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극단 백수광부의 초기 체호프 연작 연구 - <굿모닝?체홉>, <놀랬지?체홉>을 중심으로

        이진아 ( Lee Chin A ) 한국연극학회 2024 한국연극학 Vol.1 No.86

        이 연구는 극단 백수광부의 체호프 장막극 연작 <굿모닝?체홉>과 <놀랬지?체홉>을 중심으로, 한국연극의 체호프 공연사에서 이들 작품이 갖는 의미를 살핀다. 더불어 극단 백수광부와 연출가 이성열의 연극 미학 구축에서 이들 작품이 지니는 의미도 검토한다. 이 시기는 한국연극이 체호프를 단순한 고전이 아닌 진정한 ‘동시대 작가’로 호출하기 시작한 시기이자, 체호프를 모티프로 하여 한국연극의 미학, 한국연극의 현대성 문제를 적극적으로 실험하기 시작한 시기다. 극단 백수광부의 체호프 연작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한국연극의 변화를 살피는 작업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안톤 체호프의 작품은 사실주의 연극과 밀접한 관련을 지으며 한국연극계 안에서 신화화되어 있었다. 이러한 강박에서 벗어나는 계기이자 변화의 신호탄이었다는 점에서 극단 백수광부의 체호프 연작은 한국연극의 체호프 수용사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체호프의 언어나 서사를 무대 위에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체호프의 연극의 정수를 전달하는 일이 아니라는 것을, 체호프 연극의 비밀은 심리적 리얼리즘에 있지 않다는 것을, 극단 백수광부의 체호프 연작은 한국연극계에 처음으로 증명해 보였다. 이 연작은 ‘체호프의 테마’, ‘체호프의 미학’을 새로운 시각으로 탐구하는 출발점이 되었으며, 체호프를 우리의 동시대 작가로 호명하는 도화선이 되었다. 한편, 이 연작은 연출가 이성열과 극단 백수광부의 연극 세계 구축의 중요한 시작점이기도 했다. 특히 이성열의 연출 세계에 있어서 중요한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일상을 파열하는 그로테스크’에 대한 탐구는 이 체호프 연작에서도 그 단초가 보이는데, 체호프와의 만남으로 인하여 이 테마를 더욱 심화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극단 백수광부와 연출가 이성열의 체호프 연작은 한국연극의 체호프 수용사에 있어서도 큰 의미가 있지만, 극단 백수광부와 이성열의 연극 세계 구축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Chekhov series of theater company Baeksoogwangbu in the Chekhov performance history of Korean theater, focusing on Good Morning? Chekhov and Surprised? Chekhov. The period when these works were performed was when Korean theater began to call Chekhov as a true ‘contemporary writer’, not just a classic. The study of the Chekhov series by the theater company Baeksoogwangbu is also a work to examine these changes in Korean theater. Anton Chekhov's works have long been mythologized in the Korean theater, closely related to realist plays. Baeksoogwangbu’s Chekhov series was an opportunity to escape from this obsession and a signal of change. Reproducing Chekhov's language or narrative on the stage does not convey the essence of Chekhov's play, that the secret of Chekhov's play is not in psychological realism, and the theater company Baeksoogwangbu's Chekhov series prov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theater. This series opened the new era of Chekhov parody and Chekhov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is series was also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heater world by director Lee Sung-yeol and theater company Baeksoogwangbu. These works are also meaningful in the Korean theater history of Chekhov acceptance, but they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the theater world of theater company Baeksoogwangbu and director Lee Sung-yeol.

      • KCI등재후보

        한국연극과 드라마투르그의 역할과 위치 :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 개념을 중심으로

        김옥란 ( Ock Ra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activities of dramturg in the Korean theater. I started dramaturg job by the proposal of directors in the middle of 2000s. My early dramaturg duties, without a clear recognition, were critical commentary in the objective gaze(``outside eye``). Having a lasting relationships with particular theater company, I began to recognize the role of ``production dramaturg``. In the 2010s, producing theaters, Namsan Arts Center, Myeongdong Theater and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were launched and I began to work professional dramaturg. This process showed how dramaturg works and environment changes of the Korean theater production we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This paper sought to explore the role of the Korean dramaturg through the dramaturg theory and history of world theater`s. This article mentioned theoretical case of Lessing and Brecht. In particular, Brecht`s concept of ``production dramaturg`` will be a good reference to ``theater company dramaturg`` and ``producing theater dramamturg`` in Korea. 이 글은, 한국연극에서의 드라마투르그 활동에 대한 현장 보고서의 성격을가진다. 필자는 2000년대 중반 개별 연출가들의 제안에 의해 드라마투르그 작업을 시작했다. 필자의 초기 드라마투르그 활동은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명확한 인식 없이 평론가의 객관적 시선(``외부자적 시선``)에서의 논평에 대한 요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며 드라마투르그 활동에 대한의식적인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특히 특정 극단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0년대에접어들면서 남산예술센터, 명동예술극장, (재)국립극단, 두산아트센터 등 국공립 제작극장의 출범 이후 전문적인 드라마투르그로서 활동하게 되었다. 이상초기의 자생적이고 무의식적인 활동 과정, 특정 극단과 지속적인 유대감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활동하던 시기, 2009년 이후 본격화된 제작극장 시대에 요구되는 전문적인 드라마투르그 활동 등 필자의 활동 과정 자체가 한국연극의 환경 변화와 드라마투르그의 작업이 얼마나 긴밀하게 맞물려 있는지 보여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필자가 드라마투르그로서 겪었던 혼란과 고민들을 정리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러한 고민들을 해결해나가는 방법의 하나로 드라마투르기의 이론과 역사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과 현실적인 비전을 제시해보고자했다. 이 글에서 이론적 역할 모델의 일부로 제시한 레싱과 브레히트의 사례, 특히 브레히트의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개념은 한국적 현실에서 ``극단 드라마투르그``와 ``극장 드라마투르그``의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중요한 참고지점이 되었다.

      • KCI우수등재

        연극 《햄릿 아비》의 공동창작 특성 연구

        김세홍,조준희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4

        The production of the performances vari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and the cultural background. Among them, the collaborative creation method has been introduced in Western theatre since the 1960s, and it has been discussed as a production method that presents new possibilities as an alternative theat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ve creation system derived by the researcher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Open Theater, which is famous as a collaborative creation troupe in the 1960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wo. First, they share ideas among creators through improvisation and are process-oriented. Second, they achieve the presence of actors through ensemble performances. As mentioned above, the collaborative creation method is not be originated from domestic theater, but as a result of the exploration of the experimental creative method of Western theatre since the 1960s, and should be regarded as a domestic acceptance that detects the change of Western-centered theater produ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lly discuss how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creation, which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Open Theater, are being implemented in the production of 《Hamlet’s Father》, despite the difficulty of finding a trace or connection of direct exchange with Korean theatre. The reason why this work is better suited to collaborative creation research than other collaborative creation productions is as follows. First, the similarity between the Open Theatre and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text is outstanding in that it uses improvisation and text reconstruction methods. Second, they actively adopted an ensemble of various characters and adopted a way in which all the participating actors presented on stage.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viewers and actors can co-exist through introducing everyday spaces relatively obvious. Lastly, although the Baeksu-Kwangbu Theatre has been active for the past 20 years, there is no academic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creation work of the theatre troupe. As a result, 《Hamlet’s Father》 seems to reflec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Western collaborative creation productions very clearly. In particular, they were able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ollaborative creation among Korean collaborative creation productions in that they showed a more advanced aspect than before. I hope that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the diagnosis of current domestic collaborative creation systems and to predict future trends. 공연제작방법 중 공동창작 방식은 1960년대부터 서양 연극에 도입되어 주목을 받았고, 현재는 대안 연극으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제작 방법으로 논의 되고 있다. 1960년대 미국의 공동창작 단체로 유명한 오픈 시어터(Open Theater)의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도출한 공동창작 시스템의 특성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즉흥 연습을 통해 창작자간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과정 중심적이며, 둘째, 앙상블 연기를 통해 배우의 현존을 이뤄낸다. 주지한 바와 같이, 한국 연극의 공동창작 방식은 국내 연극에서 발원된 것이 아니라 60년대 이후 서양 연극의 실험적 창작 방식에 대한 탐구의 결과물로서, 서양의 연극제작방식의 변화를 감지한 국내적 수용이라고 간주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오픈 시어터의 이러한 공동창작의 특성들이 국내 연극계와의 직접적 교류의 흔적이나 연관성을 찾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국내 작품 《햄릿 아비》 프로덕션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충분히 논의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다른 공동창작 프로덕션보다 이 작품이 공동창작 방식의 연구에 더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즉흥 연습과 텍스트 해체 방식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오픈 시어터와 텍스트 구성 방법에서의 유사성이 돋보이고, 둘째, 다양한 극중 인물들의 앙상블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모든 참여 배우들이 무대 위에 현존하는 방법을 채택했으며, 셋째, 일상적 공간을 유입시켜 관객과 배우가 공동 현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특성이 상대적으로 극명하게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지난 20여 년간 극단 백수광부가 활발하게 활동해왔으나 아직 학술적으로 극단 백수광부의 공동창작 작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이에 관한 학문적 논의의 물꼬를 트고자 한다. 《햄릿 아비》에는 서양의 공동창작 프로덕션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 특성들이 매우 명징하게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그것들이 이전의 국내 공동창작 프로덕션보다 발전된 양상을 보였다는 측면에서, 한국의 공동창작 프로덕션 중 동시대의 공동창작 특성을 대변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고가 동시대 국내 공동창작 시스템의 현황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경향을 예측하는데 작은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

      • KCI등재

        라오서 『茶館』의 번안희곡 <다방> 연구-각색 양상 및 국내공연의 의미에 주목하여-

        엄진주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6 No.-

        This article compares the play <Café(茶房)>(2021) with Chinese author Lao-seo's original 『Tea house(茶館)』(1957) and analyzes the aspect of the adaptation and the discourses and topics that have been transformed into Korean style. <Café>, adapted to the domestic reality while sharing the homogeneity of the original discourse, contains the stories of individuals who make up Korean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exposes the dual nature of state power that determines individual decisions and direction of life. Also, as in the original work, it pays attention to the confrontational phase between power and individual that occurs universally regardless of era and country. The reason Lao's play written half a century ago is accepted at this point is probably because it is a narrative that can share a common problem perception about the essence of power and individuals despite the differences in time and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