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중소기업법인의 업종별 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

        정길채 대한경영정보학회 2010 경영과 정보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지역별, 업종별 특성을 분석하고, 특성화된 중소기업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중소기업 실태, 산업별 중소기업 실태 자료 등을 기초로 업종, 규모 등 다양하게 분포된 중소기업을 업종, 규모, 지역 등을 감안하여 기업특성을 분석하고, 중소기업 존립기반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규모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소기업과 대기업 사이의 경쟁력 격차가 점점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음식숙박업에 종사하는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대기업의 경우에는 제조업과 기타서비스업, 광업 및 숙박음식업 등에서 고용창출 효과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별로 살펴본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서울지역에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대기업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서울지역에의 노동력 편중현상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서울 지역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는 대기업 종사자보다는 중소기업 종사자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중소기업 내에서 지역별 종사자 구성을 살펴보면, 전국 중소기업 종사자의 50% 이상이 서울?경기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집중 현상은 지방경제발전을 통한 우리나라 전국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서울?경기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기업체의 지방 분산이 가능할 수 있는 실천적인 활동 수행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 KCI등재

        국제물류주선기업의 특성과 근로자의 특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이상,김희길,추선애,이동호 대한경영정보학회 2013 경영과 정보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국제물류주선기업의 근로자를 중심으로 이들 기업의 특성(직무 및 조직 특성)과 근로자 개인특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이 이직의도 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물류주선기업의 특성으로 이들 기업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다양성 등에 따른 업무의 전문성, 다양성, 책임성을, 근로자 개인특성으로는 각 개인 이 맡은바 직무에 임하는 퍼스낼리티를 사용하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 치는 변수로 분석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이직의도로 직장을 떠날 가능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들 기업의 특성 중 직무특성은 직무만족에는 정(+)의 영향을 미 치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특성은 직무만족과 조 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개인특성은 조직몰입 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 과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이직의 사전 방지 및 직무특성에 따른 조직몰입도를 높 이기 위해서 다양한 업무와 전문성을 위한 교육의 기회 제공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직무특성에 따른 책임감의 부여와 이에 합당한 승진 등의 기회 제공으로 조직 과의 일체감 및 근로자 개인이 조직 내에서 필요한 존재임을 각인시켜 주는 것이 중 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인적자원의 근무환경을 좀 더 시스템적으로 조성하여 직무만족 과 조직몰입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주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회사와 더불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토록 하여 기업의 인적자원 관리에도 성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략으로 매우 주요한 시사점이 되겠다.

      • KCI등재

        소기업특성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분석을 통한 창업 소기업 활성화 방안 연구

        민경세,길병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2

        소기업은 유연성의 강점과 틈새시장을 지향하며 전통기업·벤처기업 등 다양한 모습으로 경제적 의미와 소임을 하고 있다. 또한, 소기업이 추구하는 성과는 고객, 구성원, 주주, 협력업체, 지역사회 이해관계자 모두가 가치를 나눌 수 있는 일류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소기업을 대상으로 소기업의 특성이 기업가정신 실천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기업 기업가정신 실천정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기업 경영특성은 기업가정신 실천정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기업 경영특성의 관리방법, 의사결정권의 부정적 견해를 반영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소기업 환경특성은 기업가정신 실천정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특성 요인들에 대하여서는 더욱 긍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기업가정신 실천정도를 증진시키는 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기업 경영특성과 환경특성은 기업가정신 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기업 기업가정신 실천정도는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가정신과 기업성과가 직접적인 영향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처한 외부환경의 특성이나 조직 내부의 특성 등이 기업가적 활동을 실행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 선행연구의 연구결과와 대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기업 특성인 경영특성과 환경특성은 기업가정신 실천정도를 매개로 기업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mall businesses complete their economical significance and mission as various forms of traditional or venture companies which are taking the advantage of their flexibility and niche-market orientation. In addition, the goal for small businesses is to grow into the top-notch compan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nature of small businesses in Korea on the practice of the entrepreneurial posture and on the productivity of the business is evaluated objectively. A few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small business was found to affect the practice of the entrepreneurial posture negatively. This result reflects the negative effect of the management skill, decision making of small business. Secondly, small business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e of the entrepreneurial posture. This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s larger than that of managemen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approach with positive view on environmental factors is effective to enhance the practice of the entrepreneurial posture. So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ffected the practice of the entrepreneurial posture. Thirdly, the practice of the entrepreneurial posture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business outcome. Therefore, we can summarise that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mall business affect directly to business output which are depending on the practice of the entrepreneurial posture.

      • KCI등재

        국제물류기업의 특성에 따른 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이상,추선애,이동호 한국세무회계학회 2013 세무회계연구 Vol.0 No.35

        본 연구는 국제물류주선기업의 인적자원 중에서 특히 여성근로자를 중심으로 개인적 특성 및 직무특성에 연계된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이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종업원의 개인적 특성이란 개인의 맡은바 직무에 대하는 태도와 신념으로 하였으며, 국제물류주선기업의 특성으로는 그 업무의 특성상 전문성, 다양성, 책임성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국제물류주선기업의 여성근로자들의 이직의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국제간의 물류서비스의 주체인 국제물류주선기업의 여성인적자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제물류주선업체의 여성근로자를 상대로 개인특성이 물류주선기업의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적특성이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고, 직무특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나타났으며, 조직특성은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으나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이는 이직의도를 염려하는 기업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즉, 전문적인 직무와 다양한 직무가 조직에 몰입하거나 직무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점은 다양한 조직과 시스템적인 부분이 혼합해 있는 국제물류주선기업에서는 종사자들을 관리하는 부분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물류주선기업들은 여성근로자들에게 조직에서의 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만큼 남녀의 차이 및 승진, 직무수행과 평가에 대해 더욱 투명한 경영을 하여 조직몰입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로써 다양하고 복잡한 직무에 충분한 경험을 축적한 전문 여성인력들의 이직을 차단하여 직원 개인 및 기업에게도 전문인력의 이동에 따른 손실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woma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Korea`s Freight forwarder. According to the final result, conclusions are as follows;First,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econdly,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but job satisf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is results, the view point of organizational fair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ogistics forwarders firm have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clear management of discrimination, promotion, job fulfillment and evaluation to woman employees.

      • KCI등재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BSC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성호,홍정화 韓國公認會計士會 201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orporate BSC performanc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we performed literature review which relates to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BSC performance, and also performed empirical research. we produced questionnaire which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corporate BSC performance to experts who are specialized i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31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xperts of social contribution and collected 220 questionnaires. With these collected questionnaires, we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ignificant analysis, and also tes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Furthermore, this paper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to corporate BSC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s influence factors for constituent characteristic, BSC performance elevates as CEO’s will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employees’ concern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get stronger. Second, as influence factors for corporate characteristic,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which coincides with the corporate identity such as firm’s core value and image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BSC performance, and corporate governance such as stockholding ratio of major shareholder and investment ratio of foreign investors do not present significant effect on BSC performance. The result that corporate governance does not effect both corporate repu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also noticeable. Third, as influence factors for characteristic of local society, stages of concerns about local society has effect on BSC performance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a noticeable result which shows opposite result with that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concentrating on local society concerned area does not effect corporate reputation. And this paper found that when the corporate performs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partnership establishment with local society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BSC performance. Fourth, as influence factors for social regulation characteristic, the media’s evaluation abou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has effect both on corporate reputation and BSC performance, and rating agency’s fair announcement abou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lso has effect both on corporate reputation and BSC performance.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방향과 전략을 도출할 목적으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기업구성원특성, 기업특성, 지역사회특성, 사회제도특성이 기업의 BSC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사회공헌활동 및 BSC성과 관련 문헌조사와 함께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각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기업사회공헌 활동의 영향 요인과 BSC 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사회공헌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313부를 배부하여 22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에 대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과 타당성 분석,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어서 가설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기업구성원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최고경영자의 사회공헌활동 의지가 강할수록, 기업 임직원의 사회공헌활동 관심도가 높을수록 BSC 성과는 높아진다. 단, 유의성 측면에서 볼 때, 최고경영자의 의지보다는 기업 임직원의 관심도가 더 유의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기업이 추구하는 핵심가치, 이미지 등 정체성과 부합되는 사회공헌활동은 BSC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으며, 기업의 대주주지분율이나 외국인투자지분율 등 지배구조는 BSC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역사회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도는 BSC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할 때,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 확립 등은 BSC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사회제도특성의 영향요인으로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언론기관 등의 평가는 기업평판과 BSC 성과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공정한 평가기관의 평가는 기업평판 뿐만 아니라 BSC 성과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산업 및 기업특성이 기업소득 환류방식에 미치는 영향

        조상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9 회계정보연구 Vol.37 No.1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industrial and firm characteristics affect the feedback of firm's earnings circulation. I classified the industrial and firm’s characteristics into four parts respectively and investment and dividend into two parts respectively. I use the analysis with multi regression method and use 7,904 firm-year samples from 2000 to 2016 in the Korean market.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mpetitive industry firms more expend capital and R&D investment, but in the growth and profitable industry firms more expend only capital investment respectively. And in the R&D concentrated industry firms more expend capital and R&D investment. Second, in the competitive and growth industry firms more expend only cash dividend while in the R&D concentrated industry and in the profitable industry firms more expend only treasury stock purchase. Third, the leading firms more expend only R&D investment but the growing firms more expend only capital investment. Also, the leading firms more expend cash dividend and treasury stock purchase, but the growing firms more expend only cash dividend and the R&D concentrated firms more expend only treasury stock purchase. These empirical results mean the different industrial or firm characteristics affect on feedback style of firm's earnings circulation differently. It means that for more promotion of firm’s earnings circula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e various industrial and firm’s characteristics. These empirical results can help policy makers the promotion method of firm's earnings circulation. 본 논문은 산업특성과 기업특성이 기업소득의 환류방식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한다. 산업특성과 기업특성을 각각 4가지로 분류하고 기업의 환류방식도 유형자산투자와 연구개발투자 및 현금배당과 자기주식매입으로 세분한다. 기업의 환경에 해당하는 산업의 특성과 개별기업의 특성이 환류방식에 미치는 영향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16년의 유가증권시장 표본 7,904개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쟁산업에서는 유형자산투자와 연구개발투자 모두 적었으나 성장산업과 수익성 높은 산업에서는 유형자산투자가 유의적으로 많았다. 특히, 연구개발투자비중이 높은 산업에서는 연구개발투자 뿐만 아니라 유형자산에 대한 투자도 많았다. 둘째, 경쟁산업과 성장산업에서는 현금배당이 많은 반면, 연구개발투자비중이 높은 산업과 수익성 높은 산업에서는 자기주식매입이 많았다. 셋째, 선도기업은 연구개발투자에 집중한 반면 성장기업은 유형자산투자에 집중하였고, 선도기업은 현금배당과 자사주매입을 모두 사용한 반면, 성장기업은 현금배당을 연구개발투자 비중이 높은 기업은 자기주식매입을 주된 배당방식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기업이 투자방식과 배당방식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산업특성과 기업특성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기업소득의 환류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속한 산업의 특성과 함께 개별기업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최근 급격하게 사내유보가 증가하고 있고 기업소득의 환류를 촉진하려고 미환류소득에 대해 법인세를 추가 과세하는 상황에서, 기업소득의 환류를 촉진하기 위해 산업특성과 기업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희진,김재홍,박지윤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0 유라시아연구 Vol.17 No.3

        창업가의 성격특성을 강조하는 접근법은 비창업가와 창업가, 실패한 창업가와 성공한 창업가 를 구별 짓기 어려운 무형적 요인으로 창업성과를 견인하기 위한 창업가의 특성 연구는 창업가정신 맥 락에서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이 때, 창업가의 성격특성과 더불어 가족이나 지인들의 물 질적, 정신적 지지로 인하여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사회적 지지를 조절효과로 기업성과에 초점을 두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 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가의 특성이 사회적 지지를 조절하여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해보 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창업가의 특성 중 독립변수 중 자율욕구, 성취욕구,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내성 그리고 모호성에 대한 인내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여 이들 중 어떤 특성들이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이를 실증하여 검증하였다. 특히, 사회적 지지가 기업성과와의 유의미한 연관성을 설명해 줄 것인지 아닌지 밝혀보았다. 실증결과 창업가의 특성 중 자율욕구,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내성, 모호성 에 대한 인내는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고 성취욕구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선행연구와 상이한 점은 성취욕구는 인적네트워크와 자기과신 측면에서 기업 성과를 견인하는 핵심 성격특성으로 단언할 수 없다는 결과물이 도출되었다. 또한, 모호성에 대한 인내 는 불확실한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창업가의 주요 특성으로 현재 창업생태계에서 다루어져야 할 가장 중 요한 성격특성 중 하나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고 그 결과 자기효능감 이외 다른 독립변수들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 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도출된 바는 창업가는 일반 급여자보다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사람으로 주변 가족 이나 지인들의 사회적 지지에 많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주제의 근원이 되는 창업가정신 맥락에 서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서는 창업가정신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변수 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관점을 달리하여 상대적 으로 선행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성취욕구, 자율욕구, 스트레스 내성, 모호성에 대한 인내, 그리 고 자기효능감을 이론적 고찰과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그 개념을 살펴보았고,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기업성과와의 연관성을 시도하여 유의미한 결과물을 도출하여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 연구 관점에서 학 문적 기초를 제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 각 변수들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 과에서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 중 자율욕구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내성, 모호성에 대한 인내는 기업성 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욕구는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 으로 밝혀졌다. 이는, 선행연구결과와 다소 상반된 결과로 본 연구에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 단된다. 셋째, 자율욕구,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내성을 비롯한 모호...

      • KCI등재

        다국적 기업의 조직문화 직무특성 조직몰입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민경원 ( Kyeong Won Min ),이희수 ( Hee Su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인적자원 관리의 직무특성과 조직문화 간의 접점에 대한 논의가 미비하다는 데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조직문화,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간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 데 주안점을 두며, 추가적으로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직무특성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 다국적 기업의 조직구성원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다국적기업은 모기업의 조직문화와 현지 기업의 조직문화가 다르고, 다문화 배경의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직무설계 또한 모기업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다국적 기업의 구성원은 설정된 변인 관계를 설명하는 데 적합한 연구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의 개념을 Hofstede(1984)가 다섯 가지의 문화로 구성한 문화차원에 바탕을 둔다. 한국을 대상으로 연구에서 위 다섯 가지 문화 중 불확실성 회피성향, 장기적-단기적 지향성, 개인주의-집단주의가 요인분석 결과 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어 이 세 가지 문화차원을 사용하도록 한다. 다국적 기업들은 현지의 조직구성원과의 우호적인 관계가 중요하기 때문에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조직몰입을 위해서는 급여와 같은 외적인 조건도 중요하지만, 그 무엇보다도 직원들이 업무 자체 즉 직무특성에 만족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무특성은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등의 5가지 요인으로 분류되며, 이 특성들을 잘 갖춘직무를 가진 조직구성원은 동기 부여와 직무 만족을 경험하게 되고, 조직에 몰입하여 결국 조직성과가 증대된다. 다국적 기업의 경우, 직무특성에 따른 직무 설계는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과 마찬가지로 문화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배경의 구성원들로 이뤄진 다국적 기업들은 단일 문화 조직에 비해 직무특성을 이해하는 데 의사소통 문제와 타문화 동료에 대한 이해 등이 훨씬 더 많이 요구된다. 위와 같이 주요 연구 변인의 개념과 이해를 바탕으로 변인 간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서울지역 외국계 다국적 기업 조직구성원 283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 및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할 수 있다.첫째, 다국적 기업의 조직문화는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불확실성 회피성향, 장기적 지향성, 집단주의가 클수록 조직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장기적 지향성은 조직몰입과 같은조직 생산성 지표에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인 시각을 가진 동양적 가치가 한국 내 다국적 기업에서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를 통하여 다국적 기업의 한국 조직구성원들은 불확실한 업무환경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안정보다는 수익을, 장기적 성장보다 단기적 성과를 추구하는 기업의 경우 조직 관리에 이를 고려해야 한다. 집단주의 성향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개인주의보다 조직몰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국적 기업의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의 이와 같은 결과는 다국적 기업의 경영진과 관리자들에게 한국 내 조직 설계 및 관리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줄 것이다. 둘째, 다국적 기업의 조직문화 중 불확실성 회피성향과 장기적 지향성은 5가지의 직무특성과 모두 정(+)적인 관계를 보여주었다. 다만 개인주의-집단주의는 직무특성 중 기술다양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피드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3개의 직무특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직무특성의 모든 요인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의 대상인 다국적 기업은 다양한 문화 배경과 출신 국가를 가진 구성원들로 이뤄지기 때문에 일방적이고 획일적인 직무특성은 적합하지 않으며, 활발한 의사소통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는 점에서 자율성과 피드백은 매우 중요하다. 과업정체성에 대해서는 다국적 기업의 직무는 보고 체계가 복잡하고, 부서별 분업이 분명한 편이므로 조직구성원이 각자의 직무의 범위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는 것은 직무에 대한 성과와 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넷째,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불확실성 회피성향과 조직몰입, 장기적-단기적 지향성과 조직몰입 간에 직무특성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조직몰입 간에는 직무특성이 매개역할을 하지 않았다. 조직문화, 조직몰입 및 직무특성 간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을 뿐 아니라, 매개역할은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조직몰입은 조직문화와 상관관계를 갖기는 하지만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특성의 완비 정도가 중요하며, 각각의 직무특성별로 매개역할을 할 수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과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조직몰입 간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매개 변인 예를 들면 상사와의 관계 혹은 의사소통 등과 같은 요인을 탐색하고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다국적 기업의 조직문화를 한국인 조직구성원이 인지한 조직문화로 한정한 것이며, 모기업이 소재하고 있는 본사의 국가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모기업이 어느 국가 또는 어느 문화권에 속해 있는지가 조직문화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모기업의 소재 위치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셋째, 이 연구는 한국 내의 외국계 다국적 기업을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한국 기업이 많으므로 한국계 다국적 기업을 대상으로 확대하거나, 한국계 외국계 다국적 기업과의 비교 연구에 이르기까지 연구 범위가 확대되기를 촉구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that discussion on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s not been much develop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dditionally the study includes exploring if job characteristics can play a mediating role i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loyees in multi-national companies are selected as proper targets. The multi-national companies have different organizational culture compared to the mother company as well as the local companies having employee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even job designs are affected by the mother company, which can explain relationship of set variable effectively. With concept of an organizational culture coming from the five(5) cultural dimensions of Hofstede(1984), the three out of five cultural dimensions: high uncertainty avoidance, long term-short term orientation,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were used in this study, based on factor analysis results of a previous research. Most multi-cultural companies valu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memb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ather than an external factor such as salary, whether employees are satisfied with the work itself or job characteristics is deemed as an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job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into 5 sub-factors: skill variety,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utonomy, and feedback with which the employees tend to experience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consequently better organizational achievement. The multinational companies need to treat the job design in regards to job characteristics in a cultural point of view. Compared to a single organization, multinational companies require much more understanding about language barrier and employees’ culture. As major concepts of variables are presented above, the study was set out. By analyzing the responses of 283 employees of foreign multinational companies in Seoul,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found. First of all, the organizational culture multinational companie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bigger the uncertainty avoidance, long term orientation and collectivism,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engagement. The long-term orientation affects on productivity indic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meaning that the eastern oriental value with the long-term point of view can work effectively in the multinational companies. This result also found that the Korean members do not prefer uncertain work environment, which the multi-national companies those seek for profit rather than stability and short term achievement rather than long term achievement should consider. It is shown that the collectivism affect mo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individualism, as in other previous research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executives as well as the managers of multinational companies in regards to organizational design and management within Korea. Second, among the organization culture of multinational companies uncertainty avoidance and long term orienta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ive job characteristics. However, individualism-collectivism gave a positive effect on skill variety only out of the job characteristics while showing a negative effect on feedback, having no significant effect on other three. Third, all the 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multinational companies having employees from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and country of origins, one-sided and standardized job characteristics would not be suitable, making autonomy and feedback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gards to emphasizing active communication. For task identity, the work of multinational companies requires complex reporting system and division of tasks by department or team is very clear. Under this condition, for employees to have clear work scope can lead to satisfaction of work. Fourth, through an additional research it is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s play a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avoid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so between long term-short term orient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job characteristics do not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not only is much research on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haracteristics, but also was not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Eventually, alth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 culture has a correlation,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important to have complete job characteristics in place, making it possible for each job characteristic to play an mediating role.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of searching and acquiring various mediating variables such as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managers or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or managers that can have an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follow-up research. Second, this study set a limit to organization culture that Korean organizational members perceived of and did not consider the headquarter or the mother company of the sampled companies. It is expected that which country that the mother company belongs to or which culture it follows will likely affect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this research limited the target to foreign multinational companies in Korea. There is a demand of expanding research range by comparing Korean and foreign multinational companies, or by targeting Korean multinational companies.

      • KCI등재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과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김범성 ( Beom Seong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이론적으로는 과정적 관점에서 심리적 특성과 기업가정신의 관계에 관한 종합적 모형을 구성하고, 실무적으로는 기업가정신에 관련된 심리적 특성에 관한 종합적 진단을 필요로 하는 창업가나 교육훈련 담당자들을 위한 진단도구의 개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과정적인 관점에서 기업가정신에 관한 보다 간결하면서도 포괄적인 과정 모형을 제시한다. 둘째, 기업가정신의 각 과정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면서도 실증적인 뒷받침이 강한 창업가의 심리적인 특성들을 선발한다. 셋째, 창업 가의 심리적 특성들이 기업가정신의 각 과정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문헌검토를 통하여 분석 및 종합한다. 본 연구의 목적 및 구체적 연구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과정적 관점과 문헌 연구방법에 의거하였다. 문헌연구방법으로서는 메타분석 결과를 주로 활용하고, 개별 연구결과를 보완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초점은 개인적 수준, 특히창업가의 심리적 특성중 의향에 관련된 비인지적 특성(will do factor)인 성격과 동기부여에 초점을 두었다. 본 논문은 과정적 관점에서의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모형의 설정, 기업가정신에 관련된 성격 특성요인 들의 도출, 문헌 검토에 의한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과 기업가정신 과정의 관계에 관한 분석 및 종합, 논문의 의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의 순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순서에 의하여 본 논문을 조금 더 상세하게 고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적 관점에서 문헌 검토에 의하여 기업가정신에 대한 간결하면서도 포괄적인 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2단계 과정 모형은 기업가정신 과정을 크게 설립 단계와 운영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는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과 시스템 이론에 의거하여 의도-행동-결과로 구분하였다. 설립 단계는 창업의도-기회인식/자원재배열-창업의 과정으로 세분화하였으며, 운영 단계는 전략적 의도-창업전략/조직관리-창업성공의 과정으로 세분화하였다. 둘째, 슘페터식 기업가정신의 정의에 의거하여 혁신, 성장, 기회에 초점을 두고 창업가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또한 성격 특성과 기업가정신에 관한 메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기업가정신과 관련된 의미있는 성격 특성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13가지 성격 특성들을 본 논문의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것 들은 5대 성격요인, 기업가적 성향의 3가지 구성요인, 5가지 동기요인이다. 5대 성격요인은 경험에 대한 개방성, 신중성, 외향성, 포용성, 정서적 안정성이고, 3가지 기업가적 성향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이며, 5가지 동기요인으로서는 욕구(성취욕구, 자율욕구), 신념(일반적인 자기유능감, 통제위치), 스트레스 내성이 선정되었다. 셋째,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과 기업가적 과정간의 관계에 관한 문헌조사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1) 심리적 특성은 일반적으로 창업의도, 창업여부, 그리고 창업성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포용성, 위험감수성, 그리고 자율욕구에 관해서는 기대한 것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포용성은 창업의도 및 창업성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율욕구와 창업의 도간의 연구결과들 혹은 위험감수성과 창업성공간의 연구들은 서로 상충되는 결과들을 보여주고 있었다. (2) 심리적 특성들은 기업가적 과정들에 대하여 영향 강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세 가지 심리특성들 - 포용성, 위험감수성, 자율욕구 - 는 기업가적 과정들에 대하여 다소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용성은 창업가와 비창업가를 잘 구분함으로써 창업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창업의도나 창업성과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위험감수성은 창업의도나 창업여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연구결과들이 상충되고 있다. 자율욕구는 창업여부나 창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연구결과들이 상충되고 있다. (3) 마지막으로, 창업의도, 창업여부, 창업성공과 같은 기업가적 과정의 의도 및 결과와 심리적 특성들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조사가 상당히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기회인식 및 자원재구성, 전략적 목적, 전략경영, 조직관리와 같은 기업가적 과정들과 심리적 특성들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조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혹은 한두 개 정도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 창업 단계에 있어서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과 기회인식에 관한 연구들은 일부 있었지만, 자원재구성에 관한 연구들은 찾아볼 수 없었으며, 벤처 운영 단계에 있어서도 성격 특성과 전략적 목적, 창업전략, 및 조직운영에 관한 연구들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심리적 특성들과 기회인식 및 자원재구성, 전략적 목적, 전략경영, 그리고 조직관리와 같은 기업가적 과정들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은 많은 부분이 공백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의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로서는 과정 모형에 의거한 문헌검토 방법에 의하여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과 기업가적 과정에 관한 기존 연구결과들을 종합하고, 기존 연구의 공백부분과 미흡한 부분을 규명함으로써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과 기업가정신 연구의 향후 연구방향과 연구과제의 파악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결과의 실무적 의로서는 기업가적 과정의 각 단계의 활동에 관련된 개인특성에 관한 실증적으로 뒷받침된 포괄적인 모형을 구성함으로써 기업가적 활동에 관련된 개인적인 자질의 진단을 위한 보다 의미있는 표준적인 종합적 방법의 개발에 한걸음 다가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로서 두가지 점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중 기업가정신과 의미있는 관계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특성들을 선택하여 연구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면상의 한계로 인하여 일부 심리적 특성들만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둘째,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과 기업가적 과정간의 관계에 관해서 연구결과가 미흡하거나 공백이 있는 부분들을 보다 철저한 검색을 통하여 연구성과물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점도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향후 연구의 방향으로서 세가지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여러 단계의 기업가적 과정을 동시에 고려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에 의한 실증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과 기업가적 과정의 각 단계간의 차별화된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기업가적 과정 중 창업가의 심리적 특성과의 연구공백 부분들, 즉 창업을 위한 배태과정에서의 기회인식과 자원재구성에 관련된 성격 특성들에 관한 연구들, 창업성과를 창출하는 혁신적 창업전략 및 조직관리 과정들에 관련된 성격 특성들에 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셋째, 심리적 특성들 간에 그리고 심리적 특성과 기업가적 과정변수들간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구체적으로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heoretically to build the comprehensive model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 psychological traits and entrepreneurship from a process perspective, and practically to suggest the bases for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ools for the entrepreneur 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agents who need comprehensive diagnosis on the psychological traits related with entrepreneurship.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following specific objectives are established. First, it is to suggest a parsimonious and comprehensive process model of entrepreneurship from a process perspective. Second, it is to select the empirically supported psychological traits significant to the entrepreneurial processes. And third, it is to analyze and synthesize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 psychological traits on the entrepreneurial process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and the specific objectives, literature review is performed from the process perspective. While reviewing literatures, meta-analysis results are mainly used and complemented by the results of the individual studies. The focus of this work is on the individual level, especially entrepreneur`s psychological traits related with ‘will do’ factors like personalities and motivations. This paper is constructed with building the research model on the entrepreneurship, selecting the personality traits related with entrepreneurship,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 psychological traits and entrepreneurship processes by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s, and suggest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line with this order the more specific descrip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suggest the parsimonious and inclusive process model about entrepreneurship based on the process perspective and literature review. In this two stage process model, the processes are divided by venture creating stage and venture running stage and each stage is divided by intention-behavior-outcome. The venture creating stage is consisted with three phases like entrepreneurial intention - recognition of opportunities / resource rearranging - venture creation. The venture running stage is consisted with three phases like strategic intent - entrepreneurial strategy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 venture success. Second, the definition of entrepreneur is focused on the innovation, growth, and opportunities based on the Schumpeter`s entrepreneurship. And several significant psychological traits are selected using the meta-analysis resul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traits and entrepreneurship. 13 psychological traits are finally selected as an objects of analysis like “Big Five”, three trai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ve motivation factors. Big Five are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emotional stability. Three factor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re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propensity. Five motivation factors are need(need for achievement, need for autonomy), beliefs(self-efficacy and locus of control), and stress-tolerance. Third, by the literature revie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 psychological traits and entrepreneurship, the following results are presented. (1) Psychological traits generally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s, venture creation, venture success. In relation to such three psychological traits as agreeableness, risk-taking propensity, and need for autonomy, the unexpected results are presented. Agreeableness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entrepreneur`s intentions and success, and the research resul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 for autonomy and the entrepreneur`s intentions or between the risk-taking propensity and the entrepreneur`s success show mixed results. (2) Although most psychological traits have consistent relationships to the different entrepreneurship phases, the three traits - agreeableness, risk-taking propensity, and need for autonomy - have different influences to the different entrepreneurship processes. Agreeableness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venture creation bu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venture success. There are mixed results about need for autonomy-entrepreneurial intentions relationships and risk-taking propensity-venture success relationships. (3) Lastly,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trait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venture creation, and venture success, however there is no or little research about the psychological traits related with opportunity recognition, resource arranging, strategic goal, entrepreneurial strategy, or organizational management. In the venture creation stage, there is a little study about the psychological traits related with opportunity recognition, but there is no studies about the the psychological traits related with resource arranging. In the venture success stage,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psychological traits related with strategic goals, entrepreneurial strategy, or organizational management. Generally, there is no research resul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traits and such entrepreneurial processes as opportunity recognition, resource arranging, strategic goals, entrepreneurial strategy,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Las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and the future directions are as follow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hat this paper synthesizes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by reviewing the literatures with the process model, identifies the untouched areas of the entrepreneurial researches, and suggests the research tasks and the future direction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hat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ignificant comprehensive standard tools to diagnose the individual`s entrepreneurial qualities by building the comprehensive and empirically supported model of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traits related with the each phases of the entrepreneurial processes. There are two limitations of this work. First, it must be pointed that only 13 psychological traits are researched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is short papers although significant and frequently researched psychological traits are included. Second, it is also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that significant research results might not be fully counted in such areas as having no or few research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three future directions. First, it is needed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differential effects of psychological traits to the phases of entrepreneurial process by building such research model as including the multiple phases of entrepreneurial process and performing the empirical studies. Second, such studies are needed to fill the blank areas of research as studies o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traits to opportunity recognition and resource arranging in the venture creation or to the innovative entrepreneurial strategy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linked to the venture success. Third, such studies are needed to reflect the moderating effects or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psychological traits or between the psychological traits and the entrepreneurial processes.

      • KCI등재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 우선순위 비교 연구

        이병욱,이상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3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and compare difference of the priority for performance goal of two groups by IPA. Research problems for them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importance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Second,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performance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Third,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priority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teaching staffs recognize the most importantly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ssignment was 'improvement of students' adaptation to the filed' in area of 'employment competency strengthening'. Second,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teaching staffs recognize the degree of high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ssignment was 'expansion of SMB employment opportunity' in area of ‘employment connection'. Third,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areas of high priority in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improvement of teaching staff's understanding for SMB' and 'improvement of SMB understanding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area of ‘improvement of SMB mind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이 연구는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IPA기법을 통해 두 집단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수행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역량강화’ 영역의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수행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연계’영역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에서 우선순위를 두어야할 영역에 대해 교원의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중소기업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영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