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호계(the semiotic)의 시각적 재현과 무법의 공간

        이문정 한국미술이론학회 2014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17

        The semiotic, one of Julia Kristeva's most important propositions, refers extensively to the pre-Oedipal phase, which signifies the beautiful chaos that cannot be fully described by the discipline of the symbolic. The semiotic released in the symbolic expands the limit of the subject and society, exhibiting the revolutionary power, which provides possibilities of exits, and brings about changes. By de-constructing coercive order, this revolutionary power elicits the lawless ethics where no empowered law exists. Kristeva regards art as atypical passage, through which the semiotic can come to the fore even in the symbolic. In contrast especially to literature that uses language as a medium, visual art can surpass the linguistic limitation because it is positioned as 'the thing going beyond a name even without a name' in the symbolic. Focusing on Jackson Pollock, Hans Haacke, and Robert Wilson, this paper examines the stereoscopic understanding of the semiotic, which Kristeva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emiotic. This paper also conducts analysis on Yayoi Kusama's work, which successfully achieves the representation of the semiotic. Art resuscitates the signification of creation and negation, diverging from identity by endlessly de- constructing history, concepts, ideologies, philosophy, and aesthetics, inherited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semiotic. Art has the power to subvert the symbolic value system and create a new equilibrium and harmony, thereby conducive to a socio-political revolution. Therefore, art can create a lawless space, which retains a dynamic potential to exclude socio-cultural contrivance.

      • KCI등재

        ‘사회문화적 가치’에 대한 창조적 기호계(semiosphere)와 의사소통을 위한 의미 표현 교육 - 광고스토리를 중심으로 -

        임지원(Ji-Won L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창의적인 광고스토리에 내재된‘사회문화적 가치’의 흐름을 바르트의 기호론과 창조적 기호계에 기대어 고찰한 후 수용자의 인지적 사고를 통해 재현화 작업의 가능성을 제안한 논의라 할 수 있다. 올바른 사회문화적 의사소통의 상호작용성은 단지 설득과 효과를 위한 전략으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시작으로 가장 창조적이고 미적이며 함축적인 광고스토리의‘기호 생산’과 ‘인지 해석’의 장을 경험하는 것이 구체적인 문화적 가치 실현이라 생각했다. 필자가 본고의 대상도구로써 광고에 주목하는 이유는 누구나 짧은 시간 내에 가장 함축적인 기호에 주목함으로써 의미의 생산성, 의미의 공유성 그리고 사회적 소통화 작업이 바탕이 되는 사회문화적 가치에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시대의 흐름과 함께 사회문화적인 구성원의 화합과 미래문제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소통의 도구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인지적 사고 단계의 의미 분석과 더불어 실시된 사회문화적인 광고스토리의 실제는 대학생을 위한 창의적 수업에서 적용하기에 매우 적절하다. 본고는 복잡한 다매체 시대에서 창조성을 기반으로 한‘기호 복합체’인 광고스토리의 인지적 의미 실현 작업이 대학생의 미래문제해결 전략에 동참할 수 있는 시대적인 소통도구가 될 것으로 제안한 논의이다 The present study is a discussion in which the flow of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herent in the creative advertising story is considered against Bart"s symbolism and the creative symbol system, and attempted to reproduce the work through the cognitive thinking of the inmates. The interaction of correct social and cultural communication is not just a strategy for persuasion and effectiveness. Starting with these issues, I thought that experiencing the "symbolic production" and "cognition interpretation" of the most creative, aesthetic and implicit advertising stories was the realization of concrete cultural values. The reason why I pay attention to advertising as a target tool of the original school is that it gives anyone access to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based on the productivity of meaning, the sharing of meaning and social small-call work by paying attention to the most implicit symbols in a short period of time. I also think that with the trend of the times, it is well worth it as a tool of positive communication for social and cultural member harmony and solving future problems. The reality of social and cultural advertising storie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the analysis of meaning at the cognitive thought level is very appropriate to apply in creative classes for college students. The Dong-A Ilbo is a discussion that suggested that the work of realizing the cognitive meaning of advertising stories, a "symbol complex" based on creativity in a complex, multi-media era, will become an age-old communication tool to join university students" strategies for solving future problems

      • KCI등재

        광고 담화 속 기호계(semiotic system) 코드를 활용한 서사도식 해석과 인지 환경 기반의 의미 추적 모델의 연계성 – 학제 간 글쓰기 교육을 위해

        임지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is study is a discussion that proposes a new media-utilized teaching method that links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cognitive meaning of the receptor by applying the narrative diagram related to interpreting the code of the signifier in order to interpret the correct meaning of the highly persuasive advertising discourse. First, the four-step process of Michel Tardy's ''Greimas Epic Diagram''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symbol code of each step were organized. 1 tried to raise a question about what caused an interesting motivation in the ad. The second stage explored the analysis tools of the symbol system, and the third phase focused on the analysis of cultural symbols that establish media discourse. In the final stage of the fourth phase, the analysis of the exact meaning of the ad-talking inmates is reevaluated. In addition, the narrative schematic was presented based on the cognitive environment. Three of them, the "execution" step, are cultural cognitive codes that can affect the acceptor's creativity and criticality. This code was a social and cultural value, and the meaning structure, symbol composition, and investigation expression of the advertisement story were essential. To solve this problem, three analytical processes and named them 'Step 3 of Cognitive Environment-based Meaning Tracking' were set up. A verbal nonverbal reasoning operation attempted to select a shared core, grasp the intent of advertising story by cognitive schema, and gain a comprehensive grasp of topics and stories. Advertisers who have undergone the above four epic stages and three cognitive environment-based processes were derived as actual results in comparing social and cultural values of their lives, expressing their reflective lives and educating creative writing expressions that can solve future problems. The future researchers interested in this topic can further conduct quantitative discussions as a follow-up task. 본 연구는 설득성이 강한 광고담화의 올바른 의미 해석을 위해 기호계의 코드 해석과 서사 도식을 접목시켜 수용자의 인지적 의미 해석 과정을 연계하는 새로운 미디어 활용 교육방법을 제안하는 논의이다. 필자는 우선적으로 선행연구인 Michel Tardy의 Greimas 서사 도식 4단계 과정과 단계별 사회문화적 기호 코드를 정리하여 도식화하였다. 1단계에서 광고 속 흥미로운 동기를 유발하는 내용에 대한 문제제기를 시도하였다. 2단계는 기호계의 분석 도구를 탐색하고, 3단계는 미디어 담화를 구축하는 문화기호 분석에 집중하였다. 마지막 4단계에선 광고담화 수용자의 정확한 의미 분석을 재평가하는 단계이다. 더불어 인지 환경을 기반으로 서사 도식을 제시하였다. 이 인지적 도식에서 보여 지는 ‘실행’ 환경은 수용자의 창조성과 비판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화적 인지 코드이다. 이 코드는 사회문화적 가치로서 광고스토리의 의미구조, 기호구성, 수사표현 등이 필수적으로 작용하였다. 필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 해석 과정을 설정하고 수용자의 ‘인지환경 기반의 의미 추적 3단계’로 명명하였다. 공유 핵심어의 선정, 인지적 스키마에 의한 광고스토리 의도 파악, 주제 및 스토리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언어적 비언어적 추론 작업을 말한다. 위의 4가지 서사도식 단계와 3가지 인지환경 기반의 과정을 거친 광고수용자는 자신의 삶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 비교 및 자신의 성찰적인 삶에 대한 표현과 더불어 복잡한 문제를 풀어낼 창조적인 글쓰기의 역량 기반 교육으로 실제 결과물로 도출되었다. 더 나아가 양적 논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필자의 후속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KCI등재

        Dialectics of Motherhood-based Existence

        Yun, Jeong-Mi(윤정미),Lee, Soo-Kyung(이수경)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5

        『샬롯의 거미줄』은 주요 등장인물들이 모성성을 바탕으로 한 관계 맺기를 통해 서로를 성장시키면서 새로운 생명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이야기이다. 또한 삶과 죽음의 교차는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의 법칙을 직접적이면서도 상징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의 분석을 위해 크리스테바의 기호계, 상징계, 코라의 개념을 차용하였다. 크리스테바는 기호계와 상징계의 변증법적 관계와 언어의 의미화 과정에 있는 주체의 사회적 상황과 관계들에 주목했다. 이에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특성을 상징적으로 크리스테바의 주요개념들과 연관시켜 이들이 어떻게 성장해 갔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주요 등장인물들의 관계의 바탕에 있는 모성성은 여성주의적인 관점에서 모든 생명에 대한 보호와 배려, 관심 등을 통해 상호 발전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 혹은 인간으로서 갖추어야할 미덕이라는 넓은 범위로 상정하였다. 『샬롯의 거미줄』은 이러한 모성성을 바탕으로 하여 각각의 존재들이 가진 기호적 특성과 상징적 특성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발전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풍부한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세상은 서로 대립적인 요소로서 배타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요소들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러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얼마나 아름답고 조화로운 세계가 만들어지는지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주요 등장인물의 특성을 한 인간의 내면에 있는 두 가지 양상으로 간주하여 작품 전체적으로는 인간의 성장과정으로도 이해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In Charlotte’s Web, each character motivates the other and strives for the new generation based upon motherhood. The intersection between life and death is directly and symbolically addressed as a component of the natural life cycle. Borrowing Kristeva’s theory of the semiotic, the symbolic and the chor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alectical oscillation between the semiotic and the symbolic and the social circumstances of subjects in signification as well as highlights the features of character growth. From a feminist perspective, herein, motherhood is translated not only as a robust foundation for relations among characters but also as an impetus for developing into a good and influential individual who embraces all organisms with care and consideration. Charlotte’s Web clearly shows how the semiotic and symbolic elements of each being, united by motherhood, interact and lead to positive change. Though the world appears to consist of incompatible ingredients, they are combined. Charlotte’s Web awakens the fact that their harmony makes a commitment to building a more wonderful place. It can be suggested that Charlotte’s Web, where animal characters contain two tendencies of the human mind, exhibits human development proceedings.

      • KCI등재

        광고스토리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복합 의미 해석을 위한 수용자의 인지적 추적 모델 – 미디어 교육을 위한 기호코드 해석과 더불어

        임지원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1 No.-

        This text is part of a cognitive semantic study discussed for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socio-cultural values and complex meanings contained in a compelling advertising story. A step 4 process of Greimas's narrative schematic diagram by Michel Tady and a step-by-step analysis process by code interpretation by the semiotics were presented, preceded by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of all, I organized the four-step process of Michel Tardy's "Greimas Epic Diagram" and the social and cultural symbol code of each step. Step 1 tried to raise a question about what caused an interesting motivation in the ad. The second stage explored the analysis tools of the symbol system, and the third phase focused on the analysis of cultural symbols that establish media discourse. In the final stage of the fourth phase, the analysis of the exact meaning of the ad-talking inmates is reevaluated. In addition, the narrative schematic was presented based on the cognitive environment. Three of them, the "execution" step, are cultural cognitive codes that can affect the acceptor's creativity and criticality. This code was a social and cultural value, and the meaning structure, symbol composition, and investigation expression of the advertisement story were essential. To solve this problem, I have set up three analytical processes and named them 'Step 3 of Cognitive Environment-based Meaning Tracking.' A verbal nonverbal reasoning operation attempted to select a shared core, grasp the intent of advertising story by cognitive schemas, and gain a comprehensive grasp of topics and stories. Advertisers who have undergone the above four epic stages and three cognitive environment-based processes were derived as actual results in comparing social and cultural values of their lives, expressing their reflective lives and educating creative writing expressions that can solve future problems. Furthermore, the need for research on quantitative discussions is to be left as a follow-up task to the writer. 본고는 설득적 광고스토리에 담긴 사회문화적 가치 및 복합적 의미의 올바른 해석을 위해 논의된 인지적 의미해석 연구의 일부라 할 수 있다. 연구의 성과를 위해 선행된 서사 도식 4단계 과정과 기호계의 코드 해석에 의한 단계별 해석 과정을 제시하였다. 1단계에서 광고 속 흥미로운 동기를 유발하는 내용에 대한 문제제기를 시도하였다. 2단계는 기호계의 분석 도구를 탐색하고, 3단계는 미디어 담화를 구축하는 문화기호 분석에 집중하였다. 마지막 4단계에선 광고담화 수용자의 정확한 의미 분석을 재평가하는 단계이다. 더불어 인지 환경을 기반으로 서사 도식을 제시하였다. 그 중 3단계 해당하는 ‘실행’의 단계는 수용자의 창조성과 비판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화적 인지 코드이다. 이 코드는 사회문화적 가치로서 광고스토리의 의미구조, 기호구성, 수사표현 등이 필수적으로 작용하였다. 필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 해석 과정을 정하고 수용자의 ‘인지환경 기반의 의미 추적 3단계’로 명명하였다. 공유 핵심어의 선정, 인지적 스키마에 의한 광고스토리 의도 파악, 주제 및 스토리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언어적 비언어적 추론 작업을 말한다. 위의 4가지 서사도식 단계와 3가지 인지환경 기반의 과정을 거친 광고수용자는 자신의 삶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 비교 및 자신의 성찰적인 삶에 대한 표현 그리고 미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조적인 글쓰기 표현 교육에서의 실제 결과물로 도출되었다. 더 나아가 양적 논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필자의 후속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적 상상력의 기저 구조 및 유형 이해의 시 감상 교육 적용

        박신영 ( Park Sin-young ) 청람어문교육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2

        본고는 인류의 상징체계로서의 문화가 갖고 있는 근원적 성격과 구조에 기초하여 문화적 상상력의 기본 원리를 도출하고 이를 시 감상 교육에 적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먼저 문화적 상상력의 근원적 특성으로서 생태학적 세계관과 상통하는 `상모성(相貌性)`과 뒤랑의 지배몸짓에 근거한 `원형몸짓`을 기반으로 기저 구조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로트만의 기호계와 뒤랑의 원형, 캇시러의 상징계를 바탕으로 문화적 상상력의 근원으로 `원형적 상징 기호계`를 제안 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상상력의 유형으로서 자아와 타자의 변증법, 정방향성과 역방향성, 불균등성과 혼종성, 천성과 문화의 상호 침투, 구심력과 원심력 등에 대한 이해를 시 감상 교육에 적용해 보았다. 이 연구를 계기로 하여 문화적 상상력에 대한 연구 영역이 확대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시 교육의 방법적 지식 개발의 노력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basic principles of cultural imagin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character and structure of the culture as a symbol system of mankind, First, we tri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work by deriving the basic principles based on the `Sangmoseong` and the `prototypical gesture` based on the dominant gesture of Durang, which is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cultural imagination. Next, based on the symbolic system of Rothman `s prototypicality, the prototypical form of Durand, and the symbol of Kassirer, we proposed` prototypical symbol system `as a source of cultural imagination. Finally, I applied the understanding of the type of cultural imagination to the poety appreciation education. Types of cultural imagination include dialectics of self and others, forward and reverse, inhomogenety and hybredity, interpenetration of nature and culture, centripetal force and centrigugal force. If this study is expanded, the research area of cultural imagination will be enlarged, and efforts to develop methodical knowledge of poetry education based on it will become active.

      • KCI등재후보

        〈자린고비 설화〉의 독해 방식과 ‘과장담(誇張譚)’의 문화

        류정월(Ryu Jeongwol)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1

        본고에서는 인색한 인물의 이야기 가운데 대표적인 ‘자린고비’ 설화를, 그 담화 유형과의 관계 속에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자린고비 설화가 웃음을 야기하거나, 교훈을 생성한다고 생각할 때, 독자들은 텍스트의 어떤 규약을 활성화시키고 있는지 알아보아야 하고, 그러한 활성화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를 순차적으로 질문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자린고비 설화를 포함하는 인색한 인물 설화의 의미 세계를 몇 가지로 분류할 것이다. 이는 독자들이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텍스트 내적 규약의 가능성을 세분화하여 설화의 특수성을 드러내기 위해서이다. 본고는 각 의미 층위들의 관계에 천착할 것인데, 담화 유형은 의미 층위들의 상호 관계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작업 과정에서 자린고비 설화를 향유하는 사회 집단에 대한 가설, 특히 경제적 측면에 대한 가설을 추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고는 자린고비 설화 판본들의 세부적 차이보다는 그것들의 공통점에 의존하면서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인색한 인물 설화에서는 도덕적 약호와 인식적 약호가 주도적으로 작동하기도 하지만, 웃음을 야기하는 자린고비 설화에서 주도적으로 작동하는 것은 인색함을 강조하는 특성적 약호이다. 특성적 약호를 구성하는 세부적 텍스트 요소는 아낌의 대상과 아낌의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도덕적 차원의 독해를 하는가, 인식적 차원의 독해를 하는가에 따라서 아낌의 대상이 강조될 수 있고, 아낌의 방법이 강조될 수 있다. 두 독해 모두 텍스트를 참조해서 계열체를 ‘확충’해야 한다. 도덕적 차원이나 인식적 차원의 활성화는 현실의 삶에 텍스트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기호를 적극적으로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특성적 차원의 독해보다 유표화된 독해가 될 가능성이 크다. 도덕적 차원과 인식론적 차원 사이에도 일종의 불균형이 발견된다. 도덕적 차원의 독해가 아낌의 대상의 계열체를 쉽게 확충할 수 있는 반면, 인식론적 독해는 아낌의 방식의 계열체를 쉽게 확대할 수 없다는 점 때문이다. 이러한 불균형은 자린고비 텍스트가 생성되는 기호계semiosphesre에서 부와 관련된 다양한 담론의 양적ㆍ질적 차이를 생산한다. 부자가 이미 많이 존재하며, 그에 대한 도덕적 판단의 잣대도 충분히 마련되어 있지만 어떻게 부자가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알기 어려운 상황, 즉 부자의 존재, 평가, 그리고 기술(技術) 사이의 불균형이 자린고비 설화를 생성한 기반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담론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부족한 지점, 혹은 담론의 접근 가능성이 차단된 지점이 설화 내에서 과장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부에 관한 과학적ㆍ합리적 담론이 확장될수록 자린고비 설화와 같은, 부에 관한 과장담은 축소될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The paper studies stories about Korean scrooge, Zaringobi in a relationship with their discourse type. For this, I classify three codes; figural, cognitional, and moral codes accoriding to Wayne Booth. These codes are used to tell the discourse type of common miser’s stories from Zaringobi tales. Cognitional or moral code is important in miser’s stories whereas figural code is important in Zaringobi tales. This code is relevant to laughter. The figural code is made up of two textual elements, one is “the objects of savings”, and the other is “the ways of savings”. It means that when the readers of Zaringobi tales realize figural code, they are tend to concentrate on the elements. Even if the figural code is most important in Zaringobi tales, other codes are still realized. The moral code has some relationship to the objects of savings, which are practical matters in the text. But the cognitional code is relevant to the ways of savings which are unreal ideas. When the readers of this stories realize the text cognitionally, they are tend to have some difficulty in expanding the paradigmatics. There is imbalance between moral reading and cognitional reading. This paper searches for the reason in relevant to the culture of tall tales.

      • KCI등재후보

        로뜨만 기호계의 분석적 수용

        유재천 ( Ю Зэчон ),어건주 ( О Кончжу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07 世界文學比較硏究 Vol.19 No.-

        Данная работа посвящена исследованию семиосферы Ю.М.Лотмана и её применению к анализу корей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Семиосфера, представленная Ю.М.Лотманом, является большим абстрактным пространством, где существуют все семиотические и 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е системы, включая текст, и механизмом, руководяшим и интегрируюшим их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Вместе в этим семиосфера представляет союой пространство для жизни, где такое огр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как человек, текст, культура, создается, развивается и исчезает. Концепция о семиосфере составляет основную часть семиотики и станет новым инструментом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семантического вопроса современной семиотики. Значение определяется сочетанием внутренних факторов текста, взаимосвязью со системой, или соотношением с культурой, и производится, передается и принимается через 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й механизм в комплексе семиотической жизни человека, т.е. семиосфере. Другими словами, семиосфера, пространство комплексной семиотической жизни для человека, текста и культуры, является не только семантическим пространством, где определенное значение производится, передается и принимается через их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но и механизмом семантических взаимодействий. Концепция Ю.М.Лотмана о семиосфере считается как простран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нового творческого значения и твор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всех внешних воздействий, в том числе кибернетики, семиотики Бахтина и т.д., которые со средины 70-ых годов семиотика Ю.М.Лотмана включала в себе. Нам представляется, семиосфера - это результаты постоян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проведенного Ю.М.Лотманом для правильного толклвания текста и чёткого осознания мира. Можно прийти к следующему заключению: Семиосфера отражает основные концепции культуры и семиоэлементов, которым Ю.М.Лотман по всей жизни уделял постоянное внимание, что позволяет нам вести коммуникацию с текстом и полностью понять текст.

      • KCI등재

        계몽의 예외상태와 여성의 타자성의 사랑

        나병철(Na, Byung-chul)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이 논문에서는 젠더영역에서의 남녀관계의 불균형성을 아감벤의 예외상태라는 개념으로 조명했다. 젠더영역은 일상과 예외의 공모에 의해 남성중심적 폭력과 비식별성의 비극이 ‘이상한 고요함’에 묻히는 곳이다. 근대 초기 계몽의 시대부터 오늘날의 후기자본주의까지 그런 침묵의 불균형성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전경린의 소설을 통해 후기자본주의에서 젠더관계의 예외상태로부터 벗어나려는 시도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전경린의 사막의 달 은 일상에서 비식별성의 비극을 경험하는 여성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 소설에서 여성들은 숨겨진 불행을 윤색하며 살아가거나 남편에 대한 보복적 심리로 맞바람을 피우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여성의 불행은 해소될 수 없다. 반면에 ‘나’(해연)는 근친상관의 관계에 있는 휘승과의 에로스적 사랑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내’가 겪는 여성의 비식별성의 일상이 사막이라면 에로스적인 사랑을 꽃피우려는 여성의 시간은 달이다. 이 소설은 사막의 삶에서 죽음충동을 경험하면서도 자연(달)과 같아지는 순간의 에로스적 소망을 놓지 않는 여주인공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염소를 모는 여자」에서도 여성의 불행한 일상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는 자연을 향한 욕망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보다 적극적으로 거세된 타자들과의 연대를 회생시키며 숲으로 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염소가 거세된 자연이라면 분열증적 청년은 본질을 본 대가로 일상에서 거세된 존재이다. ‘나’(미소)는 거세된 타자들을 품어 안아 출산하면서 그들과의 연대를 회생시킨다. 청년의 박쥐우산을 쥐고 염소와 함께 폭우 속에서 숲으로 가는 결말은, 여성의 심연의 다수 체계성을 작동시켜 자연의 기억을 부활시키는 도약으로 볼 수 있다. 그 순간 ‘나’는 상징계와 기호계를 횡단하며 자연의 기억의 경첩을 움직여 구원의 문을 열려 하고 있다. 이 소설은 후기자본주의에서는 다수 체계성 속에서 거세된 타자들을 품어 안는 여성만이 자연의 기억을 회생시키며 숨은 영혼의 교류를 통해 구원의 좁은 문을 열 수 있음을 암시한다. This paper highlights the imbalance of male-female relationship in the gender area with the state of exception argued by Agamben. The gender area is the place in which the conspiracy between the daily life and exception buries the tragedy of male-centric violence and unidentifiability in the “strange quietness”. It is surprising that there has been little change in the imbalance of quietness, from the era of modern enlightenment to the post-capitalism of today. The current study takes a novel by Jeon Gyeong-rin to investigate how the attempt to escape the state of exception in the gender relationship takes form in postcapitalism. “Moon in the Desert” by Jeon Gyeong-rin depicts women who experience the tragedy of the indiscernible in their daily lives. In the novel, women embellish their hidden unhappiness or have affairs to take revenge on their husbands. In any case, however, their unhappiness is not resolved. In contrast, “I” in the novel (Hae-yeon) does not give up the erotic love with Hwi-seung, with whom she is in an incestuous relationship. If the conventional feminine indiscernible experienced by “I” is like the desert, the time experienced by women looking to bloom the flower of erotic love is like the moon. This novel describes a woman who does not let go of the erotic hopes to be like the nature(the moon). The author expresses a woman’s attempt to escape from an unhappy life by a desire for nature in “Goat-Herding Woman” too. The protagonist of this novel more actively recovers the solidarity with castrated others while heading towards the forest. If the goat represents the castrated nature, the schizophrenic young man is the being that was castrated from the daily life for having seen the essence. “I” in this novel (Mi-so) embraces the castrated others to give birth to them and recover solidarity with them. The ending of the book, in which “I” holds the young man"s bat umbrella to walk towards the forest in the heavy rain, can be interpreted as operating the multi-system of the depth of the feminine mind to resurrect the memory of the nature. At that moment, “I” in the novel crosses between the symbolic and the semiotic to move the hinges of the nature’s memory and open the door to salvation. This novel implies that only the women who can embrace the castrated others in the multi-system can recover nature’s memory to open the narrow door of salvation in the post-capitalism through the sympathy between hidden souls.

      • KCI등재

        영화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에 나타난 동성애 주체성 재현방식

        김명혜(Myoung-Hye Kim),박현아(Hyun-Ah Park)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미디어, 젠더 & 문화 Vol.4 No.-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는 여고라는 공간에서 성장기에 있는 여성들이 성적 주체성을 형성해가는 이야기를 공포를 배경으로 영상화하고 있다. 이 영화는 효신, 시은, 민아라는 세 여주인공을 통해 각기 다른 양상을 띠는 동성애적 주체성을 재현하고 있다. 효신은 가장 적극적인 레즈비언 주체성을 보이는 인물로 알튀세의 이데올로기의 주체의 호명 개념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인물이다. 그 대신 들뢰즈와 가타리의 분열자적 주체성에 대한 이론이 그녀의 주체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시은은 다른 의미에서의 분열적 주체성을 보이는데, 자신의 동성애적 욕망과 이성애적 지배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분열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민아는 새롭게 자신의 동성애적 주체성을 깨달아가는 인물로 등장하는데, 효신과 시은의 교환일기를 통해서 동성애 세계를 접하게 되고 잠재된 자신의 동성애적 욕망을 깨닫게 된다. 세 여주인공의 동성애적 관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은 텔레파시로서, 이는 전(前)오이디푸스 단계에서 보이는 것으로 크리스테바가 기호계라고 부르고 코라라고 명했던 모성적인 공간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이들의 동성애 관계는 이성애 이데올로기가 억압하는 오이디푸스 욕망은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여성간의 유대감을 강조하는 모성적 관계가 중요하게 나타난다. A new style of horror movie <Memento Mori> shows how coming-of-age girls form their lesbian sexuality. The three protagonists in the movie show different aspects of lesbian sexuality formation. Hyoshin, who commits suicide in the movie, shows the most solid lesbian sexuality despite the fact that the dominant ideology constantly interpellates her as heterosexual. She manifests Deleuzian schizophrenic subjectivity by letting her rhizomic desire flow in many directions. On the other hand, Sien, whom Hyoshin falls in love with, shows her fragmented lesbian sexuality. She is torn between her lesbian desire and dominant social heterosexual ideology. Minah who happens to peek at the world of lesbians by reading the secret diary of Hyoshin and Sieun realizes her repressed lesbian desire. All three girls can communicate through telepathy which belongs to the semiotic order which Kristeva might call 'chora'. The movie shows that not all subjects are interpellated by the dominant heterosexual ideology in the society. Rather their subject formation relies more on their self-generating desi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