to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the “self-world.” ‘Silence’ is the only political language allowed for a subject who has lost all means. In this regard, Chapter 0 is a novelization of ‘Silence’ itself. According to this analysis of works, this paper proves that the silence of Kim Seungok, who rarely created novels in the 1970s, was intended. Accordingly, Kim Seungok’s politicality as a novelist is defined as ‘Politicality of Silence.’ And ultimately, it is proposed to place Chapter 0 at the end of the genealogy as a work that re-connects Kim Seungok’s literary genealogy. 본고의 목적은 김승옥의 단편소설 「서울의 달빛 0장」의 문제작으로서의 성격에 주목하여 문학사적 계보에 재배치하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김승옥의 소설가적 주체로서의 정치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소설가의 정치성이란 ‘어떤 소설가이고 싶은가’라는 정체화의 문제에 대한 욕망과 응답이 작품을 통해 반복되고 변주되는 방식에 따라 드러나며, 김승옥이 소설가로서 시대적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쓴 「서울의 달빛 0장」은 이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여성의 객체화 전략을 통해 남성 주체의 ‘자기 세계’를 구성하는 것은 김승옥의 작품 세계 전반에 걸친 창작 매커니즘이기에, 본고에서는 마사 누스바움의 개념을 통해 이를 설명했다. 1960년대의 대표작 「무진기행」에서 드러나는 객체화의 전략은 1970년대의 「서울의 달빛 0장」에서도 반복된다. 김승옥 소설에서 여성은 최저이면서도 최후의 객체로 전제되며, 남성 주체의 ‘자기 세계’를 지탱하는 기반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서울의 달빛 0장」에서는 기존의 여성 객체화 전략이 실패함으로써 변주가 일어난다. 필수구성성분인 전제된 여성이 이탈함으로써 남성 주체의 ‘자기 세계’가 붕괴됨에 따라, 주체는 객체와의 새로운 관계정립을 시도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객체를 외부로 밀어냄으로써 주체를 보호하는 혐오 감정이나, 객체의 가치관과 충돌하여 주체적 정체성을 정립하는 갈등의 장치는 모두 ‘자기 세계’의 구성원리로 인해 봉쇄된다. 모든 수단을 잃은 주체에게 허락된 정치적인 언어는 침묵뿐이며, 이렇듯 주체가 필연적으로 침묵할 수밖에 없는 과정을 서사화했다는 점에서 「서울의 달빛 0장」은 침묵 자체를 소설화한 작품이다. 이러한 작품 분석에 따라 본고는 1970년대에 들어 소설 창작을 거의 하지 않았던 김승옥의 침묵이 의도된 것임을 증명하고, 소설가적 주체로서 김승옥의 정치성을 ‘침묵의 정치성’이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김승옥의 단절됐던 김승옥의 문학을 다시 잇는 작품이자 최후의 정체화로서, 「서울의 달빛 0장」을 계보의 마지막에 위치시킬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열등의식의 문학적 탐구 : 김승옥의 「더 많은 덫을」에 대하여

        김영찬(Kim Young-chan),김승옥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김승옥은 1966년 대중적 상업주간지인 『주간한국』이 지령 100호 기념으로 지식인 100명에게 투표를 의뢰하여 발표한 ‘오늘의 작가’에 선정된바 있다. 김승옥의 소설 「더 많은 덫을」은 그 선정결과가 발표된 『주간한국』 100호 기념호에 〈100인이 선정한 ‘오늘의 작가’의 ‘오늘의 작품’〉이라는 타이틀 아래 실린 것이다. 김승옥의 소설 「더 많은 덫을」은 그동안 독자의 기억에서나 문학연구의 영역에서나 유실되었던 작품이다. 그러나 「더 많은 덫을」은 ‘서울에서 산다는 것’에 임상심리 보고서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이 시기 그의 다른 작품과 비교할 때 작품의 질에서도 당연히 뒤떨어지지 않는다. 이 소설에서 주목되는 것은 전라도에서 상경한 촌놈으로서의 자의식, 그리고 그와 얽혀 있는 당대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사회심리의 표정, 그에 대한 심리적 반응 등이 거의 날것 그대로라 할 만큼 생생하게 증언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측면에서 이 소설은 김승옥 소설의 배면에 은밀하게 깔려 있는, 열등의식 가득찬 고단한 ‘상경 촌놈’의 내면풍경을 그 특유의 미려한 장식을 걷어내고 더욱 깊숙이 들여다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김승옥의 소설 「마지막 덫을」은 비루한 자기보존을 위해 남모르는 안간힘을 써야 하는 소외된 열등생의 불행하고 눈물겨운 자의식의 분투를 보여준다. 그런 측면에서 이 소설은 너무나 욕된 생활 속을 죄충우돌 살아가야 했던 열등한 상경 촌놈들의 ‘서울살이’에 대한 또 하나의 눈물겨운 임상심리 보고서다. 그런 가운데서도 이 소설은 김승옥의 여타 임상심리 보고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준다. 그것은 ‘열등생’이라는 김승옥 고유의 토픽이, 열등감의 사회경제적 배후와 지역차별에 대한 문제의식과 결합되면서 한층 구체적이고도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전라도 출신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라는, 사회적으로 중요하지만 문학에서 쉬 발설되지 않았던 민감한 문제를 소설 속으로 적극적으로 끌고 들어온 것 자체만으로도 이 소설이 갖는 문제성은 크다. 무엇보다 이 소설이, 소외된 주변의 욕망을 관리하는 동시에 식민화하는 1960년대 한국사회 근대화 과정의 심리적 결과를 화자의 복잡 미묘한 갈등의 굴곡을 통해 정면으로 포착하고 있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이것은 ‘서울에서 산다는 것’에 대한 김승옥식 임상심리 보고의 연장이자 그 사회문화적 구체화라 할 만하다. Seung-ok Kim was selected in 1966 as a “writer of the day” in the poll made by a popular magazine Weekly Korea; his fiction 「Even More Traps」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as a "fiction of today novelist of today" selected by one hundred people. 「Even More Traps」 has been neglected by common readers and literary scholars. However, it is significant as a report of clinical analysis of ‘living or surviving in Seoul’ and comparable to his other works in terms of quality. What draws our attention in the work is that the psychological dynamism of the main character is so vividly described naked: his self-consciousness as a churl from the Cholla Province, a wretched rural area in Korean history; his psychological response to the socio-cultural milieu and mentality of the Korean society at the moment. In this respect, 「Even More Traps」 can be called a hard-boiled testimony of the inner landscapes of a churl who has come to Seoul, undecorated with the writer’s characteristic refined style. The writer carries out a more detailed profound investigation of his own topic of ‘losers’, regarding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of inferiority complex and the criticism of unjust discriminations against the rural.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his attempt to shed light on the sensitive issue-th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s of those who are from the Cholla Province, for it has been neglected in literature in spite of its social connotation. More fundamentally, it is important that 「Even More Traps」 faces the psychological outcomes of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in 1960’s by the means of the dramatization of sophisticated inner conflicts of the narrator; it is a detailed version of the writer’s signature analysis of society from a clinical perspective.

      • KCI등재

        김승옥 소설의 60년대적 특징에 대한 고찰

        유홍주 ( Hong Ju Yu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1

        김승옥은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60년대 작가`라고 불린다. 작가 스스로도 그 용어를 기꺼이 수용한다. 이러한 합의는 김승옥의 소설이 60년대의 특징을 담지하고 있다고 파악할 수 있는 충분한 이유가 된다. 그러한 이유로 본고는 김승옥의 소설이 60년대 정서를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 해냈는지를 밝히려는 시도에서 출발한다. 김승옥 소설의 60년대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소설의 내적 특징과 주체의 특징을 항목으로 하여 고찰하였다. 소설의 내적 특징으로는 전쟁체험의 내면화, 고통스런 자기세계의 형성, 도시와 고향에서의 소외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찾아보았다.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특징으로는 경계에 선 주체와 성찰적 주체를 소항목으로 하여, 김승옥식의 60년대 주체들의 특징을 살폈다. 60년대의 다른 작가들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여 김승옥 소설의 특징을 비교, 검토하는 기회를 기대해본다. Kim Seong-og is called as a 1960`s novelist by literary researchers. Even the writer himself recognized it. This means Kim Seong-og`s novels express 1960`s characteristics. So, this paper starts from the try to define how the Kim Seong-og`s novels express 1960`s sentiment. This paper contemplates intrinsic characteristics and subjects characteristics as Kim SeongOk novels`s characteristics. As to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suggested three clauses. Those are internalization of civil war experience, formation of his own world and alienation from city and hometown. Among those three clauses, internalization of civil war experience has a main role to solve absence of father, which often showed up to Kim Seong-go`s novels, and obsession to form of his own world. As to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suggested two clauses. Those are the subjects who are standing on the boundary and the introspective subjects. Kim Seong-og`s subjects show up as boundary subjects, who can not settle down to city and hometown either. This characteristics has a relation to introspective subjects.

      • KCI등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수치심에 관한 시론

        유예원 이화어문학회 2018 이화어문논집 Vol.45 No.-

        60년대 김승옥의 소설 주인공들은 이전인 50년대와 이후 70년대 세대가 각각 역사와 현실의 문제와 맞선 것과 비교했을 때, 내면의 현실과 맞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인지주의에 따르면 감정은 의식과도 밀접한 연관을 지니므로 60년대 문학의 특성인 ‘의식의 주체화’는 곧 감정의 문제를 통해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김승옥의 소설에서는 근대의 폭력적 지배질서로 인해 감정이 교란되는 상황들이 나타난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점은 개인의 내면과 감수성이 발현되면서 폭력적 지배질서에 대한 인식 역시 강화되었다는 것이며 수치심은 그 감정적 증거가 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 행동을 문제 삼는 죄책감과 달리 수치심은 전체 자기를 문제 삼다는 점에서 소설에서의 근대 주체의 구성 방식을 살펴보도록 하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김승옥의 소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가난하고 허약한 신체를 지닌 남성 인물들은 사회적 수치심과 신체적인 것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또한 김승옥 소설에서는 도시에서 고향을 거부하고 새로운 삶을 시도하지만 적응하지 못한 채 귀향과 탈향의 움직임을 반복하기 때문에 수치심을 느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남성 인물들은 서서히 근대주체로 편입하고, 그 과정에서 그들은 근대적 주체로 적응하지 못했을 때의 ‘부적응자의 수치심’과 근대의 속악함을 알 때의 ‘편입자의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이는 곧 ‘자아의 반성적 행위’와 ‘사회 구성원의 교화’라는 수치심 자체의 이중적 역할에 대응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민은 도덕과 유사한 감정으로 생각되지만 김승옥 소설에서 연민은 오히려 좌절됨으로써 그 한계를 드러낸다. 이는 김승옥 소설에서 수치심은 연민과 이어지는 감정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연민의 좌절이라는 맥락에서 나오는 감정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민은 자기연민에 국한되지 않는 경우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며 오히려 사태를 더 악화시키기도 한다. 반면 수치심은 근대적 주체로서 ‘약한 주체’가 담지하는 윤리적 가능성을 확인시킨다. 이는 연민이 지닌 윤리적 가능성을 재고하도록 만들며 김승옥 소설이 지닌 현재적 가능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한다. Unlike the previous generations of the 1950s and later generations of the 1970s, the main characters of Kim Seung-ok’s novels in the 1960s were confronted by inner realities, rather than historical or external realities. According to cognitivism, where emotions are seen as closely linked to consciousness, the nature of 1960s literature can be best understood through the ‘subjectivization of consciousness.’ Kim Seung-ok’s novels reveal situations where emotions are disturbed due to the violent order of modern tim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inner and emotional aspects of individuals have also strengthened their awareness of the violent order of governance, and shame can serve as emotional evidence of this. Also, unlike the guilt of taking issue with a specific action, shame provides a clue to how modern principals are organized in the novel in terms of taking issue with the whole self. The male characters with frail and impoverished bodies that often appear in Kim Seung-ok’s novels show a link between social shame and the physical. Also, Kim Seung-ok's novel is ashamed because it rejects his hometown and attempts to live a new life but repeats the movements of his return and direction without adapting. As a result, these male characters slowly incorporate themselves into the modern self, and in the process, they see the shame of the unfit and the evil of the modern. This responds to the double role of ‘self-reflecting behavior of self’ and ‘rehabilitating of members of society.’ While compassion is generally thought to be moral, in the novel, it reveals its limitations by being frustrated. This shows the possibility that shame is not a sense of pity in the novel, but rather a sense of pity in the context of the frustration of compassion. Compassion does not work positively, even if it is not limited to self-pity, but rather makes things worse. On the other hand, shame confirms the ethical potential of the ‘weak subject’ as a modern subject. This brings compassion back to its ethical possibilities and brings it back to its current possibilities.

      • KCI등재

        김승옥의 문학과 4.19 세대의 존재론 - 4.19 세대의 세대와 역사인식을 중심으로

        김선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0

        This paper discusses the discussion on generation and historic recognition by ‘4.19’ gener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4.19’ generation from the characters in Kim Seung-ok’s work. In the main characters in his works, It is indicated that the existential sensitiveness(guilty, futility, etc.) what is called as ‘a sensitiveness in 1960s’ is surfaced into the sensitiveness in the same generation. A unique sensitive structure of these characters in his works has significant discrepancy from the implication on the discussion on generation or historical recognition discussed through various medias after the ‘4.19’ revolution. The unique sensitive structure by Kim Seung-ok, what is called ‘the sensitiveness in 1960s’ is rooted from the suppression on the ego given from discussion on the generation and the symbolic order. The subjects designated as the main characters of the ‘4.19 revolution’ could not recognize selfness as a student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nor a son of his father wandering in the sensitive structure emerged from marginal contradictoriness. Existential sensitiveness from the same generation is excavated into the ‘self-world’ in the practice in a literature. ‘Self-world’ is reappeared into fantastic space where he can meet the ego and other character which become ghost freed from symbolic order and structure. It is the world in imaginary space that he can finally meet away from the standards in the symbolic world(<Seoul, the winter in 1964>, <Night walks>, <Geon>, <Jaeryongi>). 본고는 김승옥의 1960년대 작품들을 4.19 혁명 이후 화두로 떠오르고 있었던 세대와 역사인식담론과의 관련성에 주목하고자 했다. 4.19세대의 역사적‧정치적 경험의 관계가 심도 있게 논의될 때, 김승옥 문학의 주체들과 ‘60년대 감수성’이 가지는 미학적 의미와 문학사적 의의를 개진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소위 ‘60년대 감수성’으로 명명된 김승옥 문학 속 주체들은 자신들을 세대 주체의 자리로 호명했던 60년대의 4.19혁명과 5.16 군사 쿠데타의 정치적 경험이 무의식적으로 내면에 구성되어 있다. 당대의 정치적 혼란은 혁명의 주체로서 대학생 주체에 주목한 ‘새 세대’ 담론을 구성하여 그들을 끊임없이 호명하였다. 김승옥이 지닌 세대인식의 경우, 사회에서 세대주체로 호명된 대학생의 자리에 서있는 동시에, 전후세대인 아버지와 사회가 부여하는 각각의 상징적 질서의 억압이 부여한 다중구조 속에 놓여있었다. 주체는 혁명도, 규범의 자리에도 안착하지 못한 채 방황한다. 자아에 대한 억압을 김승옥은 주체가 느끼는 존재의 잉여적 모순의 감정, 즉 실존적 감수성으로 재현하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김승옥은 자아에 대한 마조히즘적 태도를 상상력을 통해 넘어서고자 했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문학적 실천양상으로 김승옥이 지닌 ‘사적역사’의 인식적 방법론과 ‘자기세계’의 상상력에 대해 고찰하였다. 1960년대 김승옥의 작품들이 당시 세대담론과 함께 대두되었던 ‘사적역사’의 담론과 함께 ‘자기세계’의 상상력을 통하여 개별 주체에 대한 존재론을 구현하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김승옥은 1960년대의 정치적 현실과 전후세대라는 상징질서가 가하는 억압을 경험하면서, ‘60년대 감수성’이라고 하는 자아에 대한 발견으로 이월하게 되었다. 또한 이때의 자아가 지닌 상상력의 욕망은 상징질서가 부여한 주체에 대한 규범에 있어 단절과 부정을 넘어 재구축하는 것에 주안점이 있으며, 주체적 자율성을 통해 타자와의 새로운 연대를 지향하는 것에 있었다.

      • KCI등재

        시민성 교육을 위한 김승옥 소설 읽기 - 「역사」(1964)․「서울 1964년 겨울」(1965)을 중심으로

        류동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4 국어교육연구 Vol.- No.84

        1960년대 김승옥의 소설은 고립된 개인의 자의식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날 카롭게 그려내고 있다. 김승옥 소설의 개인은 고립된 상태에 있으면서 타인과 만나지 못한다는 점에서 ‘시민’에 도달하지 못하는 존재이다. 이 논문은 김승옥 소설의 개인이 지닌 성격에 주목하여 김승옥의 소설을 시민성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민성 함양을 위한 소설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1960년대의 ‘시민-소시민 논쟁’을 검토하고 이 논쟁이 지닌 시민성 교육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시민-소시민 논쟁’에서 ‘시민성’은 구성적인 개념이었다. 이 논쟁은 1960년대 문학에서 김승옥의 소설을 중심적 위치에 놓았는데 이에 따르면 김승옥의 소설은 고립된 개인을 시민적 한계로 그렸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Ⅲ장과 Ⅳ장에서는 김승옥의 소설 「역사」와 「서울 1964년 겨울」을 시민성 교육의 관점에서 읽고자 하였다. 이 두 작품은 1960년대가 만들어내는 사회적 차이로 인해 겪게 되는 자아의 곤경과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분투를 그리고 있다. 「역사」는 1960년대의 사회․문화적 위계 속에서 수치심과 자기혐오에 빠진 주인공을 설정하여 이 비도덕적 감정으로 인해 시민성을 향한 도정에 실패하는 모습을 그린다. 한편 「서울 1964년 겨울」을 시민적 연대에 실패함으로써 애도를 회피하는 주인공들의 모습을 그린다. 이 글은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역사」와 「서울 1964년 겨울」을 독해함으로써 이 실패의 지점에서 독자가 시민성을 향한 도정을 새롭게 시작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Kim Seung-ok’s novels from the 1960s sharply depic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through the self-consciousness of isolated individuals. The individual in Kim Seung-ok’s novel can be said to be a being with a desire to become a ‘citizen’ in that he or she seeks to escape isolation. This paper examines Kim Seung-ok’s novel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rmation of citizenship by focus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 of Kim Seung-ok’s novels, and based on this, proposes the direction of novel education to foster citizenship. As pluralism is strengthened, discussions on citizenship are also changing their emphasis. In a pluralistic situation, the role of a citizen is defined as organizing plurality, that is, differences, and when applied to education,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defined as cultivating the internal capacity to deal with difference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ad Kim Seung-ok’s novels 「The Strong Man」 and 「Seoul Winter, 1964」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These two works depict the ego’s predicament caused by the social differences created in the 1960s and the struggle to resolve it. This paper reads 「The Strong Man」 as imagining a pluralistic order beyond shame, and 「Seoul Winter 1964」 as showing an attempt to realize mourning beyond hatred. This reading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novel education to foster citizenship.

      • KCI등재

        60년대 한국소설과 허무주의, 무거운 우울의 가능성: 김승옥과 니체의 허무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성진 ( Park Sung-ji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4 No.-

        본 논문의 목적은 60년대 한국사회의 허무주의의 양상을 김승옥의 단편을 통해 점검하고 니체의 적극적 허무주의의 개념을 통해 허무주의의 극복 가능성을 살피는 것이다. 본 논문은 60년대를 주제로 하는 김승옥의 소설이 단순한 염세주의자의 독백이 아닌 허무주의의 완성을 통해 허무주의를 극복하려는 시도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김승옥의 단편은 50년대 소설과 달리 허무의 상황과 가치가 무너지는 현장을 정면으로 직시하고 있다. 그리고 김승옥은 자기기만과 자기 합리화로 점철된 인생에서 성장은 환멸의 체험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모든 것의 배후에는 결국 ‘무(無)’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가치가 작동하지 않는 곳에서 새로운 질서나 가치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시 무(無)로 돌아가야 하며 ‘없음’을 완성해야 한다고 말한다. 허무주의의 완성을 통해 허무주의를 극복하고자 하는 김승옥의 시도는 니체가 근대의 가치가 무너진 허무주의의 시대를 극복하고자 하는 사유와 그 맥락을 공유하고 있다. ‘신이 죽었다’는 명제는 플라톤 이래로 내려오는 합리주의의 몰락과 근대적 가치의 종말을 의미한다. 니체는 가치의 몰락을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극적 허무주의’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새로운 가치의 창출을 위해 기존 가치의 완전한 무너짐을 지향했던 니체의 철학은 김승옥이 60년대를 극복하기 위해서 치열하게 분투했던 모습과 유사하다. 그리고 니체와 김승옥의 이러한 시도는 현대라는 또 하나의 허무의 공간을 주유하는 우리들에게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들은 자기세계를 정면으로 직시하고 허무의 완성으로 허무를 극복하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ffer an in depth analysis of the 1960s' nihilism through Kim Seung-ok's novels, and the possibility of coping with nihilism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positive nihilism. The novels of Kim Seung-ok have faced the field opinion where values have been seen to have been collapsed, by the incidence of an individual or humanity’s in general meaningless situation. It is noted that in his books, Kim emphasizes that life is dominated by self-deception and self-rationalization. Thus, the author believes that life for mortals is an experience of disillusion. It means that nothingness is a state of being that is left behind everything as experienced in the individual’s life. Kim's thought is unique and considered similar to Nietzsche's philosophy which is trying to cope with the age of nihilism which is caused by the downfall of modern values. In this context, Kim notes that ‘God is dead’ as a slogan, which means that Plato's rationalism have been failed in the state of humanity, and it is a symbol of the end of the following of modern values in the general society. Nietzsche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positive nihilism is available to anyone who follows it, and which can cope with the idea of negative nihilism. Nietzsche's philosophy which intends to follow a perfect downfall of modern values, is similar with Kim's struggle to overcome the societal beliefs in the1960s in Korean society. Both of them have proposed an alternative measure regarding how we can escape from the space of nothingness or nihility. They have said that we have to face our nihilism and complete it.

      • KCI등재

        김승옥의 각본 작업에 나타난 남성 주체 연구

        김지혜 ( Ji Hye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8

        60년대 후반부터 김승옥은 영화 각본자로서 두각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문학 연구자들은 소설가로서의 김승옥에게만 주목할 뿐 각본자 김승옥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각본 작업 역시 그의 문학적 작업의 연속선상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안개」에서 시작하고 있는 여러 각본들에는 그가 60년대 소설에서 보여준 근대적 주체의 분열과 고뇌가 담겨 있다. 60년대 후반에서 70년대 중반까지의 작품들에서는 한국적 근대화와 산업화를 거치며 고뇌하는 남성 주체를 표상화하고 있으며, 7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개방화된 성 풍조의 변화와 함께 물신화되거나 그에 저항하고 성장하는 여성 주체를 그려내고 있다. 그는 이러한 각본 작업을 통해 당대 대중들과 호흡을 같이 했으며, 이는 그의 후기작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김승옥이 원작 소설을 각색한 「안개」, 「장군의 수염」, 「내일은 진실」, 「어제 내린 비」 등에 나타난 남성 주체를 고찰하였다. 60년대 후반 작품인 「안개」와 「장군의 수염」은 비교적 원작을 충실하게 각색하면서 60년대 김승옥 소설의 주제라 할 수 있는 억압적 근대화와 그에 따른 주체의 분열을 그려내고 있다. 이들은 억압적 근대화와 자본주의적 경사에 대한 회의와 갈등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주체 표상인 것이다. 그러나 「내일은 진실」, 「어제 내린 비」 등, 70년대 이후 작품에서는 상업주의와 강화된 검열이라는 시대적 맥락과 함께 남성 주체의 욕망과 갈등이 ``가족공동체``와 ``사랑``의 문제로 축소되고 있다. 남성 주체는 중산층 가정의 윤리적 질서와 그것을 위협하는 ``욕망하는 여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것이다. 김승옥은 영화법이라는 강력한 권력의 시선을 피하는 동시에 대중적 취향에 부합해 나가면서도 그 갈등과 분열의 지점을 호소하고 있다 할 수 있다. Even though Kim Seong-ok has distinguished himself as a scenario writer since the late 60s, literary researchers have only paid attention to Kim Seong-ok as a novelist but no attention to Kim Seong-ok as a scenario writer. However, the scenarios must also be researched as his continuous literary works. Beginning with <Fog>, various scenarios contain segmentations and anguish on main modern subjects in his novels in the 60s. His works from the late 60s to the late 70s symbolized agonizing male subjects while going through a period of Korean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nd those since the mid-70s unfolded female subjects who were commercialized with a change in sexual tendency or resisted to such and grew. He kept in step with public of the time through such scenario works and this might as well affect his latter works. This research intended to consider male subjects appeared on <Fog>, <General`s Beard>, <Truth is Tomorrow> and <Yesterday`s Rain> that Kim Seong-Ok adapted original novels. Works in the late 60s such as <Fog> and <General`s Beard>, comparatively honestly adopted the original novels, unfolded oppressive modernization which could be seen as the subject of his novels in the 60s and segmentations of the main subjects accordingly. These were a symbol of subjects that directly revealed skepticism and strife on oppressive modernization and capitalist inclination. However, in his works after the 70s such as <Truth is Tomorrow> and <Yesterday`s Rain>, desire and strife of male subjects were minimized to ``family community`` and ``love`` along with period context such as commercialism and strengthened censorship. Male subjects had a conflict between the ethical order of the middle class family and ``women with desire``threatening the order. It could therefore be seen as Kim Seong-ok accorded with public taste simultaneously with avoiding eyes of strong power, namely Film Law but also appealed for a point of strife and segmentations.

      • KCI등재

        김승옥 소설 속 공간에 나타나는 에로티시즘 양상 연구

        모희준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7

        이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60-70년대 작가라 할 수 있는 김승옥의 소설속에 나타나는 공간 속 에로티시즘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는 김승옥의 경우 60년대 후반에서 70년대 후반, 그러니까 전후 얼마쯤의 시간이 흘러 중산층과 부유층이라는 명확한 계층의선이 구분된 시대 속에서 ‘무진’이라는 갇힌 공간, 그리고 근·현대에 이르러 다양한 형태로 해석될 수 있는 ‘호텔’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금기시 된 행위들을 서사의 주제로 삼고 있다. 김승옥의 작품 속에는 다수의 특별한 공간들이 존재하며, 이 공간들은 욕망을 해소하는 공간, 금기시 된행동들이 발생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공간은 크게는 하나의 지역에서, 작게는 호텔의 방까지 다양하게등장한다. 한편 이러한 공간들은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시기, 그리고 전후의 상흔을 덮어버리는 산업화시기의 상징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김승옥의 대표적인 단편 「무진기행」(1964)과 중장편이라 할수 있는 「강변부인」(1977)을 대상텍스트로 삼았다. 13년이라는 시간적 간극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두 텍스트를 선정한 이유는 김승옥의 후기 소설에나타나는 대중문학적 성향과 이에 동반되는 에로티시즘의 징후가 이미 「무진기행」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강변부인」은 과감한 성적 묘사, 능동적인 여성의 모습, 그러면서도 여전히 남아있는 가부장적인 요소들이 담겨 있는 전형적인 대중소설이라 할 수있다. 그러면서도 에로티시즘과 포르노그라피의 경계에 머물러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김승옥의 이러한 후기 작품들은 전후 60-70년대 한국 대중문학, 그 중에서도 에로티시즘을 연구함에 있어 중요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pects of spatial eroticism in the novels of Kim Seung-ok, a representative Korean writer of the 60s and 70s. In the case of Kim Seung-ok,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narrative is a series of taboo acts that occur in a confined space called 'Moojin' and in a space called 'hotel', which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in the late 60s and 70s, when there was a clear class division between the middle class and the wealthy. In Kim's work, there are a number of special spaces, and these spaces are also spaces where desires are resolved and taboo behaviors occur. These spaces range from a local neighborhood to a hotel room. On the other hand, these spaces are also symbols of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modernity to modernity, and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that covers up the post-war scars. This study focuses on Kim Seung-ok's representative short story "Moojin Travel" (1964) and his middle-length film "Riverside Wife" (1977) as texts. Despite the 13-year time gap between the two texts, the reason for selecting them is that signs of popular literature and accompanying eroticism in Kim Seung-ok's later novels can already be seen in "Moojin Travel". "The Riverside Lady" is a typical popular novel with bold sexual descriptions, active female characters, and patriarchal elements that still remain. However, it is also a work that remains on the borderline between eroticism and pornography. These later works of Kim Seung-ok are important texts for the study of Korean popular literature in the 60s and 70s, especially ero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