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 개화기부터 1953년 이전까지 ;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 원전 번역사와 우리의 근대성: 20세기 초엽부터 1953년까지를 중심으로

        홍영두 ( Hong Yeong Du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2

        이 논문은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 원전의 번역 수용사를 다룬다. 마르크스주의 철학 및 꼬뮤니즘 운동의 탄생지ㆍ성장지가 근대 유럽사회였던 점에서 마르크스주의 사상은 식민지 근대 하의 조선인들에게 외래사상이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서양에서 발원 된 외래사상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가 식민 피지배 상황에 놓여 있었던 우리 근대 사회의 공론영역에 수용되었다. 외래사상 수용의 경우, 번역물에 대한 독서가 공론 영역에 서 이루어지고 여론 또한 거기서 형성되었다. 바로 그 점에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의 수용사에 대한 연구가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 원전에 대한 번역 작업을 탐색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할 이유가 있다. 그렇지만 번역은 외래사상의 일방적인 수용 과정이 아니다. 번역은 사람들 사이에 문제를 제기하고 되물을 가능성, 그리고 같은 텍스트에 대해서도 그런 일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여는 작업이다. 번역은 전통문화와 외래문화의 접촉 행위이다. 그 접촉은 전 통을 변화시킨다. 이 점은 번역어 형성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일본이 수입 번역한 외래어를 우리가 또 다시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흔적이 우리글 번역어에 배어 있다. 하지만 번역은 의미의 풍부화여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의 경우 우리가 수입한 일역어는 우리 근대 사회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얻었고 역사적 실정성을 구성했다. 그렇지만 번역어 탄생시부터 일역어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이 우리글 번역어에도 고스란히 이전된 식민 잔재의 흔적이 오늘날까지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식민 잔재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번역어에 남아 있는 식민 잔재의 흔적을 찾아내야 한다. 이런 관점을 견지하면서 연구한 이 논문은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 스탈린의 철학사 상 원전에 대한 우리말 번역 실상을 조사ㆍ검토하며, 누가 어떤 동기로 원전을 번역했는 지, 번역 대본으로 무엇을 사용했는지, 시기별 번역된 원전의 내용과 우리의 시대 상황이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를 중심으로 원전 번역의 동기, 번역 수용의 경로, 번역의 시기적 특징, 번역과 시대 상황의 관계, 그리고 번역이 미친 영향력 범위를 검토하고자 했다. 이 검토 작업은, 수입된 외래사상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 원전에 대한 번역 수용이 식민 피지배 상황의 우리 근대인에게 어떤 새로운 사회적 상상력을 불러 일으켰고 어떤 신조어를 발생시켰는지, 이 같은 사회적 상상력과 신조어 형성이 우리의 식민지 근대에 어떤 문화적 코드를 부여하면서 우리의 근대를 어떻게 재구성하였는지, 마르크스주의가 우리의 민족 문화 기획과 근대 사회과학 및 사회ㆍ역사철학의 형성에 어떤 영향력을 미쳤으며 우리 근대성의 구성요소로서 어떻게 소화되었는지, 또 마르크스주의 번역 수용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은 없었는지, 있었다면 어떤 문제점이었는지에 관한 물음의 대답을 어느 정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This essay treats history about reception-activities of our modern intellectuals who translate the texts of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Marxism. It is Marxism as western foreign thought that had been received by way of translations in the public sphere of our modern society under the colonial oppressed situation. In such cases how foreign thoughts was receiving by people, Reading translated texts was performed in the public sphere, and the public opinion was formed there. Therefore a study about reception-history of marxian philosophical thoughts should start the translation-activities the texts of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Marxism. However, translation is not the one-sided reception of foreign thoughts. Translation is the work which opens the possibility that presents, reexamine problems between people, and performs it about the same text. Translation is contact-activities between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foreign culture. This contact varies the tradition. This was true of forming translation-language applied to philosophical terms of Marxism in our modern times. Our modern intellectuals borrowed the philosophical terms of Marxism from Japanese Marxists or Socialists. Because our modern intellectuals used Japanese texts that had translated english or german written philosophical texts of Marxism. Owing to it, our translation-language of marxian philosophical terms has been contained the preoccupation and prejudice pervaded in the Japanese translation-language that was invented using Japanism Chinese Characters. This trouble is one of marks of our experience that suffered the colonial domin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It is today’s our task that had to overcome colonial remainder. But we should pay attention to new meanings which has been formed by our modern experience, and has been embedded in our translation-Language. We could construct modern Social Science and modern Korean Philosophy by way of the reception of Marxism. From a point of this view, this essay reexamines the characters and conditions of our activities that translated the philosophical texts of Marx, Engels, Lenin, Stalin, who translated texts of Marxism from what motives, who used what sort of texts, how the content of translated texts was closely connected with our modern situation. This research contains the motives of translation-activity, the course of translation-reception, periodical distinctions of translation-content, interrelations between our moderns’ contemporary situation under colonial domination and our translation-activities, effect-scope of translations, troubles of translated publications, and so forth. Finally, this paper tries to confirm that Marxian philosophy was one of our important elements that has been composed of our modernity and our modern Science.

      • KCI등재

        하버마스의 문화적 커뮤니케이션론에 관한 연구

        진기행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8 No.-

        본 논문은 하버마스가 근대를 비판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어떤 철학적 시도를 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쓰여졌다. 먼저 그의 근대비판의 핵심적 지점인 생활세계 개념이 어떻게 도출되고 그가 그것을 어떻게 근거지우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생활세계는 우리들의 생활사와 생활형태의 지평을 의미하는데, 하버마스는 여기에 착안하여 이 생활세계가 침식되고 있다고 하는 사실로부터 출발한다. 생활세계를 침식하고 있는 것은 경제적, 행정적 합리성이다. 그런데 생활세계의 침식의 직접적 원인으로 간주되는 경제적, 행정적 합리성이 근대의 산물인 것은 하버마스도 인정하고 있으며,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결국은 근대 그 자체를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를테면 근대철학이 전체로서 특권적 이성을 가지고 로고스 중심적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원래 논리화될 수 없는 감성은 근대철학체계 속에서는 종속적인 위치에 만족할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격적으로 감성론을 전개하려고 한다면, 철학의 근본구성을 변혁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하버마스의 염두에 있는 것은 철학을 재구성한다는 과제이다. 칸트처럼, 객관화된 인식, 도덕적 통찰, 미적 판단이라고 하는 각각의 능력을 갖춘 이성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능력과 행위능력을 가지고 있는 주체들의 모든 유적() 능력을 합리적으로 재구성(構)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버마스는 말한다. 게다가 그것이 실천적 지식에까지 소급하여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근대철학을 재구성하면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근본적인 대안으로 제시하는 하버마스의 논거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근대철학이 빠진 의식철학의 함정으로부터 철학을 구제하기 위한 하버마스의 사유실험이 어떤 결론에 도달하는지와 그것이 어떻게 해서 타 문화의 이해로 확장되는지를 파악해 보았다. 결국 하버마스의 연구주제는 협의의 철학의 영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근대철학에는 주관성의 구조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데, 하버마스의 관심은 오히려 상호주관성에 의하여 성립하는 인간 삶의 총체로 향하고 있다. 삶의 총체란 문화에 다름 아니다. 말하자면 하버마스는 근대의 생활세계 전체, 광범위한 문화 그 자체를 논하려고 했기 때문에, 이 시도가 소위 철학의 틀을 비집고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리하여 하버마스의 작업은 인간의 생활세계를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사회학, 특히 그것을 문화의 총체로서 파악하고, 문화간의 상호요해를 지향하는 문화사회학으로 향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하버마스의 논지에 충실하면서 그의 사유과정을 쉽게 정리 해 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쓰여졌다. 따라서 하버마스의 논리를 비판하고 평가하는 것은 최소한으로 그쳤다. 왜냐하면 그러기 위해서는 철학뿐만 아니라 사회학, 정치학, 언어학, 역사학 등의 광범한 학제적 탐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이는 앞으로 과제로 남겨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Habermas makes signifcant attempts to overcome the moder ages philosophically. First of all, I have clarified the intended nub position of his modern critique of the concept of lifeworld and then explicated how such things are determined. I have also introduced Habermas' grounds of his arguments suggesting communication theory as a fundamental alternative restructuring modern philosophy. On top of that, I have got the essential hold of Habermas' speculation experimentation, intended to save a philosophy of consciousness, which the very modern philosophy lost in. Specifically I have examined how Habermas' grounds come to conclusion and how they are enlarg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 Making Habermas' points clear, I have intended to put them in order the process of speculation easily. In the final analysis, I have minimized the critique and evaluation of Habermas' logic. Because it needs for the broadwide investigation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like sociology, political science, lingusitics, history and others. Although this is a grave agenda by which it is confronted, it is also a question to be solved as a further research project.

      • KCI등재

        E. 두셀의 초근대성과 해방철학의 의미 소고

        박치완 ( Tchi-wan Park ) 한국하이데거학회 202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1

        엔리께 두셀의 철학은 ‘초근대성(transmodernity)’ 개념으로 축약이 가능하다. 초근대성의 의미는 i) 근대성의 극복 또는 초월, ii) 비유럽적 관점에서 유럽중심적 근대성에 대한 재고, iii) 이분법적·배타적 논리의 극복, 이를 통한 탈식민적 인식의 전환, iv) 세계적/초대륙적 철학의 구상, v) 철학을 넘어서는 철학으로서 해방철학(Liberation Philosophy), 바로 이 5가지로 간추릴 수 있다. 이 5가지 함의만으로도 우리는 두셀 철학의 지향과 목표를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이다. 그의 초근대성 개념은 기본적으로 근현대를 통해 유럽이 생산·전파한 근대성과 포스트-근대성의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철학의 새로운 지형을 그리는 데 있다. 그가 그리는 새로운 철학의 지형 속에는 근대성의 타자, 식민성의 외재성, 지배층의 이타 성인 민중이 포함된다. 이 과정에서 그는 근대성의 발현체인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유럽중심주의를 소거(消去)하는 데 실패한 포스트-근대성 또한 극복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렇게 근대성과 포스트-근대성 양자를 모두 비판하면서 동시에 아우르는 것이 두셀의 초근대성의 철학이자 인식론이다. 두셀에게 초근대성은 ‘지구촌적 요구’를 모두 담아내 문자 그대로 ‘세계적인 철학 (global/world philosophy)’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렇듯 그의 해방철학은 유럽의 철학과는 ‘다른 길’, ‘다른 대안’을 제시하면서 마침내 비유럽적 관점, 즉 제3세계적 관점, 이타성의 관점을 철학의 본류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한국철학계에는 다소 생소하게 비칠 수 있는 두셀의 탈서구-탈유럽-탈식민 철학을 소개하면서 ‘한국철학’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반면교사로 삼고자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Enrique Dussel’s philosophy can be summarized as “transmodernity.” The meaning of transmodernity can be summarized as five concepts: i) overcoming or transcending modernity; ii) overcoming European-centered modernity from a non-European perspective; iii) overcoming dichotomous and exclusive logic and the conversion of decolonial perception through it; iv) global/transcontinental philosophy; and v) the liberation philosophy as a movement beyond Western (traditional) philosophy. With these five concepts alone, I can fully guess the direction and goal of Dusselian philosophy. His concept of transmodernity seeks basically to draw a new landscape of philosophy, critically reviewing the discourses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produced and propagated by Europe. The new topography of his philosophy includes the Other of modernity, the Exteriority of colonialism, and the “pueblo(people)”, which corresponds to the alterity of the dominant class. Through this process of redrawing of transmodernity, he criticizes Eurocentrism as a manifestation of modernity and uses post-modernity, which has failed to eliminate Eurocentrism, as the means of surpass. It is the philosophy and epistemology of Dussel’t is the philosophy and epistemology of Dusselliminate Eurocentrismpost-modernity at the same time. For Dussel, transmodernity means the creation of a global/world philosophy through the capture of all the “planetary claims.” Thus, his liberation philosophy offers a “different path” and “different alternative” to European philosophy and incorporates a non-European perspective, a third-world perspective, and an altruistic perspective into mainstream philosophy.

      • 문화철학의 근대적 기원과 탈근대적 현상

        신승환 한국하이데거학회 2003 존재론 연구 Vol.8 No.-

        이 글은 한국문화를 중심으로 해서 현대철학에서 요구되는 문화철학의 내용과 의미, 방향을 해석한 논문이다. 먼저 문화철학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분석한 뒤, 문화철학의 근대적 기원을 밝히고자 하였다. 문화철학의 근대적 기원을 밝히기 위해, 일차적으로 현대 문화에 깃든 근대적 기원을 해명하였다. 그것은 근대의 철학적 정신에 대한 분석과, 근대문화가 이룩한 대표적인 체계, 즉 자본주의 문화와 계몽주의적 세계관, 근대학문을 규정한 과학-기술주의, 마지막으로 정치적 체계로서의 민주주의로 설명된다. 이러한 체계에서 드러나는 문화적 원리는 서구중심주의와 진보의 세계관, 근대의 학문성이라는 세 가지 주제이다. 이어서 이러한 종합적인 분석 뒤에 한국문화의 근대적 현상과 내용을 분석하고, 그에 근거하여 우리에게 필요한 탈근대적 문화 원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논의는 먼지 현대문화에 담긴 탈근대적 현상을 탈신화화와 실체성의 종말, 탈중심성-다원성으로 분석하였다. 이어 이 글의 마지막에서 이러한 현상에 담긴 탈근대적 문화 원리를 해석하려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학에서 사유의 자극을 받고 그 지평에 따라 논의를 전재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사실 우리에게 필요한 문화철학의 담론을 우리 현실에 대한 성찰을 통해 해명해 보려는 고뇌에서 출발한다. 이 논지와 논의 전개에 대한 동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철학이 우리 삶의 지평에 대한 성찰에서 주어져야 한다는 전제에 동의한다면, 이러한 논지에 대한 적극적인 비판과 대결이 이어지는 우리의 문화철학에 대한 담론을 형성할 것이다. 그것이야말로 이 땅의 문화철학을 서구학문에의 수입학이란 차원을 넘어 우리의 철학으로 전개하는 작은 시도일 것이다.

      • KCI등재

        문화 간 소통의 가능성과 조건에 대한 한 연구 ― 두셀과 테일러의 근대성 이해 및 윤리적 기획의 비교를 통해

        김정현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59 No.-

        이 글은 라틴아메리카의 해방철학자인 두셀(E. Dussel)과 북미의 철학자인 테일러(C. Taylor)의 근대성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이들의 윤리적 기획의 비교를 통해 비서구와 서구의 문화적 소통의 가능성, 혹은 조건에 대해 살펴본다. 근대 이후 문화 간 소통은 이전과는 다른 성격의 과제가 되었다. 근대 서구는 비서구를 향해 식민주의의 폭력을 행사했고, 그 영향력은 오늘날에도 인식론적, 존재론적 평면에서 식민성의 형태로 여전히 힘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 비서구와 서구 사이에는 (일시적인) 군사적, 경제적 비대칭성 뿐 아니라, 인식론적, 존재론적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비서구에서 시작된 해방철학은 문화 간 수평적 소통을 방해하는 장애들을 해체하고, 진정한 대화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지향성을 지닌 해방철학의 견지에서 우선적으로 해체되어야 하는 것은 근대성에 대한 기존의 일면적 이해이다. 근대성은 해방의 신화 뿐 아니라 그 이면으로서 폭력의 신화 역시 내포하고 있으며, 근대성이 서구 내부에서 배타적으로 발생한 현상이 아니라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근대성을 서구 고유의 것으로 생각함으로써, 서구는 자신의 진행 경로를 비서구가 따라야 할 단일한 길로 상정하고 강요했다. 여기에는 ‘유럽중심주의’(혹은 ‘서구중심주의’)와 ‘발전주의의 오류’가 포함되어 있다. 두셀에 따르면, 근대성을 서구의 고유한 현상이라고 여길 경우, 근대성에 대한 왜곡된 이해가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근대성의 조건과 성과, 혹은 원인과 결과에 대한 이해에서 전도(顚倒)가 발생한다. 근대성의 성과들이 서구의 내적 조건들 때문이 아니라, 사실은, 근대성의 이면인 비서구에 대한 폭력과 정복의 결과로 확보된 우위에 기초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무엇보다 근대성에 대한 서구중심적 이해는 서구의 자기 성찰에 한계를 가져오며, 비서구에 대해 왜곡된 시각을 갖게 함으로써 비서구와 서구의 진정한 대화를 가로막는다. 윤리적 기획에서 두셀과 테일러는 공통점과 차이를 동시에 지닌다. 형식주의 윤리학에 대한 비판에서 두 사람은 일치하지만, 두셀은 테일러의 윤리학에서 억압의 원리를 본다. 하나의 총체성으로서 주어진 에토스의 긍정 위에 서 있는 윤리학은 그 에토스 내에서 발견되는 비가시적 타자를 양심의 가책 없이 부정한다. 따라서 한 문화의, 한 총체성의 텔로스와 선은 도덕성의 최종 근거가 될 수 없다. 억압받는 모든 이들의 해방과, 억압적 상황의 근본적이고 전면적 해체를 목표하는 해방철학은 해방 윤리학으로서 다음의 정언명법을 제출한다. ‘억압받는 타자 속에서 무가치하게 취급되는 인격을 해방하라.’ 두셀과 테일러는 모두 각자의 위치에 충실하게 근대성의 의미를 되묻고 있다. 중심부의 사상가들이 근대성의 해방적 측면만을 말할 때, 두셀은 주변부의 철학자로서 근대성의 폭력적, 희생적 측면을 동시에 말한다. 테일러 역시 ‘다원적 근대성’을 주장하고, 서구의 지방화를 바람직한 미래로 상정하는 등, 기존의 근대성 이해와 다른 이해를 추구한다. 이러한 그의 노력의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평가하여, 비서구와 서구의 대화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 이 글의 의도이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conditions of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in particular, between non western culture and western one. To do this work, we compare the thought of E. Dussel(Philosophy of Liberation) with that of C. Taylor in terms of their understanding of modernity and their ethical project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communication, or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non western culture and western one, Dussel deconstructs the standard understanding of modernity, which implies the disclosure of the underside of modernity. According to Dussel, modernity includes both a rational concept of emancipation and an irrational myth, that is, a justification for genocidal violence. We have to affirm and subsume the former, while criticize and deconstruct the latter. Standard understanding of modernity says that modernity is exclusively the western phenomenon. This idea results in thinking of modernization as a single process, which the non West has to follow. In this, Eurocentrism(or, Westcentrism) and the fallacy of developmentalism are included. Those distorted understandings make the West have a wrong epistemology on the non West and prohibit the West from self-understanding, which are obstacles to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non West and the West. Concerning ethical project, Dussel and Taylor have not only something in common, but also differences. They are in agreement in that they judge formal ethics(ex. by Kant, Habermas etc.) negatively. But Dussel criticize Taylor because of 'principium oppressionis' included in Taylor's ethics of the good. According to Dussel, "the telos or good of a culture, of a Totality, cannot be the last foundation of the morality of our acts." Both Dussel and Taylor reexamine (the concept of) modernity at their own place. Dussel, as a philosopher from periphery, points out the dark side of modernity, while philosophers from center speak well of modernity. In stead of upholding an idea of a single modernity, Taylor advocates 'multiple modernities' and imagines provincialized Europe as a desirable state of future Europe. Though Taylor has limits in thinking and rethinking modernity, we judge, he can communicate with Dussel with respect to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modernity. Through comparing two philosophers in terms of their understanding of modernity and their ethical projects, we can speak of the possibilities and conditio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non western culture and the western culture explicitly or implicitly.

      • KCI등재

        베르그송의 근대 과학적 사유 비판

        주성호(Seong-Ho Joo)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3 No.-

        베르그송은 『사유와 운동』에서 근대 철학의 대립되는 입장들이 공통적으로 근대 과학에 기초하고 있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그는 근대 철학이 어떻게 근대 과학에 영향 받아 형성되고 어떠한 모습을 띠는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우리는 베르그송이 『창조적 진화』에서 언급한 근대 과학에 대한 특징들을 가지고서 근대 철학의 근대 과학적 사유를 재구성하려고 한다. 고대 과학과 달리 근대 과학이 갖는 수학적-양적인 특성과 원자적-연합적 특성이 근대 철학의 이성론과 경험론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구체적으로 보일 것이다. 예를 들어, 이성론과 경험론 모두 근대 과학에 의존한 채 기하학적(양적) 특성을 갖는 물질관을 갖고 있고, 인위적으로 우리의 경험을 원자적으로 나누고 연합한다. 그리고 근대 철학의 이성론과 경험론은 실재를 인식의 관점에서만 고려하고 끊임없이 서로 대립한다. 그러나 베르그송은 이러한 입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우리는 근대 철학의 토대로서 기능하는 근대 과학의 수학적-양적 사유와 원자적-연합적 사유가 어떻게 불가능한지 베르그송의 입장에서 또한 살펴 볼 것이다.

      • KCI등재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본 근대성 비판

        홍승표 ( Seung Pyo Hong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2 No.-

        근대성은 한 때 새로운 문명 건설의 원동력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에 이르러 근대성은 새로운 시대의 출현을 가로막는 질곡이 되었다. 지금 이 시대는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탈근대성에 대한 모색을 절실히 필요로 한다. 동양철학은 바로 이런 시대적 요구를 감당할 수 있는 풍부한 자원을 내장하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본 연구는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을 수행하고자 한다.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은 근대적 세계관 비판·근대적 삶에 대한 비판·근대적 사회에 대한 비판 등 세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대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은 근대적 세계상 비판, 근대적 인간관 비판, 근대적 관계관 비판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첫째, ``모든 존재들 간의 근원적인 통일성``을 전제로 세계를 인식하는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모든 존재들 간의 근원적인 분리``를 전제로 세계를 인식하는 근대적 세계상을 비판한다. 둘째, ``자신 안에 전체 우주를 품고 있는 우주적인 존재``로 인간을 바라보는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분리된 개체로서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존재``로 인간을 바라보는 근대적 인간관을 비판한다. 셋째, 동양철학의 對待的 관계관의 관점에서 근대적 관계관의 전형인 敵對的 관계관을 비판한다. 근대적 삶에 대한 비판은 근대적 노동관과 근대적 소비관에 대한 비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대인은 인간다운 삶의 의미를 욕망 충족의 대상물을 생산하는 노동활동과 욕망 충족의 대상물을 사용하는 소비활동에서 찾는다. 하지만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보면, 인간다운 삶의 의미는 전혀 달라진다. 자신의 본성을 실현하고 즐기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인간다운 삶의 의미가 된다. 인간다운 삶에 대한 동양철학의 관점은 근대적 삶에 대한 비판의 준거를 제시해주며, 탈현대적인 의미에서 인간다운 삶의 지향점을 제공해 준다. 근대적 사회에 대한 비판은 현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이루어진다.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모두에서 수단과 목적의 전도를 볼 수 있다. 민주화나 경제성장은 좋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기반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민주화된 사회나 경제성장이 이루어진 사회가 곧바로 ``살기 좋은 세상``에 도달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동양철학은 탈현대적인 의미에서 ``살기 좋은 세상``에 대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바탕 해서 현대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에서 나타나는 수단과 목적의 전도에 대한 비판을 전개할 수 있다. Modernity was a driving force for building the modern civilization. Nowadays, however, it has become an obstacle to the appearance of a new age. The present time needs the critical reflections on modernity. East Asian thoughts include abundant resources to meet the requirement of this ti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critical reflections on modernity in terms of East Asian thoughts. The critique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critique of modern world view, the critique of way of modern life, and the critique of modern society. The critique of modern world view can be divided into three components; the critique of modern world image, of modern view of human being, and of modern view of relations. First, based on the viewpoint of East Asian thoughts that presuppose the unification among all the beings, the modern world image that presupposes the segregation among all the beings is criticized. Second, based on the viewpoint of East Asian thoughts that presuppose human being as a being who as the whole cosmos in her or him, the modern view of human being that presupposes human being as a being who pursues his desire is criticized. Third, based on the viewpoint of East Asian thoughts that presuppose tui tai(對待) relations, the modern view of relations that presupposes antagonistic relations is criticized. The critique of the modern way of life is made up of two parts; the critique of the modern view of labor and the critique of the modern view of waste. Modern man finds the real meaning of life in labor and waste. But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thoughts, the real meaning of life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man. Realizing and enjoying ``the real self`` is the real meaning of human life. Based on the viewpoint of East Asian thoughts about the real meaning of human life, the modern way of life is criticized. The critique of the modern society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critique of the modern democracy and the critique of modern capitalism. We can find inversion between means and goals both in modern democracy and in modern capitalism.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can be a good foundation for making a wonderful society. But the democratic society and economic growth do not mean that we have reached a wonderful society to live in. East Asian thoughts can provide the post-modern contents of the wonderful society. And this can lead to criticize the inversion between means and goals in the modern democracy and the modern capitalism.

      • KCI등재

        일반논문 :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과 일본의 근대지(近代知)

        조명제 ( Myung Je Cho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6

        한용운은 1970년대에 민족문학론과 관련하여 『창작과비평』에 의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문학사적 평가에 따라 80년대 이후 민족문학론의 시각에서 많은 연구 성과가 제시되었다. 또한 90년대 이후에는 근대불교사를 비롯한 인문학 전반으로 연구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한용운 연구는 민족 담론에 입각한 ‘신화화된 이미지’가 확대, 재생산된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조선불교유신론』에 대한 연구도 대부분 한용운의 근대불교, 민족불교에의 지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결론으로 일관되고 있다. 이러한 한용운 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벗어나기 위해 이 글은 사상 연쇄라는 관점에서 메이지 일본의 근대지가 량치차오라는 필터를 거쳐 한용운에게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문명론과 근대철학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일본의 근대지가 『조선불교유신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첫째, 한용운은 서구 근대 문명론의 시각에서 당시 불교계의 반문명적인 현상, 즉 미개하고 야만적인 요소를 다양하게 비판하였다. 또한 그의 문명론에는 문명개화론적 문명관과 사회진화론에 입각한 문명론이 중첩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문명론은 량치차오의 『음빙실문집』을 통해 수용하였지만, 그것은 후쿠자와 유키치, 가토 히로유키 등으로 대표되는 메이지 일본의 문명론이 번역과 번안을 통해 옮겨진 언설이었다. 둘째, 한용운은 불교의 철학적 성질에 대해 서양 철학이 불교와 합치된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칸트철학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과 내용은 표면적으로 량치차오의 언설을 그대로 옮긴 것이지만 메이지 일본의 근대철학의 흐름과 깊은 관계가 있다. 그것은 이노우에 엔료가 불교의 근대화를 지향하여 서양의 근대철학을 수용하고, 불교를 재해석하였던 관점과 진화론, 동서철학까지 포괄하던 지적 작업의 영향과 관련된다. 또한 메이지 일본에서 칸트철학이 유행하게 된 것은 일본의 근대국가 건설이 독일을 모델로 삼으면서 독일학이 학계, 지식계에서 전반적으로 수용되었던 흐름과 관련된다. 셋째, 한용운의 불교 개혁안은 당시 불교계의 상황을 직시하면서 제기한 독자적인 방안도 있지만, 개혁의 방향 설정이나 그에 따른 입론 자체가 일본의 근대지에서 폭넓은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일본의 근대지는 근대철학의 수용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이 서양철학의 계기적 발전이나 맥락을 고려하지 않거나 국가별로 존재하는 철학 경향의 특성을 무시하는 등 근본적인 한계를 안고 있었다. 또한 량치차오가 수용하고 이해한 메이지 일본의 근대지는 결국 의사(擬似) 근대 체험의 한계를 가졌다. 더욱이 한용운은 량치차오라는 또 하나의 필터를 거쳤기에 더욱 착종된 형태의 근대지를 받아들였다. 『유신론』에서 서구 문명론이라는 타자의 시선으로 전통불교의 자산을 대부분 미개한 것으로 비판한 언설은 그러한 한계와 관련된다. After Sinyubakhae(辛酉迫害, persecution of Catholics in 1801), the previous tolerant trends of thought was threatened, but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popular readings such as novels and folk tales were rather thriving.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the continuous yet broken stream of thought between the late 18th and the early 19th century. The secularization of Joseon society had accelerated since the 18th century. Such a change originated from a new cultural fashion in Seoul. The secularization, in spite of continuous restriction of government, gradually changed the society which had been controlled by the Confucian norms. As a result, there appeared new intellectual groups, who were free of the consciousness of Bungdang(朋黨) or social status. The reaction against this trend began in the early 19th century. Especially, new studies about Seohak(西學) were considerably repressed. After 1806, however, it is ironically the government that lost its power of command. Governmental policies about these new thoughts were so high-handed that intellectuals restored their vigor pretty soon. Communication among intellectuals and accumulation of knowledge were very active enough even to call ``the birth of knowledge world``. But, unavoidably, the process was a refracted one, so most of their works could not exceed the progressiveness of the late 18th century, though with some rare exceptions.

      • KCI등재

        종교개혁과 근대철학의 형성

        이태하(Lee, Tai-ha)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6 No.-

        종교개혁은 근대철학과는 무관한 듯 보이지만 실상은 근대철학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철학적으로 볼 때, 종교개혁은 두 가지 면에서 근대철학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종교개혁의 기본원리인 신적 이성에 대한 신적 의지의 우위를 강조하는 주의주의는 교회의 전승을 무시한 채 ‘오직 믿음으로’를 강조함으로써 성서와 교리에 대한 자의적 해석을 허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극심한 종교적 분쟁이 야기되었고 근대지성인들은 이를 종식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이른바 보편종교라 할 수 있는 이신론과 자연종교를 추구하게 되었다. 또한 주의주의는 자연에 대한 탐구에 있어 종래의 사변적 탐구를 탈피해 관찰과 실험에 근거한 실험적 탐구에 나서게 함으로써 인간 본성에 대한 실험적 탐구인 실험철학(경험론)의 단초를 제공하였다. 요컨대 종교개혁은 한편에서는 보편종교의 추구를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실험철학의 출현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보편종교란 행동과 실천의 근거가 되는 신비적 종교가 아니라 단순히 과학적 탐구를 위한 근거가 되는 세계관에 불과한 것이기에 보편종교를 추구한 철학은 ‘과학을 위한 철학’이었다. 또한 실험철학은 실험과 관찰을 통해 인간본능을 탐구한 이른바 인간학이란 점에서 ‘과학에 의한 철학’이었다. 결국 종교개혁은 과거 철학의 안방을 차지하고 있던 종교를 쫓아내고 그 자리에 과학을 앉힌 것이다. The Reformation seems to have nothing to do with modern philosophy, but in reality closely related to it.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Reformation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formation of modern philosophy in two respects. Voluntarism, asserting the predominance of divine will over divine reason,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allowed an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y ignoring the tradition of the Church and emphasizing ‘Sola Fide’. As a result, the severe religious disputes arose and the modern intellectuals sought a deism and natural religion as an universal religion which is expected to put an end to religious conflicts. Moreover, voluntarism changed the way of inquiring nature from the speculative to the experimental based on observation and experiment, and provided the clues of the birth of experimental philosophy (empiricism) which is the experimental inquiry of human nature. In short, the Reformation brings about the search for universal religion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the advent of experimental philosophy. Universal religion is not a mystic religion on which the religious behaviors and practices are based but just a world view that is the basis for scientific inquiry, and it was nothing but a philosophy for science. And also the experimental philosophy was a philosophy by science in that it is a science of human nature through experiment and observation, After all, the Reformation expelled religion from the main living room of philosophy and placed science on the spot instead.

      • KCI등재

        일본근대철학의 형성과 번역

        김동기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5 시대와 철학 Vol.16 No.1

        19세기 중엽 성양의 충격은 문명개화와 부국강병으로 막부체제의 봉건 일본사회를 근대적 모습으로 탈바꿈하게 하였으며 정치 및 군사적인 면에서뿐만 아니라 학문적 세계에서도 동아시아에서 주도적 지위로 발돋움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여기에는 중국과 조선에서 행하지 못했던 전사회적 서구화 열풍이 배경이 되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체제개혁 즉 명치유신과 더불어 서구의 근대를 배우면서 서구 학문의 수입과 일본화가 그 가운데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1830년대에서 60년대까지의 서구 학문의 수입과 번역은 주로 문명사 전반에 걸쳐서 수행되었으며 따라서 광범위하고 전문성이 결여된 번역이 주류를 이루었다. 1870년대로 들어오면서 체계적인 문명개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전문적인 학문훈련을 받은 학자들에 의해서 오늘날까지 정착한 번역어가 속속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본 글에서는 우선 1880년대 이후 일본에서 서양철학을 수입하면서 번역어가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정착하게 되었는 지를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국가주의가 주창된 사회적 분위기와 근대 학제의 정비와 독일유학이 장려되는 사회분위기와 맞물리면서 독일철학에 관심이 집중되고 번역에서도 칸트에서부터 신칸트 학파에까지 걸쳐 다양한 인물과 분야에 이르는 광범위한 부분에서 번역이 이루어졌다. 한편으로는 1882년 '동양 사회당'의 결성을 필두로 사회주의 철학이 유입되면서 일본자본주의에 대항하는 실천적 목적에서의 사회주의 철학이 유입되어 이와 관련한 번역도 대거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일본 공산당'의 결성과 함께 마르크스주의 관련 저작이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소개되면서 본격적인 마르크스주의 철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이에 따라 마르크스를 중심으로 사회비판적 사회사상과 관련된 철학 번역어가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근대 학문의 유입과정을 철학 분야에 한정해서 철저하게 아카데미즘적 철학 연구에 몰두하고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이 융합되었다고 하는 이른바 '일본철학'을 만들어낸 '쿄오토학파'가 등장하게 된다. 니시다 키타르를 시작으로 쿄오토대학 재직 철학 전공자들 사이에 개념 첨착과 원전 강독을 통해 활발한 토론과 검토가 이루어졌다. 기존의 번역어를 재검토하면서 학문적 근거를 띤 용어가 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나아가 쿄오토 학파의 철학적 사색은 철학이 사회문제와는 괴리된 관념의 유희로 전락하게 하는 계기도 함께 제시해 주고 있다. This treatise is to look into how modern philosophy was formed in Japan from the 1880's till the 1930's and at the same time to observe how its translating work was conducted. To this end, treatise-writing work was executed, classified largely in three parts. First part mentions how the Japanese translation of philosophy got fixed and what process it underwent, as Western philosophy was introduced to Japan after the 1880's. Here, interest was centered on German philosophy, and translating work was conducted about various figures and fields from Kant to Neo-Kant school. Second part mentions socialist ideology-concerned philosophy and its translation. With the organization of "Oriental Socialist Party" in 1882 and the set-out of "Japanese Communist Party" in 1922, as Marxism-related books were introduced systematically to Japan, the Japanese translation of philosophy, related to social critical socialist ideology with Kant as the central figure, appeared in Japan. Third part mentions "Nishida philosophy" and "Kyoto school". Here we can take a new look at existing translation and see scientifically grounded terms were reconsolid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