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종합편성채널 수용자 연구-추구충족과 획득충족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성훈,김동진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Since the launching of four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on Dec. 1st of 2011, there is a rising need to approach them as an actual fact in broadcasting industry. This study is about the motivation, use and satisfaction type of these 4 new channels audience,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and Expectancy-Value Theor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n audience pool of 207 undergraduate student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Research Question 1. How did the audience view the channels?1-1. How long did the viewers watch the channels?‘1∼2. hours/day’ on weekdays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less than 1 hour’, ‘between 2∼3 hours’, ‘almost none’, and ‘between 3∼4 hours’. ‘1∼3 hours/day’ on weekend was more than half of answers, followed by ‘between 3∼5 hours’ ‘less than 1 hour’, ‘between 5∼7hours’, and ‘almost none’. 1-2. What was the most preferred genre ?News/report/current events’ was the most preferred one, followed successively by ‘variety/music’, ‘entertainment show/infotainment’, ‘sports’, ‘comedy’, ‘drama’, ‘foreign movie and drama’, ‘sitcom’, ‘documentary’, ‘lifestyle’, ‘culture/art/education’, ‘animation’. 1-3. What platform did the viewers use to watch the channels?‘Cable TV’ obtained more than half of the answers, followed by ‘computer’, ‘IPTV’, ‘mobile phone’, ‘DMB’, ‘iPad’, ‘Satellite TV’.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Gratification Sought and Gratification Obtained factors for the channels?The Gratification Sought factors turned out to be ‘involvement to the current trends’, ‘information/current affairs’, ‘entertainment’, ‘spare time/second-hand satisfaction’, ‘sexuality’, ‘interest of minority’. The Gratification Obtained factors were similar to the Sought factors and were as follows, ‘involvement to the current trends’, ‘entertainment’, ‘spare time’, ‘information/current affairs’, ‘sexuality’ and ‘interest of minority’.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atification Sought and Gratification Obtained factors?The viewers mostly showed a tendency toward ‘spare time’ for the Gratification Sought phase but overall didn't show much satisfaction, and this could be explained by the lack of programming that specifically targets this type of audience. There are some factors that need to be taken in account for this study, and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only conducted among undergraduate student and thus doesn’t show the differences that could be seen if applied to a formal demography. Second, the study didn’t approach the GNO(gratification not obtained) factor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atification Sought and Gratification Obtained. Lastly, the variables that could affect the Gratification Sought and Gratification Obtained wasn’t taken in account in this study. 종합편성채널이 등장함에 따라 이전과 다른 방송환경이 조성되었다. 종합편성채널을 둘러싼 수많은 갈등과 논의들이 이러한 평가를 방증하고 있으나 정책적, 사업적 논의와 연구가 주로 행해졌다. 이들 선행연구들은 콘텐트나 수용자에 초점을 맞추지 못함으로써 실제로 종합편성채널을 수용자가 어떻게 이용하는지 밝혀내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종합편성채널의 수용에 초점을 두어 종합편성채널 수용자들의 충족을 탐색했다. 수용자들의 이용동기와 충족을 유형화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각종 미디어, 채널, 또는 프로그램 연구에 적용한 이용과 충족 접근(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기대-가치 이론(Expectancy-Value Theory)을 바탕으로 대학생 수용자의 충족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첫째, 종합편성채널의 대학생 수용자는 ‘PC’, ‘IPTV’, 모바일, DMB 등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방송을 시청하며 선호 장르는 ‘뉴스/보도/시사’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다. 이어 ‘버라이어티/음악’, ‘오락성 인포테인먼트’, '스포츠‘, '코미디’, '드라마‘, '외국영화/외국드라마’, ‘시트콤’, '다큐멘터리‘, '다큐멘터리’, '교양/생활정보‘, '교육/문화예술’, '애니메이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구충족 요인은 ‘일상참여/트렌드’, ‘정보/시사성’, ‘오락성’, ‘시간보내기/대리만족’, ‘성적흥미’, ‘소수자 다양성’ 등 여섯 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획득 충족 요인은 추구충족 요인과 유사하게, ‘일상참여/트렌드’, ‘오락성’, ‘시간보내기’, ‘정보/시사성’, ‘성적흥미’, ‘소수자 다양성’ 등 여섯 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합편성채널이 대학생 수용자의 기대에 전반적으로 못 미치고 있었다. ‘시간보내기(/대리만족)’ 요인은 추구충족보다 획득 충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의 모든 요인에서 획득 충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합편성채널 수용자들이 느끼는 획득 충족이 대체로 ‘시간보내기’ 외에 모든 요인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상의 연구에서 종합편성채널이 수용자의 선호 장르와 그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세분화하여 편성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종합편성채널 수용자 연구 -추구충족과 획득충족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성훈,김동진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8 No.-

        종합편성채널이 등장함에 따라 이전과 다른 방송환경이 조성되었다. 종합편성채널을 둘러싼 수많은 갈등과 논의들이 이러한 평가를 방증하고 있으나 정책적, 사업적 논의와 연구가 주로 행해졌다. 이들 선행연구들은 콘텐트나 수용자에 초점을 맞추지 못함으로써 실제로 종합편성채널을 수용자가 어떻게 이용하는지 밝혀내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종합편성채널의 수용에 초점을 두어 종합편성채널 수용자들의 충족을 탐색했다. 수용자들의 이용동기와 충족을 유형화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각종 미디어, 채널, 또는 프로그램 연구에 적용한 이용과 충족 접근(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기대-가치 이론(Expectancy-Value Theory)을 바탕으로 대학생 수용자의 충족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첫째, 종합편성채널의 대학생 수용자는 ‘PC’, ‘IPTV’, 모바일, DMB 등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방송을 시청하며 선호 장르는 ‘뉴스/보도/시사’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다. 이어 ‘버라이어티/음악’, ‘오락성 인포테인먼트’, '스포츠‘, '코미디’, '드라마‘, '외국영화/외국드라마’, ‘시트콤’, '다큐멘터리‘, '다큐멘터리’, '교양/생활정보‘, '교육/문화예술’, '애니메이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구충족 요인은 ‘일상참여/트렌드’, ‘정보/시사성’, ‘오락성’, ‘시간보내기/대리만족’, ‘성적흥미’, ‘소수자 다양성’ 등 여섯 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획득 충족 요인은 추구충족 요인과 유사하게, ‘일상참여/트렌드’, ‘오락성’, ‘시간보내기’, ‘정보/시사성’, ‘성적흥미’, ‘소수자 다양성’ 등 여섯 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합편성채널이 대학생 수용자의 기대에 전반적으로 못 미치고 있었다. ‘시간보내기(/대리만족)’ 요인은 추구충족보다 획득 충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의 모든 요인에서 획득 충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합편성채널 수용자들이 느끼는 획득 충족이 대체로 ‘시간보내기’ 외에 모든 요인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상의 연구에서 종합편성채널이 수용자의 선호 장르와 그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세분화하여 편성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Since the launching of four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on Dec. 1st of 2011, there is a rising need to approach them as an actual fact in broadcasting industry. This study is about the motivation, use and satisfaction type of these 4 new channels audience,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and Expectancy-Value Theor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n audience pool of 207 undergraduate student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Research Question 1. How did the audience view the channels? 1-1. How long did the viewers watch the channels? ‘1∼2. hours/day’ on weekdays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less than 1 hour’, ‘between 2∼3 hours’, ‘almost none’, and ‘between 3∼4 hours’. ‘1∼3 hours/day’ on weekend was more than half of answers, followed by ‘between 3∼5 hours’ ‘less than 1 hour’, ‘between 5∼7hours’, and ‘almost none’. 1-2. What was the most preferred genre ? News/report/current events’ was the most preferred one, followed successively by ‘variety/music’, ‘entertainment show/infotainment’, ‘sports’, ‘comedy’, ‘drama’, ‘foreign movie and drama’, ‘sitcom’, ‘documentary’, ‘lifestyle’, ‘culture/art/education’, ‘animation’. 1-3. What platform did the viewers use to watch the channels? ‘Cable TV’ obtained more than half of the answers, followed by ‘computer’, ‘IPTV’, ‘mobile phone’, ‘DMB’, ‘iPad’, ‘Satellite TV’.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Gratification Sought and Gratification Obtained factors for the channels? The Gratification Sought factors turned out to be ‘involvement to the current trends’, ‘information/current affairs’, ‘entertainment’, ‘spare time/second-hand satisfaction’, ‘sexuality’, ‘interest of minority’. The Gratification Obtained factors were similar to the Sought factors and were as follows, ‘involvement to the current trends’, ‘entertainment’, ‘spare time’, ‘information/current affairs’, ‘sexuality’ and ‘interest of minority’.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atification Sought and Gratification Obtained factors? The viewers mostly showed a tendency toward ‘spare time’ for the Gratification Sought phase but overall didn't show much satisfaction, and this could be explained by the lack of programming that specifically targets this type of audience. There are some factors that need to be taken in account for this study, and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only conducted among undergraduate student and thus doesn’t show the differences that could be seen if applied to a formal demography. Second, the study didn’t approach the GNO(gratification not obtained) factor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atification Sought and Gratification Obtained. Lastly, the variables that could affect the Gratification Sought and Gratification Obtained wasn’t taken in account in this study.

      • KCI등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인지적 몰입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동원,이문용,최준구,이호원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1 e-비즈니스 연구 Vol.12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cognitive absorption in determining the information system continuance intention in the context of mobile service usage. Building upon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we propose a research model that positions cognitive absorption as an antecedent of confirm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which in turn determine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Using PLS(Partial Least Squares), we tested the proposed model against the data collected from 836 mobile application users in South Korea. Results show that cognitive absorption influences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via its effects on confirm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In addition, all hypotheses of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s were supported. Th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cognitive absorp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for building continuance intention with regard to mobile service usage. Given the importance of effectively maintaining existing customer base, the study findings have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mobile service providers. Furthermore, the proposed extende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should be also applicable to other IT services as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has been tested in various service settings.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 환경에서 인지적 몰입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기대-충족 모형을 확장하여, 기대충족의 선행요인으로서 인지적 몰입의 역할에 대해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제안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836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PLS(Partial Least Square)를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기대-충족 모형의 선행요인으로서 인지적 몰입은 기대충족과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에 있어서 기존 기대-충족 모형에 대한 가설도 모두 채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서비스 사용 환경에서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를 형성하는데 인지적 몰입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기존 사용자 기반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의 중대성에 비추어,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다. 나아가 제안된 기대-충족 확대 모형은 모체가 되는 기대-충족 모형이 여러 서비스 환경에서 검증되어 왔다는 점에서 타 IT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 파악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뮤직비디오 패러디 제작 및 공유에 대한 유튜브 이용자들의 지속적인 행동의도와 그 영향요인

        정보라(Jung, Bora),김성철(Kim, Seongcheol)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0 No.4

        본 연구는 최근 동영상 UGC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YouTube)를 통해 특정 뮤직비디오의 변형 콘텐츠들이 잇달아 제작 및 공유되고 순식간에 전세계로 퍼져나가는 현상, 이른바 밈(Meme)확산 현상에 주목하여 이를 주체적으로 만들어나간 이용자들이 어떤 의도에서 지속적으로 밈 확산행동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했다. ‘밈’은 문화유전자를 일컫는 용어로, 모방과 복제를 거듭하며 문화를 진화시킨다. 따라서 유튜브에서 제작되는 패러디 콘텐츠는 밈을 가장 적확하게 보여주는 콘텐츠이며, 유튜브 패러디스트들을 밈 확산활동의 주체자로 규명할 수 있다. 지속적인 패러디 콘텐츠의 제작 및 공유 행동 의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대충족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세부적인 기대충족요인들을 추출 및 대입하고 지각된 가치 요소를 도입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뮤직비디오 패러디를 제작 및 공유하는 유튜브 이용자들의 자기표현감에 대한 기대충족이 높을수록 지속적인 행동의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즐거움에 대한 기대충족은 지각된 가치를 거쳐 지속적인 행동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인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가 매우 높게 측정돼 지속적인 행동의 영향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분야, 특히 음악산업에서의 의미를 찾아보고 이용자의 밈확산 활동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me Phenomenon on YouTube’ from cultural and behavioral perspectives by investigating the users’ continuance intentions of generating and sharing music video parody. The study proposed a model based on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ECM).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s of YouTube music video parodists (n=107), especially who produced Psy’s ‘Gangnam Style’ or Carly Rae Jepsen’s ‘Call me maybe’ music video parody. The results show that confirmation expectancy of ‘enjoyment’ factor has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of YouTube parodist but the other factors such as confirmation expectancy of ‘self-expression’ and ‘social belonging’ factor have no influential impact on perceived value. In addition, ‘self-expression’ factor was confirmed as an influencing factor on the parodists’ continuance intention of creating and sharing parody.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perceived value has strong effect on music video parodists’ continuance intention. Considering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severa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further research.

      • KCI우수등재

        기대충족모델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지속사용에 대한 연구

        신동희(Dong-hee Shin),김성중(Sungjoong Kim)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2

        The current study analyzes users’ continued use of the smart phone using an extended version of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ECM). The main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the concept of usefulnes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the past studies of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has limited capability to explain perceived value of a smart phone due to its emphasis on the functional value of the product. The paper distinguishes perceived consumption values of smart phone into functional, social and epistemic values and integrates them with ECM along with other frequently used variables such as ease of use, enjoyment, subjective norm to investigate antecedents of smart phone users’ intention to continue to use smart phon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find the model to be robust, and support most of research hypotheses. The findings suggest that ECM is still a reliable research model in the research of smart phone, and confirms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types of smart phone values, with each of them having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other variables.

      • KCI등재

        기대충족모델을 이용한 VR 관광콘텐츠 이용객의 지속사용의도: VR 관광 경험 있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Yan-Dong Han,김영국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3

        With the development of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new technology-based VR Contents provided to tourists are attracting great atten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user's behavior and intention to use VR Contents by applying the Expectation Satisfaction Model to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VR Tourism Conten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ectations,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virtual reality tourism contents experiencers in China. To achieve the study’s aim,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 contents of the tourism industry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were reviewed.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ased on past studies, and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after expert review and preliminary surve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users with experience in VR Tourism Content.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14 days from November 14 to 27, 2022, targeting Chinese people who used VR tourism contents.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ll hypotheses presented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so, research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관광객들에게 제공되는 신기술 기반의 VR 콘텐츠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VR 관광콘텐츠의 지속이용의도에 기대충족모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행동과 VR 콘텐츠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가상현실 관광콘텐츠 체험자의 기대충족, 지각된 유용성,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사이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가상현실기술을 활용한 관광산업에 대한 내용을 검정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전문가 검토 및 예비조사를 거쳐 설문지가 완성되었다. 연구대상은 VR 관광콘텐츠 경험이 있는 중국 사용자로 설정하였다. 본 조사는 VR 관광콘텐츠를 이용해 본 중국인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14일부터 11월 27일까지 14일간 편의표본추출 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한 후 제시된 모든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확장된 기대충족모형을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비콘(beacon)의 지속적 사용의도

        김영국,정진영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ontinuance intention of users in terms of the beacon service in food-service industries. In addition, this study used an extende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expectation-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atisfaction rate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beacon service.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upon previous relevant studies and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ustomers who had used the beacon service.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296 customers throughout Seoul and the surrounding metropolitan areas. The finding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nfirm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2) There was also no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beacon service however other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3) Perceived usefulness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s related to food-service industries. 본 연구는 소비자 행동에 대한 측면에서 비콘 활용한 앱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해 기대충족모형을 적용해 소비자의 행동 및 사용의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확장된 기대충족모형을 적용해 소비환경에서 새로운 정보시스템에 대한 소비자 만족과 지각된 유용성, 새로운 정보시스템인 비콘의 지속적 사용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전문가 검토와 예비조사를 거친 후 최종설문지가 완성되었다. ‘시럽존’이 구축되어 있는 서울 및 수도권에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고, 설문지 배포는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실시되었다. 연구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거쳐 추출된 5개의 구성개념(기대충족;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만족도; 지속사용의도)이 도출되었고, 구조모형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으로 나타났고 제시된 총 7개의 경로 가운데 2개 경로(기대충족 →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용성 → 지속사용의도)를 제외한 5개 경로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연구한계점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스마트폰 지속사용의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장진철 ( Jin Cheul Jang ),성우철 ( Woo Chul Sung ),이문용 ( Mun Yong Yi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1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수는 이제 3,000만을 넘어섰다. 점점 시장이 성숙해 가면서 사용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존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지속사용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지속사용의도를 강화시키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경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들(단말기 품질, 제조사 서비스 품질, 기대충족)과 사용자 경험 만족도가 어떻게 고객의 헌신도와 지속사용의도를 결정하는지를, 확장된 기대충족모델을 기반으로 가설을 세우고, 600명 이상의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검증한다. 또한 서로 다른 스마트폰의 특징별 사용자 경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를 비교한다.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데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number of smart phone users in Korea has reached over 30 million. As the market gets mature, it becomes more cru-cial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mart phone users` continuation intention and devise a way that can fortify it. In this study, we develop research hypotheses about how the antecedents of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phone quality, manufacturer ser-vice quality, and confirmation) influences brand loyalty and continuation intention via their effects on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an extended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and test the hypotheses against the data collected from over 600 smart phone users in Korea. Further, we compare the levels of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and continuation inten-tion across major properties of different smart ph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guidelines on devising a way to heighten the continuation intentions of smart phone users

      • KCI등재

        생성형 AI의 신뢰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소연 ( Soyon Kim ),조지연 ( Ji Yeon Cho ),이봉규 ( Bong Gyou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5 No.1

        본 연구는 대표적인 생성형 AI 기술인 ChatGPT의 이용자 신뢰를 중심으로 이용실태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신뢰의 영향력이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ChatGPT를 많이 이용하는 20대와 3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IBM SPSS 27과 SmartPLS 4.0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Bhattacherjee의 기대 충족모델(ECM)을 기반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구축하고, 경로분석과 다중그룹분석(MGA)를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ChatGPT 이용자들은 일상적인 도구로 사용하기보다 특정 목적이나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용자가 ChatGPT의 환각효과(Hallucination)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을 저해하는 요인은 아니었다. 둘째, 가설검정 결과 독립변수인 기대충족, 인지된 유용성, 사용자 만족 요인 모두가 종속변수인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이용자가 ChatGPT를 이용하는 목적에 따라 신뢰의 영향력이 달라짐이 확인되었다. 이용자가 정보 검색 목적으로 ChatGPT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신뢰가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친 반면, 창작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사회와 기업에 있어 생성형 AI의 도입 과정에서 신뢰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정책 수립 및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d on user trust in ChatGPT, a generative AI technology, and explored the factors that affect usage status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and whether the influence of trust varies depending on the purpose.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use ChatGPT the most. The statistical analysis deploying IBM SPSS 27 and SmartPLS 4.0.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formulated on the foundation of Bhattacherjee’s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ECM), employing path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MGA) for hypothesis valida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ChatGPT is mainly used for specific needs or objectives rather than as a daily tool. The majority of users are cognizant of its hallucination effects; however, this did not hinder its use. Secondly, the hypothesis testing indicated tha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expectation-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all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tention for continuance intention. Thirdly, the influence of trust varied depending on the user’s purpose in utilizing ChatGPT. trust was significant when ChatGPT is used for information retrieval but not for creative purposes. This study will be used to solve reliability problem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generative AI in society and companies in the future and to establish policies and derive improvement measures for successful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