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승조의 <핵(核)> 연작 - 한국적 모더니즘의 또 다른 가능성

        조수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9 No.-

        Lee Seungjio is well known for his <Nucleus> series — paintings comprised of various cylindrical forms resembling pipes. Throughout his lifetime, Lee devoted himself to these distinctively clear, rational and deliberate abstract pieces. Existing analyses of Lee Seungjio’s paintings often view the pipe-like forms in the <Nucleus> series as symbols of modernization unfolding in Korea at the time, and regard his work as a model example of Korean geometric abstract art. Additionally, some have associated the changes since the 1970s in Lee’s paintings with the conceptual art of group “AG” or Lee’s interest in phenomenology. In other analyses, Seungjio has been touted as one of the founding fathers of monochrome abstract art in Korea. However, in these previous studies, it is difficult to find detailed explanation regarding what exact features of the <Nucleus> series made it different from other geometric abstract art at the time — or what exactly Korean op art even was. Is there really no way of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Lee Seungjio’s art, without referencing his core artistic features to specific organizations or art styles? This paper began from the above question. This paper aims to achieve two things: first, to regard Lee’s paintings as a visual indicator existing within the societal/cultural and political/economic climate of the time; second, to propose a new way to understand not only Lee’s art but also the history of Korean geometrical abstract art since the 1960s. This paper finds that Lee’s <Nucleus> series was born from the intersection of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vant-garde art group “Origin”, and industrial design — leading the paintings to simultaneously embody the contradicting qualities of avant-garde/ academic, and pure/applied arts. Furthermore,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e <Nucleus> series cannot be understood only in the confines of figurative painting, geometric or monochromatic abstract painting. This paper seek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methods in Korean art history,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rooted on nationalism and evolutionist views. As an alternative, this paper employs a new methodological framework to investigate geometric abstract art and Lee Seungjio’s works.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in his styles spanning across the figurative, the abstract, and the hyper-realistic, Lee’s only objective as an artist ultimately lied in the visual issues of paintings. In conclusion, Lee Seungjio’s <Nucleus> series successfully created a complete visual illusion by overcoming the resistance of medium, fulfilling the duty long carried by modernism abstract paintings. From this, we can discover from Lee’s abstract works a new possibility for Korean modernism — one that neither relies on tradition nor spirit. 이승조(李承祚, 1941-1990)는 파이프를 연상시키는 원통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한 회화 〈핵(核, Nucleus)〉 연작으로 널리 알려진 작가이다. 작가는 특유의 명징하고, 이지적이며, 계획적인 성격의 추상회화를 평생 고집스럽게 선보여 작고한 뒤엔 “우리 화단에서는 보기 드물게 엄격한 기하학적 추상의 세계를 추구한 화가”, “논리적인 작업의 전통이나 체험이 빈약한 우리의 현대미술 속에서 더없이 이채로운 존재”라는 찬사를 받았다. 이승조 회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핵〉 연작에 나타나는 파이프 형상을 조국 근대화에 주력하던 한국 사회의 시대적 상징물로 바라보면서, 그의 작업을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새로운 전형을 구축한 것으로 여기거나, 한국 옵아트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간주한다. 또 1970년대 이후 이승조 작품의 변화를 그룹 ‘AG’의 개념미술 및 현상학에의 관심과 연계해 해석하거나, 그를 모노크롬 추상회화의 태동과 형성을 주도한 주요 작가의 반열에 올려놓기도 한다. 그러나 이 연구들에서 정작 이승조의 〈핵〉 연작의 어떤 특징이 당대의 다른 기하학적 추상회화와 구별되는 새로운 전형을 제시했는지, 한국적 옵아트란 과연 어떤 것이었는지에 대한 구체 적이고 상세한 설명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승조의 예술세계 전반을 관통하는 핵심적 특징을 특정 활동 단체나 회화 양식의 성격에 기대지 않고 고찰해 그 미술사적 의의를 찾을 방법은 없는 것일까? 이 같은 의문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이승조의 회화를 당대의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 맥락 속에 자리하는 시각적 지표로 간주하고, 그의 작품뿐 아니라 1960년대 이후 한국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역사 전반에 대한 기존 견해를 교정할 기회를 마련해 보고자 했다. 이로써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회화, 옵아트의 시발점이 된 이승조의 〈핵〉 연작이 《국전》, 재야의 전위 단체 ‘오리진’, 산업디자인의 영역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탄생했음을, 그리하여 태생적으로 전위미술과 아카데미즘 미술, 순수미술과 응용미술의 속성을 모두 지니고 있었음을 밝혔다. 또 이승조의 〈핵〉 연작을 구상, 기하학적 추상, 모노크롬 추상, 그리고 극사실회화의 어느 한 범주에만 국한해 이해할 수 없음도 피력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순혈주의와 진화론에 기반했던 기존 한국 현대미술사의 기술 방식을 극복하고, 기하학적 추상회화와 이승조 회화를 고찰할수 있는 새로운 미술사 방법론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그 결과 구상에서 출발해 추상으로, 그리고 다시 극사실에 도달하기까지, 작가 이승조의 목표는 오로지 회화에 서의 시각적 문제의 추구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승조의 〈핵〉 연작은 미술사에서 모더니즘 추상회화에 주어졌던 과업, 즉 ‘매체의 저항을 압도해 완벽한 시각적 일루 전을 창출하는’ 일을 완수해냈는데, 이로써 우리는 그의 추상회화에서 전통이나 정신에 기대지 않은 한국적 모더니즘의 또 다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이승조의 ‘실재와 비실재’의 추상회화 연구

        최정주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60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world of Lee Seung-jio’s art which is credited as a new epitome of geometric abstract art in the contemporary Korean art scene from the restorationist perspective of aesthetics, thereby reestablishing the status of the artist who dedicated himself to the multidimensional advancement of Korean art. From this point of view his art can be largely defined as “abstract painting embracing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Since the early 1990s Lee Seung-jio (1941-1990) had suggested a new alternative to the uniform development of Korean art with Nucleus, a serialized work reminiscent of pipes with which he created his own distinctive modeling idioms. With this he presented a new abstract painting style through tireless explorations and alterations in the spirit of the times that was sought after by society and art predicated upon visible objects and invisible notions. He led the formation and activities of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such as Origin which claimed to return to the nature of art by escaping from the old conventions of the art community; the Korean Young Artists Association Exhibition and the Korean Avant-Garde Association (referred to as AG) which acted as forums for experimental art; and Ecole de Seoul, Independant, and the Seoul Contemporary Art Exhibition which were the main stages for dansaekhwa or monochrome painting. New stimuli allowed him to delve deeply into avant-garde artistic practices without settling into the conventional aspects of the established art scene as he completed his own distinctive works of art that integrated Western art’s fundamental formative elements with Eastern art’s spiritual depth. So far Lee has been thought of as one of the forerunners of Op art and a progenitor of Korean geometric abstract art but this evaluation has been made in a rather vague, biased sense. Lee clarified his own artistic principles in self-restorationistic logic, seeking the nature of art and making his artistic achievements freestanding in Korean art history. His artistic status has to be reconsidered in respect to how he created a new tradition of geometric abstract painting and broadened the horizon of contemporary Korean abstract art by forming a range of formal logics through a fusion of Eastern and Western art. 본 연구는 한국현대미술의 흐름에서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새로운 전형을 구축한 것으로 평가 되어온 이승조(李承祚, 1941.3.18.-1990.7.27.)의 작품세계를 ‘실재와 비실재의 경계를 아우르는 추상회화’라는 독자적인 미학의 세계로서 규정하고, 이에 대한 심층적인 조망을 통해 한국현 대미술의 다면적 발전에 기여한 작가의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이승조는 1960년대 초기부터 ‘파이프 통’을 연상시키는 독자적인 조형성을 구축한 <핵(核, Nucleus)> 연작을 통해 한국미술계의 획일적 전개 방향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그것을 사회와 예술이 지향하는 시대정신의 흐름 속에서 끊임없는 모색과 변화를 거쳐 가시적 대상과 비가시적 개념을 관통하는 새로운 추상회화를 제시했다고 하겠다. 특히, 그는 기성미술계의 구태로부터 벗어나 예술 본질로의 환원을 주창했던 ≪오리진≫을 비롯하여 실험적 창작 행위의 장이었던 ≪한국청년작가연립전≫,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 와 단색조 미술 현상의 주요 무대였던 ≪에꼴 드 서울≫, ≪앙데팡당≫, ≪서울현대미술제≫ 등에 이르기까지 한국현대미술의 태동과 형성을 이끌었던 대표적인 단체의 결성과 활동을 주도했다. 이러한 활동 속에서 기존미술계의 주류 현상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자극을 통한 전위적 행보에 천착했고, 서양 예술의 조형적 기본 요소와 동양 예술의 정신성의 구현이라는 이원적 예술 원리를 하나의 환원적 질서 속에 융합하여 개성적인 예술세계를 완성해 나갔다. 이승조는 그동안 ‘옵아트 계열의 선구적 작가’,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선구자’ 등으로 평가되 어왔으나 이는 그의 회화 세계 전모에 대한 조망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기보다는 1960년대 말의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조형적 실험기에 집중된 협의의 관점에서 논의되어 온 것이라 하겠다. 또한 그가 단색조 미술 현상의 태동과 형성을 함께 일구어나갔던 주요 작가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서는 집단의 흐름 속에서만 논의되어 왔기에 그의 작품 속에 내재된 동양 고유의 정신성으로의 회귀에 대한 관점과 그 양식적 특이성에 대한 진면목은 간과되어 왔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그러한 대의적 평가 속에서도 동서양의 예술의 원리와 미학을 적극적으로 수용 하고 실험하여 원류적 미술의 특성을 변용한 독자적인 회화양식을 구축하는 한편, 동서양 예술이 추구하는 ‘모든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것의 회화적 구현’을 위해 환원적 예술의 미학을 형성하고 확장해 나간 이승조의 회화세계의 특성을 아울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자신만의 독자적인 조형세계와 추상미학을 형성했던 이승조의 예술세계의 실체를 파악하여 한국현대 추상미술의 지평을 넓혀 나간 점에서 그의 위상을 재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국 논문 : 한국추상미술의 미의식: 내적 실재로서의 자연과 정신

        이주영 ( Joo Young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3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추상미술이 추구했던 실재와 미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추상작가들에게 실재란 외적인 것을 모방하는 데서 드러나는 것이 아니다. 그들에게 실재는 내면을 통해 전유된 객관적 실재이고 작품은 그 실재에 대한 해석이다. 추상은 삶의 현상과 자연과의 외적 유사성을 상실하지만 작가들이 추구한 내적 실재와 닮아있다. 추상미술은 실재에 대한 내적 유사성, 비감각적 유사성 등의 두 가지 범주를 주로 활용하면서 주로 내적 정서와 정신성과의 닮음을 표현해냈다. 서정적 추상의 경향에서는 주관적 정서를 표출하면서 자연과 삶의 근원적 토대, 인간의 내면적 실재를 추구한다. 기하학적 추상의 경향에서는 자연의 구조적 질서, 수적 원리를 구현하며, 이성적?관조적인 미학을 보여준다. 미의식은 정서를 통한 내적 현실의 표출, 구조, 환원, 물성의 극대화, 물질의 변용, 자연의 내재적 조율, 조형 요소의 단순한 반복을 통한 행위의 흔적 등 주로 작가들의 정신적 의도로 나타난다. 작가들에게는 미술을 이루는 조건에 대한 물음이 제기되는 경우가 많으며 삶의 문제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 시각기호를 통해 암시된다. 한국추상미술 전개의 주요 3단계는 자연과 정신의 변증법적 운동으로 나타난다. 첫째는 추상 제1세대 작가들(유영국, 김환기)인데 이는 ``즉자``의 단계에, 두 번째는 50년대 말에서 60년대 전반의 앵포르멜 회화로 ``외화``의 단계에, 세 번째는 70년대의 단색조 회화로서 ``자기회귀``의 단계에 해당한다. 즉자의 단계에서 정신은 자연과의 조화를 잃지 않고 조용히 자기 자신에 머물러 있다. 여기에서의 자연은 공동체적 삶의 토대가 되는 원형(原形)적 고향이다. 이 자연의 세계로부터 길어 올린 ``본질``을 재구성해서 만들어진 작품은 총체적인 완결된 세계를 이루고 있다. 사회적인 것의 불협화음은 아직 이 자율적 세계를 뚫고 들어오지 못한다. 외화의 단계에서 정신은 자연을 떠나 사회로 이행한다. 주·객의 대립이 이루어지는 단계이고 자연의 본성을 이탈한 사회에서 주관이 느끼는 불행한 의식은 과격한 정서, 실존감, 불안감 등으로 표출된다. 자기회귀의 단계에서 정신은 곧 자연임을 깨닫고 다시 자기 자신으로 귀환한다. 여기서 주관과 객관, 자연과 정신, 물질과 정신의 합일이 이루어진다. 추상작가들이 추구했던 정신적 의도, 즉 자연과 삶 속에 내재한 불변의 원리를 찾으려는 태도는 내재성과 초월성의 원환적 이중 운동을 하면서 그 외화의 성과물을 다시 삶으로 끌어들여 삶을 풍부하게 만든다. 그 내재성은 운동과 정지, 생성과 소멸의 반복과정을 거치며 스스로를 개화시키는 일원론적 자연관에 기인한다. 추상작가들은 현상 속에서 본질을, 삶의 원리나 질서를 추출하거나 인간 본성의 본질적 속성을 드러내면서 자연을 내적 실재로 표현했다. 또 그들은 감상자들이 작품을 보며 그들의 내적 실재를 끌어오는 길을 열어주었다. 작품의 의미는 열려져 있기 때문에 그만큼 다양한 내적 실재의 해석가능성이 존재한다. The study aims to look into the reality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korean abstract art has pursued. Abstract artists in Korea consider the reality as not revealed by imitating outer resemblance. They look upon the object reality as possessed through the inside, whereas their works of art are the interpretations of this reality. Abstract art loses the outer resemblance to phenomenons of life and nature but resemble inner realities that artists pursued. Abstract art, using ``the inner resemblance`` and ``the unsensible resemblance``, is focused to expresse strongly the resemblance to the inner emotion and the spirituality. Artists, who are inclined to lyrical abstract, express their subject emotion, pursuing the inner reality of human. On the contrary artists who are tended to geometric abstract realize the structural order of nature and the numerical principl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abstract art appears generally in the form of the spiritual intention. In this case the spiritual intention is expressed in those like the expression of inner reality, structure of nature, reality reduced to the basic element, transformation of materiality, expression for rhythm of life through simple repetition of lines, forms, and colors. By visual signs artists try to allude to their philosophical introspection for life`s problems. The important three phases in development of korean abstract art is characterized by movements between nature and spirit. It`s first phase belongs to the first generation of abstract artists that is represented by Yoo Young-kuk and Kim Whan-ki.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bstract artists have distinctive feature of ``in itself`` in dialectical process. In these phases, the spirit process peacefully in itself without losing harmony in nature. In this process this nature is the prototype that basis of community life roots in. The works of art, made by reorganizing ``the essence`` from nature world, mirror real world and reconstruct a total completed world. The dissonance of social circumstance cannot affect this autonomous world. On the phase of ``for itself``, the spirit moves to the society, leaving the nature. The second phase from the end of 50s to the beginning of 60s is characteristic of ``Informel painting``. It`s feature is represented by ``for itself``. In these processes subject and object a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The subject gets out of the nature in itself, thus subjective conciousness become unhappy in the society, being expressed as extreme emotion, existential conciousness and a feeling of uneasiness. ``Monochrom painting`` in the third phase of korean abstract art is distinct by ``self regression``. In this process, the spirit cognizes itself as nature and returns to itself, where the unity of subject and object, nature and spirit, material and spirit is reached. Abstract artists seek after the fundamental truth in nature and life, and their Intentions performs double circular motions between immanence and transcendence and enriches all our lives, bringing the product created in dialectical processes to life. This immanence comes from the monistic concept of nature, blooming itself through repeated cycle of movements and quiescence, creation and extinction. Abstract artists express the nature as a inner reality, extracting essence in phenomenon, principle and order of life, or revealing the intrinsic attribute of human nature. And Abstract artists also help appreciators to open the way to use their inner reality for understanding watched abstract art works. As their meanings are opened,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for inner reality.

      • KCI등재

        로버트 슬러츠키 회화의 건축적 공간구성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임기택(Lim Ki-Taek)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4

        Suprematism paintings, el Lissitzky's Proun series and Neo-platicism paintings are the modern abstract paintings that is related close to architectural modeling part which is beyond the representational painting. It was enormous effect that Modern paintings and modeling activities has been influenced to architectural part. Their Movement was more bloomed after exodus of artists and architects to eastern America escaping the Nazzi's persecusion of Bauhaus. After education, Robert Slutzky had been deeply influenced by Russian Avangarde and Dutch Neo-platicism. With this influenced tradition, he has extended the possibilities of change and modeling of geometric abstract beyond time and tid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peculate and analyze how Robert Slutzky, as the painter and architecture faculty teacher, has influenced to architectural part in the tradition of Russian Avangarde and frontline of advanced creativity after postmodern period. Considering more detailed part, after 50's that he has educationed,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nspiration with architectural modeling part in the line of continuity of end of 20th century.

      • KCI등재

        이상 시의 추상 회화 기법에 대한 연구

        윤수하(Yoon Su-Ha) 국어국문학회 2009 국어국문학 Vol.- No.151

        With focus on Yi Sang's poet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its relation with art media that occurred in the 1930s and the form used in his works. I view mutual media a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apply on the phase of replacement or transition between Yi Sang's poetry and abstract art. First, I looked into the background of creation of Yee Sang's poetry, and on this basis examined media combination with the abstract art. The multi-mediality of Yi Sang's poetry originate from his double talent. Yi Sang had extensive knowledge in many areas. The recognition of double talent starts from Wagners' theory of composite work of art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is continued in later Bauhaus' general art method. In medium combination with painting, Ekphrasis of abstract art is the material of media replacement. The power of image presents lifelike presence before describing the poetic subject. Yi Sang's poetry show aspects of transfiguration according to each medium.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special quality of abstract art and clarifying the combining aspects.

      • KCI등재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의 추상 아카데미즘

        권영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18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5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ntries and prize-winning art works of the National Exhibition, and determine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brought on by the 30-year history of the exhibition on the formation of Korea’s modern art, and what role it played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s’ perception on enjoyment of art and modern art. A closer look into the entries and award-winning works at the exhibition between 1949 and 1981 reveals that there existed a predominant style of painting of realistic figurative art, which was also called academism, yet on the other hand, a number of half-abstraction and abstract works were forming a clear linage of some sort from the early on. Statistics and studies on the materials of work books of the exhibition have point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abstract style of paintings by non-mainstream artists who challenged a conservative National Exhibition was forming a somewhat similar stream within the exhibition. It seems inappropriate to explain the interior border of the National Exhibition with conflicting ideas such as conservative and avantgarde; mainstream and non-mainstream; and figurative and abstract style. The abstractionism that challenged the realistic style of painting in the National Exhibition was accepted in the exhibition to form academism, and the National Exhibition that accepted the challenge of the unconventional had developed to encompass two different streams at the same time. The post-war Korean National Exhibition, therefore, was not a failed institution, but rather it embraced both conservative academism and avant-garde modernism at the same time, thereby developing an academism peculiar to the reality in Korea. Furthermore, it accorded with the Korean government’s objective to create a nationwide venue for art participated by all artists, as well as responded in an appropriate manner to the needs of the artists who attempt to acquire authority and honor through the National Exhibition, thus fulfilled its 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