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화론과 1970년대 문학사 서술

        이현석(Lee, Hyun-seok) 한국현대문학회 2015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7

        본고는 문학사의 연속과 단절을 바라보는 관점을 1960년대 이후 제기된 근대화론의 문제와 연관하여 살펴보고자 했다. 이 시기 근대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은 단순히 이론적 측면에서 제안된 것이 아니라 당대의 정치사회적 실천방안으로 제시된 것으로 이해되며 그것이 학적 공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된다고 본고는 전제하였다. 그것이 문학사 기술이라는 특정 연구영역에서 문학담론에 실질적인 영향관계를 보인다고 할 때 그 주요한 해석적 논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근대문학의 기점을 문학사의 내재적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영정조 시기로 소급하는 것은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연속성을 어떤 방식으로 재기술할 수 있는가. 둘째, 근대문학의 담당층은 어떤 정치사회적 토대 위에 존재하며 그들은 근대문학의 특성과 가치를 어떤 방식으로 결정하는가. 셋째, 근대 민족어의식과 근대문학 양식의 정립에 대한 다양한 연구자들의 시각은 어떤 방식으로 문학사적 연속과 단절을 설명하며 그것이 1970년대 문학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가.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1960년대 미국 근대화론 입안자들의 정책결정이 한국지식 담론에서 재생산되는 양상을 살폈으며 그것이 사학계에서 제기된 내재적 발전론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하는 점을 우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담론 지형을 전제로 하여 먼저 조선후기 근대기점론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고전문학에서의 문학사적 논점을 실학파 문학과 평민문학에 대한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김윤식, 김현이 함께 저술한『한국문학사』(1973)에서 제시된 문학사 기술방법론이 가지는 문제점을 근대문학 기점 설정의 정당화 방식 및 한국문학사의 특수성 문제와 연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한국문학사』의 관점에 대한 비판으로,〈문학과지성〉과〈창작과비평〉양 문학진영에서 제기된 논점의 특성과 문제점을 논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본주의화에 대한 상이한 관점에서부터 근대문학의 기점에 대한 가치부여가 각기 달리 이루어지는 바, 고전문학 연구자들이 취하는 연속성의 관점은 근대어와 근대문학양식상에서의 단절을 쉽게 설명할 수 없는 난점을 드러내지만 근대문학 담당층의 역할에 대한 당대 근대화론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현대문학 연구자들의 시각은 표면적으로 근대화론의 기본 전제를 받아들이면서도 그 연속성을 어떻게 재구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상이한 관점들을 보여주며 그것이 한국문학사 서술내부에서도 긴장관계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이후 비판의 관점에서도 나타난다. 자본주의에 대한 승인과 거부, 근대문학 담당층으로서의 시민계급의 부재에 대한 논점, 한국문학의 주변성과 특수성에 대한 해석적 차이 등이 그 결과로 나타나며, 이는〈문학과지성〉과〈창작과비평〉양 진영이 취하는 문학론적 시각의 차이를 분명하게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제말기 임화의 문학비평과 이중과제론

        하정일 한국근대문학회 200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0 No.2

        This essay is a study on Limhwa's literary Criticism in late colonial period. In late 1930's Limhwa reestimated nation and modernity. He thought that nation and modernity was an important value to be accomplished. Limhwa argued that proletarian literature had to undertake this mission because bourgeois literature failed. At the same time Limhwa insisted that proletarian literature accomplished its own mission, so called overcoming modernity. Limhwa thought that these were double missions assigned to proletarian literature. Limhwa proposed that building national literature was a present problem because national literature could solve double missions. But Limhwa emphasized on the proletarian subjectivity of national literature. Because Limhwa believed that national literature based on proletarian subjectivity could solve national problem and class problem simultaneously. But the theory of double missions presupposed that accomplishing modernity and overcoming modernity were proceeded step by step. Until accomplishing modernity, overcoming modernity had to be delayed. Therefore the theory of double missions was consequently imprisoned in the paradigm of modernism. This limit was solved in early liberation period by Limhwa himself. 임화는 카프의 해체를 전후해 볼세비키화론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을 수행한다. 임화가 보기에 볼세비키화론은 두 가지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하나는 모든 문제를 계급성의 차원으로 환원하는 계급 중심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식민지적 특수성에 대한 인식의 결여였다. 이로 인해 프로문학운동이 일제 파시즘의 공세에 무력하게 굴복하고 말았다는 것이 임화의 진단이었다. 그러한 자기반성을 통해 임화는 민족과 근대라는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기 시작한다. 이는 부르주아 민주주주의적 가치들에 대한 재인식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30년대 중반부터 임화는 ‘근대적 의미의 민족문학’의 건설을 조선문학의 당면과제로 제시한다. 그러나 그 건설의 주체는 프롤레타리아를 중심으로 한 민중이 되는데, 그것은 토착 부르주아가 주체가 된 민족문학의 건설이 실패로 끝났기 때문이다. 그래서 민족문학의 건설이라는 근대적 과제가 민중의 몫이 된 것이다. 다만 민중이 주체가 된 민족문학은 부르주아가 해결했어야 할 근대적 과제뿐 아니라 프로문학이 지향하던 근대 극복이라는 과제까지 짊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부르주아 민족문학과는 성격을 달리한다고 임화는 생각했다. 그런 점에서 임화의 민족문학론은 일종의 이중과제론이라고 할 수 있다. 주목할 점은 이 시기의 이중과제론이 근대 이후로의 계기성을 보다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말하자면 민족문학을 그 자체로서보다는 근대 이후로의 계기성에 초점을 맞춰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민족문학은 사회주의문학의 초석을 놓는 이행기의 문학으로 규정된다. 30년대 말로 접어들면서 임화의 구상은 다소간의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변화는 총동원체제라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총동원체제는 민족과 근대의 동반 위기를 낳았고, 그에 따라 임화는 근대적인 것의 선차성을 보다 중시하기 시작한다. 프로문학과 민족주의문학의 공통점에 대한 강조는 그러한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 그 연장선상에서 임화는 민족주의문학보다는 일본문학에 대한 대타의식을 강력하게 표명한다. 임화는 일본문학과 조선문학을 세계문학 아래 편제된 별개의 ‘지역문학’으로 배치한다. 이러한 임화의 관점은 조선문학을 일본문학의 주변부에 위치한 ‘지방문학’으로 규정한 최재서의 관점과 날카롭게 대비된다. 언어 문제에 있어서도 임화는 ‘좋은 언어’라는 비유를 통해 민족어의 가치를 거듭 옹호한다. 이중과제론 역시 그대로 견지된다. 다만 30년대 중반과 달라진 것은 근대성의 성취와 근대 극복을 선후관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이다. 요컨대 근대적 과제를 해결한 다음에 근대 극복으로 나아간다는 단계론적 발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근대적인 것의 선차성을 중시한 데 따른 이론적 귀결이라 할 수 있다. 이중과제론은 볼세비키화론의 단선적 사고에서 벗어나 근대성의 성취와 근대 극복을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했다. 그러나 이행기론이든 단계론이든 근대성의 성취와 근대 극복을 별도의 두 국면으로 구분하고 있는 것은 이중과제론의 치명적 한계였다. 이러한 이론 체계는 근대성이 완성될 때까지 근대 극복이 한없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이중과제론은 결과적으로 근대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한계...

      • KCI등재

        1970~90년대 민족문학론의 근대성 비판

        강정구 ( Kang Jeong-gu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8 No.-

        이 논문은 1970~90년대 민족문학론의 시대적인 가치와 의미를 인정하면서도, 근대를 억압과 저항의 시대로 바라본 민족문학론의 인식을 문제 삼는다. 이런 인식이 근대를 이항대립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탈식민주의의 논리를 참조해서 근대를 혼성과 모방의 시대로 규정하고, 이런 관점에서 민족문학론의 근대성 논의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억압과 피억압 또는 억압과 저항의 논리를, 구체적으로는 근대 주체론, 근대문학 기점론, 근대 극복론을 비판·해체한다. 먼저, 민족문학론의 근대 주체론은 선도·대변의 대상이었던 `대다수의 사람들`을 민중으로 명명하고 억압적인 현실을 극복해 나아가는 저항의 주체로 전유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지적된다. 민중을 피억압·피지배 계층(김지하의 경우)으로, 그리고 진보사관에 근거한 변혁주체(백낙청의 경우)로 보는 것은, 지배권력과 민중 사이의 혼성적인 관계성을 무시한 태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민족문학론은 마샬 버먼의 “근대성의 경험”을 “일반적인 기준”으로 삼아서 1894년 동학농민운동說(백낙청의 경우) 혹은 1905년 애국계몽기說(최원식의 경우)을 근대기점으로 설정하는데, 이 때 문제는 그 “일반적인 기준”이 일면적인 시각으로 논의된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 근대적 경험과 근대문학의 다양하고 주목할 만한 측면들이 논의에서 제외되는 문제점이 있다. 끝으로, 민족문학론의 근대 극복론은 근대 시기의 反민중적인 억압성을 비판하고 민중 중심의 극복논리를 모색한 논의에 대한 것이다. 백낙청은 근대의 성과에 적응하면서도 근대적인 민중 억압을 극복하자는 `이중과제`를 제안하지만, 그의 주장은 지배권력과 민중의 관계가 혼성적인 근대의 상황을 간과한 채 억압에 대한 극복·저항 방안을 모색한 독아론적인 논리라는 점에서 중요한 한계가 있다. 오늘날은 지난 시대에 치열하게 응전한 민족문학론의 문제의식을 본받으면서도, 근대를 바라보는 이항대립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혼성성의 논리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This essay is concerned that What is modernity of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discussed oppression-resistance in modernity. But the logic of oppression-resistance is stiff perspective. Because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see 1970~80` minjung in binaristic the oppressed and a priori fighter, but in reality 197 0~80` minjung is hybrid and mimic sein. The Aim of this essay show the discourse of starting point of modernity, the discourse of modern subject, and the discourse of overcoming modernity, critically and dis-constructive. Frist, the discourse of starting point of modernity in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that they look minjung`s history experience in one-sided. Secondly, the discourse of modern subject in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that they minjung` reality and theory as image `from the oppressed to fighter` is estranged. Thirdly, the discourse of overcoming modernity in the discourse of minjokmunhak is that they see overcoming modernity in minjung` acton, but that is ideological fantasy. So the discourse of oppression-resistance is changed in the discourse of reality-resistance.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의 재영역화와 연구 방향

        이용욱(Lee Yong wook)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이 논문은 AI가 소설을 창작하고 딥러닝 기술이 예술의 알고리즘을 학습하는 디지털시대에, 문학연구는 왜 새로운 학문 영역을 개척하지 못하고 여전히 ‘이광수’와 ‘일제강점기’에 머물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에서부터 출발한다. 1990년대에 이미 탈근대를 선언했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근대에 집착하고 있는 학문의 보수성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 한국현대문학연구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과 ‘디지털서사학’이 새로운 연구 경향으로 확장 발전하지 못하고, 문학의 미래에 대한 국문학 연구자들의 관심이 부족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문학이론의 빈약함 때문이다. 그리고 학문후속세대들의 창의적인 연구를 포용하고 새로운 문학이론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담당해야 할 대형학회와 학술지들이 타성과 순혈주의에 젖어 도전적인 문학연구방법론을 배타하거나 학술논문의 엄정함으로 재단함으로써 이론의 빈곤은 악순환 되고 있다. 가라타니 고진은 일본의 근대문학은 1980년대에 끝났다고 이야기한다. 이제 소설 또는 소설가가 중요했던 시대가 끝났고, 소설이 더 이상 첨단의 예술도 아니며, 영구혁명을 담당하지 못하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근대문학의 종언은 근대소설의 종언이라고 해도 무방해졌다. 무엇보다 소설이 지켜왔던 역사와 사회ㆍ개인에 대한 지적이고 도덕적인 책무, 재현과 성찰, 반성과 저항의 가치들은 사라지고 유희와 쾌락의 글쓰기가 소설이라는 이름으로 소비되고 있을 뿐이다. 1980년대를 근대의 마지막 시기로, 1990년대를 근대에서 벗어나려는 시도가 사회 전반에 걸쳐 진행된 탈근대의 시대로 본다면, 현대의 시작은 2000년 이후부터 시작된다. 필자가 근대와 탈근대, 현대의 시기 구분을 한 이유는 우리가 지금 어느 시대에 서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우리는 근대에 태어났지만 지금은 현대에 살고 있다. 그리고 현대문학을 연구하는 연구자이다. 근대문학을 현대문학이라고 위장하기에는 우리 앞에 놓인 문학의 현실이 녹록치 않다. 문학의 마지막 보루인 아카데미에서 조차 현대문학 연구를 시작하지 않는다면, 문학은 정말 종말을 고하게 될지도 모른다. 현대문학은 근대문학의 종언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종언은 단절과 변별, 새로운 시작을 포함한다. 현대문학은 ‘문자’로부터 ‘리얼리티’로부터 ‘작가’로부터, 그동안 문학을 둘러싸 왔던 모든 관습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문학은 이제 새로운 출발선 위에 서 있다. 무엇을 문학의 범주 안에 포섭하던지 간에 중요한 것은 재현과 반영의 서사인가 아닌 가이다. 재현과 반영의 서사라면 그 형식과 무관하게 현대문학 연구의 영역이 될 수 있어야 한다. 현대문학연구는 초언어적 보편구조를 갖는 이야기에 집중하며 새로운 예술미학을 견지하여야 한다. 디지털서사를 연구대상으로 포함해야 하고 위아래가 없고 오로지 토폴로지만 있는 네트워크 중심의 새로운 학문공동체가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근대문학의 종언이라는 냉엄한 현실을 인정하는 가장 어려운 일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thank the students for their understanding of why AI is writing novels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is learning algorithms of arts. In the digital era, why literature research is still in ‘Lee Kwang Soo’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depart. It is a criticism of the conservatism of the scholars who still obsessed with the modern age even though they declared the postmodern in the 1990s. Digital storytelling and digital narrative are not developed as new research tendency in Korean modern literary research, and the lack of interest of Korean literary researchers on the future of literature is due to the weakness of literary theory above all. And large academic societies and journals that embrace the creative research of subsequent generations of scholars and act as incubators of new literary theories are immersed in inertia and pure-bloodism. By exclusion of challenging literary research methodologies or by the strictness of academic papers, It is becoming vicious. Modern literature started from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The end includes disconnection, discrimination, and a new beginning. Contemporary literature should be free from ‘characters’, ‘reality’, ‘writers’, and all the customs that have surrounded literature in the meantime. Literature is now standing on a new starting line. Whatever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literature, what is important is not the narrative of representation and reflection. The narrative of reproduction and reflection should be an area of contemporary literature research regardless of its form. Modern literary studies should focus on stories with a superglobal universal structure and maintain a new aesthetic of art. A new academic community based on networks should be created that includes digital narratives as research subjects and has no top and bottom, but only topology. In order to do that, we must start with the most difficult thing to recognize the cold reality of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끝에서 바라본 한국근대문학

        김영찬(Kim Young-chan) 한국근대문학회 200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0 No.1

        근대문학의 끝에서 요구되는 것은 ‘근대문학’에 대한 성공적인 애도 작업이다. 이때 애도란 이를테면 ‘근대문학’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상징화(의미화)하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곧 근대문학의 의미를 그 자체로 역사과정 속에서 자리매김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죽음의 맥락과 그 죽음 이후의 문학을 다시금 차분히 궁구해보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근대문학의 끝이란 크게 보아 근대에 대한 미적 반응으로서 (광의의) ‘모더니즘의 종언’이다. 2000년대 탈내면의 문학은 모더니즘의 끝에서 자라나온, 모더니즘 이후의 문학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무엇보다 ‘대면’하기보다 미끄러져가고, 의미의 거점을 구축하기보다 밖으로 풀어헤쳐버리는 문학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문학은 자신에게 지워진 짐을 가볍게 내려놓고 바깥이 아닌 그 자신의 안에서 자율성과 더불어 유희하며 자율성을 내적으로 소진시키는 문학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다시 말하면 근대라는 타자를 자기 내면성의 존재조건으로 삼는 문학이, 다시 그 내면성을 근대라는 타자에 맞세우는 문학이 이제는 끝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완전한 근대가 그 자신을 비로소 완성했을 때, 역설적이게도 근대에 대해 문학이 보여주었던 대면의 의지와 미적 반응의 운동은 끝에 이르렀다. At the end of Korean modern literature, We need mourning for it. At this time, mourning means the acceptance and the symbolization of the death of modern literature. The end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s the end of modernism as a reaction upon the modern. The literature of de-internality in this century is a literature after modernism, which grew up at the end of modernism. Because it is the literature which sliding than confronting, de-constructing a base of meaning than constructing. And because it is a literature unloading itself and then exhausting the autonomy in it, playing with that autonomy. That is to say, it means that literature taking the modern as a being-condition of itself and then facing up to the other of the modern come to the end. When the incomplete modern complete itself for the first time, will to confront and movement of aesthetic reaction come to the end paradoxically.

      • KCI등재

        근대지식과 근대문학의 교호 양상에 대한 한 고찰

        박헌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8 외국문학연구 Vol.- No.31

        근대문학은 근대지식의 일환이다. 식민지 조선에서 근대문학이 누렸던 위용은 그것이 근대화의 동력으로 인식됐던 근대지식의 첨병이었다는 사실과 무관치 않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 근대문학의 사회적 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학’ 내부의 시선만이 아니라 근대지식이라는 일반적인 위상체계에서 문학이 차지하는 역할과 의미를 읽어내려는 시선이 필요하다. 이는 지식의 사회학과 문학의 역사성을 재고해보는 관점을 요청할 것인 바, 매우 다각적인 검토가 요망되는 영역이다. 본고는 이를 위해 경성제국대학 출신들이 발간한 학술종합잡지였던 􋺷신흥􋺸을 대상으로 근대지식과 근대문학의 교호작용을 살펴보고자 했다. 􋺷신흥􋺸에서 전면화되는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학문적 권위의 발생양상과 그 문제를 살펴보고, 그것이 근대학술사의 전개에서 가지는 의미를 일차적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신흥􋺸에서 문학이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를 분석하여 학술지에서 문학이 다루어지는 양상을 점검했다. 번역을 통한 지적 우월의 확인과 참여의 폭 확대, 그리고 위안과 의지의 형식으로서의 문학의 의미를 점검해보았다. 그러나 한두 잡지를 연구한다고 해서 근대지식과 근대문학의 교호 작용이 다 드러날 수는 없다. 다만 이런 관점을 확대재생산할 때 근대문학의 사회성과 역사성에 대한 새로운 시야가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Modern literature is a part of modern knowledge. Commending position of modern literature in the colony Choseon shows that it is a vanguard of modern knowledge as core force of driving modernity. This article is a try to examine modern literature' role and meaning in universal architectonic system of modern knowledge, which needs a view regarding sociology of knowledge and historicity of literature rather than immanent view in literature. Being a academic magazine published by graduates and students of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Sinheung􋺸 could be a good object for this study on alternating or interacting process of modern knowledge and modern knowledge. This article try to show generating aspects of scientific authority centering on university in 􋺷Sinheung􋺸 and to suggest its meaning for modern academic history' development. It also try to comment what position of literatures is in this magazine with focusing on translation of literature as a way of confirmation intellectual superiority of publishers or writers and literary writing as a comfort or support of life and reality This article has a meaning only as a start point suggesting new vision of sociality and historicity and of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세계문학과 근대성의 문제

        김용규(Yong Gyu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3 비평과이론 Vol.28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세계문학에서 근대성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새로운 근대성 개념을 제기해온 프레드릭 제임슨과 그에 근거해 세계문학론을 주장하는 닐 라자러스와 니컬러스 브라운의 세계문학론을 근대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오랫동안 세계문학은 서구적 근대성의 산물이자 현상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서구적 근대성과 그 미적 양식이 세계문학의 일차적 기준이었다. 이런 현실은 비서구 문학을 서구문학을 모방하고 흉내 낸 문학이라는 부정적 오명을 쓰게 만들었다. 최근의 세계문학론에서 근대성의 문제는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다. 서구적 근대성을 제대로 논하지 않고서는 서양 중심적인 세계문학을 뛰어넘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제임슨, 라자러스, 브라운의 세계문학론은 근대성에 대한 서구중심주의를 비판하는 한편, 자본주의의 고유한 문제들에 주목하는 근대성 개념을 제안함으로써 중심부와 주변부, 서양과 비서양의 이분법을 극복하면서 문학의 근대성과 보편성을 새롭게 주장한다. 이들의 세계문학론은 그동안 서구적 근대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온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그것은 우리의 근대성과 체제의 문제를 문학적으로 철저히 형상화하는 것이 곧 세계문학의 실천임을 깨닫게 해준다. 이를 통해 세계문학은 해당 사회의 근대적 문제들과 치열하게 대면하면서 새로운 정치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문학이라는 기본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problem of modernity in world literature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theory of world literature by Frederic Jameson, Neil Lazarus, and Nicholas Brown, who have formulated a new concept of modernity against Western modernity. For a long time, world literature has been regarded as a field in which the ideas and values of Western modernity were embodied. This led to the negative labeling of non-Western literature as less worldly and more local literature that falsely imitates the modernity of Western literature. So the problem of modernity, such as how to overcome Western modernity and rethink the concept of modernity radically, has become one of the essential issues in the recent theories of world literature because we can not achieve the further development of world literature without properly criticizing the existing concept of Western modernity. What is interesting in Jameson’s idea of singular modernity and Lazarus and Brown’s theory of world literature is that they criticizes the Western conception for modernity and suggests the new concept of modernity that pays attention to the proper problems of capitalism rather than the West. Moreover, their theory pursues for a new political reading on the modernity and universality of literature, overcoming the dichotomy between central and peripheral, western and non-western. Their theory of world literature has also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s who have been strongly influenced by Western modernity. It makes us realize that our own literature can be world literature when we thoroughly explore our own modernity and the problems of capitalism. It also recalls us the basic fact that world literature is a literature that can search for political possibilities in the modernity of our own world and its internal contradictions and cracks.

      • KCI등재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 그 반성의 자리와 갱신의 계기

        정출헌 ( Chung Chul-heon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5 No.-

        최근, 열병처럼 퍼져나가던 포스트담론이 어느덧 시들해졌다는 말을 종종 듣게 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근대성에 대한 논의, 더욱이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야 말할 필요도 없다. 시효성을 상실해도 한참 상실한 진부한 논 의가 바로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를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그를 통해 근대성 논의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려는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근대성 논의 의 폐기 또는 갱신의 길을 가늠하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무엇보다 근대성 담론에 의해 무참하게 훼손되거나 평가 절하된 고전문학의 문학적 성취, 곧 고전문학의 중세적 특징을 새롭게 조망하고 그로부터 고전문학 연구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런 목적을 가지고 지난날 우리 문학 연구에 강력한 영향력을 끼 쳤던 전통단절론/이식문학론과 내재적발전론의 인식론적 동일성과 그 한계를 비판적으로 살폈다. 이런 인식론적 한계 위에서 조급하게 이루어졌던 고 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 그리고 근대성에 대한 모호한 이해 위에서 반복 적으로 되풀이되던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적 요소 검출 또한 반성적으로 되돌 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근대, 또는 근대문학이라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고 전문학의 문학적 성취라든가 거기에 담긴 진정성을 읽어내는 데 너무나 소홀 했기 때문이다. 이를 반성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세를 무조건 배척해야 할 그 무엇으로 간주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중세에 대한 충실한 이해를 갖추 려는 태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그것은 지워버린 중세에 대한 정당한 자리 매김이라는 일차적인 의미를 넘어선다. 어떤 논자들은 근대성 담론의 과제를 근대와 탈근대의 회통이라고 보고, 문학적으로는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회통으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그에 앞 서 이제껏 간과해온 전근대의 중세성을 진지하게 재조명하는 작업, 그리하여 전근대와 근대가 진정으로 회통하는 작업이 전제되어야만 한다. 그럴 때 비 로소 근대성 논의는 보다 튼실한 지반 위에서 전개될 수 있고, 지금보다 훨씬 활기찬 갱신의 계기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이 낡아빠진 듯한 고전 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가 지금도 여전히 필요한 이유이다. Recently we frequently hear the postmodern discourse that once spread like a fever now becomes disinterested before we are aware. If that is true, the discussion over the modernity, furthermore the discussion over the modernity in classic literature is needless to say. The discussion of the modernity over classic literature would be out-of-date argument that lost the statute of limitations. Despite all the facts, we should not neglect the effort to make new turnover and critically check the discussion of the modernity and never give up efforts to make new opportunity over modernity discussion. It is not only for abolition of modernity argument, nor for estimation of renewal. Above all it is to take a new view of the medieval characteristics of classic literature and find a way out for literary achievement of classic literature that underestimated or horribly damaged by modernity discourse. With this purpose we critically examined the epistemological identity and its limitation in tradition disconnection theory, transplant literary theory, and internal development theory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literature study. We ought to look back reflectively the facts that the discussion on modernity in the classic literature was made under this epistemological limitation and that we repeatedly detected modern elements in classic literature under the vague understanding of modernity. We paid so little attention to read the authenticity and literary achievement of classic literature because we were seized by obsessional idea of modernism or modern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get out of the attitude that absolutely exclude Middle Age and to have full understanding on the Middle Age to overcome this. It is more than basic meaning of restoring right of erased middle age. Some consider that the problem of modernity discourse is communication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or literarily, communication of realism and modernism. However, it should be premised on the work of reilluminating the medievalism of premodernism earnestly and true communicating of premodernism and modernism. By doing so, the discussion of modernity will be developed based on strong foundation and have opportunity for more active renewal. That is why modernity discussion over classic literature that seemingly antiquated is still required.

      • KCI등재

        번역되지 않은 영향, 비극의 재구성 -브란데스, 입센, 니체를 중심으로-

        양순모 ( Yang Soon-m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24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2

        본고는 선행연구 「번역되지 않은 영향, 브란데스의 재구성: 1910년대와 변방의 세계문학」에서 출발한다. 위 연구는 식민지 조선에서 “한 번도 번역된 바 없”지만 식민지 조선 내 “사상과 문학의 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비평가 기오 브란데스(Georg Brandes)를 탐구한 논문으로, “직접 번역 영향 관계를 벗어나 세계문학 범위에서 한국의 사례에 접근해 보려는” 시론(試論)적 시도이자, 궁극적으로 “식민지시기의 한국 문학에 새롭게 접근하는 단초를 만들어 보고자”하는 선구적인 탐구이다. 그리고 본고는 선행연구를 따르되, “트랜스내셔널한 공통의 지적 배경을 재구성해 보려는 시도”의 대상이자, “근본적 수준에서 장 자체의 구성에 기여했으나 그 참여자들조차 망각한 원천을 발굴해 내는 작업”의 대상으로 브란데스가 아닌 ‘비극’을 상정한다. 관련하여, 브란데스는 차치하더라도 예컨대 ‘입센’은 당대는 물론이고 왜 오늘날까지도 한국 문학(연구)장에서 단 한 차례도 ‘비극 작가’로서 호명되지 못한 것인지 의문을 가질 필요가 있다. 분명 『인형의 집』 작가 노트가 “근대 비극를 위한 노트(Notes for the Modern Tragedy)”라는 제목을 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근대문학(연구) 장에서 『인형의 집』과 입센은 ‘비극’이나 ‘비극 작가’로 해석된 적이 없다. 만약 입센이 대표적인 서구 근대 ‘비극 작가’라고 한다면, 그동안의 한국 근대문학(연구)장은 ‘서구 근대문학’ 배후에 존재하는 짙은 그림자로서 비극을 규명하지 못한 채, 무의식적으로, 간접적으로 영향 받고 있던 것은 아닌지 질문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기오 브란데스를 비롯 당대 동아시아 및 식민지 조선 문단에 강력한 영향을 끼친 입센과 니체의 공통 배경으로서 ‘비극’을 “번역되지 않은 영향”으로 상정한다. 근대문학을 두고 “비극 ‘이후’뿐만 아니라 또한 비극에 ‘맞서’ 태어났다”고 말하는 모레티에 따르면, 유럽은 근대문학의 유럽과 비극의 유럽으로 구별되어 있었으며, 유럽의 상황을 비롯해 수용의 과정에서 비극은 근대문학의 그림자로 자리 잡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는 서구 근대문학의 그림자로서 근대 비극을 우리가 여전히 좀처럼 번역해내지 못하고 있다고 가정하며, 식민지 조선 문학장에서의 ‘비극’의 재구성을 시론적으로나마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근대문학(소설)’과의 관계를 통해 좀 더 선명하게 드러나는 그림자로서 ‘비극’의 정체를 좀 더 자세히 정리한 후, ‘비극’이라는 공통의 배경과 더불어 근대 초 동아시아 및 식민지 조선 문학장에 주요한 영향을 끼친 ‘브란데스’, ‘입센’, ‘니체’를 대상으로 그간 알려진 모습과는 다른 그들의 면모를 살펴본다. 위와 같은 작업과 더불어 우리는 식민지 조선에서의 ‘번역되지 않은 영향’으로서 ‘비극’의 정체를 보다 분명히 규정해볼 수 있으며, 나아가 식민지 조선에서의 그 흔적과 영향들을, 그리고 이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의 지점들을 조심스레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builds on a previous study, “Untranslated Influences, Reconstructing Brandes - The 1910s and World Literature on the Margins.” The previous study explored Georg Brandes, a critic whose works were “never translated” in colonial Korea bu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ield of thought and literature” in colonial Korea, and is a pioneering attempt to “approach the Korean case from the s cope of world literature outside of the direct translation influence relationship” and ultimately “create a new approach to Korean literature in the colonial period.” This article follows in the footsteps of the preceding studies, but places “tragedy” in the place of Georg Brandes, as the object of an attempt “to reconstruct a common transnational intellectual background” and “to unearth sources that contribu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chapter at a fundamental level but have been forgotten even by its participants.” In this regard, it is worth asking why, Brandes aside, Ibsen, for example, is not even mentioned once as a “tragedian” in Korean literature (studies) fields, not only in his time but even today. Certainly, despite the fact that the author’s notes for A Doll’s House are titled “Notes for the Modern Tragedy,” A Doll's House and Ibsen have never been interpreted as a “tragedy” or “tragedy writer” in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fields. If Ibsen is a representative Western modern tragedy writer, it is necessary to ask whether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field has been unconsciously and indirectly influenced by tragedy as a dark shadow that exists behind ‘Western modern literature’ without identifying it. Therefore, this paper posits “tragedy” a s an “untranslated influence” as a common background for Ibsen and Nietzsche, who strongly influenced the East Asian and colonial Korean literatures of their time, including George Brandes. According to Moretti, who says that modern literature was “born not only ‘after’ tragedy but also ‘against’ tragedy”, Europe was divided into a Europe of modern literature and a Europe of tragedy, and tragedy was bound to become the shadow of modern literature in the process of acceptance, including the European situation. This paper will attempt to reconstruct ‘tragedy’ in the literature of colonial Korea, assuming that we are still unable to translate modern tragedy as a shadow of Western modern literature. To this end, this paper will first organize the identity of ‘tragedy’ in more detail as a shadow that is revealed more clearly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modern literature (novel)’. Then, in addition to the common background of ‘tragedy’, we examine Brandes, Ibsen, and Nietzsche, who were major influences on the literary canon of early modern East Asia and colonial Korea, in a way that is different from how they have been portrayed. Through this work, we can more clearly define the identity of ‘tragedy’ as an ‘untranslated influence’ in colonial Korea, and carefully infer its traces and influences in colonial Korea, and the new points of interpretation that can be gained from them.

      • KCI등재

        근대문학관 건립을 위한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이민호 ( Lee Minho-ho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한국근대문학관은 아직 태동하지 않았다. 존재의 당위성만이 있을 뿐이다. 어디에 근대문학관을 짓고, 어떤 규모와 모습이어야 하며, 누가 어떻게 운영하는가를 논할 게재가 아니다. 그런 측면에서 본고는 한국 근대문학을 어떻게 공간화할 수 있는가 방법론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우리나라 문학관 현황을 볼 때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고 그 해결책도 대동소이하다. 그만큼 문학관 건립 취지에 대해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돼 있기 때문에 사업범위, 규모, 운영형태에 대한 문제는 부차적이다. 오히려 문학의 현실과 관련해 문학관의 공간성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상태다. 특히 문학관 앞에 붙은 `근대`는 수사에 지나지 않는 듯하다. 그만큼 근대문학관 건립 자체가 우리 문학의 근대성 논의와 무관하지 않다. 근대문학관은 단순히 근대라는 시간을 가두는 거푸집이 아니라 근대공간을 감각하는 시 · 공간의 장소라 할 수 있다. 시간은 현재의 존재감을 가능케 하는 기계이다. 과거와 미래의 시간은 무엇으로 감각하는가. 공간의 역할이 거기에 있다. 그러므로 현재를 살며 과거와 미래를 함께 거주할 수 있는 장소로 한국 근대문학관이 건립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들을 토대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고 자아와 타자의 차이를 지양하여 근대문학을 여러 방향에서 융합하는 통합서사로서 `상상력의 공동체`를 제시한다. 대전제로서 도출된 스토리텔링은 우리의 근대문학을 `중립지대` 혹은 `완충지대` 이미지로 테마화할 것이다. 이를 통해 근대문학 속에 전통과 근대, 자아와 타자의 이미지 맥락을 완충적이고 중립적인 융합 이미지로 구축함으로써 한국문학의 가치를 `동북아`를 넘어 `세계화`하는 하위 스토리텔링으로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전통과 근대문학 속에서 추출된 통합 이미지를 통해 근대문학관을 `삶의 궁극적 공간`, `삶의 주체적 공간`, `삶의 실천적 공간`으로 테마화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There has been no modern literature museum in Korea yet. There is a justifiable argument for the existence only. But, no specific discussion is made like the place of museum, its size and feature and its operation subject. In this sense, this study aimed to discuss a methodology of making space of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Considering the literature museum in Korea, there are same problems and so are solutions. Since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consensu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literature museum, the project scope, size and operational type are subsidiary. Rather, there is insufficient discussion on the space character of the literature museum. In particular, `modern` attached to literature museum seems nothing but a euphoric. As suc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literature museum itself is closely related to our discussion of modernity. The modern literature museum is not a simple cast to contain modernity as a time, but is a spatial and time location that senses a modern space. Time is a machine enabling sense of existence of the present. How do people sense past and future time? The role of space lies in it. Therefore,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museum must be established as a place to live in the past and future as well as in the present. Based on such conditions, this study would like to suggest `imaginative community` as an integrating narrative conversing modern literature from various directions embracing tradition and contemporary and eliminating differences between ego and the others. Storytelling extracted such a pretext shall be a theme as an image of `neutral zone` or `buffer zone`. By means of this, tradition and modern, image of ego and others could be constructed as neutral and converged image in the modern literature, which might link the value of the Korean literature to the sub-storytelling toward `globalization` beyond `north east Asia`. Ultimately, this study suggested the modern literature museum as themes like `an ultimate space of life`, `a subjective space of life` and `a practical space of life`by means of integrated image extracted in the traditional and moder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