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후기 權守平 家門의 성장과 그 시대적 의미

        최기준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4 한국학논총 Vol.61 No.-

        본 논문은 고려 후기 安東權氏 權守平 가문의 성장과 발전 과정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과 그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권수평 가문은 시조 권수평(?~1250)이 최씨 집권기에 하급 무신으로 중앙에 진출한 이후 성장을 거듭해 고려 후기를 대표하는 중앙의 주요 가문을 형성했다. 이 가문의 성장 과정은 고려 후기 지방 출신의 무반 가문이 중앙의 유력한 문반 가문으로 전환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동시에 한 가문의 성장이라는 미시적 사례를 통해 고려 후기 사회 변화의 양상을 통시적으로 읽어낼 수 있다. 권수평은 출신이 분명하지 않은 인물로, 하급 무관에서 시작해 정3품 추밀원부사에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그는 신분적인 한계를 갖고 있었으며, 경제적 여건도 좋지 못해 출세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런데도 권수평이 출세할 수 있었던 것은 최씨 집권기라는 시대적 특수성 덕분이었다. 권수평은 유능한 무반으로서 최씨 정권의 안녕을 위하여 아들 權韙(?~?)와 함께 대를 이어 봉사하였다. 그 결과 권수평은 여러 한계를 극복하고 중앙에 가문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최씨 정권이 무너진 이후 권수평 가문은 무신 집정자의 측근 세력이라는 정체성을 탈피하고 기존 문신 관료를 중심으로 한 인적 관계망에 참여함으로써 일대 전환을 맞았다. 권수평의 손자 權㫜(1228~1311)은 가문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권단은 고려 후기 중앙의 실력자였던 柳璥(1211~1289)을 중심으로 과거제와 천거제에 기반한 인적 관계망에 참여함으로써 상당한 정치적 편의를 보았으며, 그 자신도 문생을 배출함으로써 독자적인 인적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또한, 이때에 이르러 권수평 가문은 유경의 집안과 혼맥까지 구축함으로써 명실상부 중앙 문신 가문의 주요 일원으로 인정받았다. 권수평의 증손자인 權溥(1262~1346)는 정치적으로 성공한 부친의 후광과 더불어 처조부인 유경과 좌주 朴恒(1227~1281)의 후원 아래 수월한 관직 생활을 했다. 권부는 자신과 가문의 정치적 경제적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권부는 고고한 학자의 얼굴을 지니면서 동시에 벼슬을 사고팔아 재물을 축적하는 탐욕스러운 관리의 얼굴을 지녀야 했다. 한편, 권부는 새로운 사상적 조류로서 성리학의 파급력을 인지하고 새로운 선진 사상의 유행을 선도하고 나아가 중앙 문신 사회 전반의 변화를 주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성과는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관학을 기반으로 권부를 비롯한 초기 성리학 수용자들의 학맥을 계승한 지식 관료들이 고려 말 개혁 담론을 주도하는 정치세력으로 발전하는 데에 있어 기반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보살계 수계의식을 위한 경전, 보물 제1407호 『범망경보살계본(梵網經菩薩戒本) 및 수보살계법(受菩薩戒法)』의 재조명

        김방울 국립무형유산원 2020 무형유산 Vol.- No.9

        This paper reconsidered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Collection Treasure No.1407 Beommanggyeongbosalgyebon(梵網經菩薩戒本) & Subosalgyebeob(受菩薩戒法) and tried to compare with that of JANGSEOGAK LIBRARY Collection. First,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Collection is printed on both sides. Both sides are made with 24 wood-blocks, front side contains 30 line-each line 17 character per block and reverse side contains 25 line-each line 16 character. Second, analyzing preface written by Cheolsansogyeong(鐵山紹瓊) in 1306 and prayer-script presumed to be written by Kweon Bu(權溥), I could find out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Collection publication. Third, I could arrange the relation between Cheolsansogyeong and prayers and find out those who were related with him closely took the leading roles in publishing this book. Fourth,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Collection is printed on both sides and on the other hand JANGSEOGAK LIBRARY Collection is printed on one side. Only calligraphy of two editions is different and form is same. I could know a plate of JANGSEOGAK LIBRARY Collection was made newly with reference to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Collection. 본 논문에서는 청주고인쇄박물관 소장본 『범망경보살계본 및 수보살계법』을 새롭게 고찰하였다. 아울러 장서각 소장본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첫째, 고인쇄박물관 소장본은 양면에 인쇄되어 있는 특이한 형태이다. 양면 모두 목판 24장에 모든 내용을 담았다. 앞면은 목판 한 장 당 30행 17자이고, 뒷면은 목판 한 장에 25행 16자를 배치했다. 둘째, 1306년에 철산소경이 지은 서문과 권부가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발원문을 철저히 분석하여 고인쇄박물관 소장본의 간행 과정과 배경을 알아낼 수 있었다. 특히 발원문의 작자를 권부로 추정해낸 것은 상당한 성과라고 자부한다. 셋째, 철산소경과 발원자들의 관계를 정리해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철산소경과 긴밀한 관계를 맺은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본 자료의 간행을 주도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고인쇄박물관 소장본은 양면 인쇄이고 장서각 소장본은 단면 인쇄이다. 두 판본은 서체만 다를 뿐 동일한 행자수이다. 장서각 소장본은 고인쇄박물관 소장본을 참고하여 새롭게 판하본을 만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연행록에 나타난 환술인식(幻術認識)의 변화와 박지원의 「환희기(幻戱記)」

        임준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이 글은 동아시아 문화교류란 측면에서 연행록에 담긴 환술기록의 흐름을 점검하고, 그 흐름 속에서 가장 뛰어난 환술기록인 박지원의 「환희기」가 갖는 의미를 짚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사회는 환술이란 연희에 대해 기본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시대적 분위기 하에서 지식인들의 환술에 대한 인식 역시 부정 일변도였다. 16세기 許봉이 환술을 관람하고 "傅奕에게 부끄러움이 많았다 有愧於傅奕多矣"라고 말했던 것은, 환술을 이단인 불교와 동격으로 생새로운 차원으로 상승시키고 있다. 우연한 만남이 문화사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수준 높은 환술논의를 낳은 것이다. 그 가치는 무엇보다도 환술의 문제를 인식론·존재론적 명제로 환치시켜 논의한 데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Park Ji-won's "Hwanhuigi" within the traditional accounts of illusions and magic tricks that appear in Yeonhaengrok, literally, Beijing travelogues. Park Ji-won's "Hwanhuigi" is considered as the best among its kind. Chosun society had a negative conception of illusions in general. This trend translated to intellectual's perception of illusions as well. In sixteenth century, Heo Bong expressed the feeling of shame after watching a magic show, as if he had violated the principles of Fu Yi(傅奕) who was strongly against Buddhism. This can be said to have derived from the social conventions that identified magic illusions with Buddhism which were considered heretical in Chosun. In other words, illusions were considered as the product of unjustifiable tricks by heretics. Such negative perception, in turn, hindered people from reaching a concrete understanding of illusions, thus, making people treat them as a mere abstract object. Hence, most Yeonhaengrok that dealt with illusions focused on the performer's tricks and usually ended with the sense of mystery and confusion that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techniques with which the performers deceived the audience. Such perception underwent some transformations as people had more chances to experience magic tricks and illusion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has been fundamentally removed, but people started to treat illusions as an object of more serious thinking and discussion. Gwon Bok-in who sought the source of illusion-making in terms of the dichotomy between truth and falsehood is a case in point. However, extreme cases of reinforcing the social conventions also existed along with this trend. Gang Jae-eung who merely replaced the equation of Buddhism and illusion with that of Western Studies and illusion is a typical example of these cases. He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forming principle by which the illusions are created, but dismissed them altogether as deceptive means of the Western Studies. Within this context, a peculiar degenerative idea of identifying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with illusions emerged. Park Ji-won's "Hwanhuigi" was a very unique piece of writing that raised an entirely different question in this intellectual climate of Chosun. Instead of questioning the performer as the conventional writers and intellectuals did, he problematized the audience who were being cheated. This could be marked as an epistemological change to the perception of illusions in that Park thought of illusions and their forming principles in terms of universal perception.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he went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the truth and the falsehood. Zhao Guanglian's discussion of illusions brought on certain impact to Park Ji-won's such thinking. Zhao argued that things which constructed reality are no different from illusions. This chance encounter gave rise to a high-level discussion of illusions that is unprecedented in Chosun's cultural history as Park adopted this idea in his "Epilogue to the Hwanhuigi" Its significance lies in displacing the question of illusions with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theses.

      • KCI등재

        우리나라 도덕윤리교육의 역사와 현대 도덕교육의 혁신론(3)– 고려시대의 仁孝교육을 중심으로 –

        김익수,김황기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Korea used to study Confucius was built on the basis of the considerations behind the Three Kingdoms era. Consider the creation of a school in '13 and was called King Taejo Korean Studies. Seongjong in '11 that was equipped with a system of university Gukjagam. Seongjong was important to appoint Choi Seung-Ro. However, this study does not vigorous training was training in earnest since Injong. In Uijong until Wonjong was a downturn due to musinran(武臣亂). An Hyang jujahak was when Chungryeolwang by the nursery, where the Ethics has been emphasized from the study called for new electricity. Gukjagam is considered normal maintenance period since Injong have received this interdisciplinary Tang(唐). Professor Sir subjects 9(九 經), and in each of the 1 If "Hyogyeong(孝經)" and was a common prerequisite "Analects of Confucius". Because of our fellow countrymen ancestors Samsung Ancestor(三聖朝) the core is fundamentally a crane Confucius was a succession of Hyohak will comply with the principle that the "Hyogyeong" and "Analects of Confucius" at the Shilla Korean Studies as a common compulsory subjects. Succession in the considering it was the center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Hyogyeong". It opened this private school as Choe Chung is the Sasuk(私塾), the students were gathered from all over the country. The Institute has nine specialized courses are offered, he said ‘9jaehakdang’,‘mumhungongdo’. This causes the History of scholasticism consideration for about 300 years, named the "Korea Confucius' the Choe Chung. In this case suggests that the so-called 12 private schools. History of Central Gwanhak and both became insolvent in musinran. An Hyang who introduced the jujahak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revival ethics. Chungryeolwang has been a change in Gukjagam in Korean Studies, bacteria sense has renamed Sungkyunkwan in '34 and plan promotion of study abroad for education innovation. Latter was considering studying in four books in the center of five books-centered education. Record of filial piety Kwonbo(權溥-孝行錄) is the chief of the Social Education. In short, considering "Gukjagam" as Gwanhak the center, private schools was 12 numbers as history, the province has had coexisted with public and private Hyanggyo. The study highlighted Ethics education has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fundamentally consistent with the type of education Inhyo(仁孝) by the Confucius. However, due to the insolvency of evils and Buddhist ethics education policy was extremely disorderly. Ethics urgent restoration of this era was followed by the founding cause of the Joseon Dynasty. In short, education is influencing national destiny, is the key that opens the cornerstone of family and social future of the country is moral education. 공자의 유학(儒學)을 수용한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이어 고려(高麗)시대는 본격적으로 정초가 세워졌다. 신라를 이은 고려는 태조13년(930)에 학교를 창설하며 국학(國學)이라 했다. 성종11년에 종합대학의 체제를 갖추었는데 중앙의 학교명은 국자감(國子監)으로 바뀌었다. 성종은 유학자 최승로를 중용하여 교육을 중흥시키고 문화정책을 폈다. 그러나 왕성한 교육이 이루워지지 못하다가 인종(仁宗)(1122~1146)때부터 유학교육이 본격화 되었다. 의종에서 원종때까지는 무신란으로 인한 침체기를 맞게 되었다. 충렬왕(1122~1146)때에 안향(安珦)에 의하여 주자학이 전래되어 도덕윤리가 강조되고 유학이 새로운 전기를 불러왔다. 고려시대 중앙의 국자감은 당(唐)의 학제를 본받은 것으로 정상적으로 정비되기는 仁宗때 부터이다. 교수과목은 구경(九經)을 각기 一經으로 하고 『효경』과 『논어』를 공통 선수과목으로 하여서 겸통(兼通)하게 하였다. 우리계레의 조상인 삼성조(三聖朝)를 원천적으로 계승한 공자학의 중핵이 仁孝學이었기 때문에 신라의 國學에서 『효경』와 『논어』을 공통필수과목으로 했던 원칙을 준수한 것이다. 이를 계승한 고려에서도 논어』와 『효경』을 통해서 仁孝를 중심으로 학교교육을 통하여 인간의 근본을 배양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사학(私學)으로는 정계(政界)의 원노였으며 명망이 높은 최충(崔沖984-1068)이 공직에서 은퇴하면서 국학(國學)과 향교(鄕校)가 전란으로 인하여 부실해지면서 사숙(私塾)을 열었었는데 전국에서 학생이 운집(雲集)하였다. 이때에 학당에는 아홉 개의 전문강좌가 개설되었는데 이른바 ‘구재학당(九齋學堂)’이라고도 하고 한편으로 ‘시중최공도(侍中崔公徒)’, ‘문헌공도(文憲公徒)’라 하였다. 私學이 약300여년동안 고려의 文運과 학풍을 일으켰는데 이는 최충의 공로로 보고 최충을 ‘해동공자(海東孔子)’라고 칭해졌었다. 이 때에 최충공도와 뜻을 함께한 同志들이 나와서 私學을 크게 발흥시켰는데 11徒가 나왔다. 이를 모두 합쳐 이른바 ‘사학12공도(私學十二公徒)’라 한다. 그러나 중앙의 官學과 私學이 모두 무신란으로 부실해졌다. 주자학을 전래한 안향은 윤리부흥에 크게 기여하였다. 충열왕은 교육혁신을 위하여 충렬왕(재위1274-1308)이 국자감을 국학으로 바꾸고 성균감으로 바꾸었다가 同王34년에는 성균관으로 개칭하고 유학의 진흥을 도모했다. 고려후기 유학은 주자학이 전래된 후부터인데 종래의 五經중심의 교육에서 四書중심의 교육이 강조된다. 사서(四書)를 판각하여 보급했던 권보(權溥1262-1346)의 효행록(孝行錄)을 사회교육으로 손꼽힌다. 요컨대 고려사에는 중앙에 관학으로서 『국자감』과 私學으로서 사학12도가 있었고 지방에는 官立향교와 私立향교가 병존했다. 도덕윤리가 강조된 유학교육이 전국적으로 확산 되었다. 모든 교육기관이 원천적으로는 형식상 공자의 仁孝교육으로 일관했다. 다음으로는 인격을 갖춘 전문지식인 양성으로 국가인력에 대비한 교육이었다. 그러나 불교의 폐단과 교육정책의 부실로 인하여 윤리가 지극히 문란하여 척불(斥佛)이 시대적 소명이었다. 이를 성리학으로 윤리회복이 시대의 시급한 과제이어서 조선조 건국의 명분이 되었다. 본 연구의 의도는 國運을 좌우하는 것이 교육이요 국가의 초석인 가정과 미래의 사회를 열어가는 열쇠가 도덕교육이라는 것을 인식시키려고 ...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우리나라 도덕윤리교육의 역사와 현대 도덕교육의 혁신론 -고려시대의 인효(仁孝)를 원리(原理)로 한 인성교육(人性敎育)을 중심으로-

        김익수 ( Ik Soo Kim ),김황기 ( Hwang Ki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공자의 유학(儒學)을 수용한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이어 고려(高麗)시대는 본격적으로 정초가 세워졌다. 신라를 이은 고려는 태조13년(930)에 학교를 창설하며 국학(國學)이라 했다. 성종11년에 종합대학의 체제를 갖추었는데 중앙의 학교명은 국자감(國子監)으로 바뀌었다. 성종은유학자 최승로를 중용하여 교육을 중흥시키고 문화정책을 폈다. 그러나 왕성한 교육이 이루워지지 못하다가 인종(仁宗)(1122~1146)때부터 유학교육이 본격화 되었다. 의종에서 원종때까지는 무신란으로 인한 침체기를 맞게 되었다. 충렬왕(1122~1146)때에 안향(安珦)에 의하여 주자학이 전래되어 도덕윤리가강조되고 유학이 새로운 전기를 불러왔다. 고려시대 중앙의 국자감은 당(唐)의 학제를 본받은 것으로 정상적으로 정비되기는 仁宗때 부터이다. 교수과목은 구경(九經)을 각기 一經으로 하고『효경』과 『논어』를 공통 선수과목으로 하여서 겸통(兼通)하게 하였다. 우리계레의 조상인 삼성조(三聖朝)를 원천적으로 계승한 공자학의 중핵이 仁孝學이었기 때문에 신라의 國學에서 『효경』와 『논어』을 공통필수과목으로 했던 원칙을 준수한 것이다. 이를 계승한 고려에서도 『논어』와 『효경』을 통해서 仁孝를 중심으로 학교교육을 통하여 인간의 근본을 배양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사학(私學)으로는 정계(政界)의 원노였으며 명망이 높은 최충(崔沖984-1068)이 공직에서 은퇴하면서 국학(國學)과 향교(鄕校)가 전란으로 인하여 부실해지면서 사숙(私塾)을 열었었는데 전국에서 학생이 운집(雲集)하였다. 이때에 학당에는 아홉 개의 전문강좌가 개설되었는데 이른바‘구재학당(九齋學堂)’이라고도 하고 한편으로 ‘시중최공도(侍中崔公徒)’, ‘문헌공도(文憲公徒)’라 하였다. 私學이 약300여년동안 고려의 文運과 학풍을 일으켰는데 이는 최충의 공로로 보고 최충을 ‘해동공자(海東孔子)’ 라고 칭해졌었다. 이 때에 최충공도와 뜻을 함께한 同志들이 나와서 私學을 크게 발흥시켰는데 11徒가 나왔다. 이를 모두 합쳐 이른바 ‘사학12공도(私學十二公徒)’라 한다. 그러나 중앙의 官學과 私學이 모두 무신란으로 부실해졌다. 주자학을 전래한 안향은 윤리부흥에 크게 기여하였다. 충열왕은 교육혁신을 위하여 충렬왕(재위1274-1308)이 국자감을 국학으로 바꾸고 성균감으로 바꾸었다가 同王34년에는 성균관으로 개칭하고 유학의 진흥을 도모했다. 고려후기 유학은 주자학이 전래된 후부터인데 종래의 五經중심의 교육에서 四書중심의 교육이 강조된다. 사서(四書)를 판각하여 보급했던권보(權溥1262-1346)의 효행록(孝行錄)을 사회교육으로 손꼽힌다. 요컨대 고려사에는 중앙에 관학으로서 『국자감』과 私學으로서 사학12도가 있었고 지방에는 官立향교와 私立향교가 병존했다. 도덕윤리가 강조된 유학교육이 전국적으로 확산 되었다. 모든 교육기관이 원천적으로는 형식상 공자의 仁孝를 원리로한 人性 교육으로 일관했다. 다음으로는 인격을 갖춘 전문지식인 양성으로 국가인력에 대비한 교육이었다. 그러나 불교의 폐단과 교육정책의 부실로 인하여 윤리가 지극히 문란하여 척불(斥佛)이 시대적 소명이었다. 이를 성리학으로 윤리회복이 시대의 시급한 과제이어서 조선조 건국의 명분이 되었다.본 연구의 의도는 國運을 좌우하는 것이 교육이요 국가의 초석인 가정과 미래의 사회를 열어가는 열쇠가 도덕교육이라는 것을 인식시키려고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Korea used to study Confucius was built on the basis of the considerations behind the Three Kingdoms era. Consider the creation of a school in ``13 and was called King Taejo Korean Studies. Seongjong in ``11 that was equipped with a system of university Gukjagam. Seongjong was important to appoint Choi Seung-Ro. However, this study does not vigorous training was training in earnest since Injong. In Uijong until Wonjong was a downturn due to musinran (武臣亂). An Hyang jujahak was when Chungryeolwang by the nursery, where the Ethics has been emphasized from the study called for new electricity. Gukjagam is considered normal maintenance period since Injong have received this interdisciplinary Tang(唐). Professor Sir subjects 9(九 經), and in each of the 1 If "Hyogyeong(孝經)" and was a common prerequisite "Analects of Confucius". Because of our fellow countrymen ancestors Samsung Ancestor(三聖朝) the core is fundamentally a crane Confucius was a succession of Hyohak will comply with the principle that the "Hyogyeong" and "Analects of Confucius" at the Shilla Korean Studies as a common compulsory subjects. Succession in the considering it was the center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Hyogyeong". It opened this private school as Choe Chung is the Sasuk(私塾), the students were gathered from all over the country. The Institute has nine specialized courses are offered, he said ‘9jaehakdang’, ‘mumhungongdo’. This causes the History of scholasticism consideration for about 300 years, named the "Korea Confucius`` the Choe Chung.In this case suggests that the so-called 12 private schools. History of Central Gwanhak and both became insolvent in musinran. An Hyang who introduced the jujahak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revival ethics. Chungryeolwang has been a change in Gukjagam in Korean Studies, bacteria sense has renamed Sungkyunkwan in ``34 and plan promotion of study abroad for education innovation. Latter was considering studying in four books in the center of five books-centered education. Record of filial piety Kwonbo(權溥-孝行錄) is the chief of the Social Education.In short, considering "Gukjagam" as Gwanhak the center, private schools was 12 numbers as history, the province has had coexisted with public and private Hyanggyo. The study highlighted Ethics education has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fundamentally consistent with the type of education Inhyo(仁孝) by the Confucius. However, due to the insolvency of evils and Buddhist ethics education policy was extremely disorderly. Ethics urgent restoration of this era was followed by the founding cause of the Joseon Dynasty. In short, education is influencing national destiny, is the key that opens the cornerstone of family and social future of the country is moral education.

      • KCI등재

        韓國의 土活字印刷術에 관한 硏究

        박문열 한국서지학회 2008 서지학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土活字印刷術에 관한 기존의 기록과 承政院日記의 土活字印刷術과 관련된 새로운 기록을 분석한 것으로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 土活字는 어떤 종류의 흙이든 흙으로 제작한 活字의 凡稱이다.(2) 韓國 土活字印刷術의 創案者는 權孚(1662-1739)이고 그 創案地는 鑄字洞이며, 創案時期는 英祖 5년(1729) 以前이다. (3) 傳存하는 三略直解, 經史集說, 玉纂, 東溟先生集 등의 土活字印本 이외에 古今名喩도 土活字印本이며, 전래되는 ‘’, ‘’, ‘禧’ 등의 토활자 이외에 ‘曰’과 ‘’ 등의 土活字도 전래되고 있다.(4) 土活字 製作法에 관한 자세한 기록은 辛仲厚의 厚生錄에 유일하게 수록되어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records, previously known, and the records, newly discovered from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 regarding the technology of printing with movable soil-typ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1) Movable soil-types are the generic name for all kinds of types made from any soil. (2) In Korea, the technology of printing with movable soil-types was invented by Gwon Bu(權孚) at Juja-Dong(鑄字洞) before 1729, the 5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3) In addition to the existing Samryak-Jikhae(三略直解), Gyeongsa-Jipseol(經史集說), Okchan(玉纂), Dongmyeong-Seonsaeng-Jip(東溟先生集), Gogeum- Myeongyu(古今名喩) was also printed with movable soil-types. And, such characters as Wal(曰) and Eun(狺) as well as Chim(忱), Chu(帚) and Hui(禧) have existed as movable soil-types. (4) The technique of producing movable soil-types was documented in detail only in Husaeng-Rok(厚生錄) written by Sin-Junghu(辛仲厚).

      • KCI등재

        종류주식제도에 관한 연구 - 독일과 일본의 종류주식제도와 그 시사점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박정국(PARK, Jeong-Kuk) 한국기업법학회 2020 企業法硏究 Vol.34 No.2

        우리나라 상법 제344조 내지 제346조에서는 “종류주식”의 정확한 의미를 확정할 수 없는데 반하여 독일 주식법(Aktiengesetz)은 같은 권리의 내용을 가지는 주식이란 의미로 사용하고 있고(§11), 일본 신회사법은 내용이 다른 2가지 이상의 주식이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회사가 발행할 수 있는 종류주식의 유형과 내용을 상법에서 한정적으로 나열하고 있는 것과 달리 주식법에서는 종류주식의 발행에 관하여 정관작성자의 재량권을 인정하고 있고 신회사법에서는 종류주식발행회사가 아니라도 그 발행을 허용하여 회사의 종류주식발행에 유연성을 보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와는 달리 독일과 일본에서는 회사가 선택할 수 있는 발행주식의 범위가 넓고 이를 통해서 회사자금조달과 원활한 경영활동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있다. 본고는 독일 및 일본과 같은 대륙법계의 입법태도를 계수하여 종류주식의 발행유형과 그 내용을 상법에 명시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종류주식제도를 독일 및 일본의 경우와 비교법적으로 고찰하고 몇 가지 입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독일과 일본에 비해 발행주식에 대한 선택의 폭이 좁은 우리나라의 상황에서는 종류주식의 다양화를 통하여 회사의 자금조달과 지배권의 배분에 대한 신축적인 대처가 필요하고, 회사자본으로서 경영의 창조적 기반이 되는 종류주식과 이들 주식 간의 조합을 통한 다양한 주식의 발행을 폭넓게 허용할 필요성이 크다. 특히 벤처기업의 차등의결권주식 도입에 관하여 찬반 논란이 뜨거운 상황에서 보다 다양한 종류주식의 도입논의는 우리나라의 현황을 고려할 때 시의적절한 주제임에 틀림없는 바, 향후 보다 다양한 종류주식의 발행을 위한 학계와 실무계의 실효성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While the precise meaning of class shares cannot be determined under Articles 344 to 346 of the current Commercial Law of Korea, Aktiengesetz of Germany is used to mean shares having the same rights and New Company Act of Japan is used to mean two or more shares with different contents. In addition, although the form and content of class shares that can be issued by the company are limited in Commercial Act of Korea, the wide rights of the person who wrote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are recognized in Aktiengesetz of Germany and class shares are flexibly issued by all companies in New Company Act of Japan. Like this, Germany and Japan have a wide range of shares to be selected by the company unlike Korea and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any"s financing and smooth management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and legislative theories through interpretation of class shares systems of Korea specifying the type and content of class shares by counting the legislative attitudes of continental legal systems such as Germany and Japan. It is necessary to flexibly deal with the company"s financing and allocation of control through diversification of class shares in Korea where options for issuing shares are narrower than Germany and Japan. In addition, there is a great need to broadly allow the issuance of various class shar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class shares which are the creative basis of management. In particular, as the arguments for the introduction of shares with multiple voting rights of venture companies have been hotly debated, it must be a timely topic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various class shares in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 Therefore, I think we need a lot of discussion for issuance of various class share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柳璥의 삶과 학술사상에 대한 소고

        김건곤(Kim, Kun Kon) 돈암어문학회 2013 돈암어문학 Vol.26 No.-

        고려시대 한문학사를 어떻게 시대 구분하여 이해할 것인가? 전통시대에는 한시가 문학의 주류였던 바, 시문풍의 변화를 시대구분의 기준으로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김종직이 시문풍의 변화에 주목하여 고려 초기의 만당풍, 중기의 송풍(동파풍), 말기의 도학풍으로 나눈 견해를 원용할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려 한문학사는 무신집권기를 중기로 잡고, 그 이전과 이후로 삼분하여 이해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 학계에서는 고려시대 한문학사를 삼분할 때 후기의 시작을 ‘성리학 도입’이라 명명하여 다소 불분명하게 잡아왔다. 본고에서는 후기의 기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고자 유경(1211-1289)이라는 인물의 삶과 학술사상에 주목하였다. 유경은 김준과 함께 최의를 죽이고 무신정권을 종식시킴으로써, 정치적·역사적으로 한 시대를 구획하는 중심에서 사회 변혁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학문적·문학적으로는 백련결사와 관련하여 진정국사, 이장용, 김구 등 당대의 최고 문인·학자들과 시문으로 교류하는 등 활발한 문학활동을 하였으며, 4차례 지공거를 맡아 당대의 문풍을 주도하였다. 특히 그가 과거에서 과거시험의 형식적인 문장에 익숙한 자보다 기국과 식견을 갖춘 자 위주로 선발함으로써, 그의 문생 중에 대성한 이가 많이 나왔다. 그 대표적인 문생이 고려에 성리학을 처음으로 도입한 안향이고, 안향의 문인이 백이정·권보인 바, 이들은 당대 최고의 학자인 이제현(1287-1367)의 스승이다. 곧 성리학 도입기의 문단을 대표하는 이제현의 학문연원을 한 단계 거슬러 올라가면 유경에게 사상적 학문적 맥락이 닿는다. 한편 유경의 손녀사위가 권보이고, 권보의 문생이자 사위가 이제현인 점은 이들이 학맥뿐만 아니라 인맥으로도 매우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유경은 고려 후기 한문학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고 할 수가 있다. How can we distinguish a literature in Goryeo dynasty period? In the traditional era, as the Chinese poem was the mainstream of literature, it was highly needed to consider the change of the poem style based on the division of history. Focusing on the change of the poem style of a scholar, Kim, Jong-Jik,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e can refer to the opinion why there was a change in the poem style in Goryeo dynasty. Therefore, it is more convincing that we understand the literature history of Goryeo dynasty by dividing it into three divisions with the time ruled by military officials as a center. However, in the previous academic world, after the division of Goryeo’s literature history into three time frames(early, middle, and late), it wasn’t clear when the starting point was as we called the late period as “the introduction time of the stud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In this study, in order to present the late period of Goryeo more specifically, I would like to focus on Ryu, Kyung’s(1211-1289) life and thoughts on scholarship. As he killed one of the authorities in the political arena, Choi, Eui, and ended the military regime, Ryu, Kyung played a crucial role in reforming the society politically and historically. In the academic and literature field, he actively participated in a literature regarding the White Lotus Community(白蓮結社) with famous writers and scholars such as Lee, Jang-Yong, Kim, Gu, and Chun, Chaek. In addition, he led a literary world by taking the role of an exam supervisor for four times. A great highlight in his experience was when he proctors a state examination; he selects a person based on one’s characteristics and insights, not how well he makes a well-structured writing. As a result, many of the candidates became great men of literature. A good example is Ahn, Hyang who introduced the stud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in Goryeo. He studied with Back, Yee-Jung and Kwon, Bo. They became masters of Lee, Jae-Hyun, who was acclaimed to be the best scholar in that era. If we try to observe many of Lee, Jae-Hyun’s successful writings, we can find out that his philosophy and academic context are influenced by Ryu, Kyung. Let’s trace back their family history. Kwon, Bo is Ryu, Kyung’s grandson-in-law. On the other hand, Lee, Jae-Hyun is Kwon’s son-in-law. This tells us that they built strong ties not only in the academic study but also in personal relationship.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Ryu, Kyung was in the crucial position when the literature of Goryeo is moving toward the late period.

      • KCI등재

        영국 회사법의 종류주식과 그 시사점

        문준우 한국상사법학회 2011 商事法硏究 Vol.29 No.4

        In spite of the international trend of flexible classification of shares, in our country’s existing corporation laws defined are in the name of 'several stock' only seven classes of shares including preference share, deferred share, and hybrid share respectively different in the dividend of profits or interest and the division of residual property, and specifically added to the ‘several stock’ are redeemable stock, convertible stock, and nonvoting preference share. But in our country where deferred share and hybrid share are not in utilization significant are only the other four classes of shares,among which the nonvoting preference share is most favored. In the revised bill of the commercial law several classes of shares are supplemented. But it does not seem to be sufficient. In contrast, by the section 629(1) of the Companies Act 2006, it is common for the articles of association to give a company complete freedom to issue shares with such rights and restrictions as the company may by ordinary resolution determine although most companies (public an private)limit their structures to ordinary shares. where a more sophisticated share structure is required (for example, to facilitate a division of control in a joint venture company), the company may have more classes of shares,typically ordinary and preference shares, and possibly several forms of each. For example, these several classes of shares are deferred shares, nonvoting ordinary shares, convertible shares, golden shares(multiple sharesㆍshares for classified board of directorㆍshares of veto). Therefore the corporation law of the korea must discuss adoption of the UK's new several classes of shares after analyzing their ut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