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담습지 식생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이일원(Il Won Lee),김기대(Kee Dae Kim)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수계의 하도습지인 구담습지의 식물군락을 분류하고 식생의 수직적 구조에 따라 군락 특성을 파악하여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구담습지 식물군락은 식생상관적 분류를 통해 총 19개의 군락이 나타났으며, 식생 수직구조에 따라 교목 우점 군락, 관목 우점 군락, 초본 우점 군락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군락 특성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종다양도 지수는 교목 우점 군락이 가장 높았으나 가시박과 같은 외래식물의 유입으로 종다양도 감소가 우려되었다. 관목 우점 군락은 관목식물의 종수에 의해서 종다양도 지수가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초본 우점 군락은 종다양도 지수에 의해 습생초지 군락과 건생초지 군락으로 나뉘었고, 인위적인 교란으로 인한 종다양도 지수 감소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였다. 중요치는 교목 우점 군락에서는 교목성 버드나무속이 가장 높았고, 관목 우점 군락에서는 족제비싸리와 같은 외래식물의 중요치가 높았다. 또한, 초본 우점 군락에서는 달뿌리풀과 같은 습생초지식물이 높았다. 서열법에 따른 분석결과, 교목 우점 군락과 관목 우점 군락은 외래식물 종수에 의해서 군락이 분화되었고, 초본 우점 군락은 계층 수와 경사도에 의해서 군락이 분화되었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plant communities of the Gudam wetland, a riparian wetland in Nakdong River basin,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veritical structure to prepare management plan. In the Gudam wetland, a total of 19 plant communities were found through physiognomical vegetation, and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tree dominant community, shrub dominant community, and herbaceous dominant community according to the vertical structure. When examining the results of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analysi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in the tree dominant communities but there was concern about a decrease in species diversity due to the influx of exotic plants such as Sicyos angulatus. The shrub dominant community tended to have a biased species diversity index on shrub plants. The herbaceous dominant communities ware divided into wetland herbaceous communities and dryland herbaceous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species diversity index, and measures were needed to reduce the species diversity index due to artificial disturbances. The importance value was the highest in the arboreal Salix genus in the tree dominant communities, and the exotic plants such as Amorpha fruticosa were the highest in the shrub dominant communities. In the herbaceous dominant communities, wetland herbaceous plants such as Phragmites japonicus were hig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ordination the tree dominant communities and shrub dominant communities were differentiated by exotic plant factors, and the herbaceous dominant communities were differentiated by hierarchy number and slope.

      • KCI등재

        울릉도 나리분지의 산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정재민,윤준혁,신재권,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3

        본 연구는 울릉도 나리분지의 군락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산림식생의 보전 및 관리 에 필요한 생태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나리분지의 산림군락은 너도밤나무군락, 당 마가목군락, 소나무군락, 풍게나무군락, 두메오리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DCCA 분석 결과, 환경요인 중 해발이 군집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너도밤나무군락과 당마가목군락은 방위, Na, C/N의 환경요인과 군락단위의 분포지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풍게나무군락은 Ca, K 등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메오리나무군락은 CEC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으 며, 해발고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소나무군락은 Ca, CEC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community of Nari basin in Ulleung Island. Forest community in Nari basin was classified into Fagus engleriana community, Sorbus amurens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Celtis jessoensis community and Alnus maximowiczii community. As the result of DCCA ordination analysis, sea level among environmental factors had high correlation with community distribution. Fagus engleriana community and Sorbus amurensis community correlated highly with aspect, Na content, and C/N ratio.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Celtis jessoensis community and the content of Ca and K. Alnus maximowiczii community was distributed in site where CEC content is high.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distributed in site where the content of Ca and CEC is high.

      • KCI등재

        울릉도 나리분지의 산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정재민,윤준혁,신재권,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community of Nari basin in Ulleung Island. Forest community in Nari basin was classified into Fagus engleriana community, Sorbus amurens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Celtis jessoensis community and Alnus maximowiczii community. As the result of DCCA ordination analysis, sea level among environmental factors had high correlation with community distribution. Fagus engleriana community and Sorbus amurensis community correlated highly with aspect, Na content, and C/N ratio.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Celtis jessoensis community and the content of Ca and K. Alnus maximowiczii community was distributed in site where CEC content is high.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distributed in site where the content of Ca and CEC is high. 본 연구는 울릉도 나리분지의 군락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산림식생의 보전 및 관리에 필요한 생태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나리분지의 산림군락은 너도밤나무군락, 당마가목군락, 소나무군락, 풍게나무군락, 두메오리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DCCA 분석 결과, 환경요인 중 해발이 군집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너도밤나무군락과 당마가목군락은 방위, Na, C/N의 환경요인과 군락단위의 분포지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풍게나무군락은 Ca, K 등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메오리나무군락은 CEC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해발고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소나무군락은 Ca, CEC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설악산 분비나무림의 군집구조와 생육변동에 관한 연구

        전영문,홍문표,권재환,이재석,이승호,정흥락 국토지리학회 2009 국토지리학회지 Vol.43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ructure and the growth variation of Abies nephrolepis in the subalpine zone of the Mountain Seorak. The sampling sites were Gwittegicheongbong (1,510m above sea level), Gwanmoneungseon (1,660m above sea level), and Seorak Falls (1,060m above sea level) in the Mountain Seorak. The contents of survey are community structure and population structure, tree ring, and the status of growth. The vertical structure of Abies nephrolepis consists of three layer without a tree layer in Gwittegicheongbong and Gwanmoneungseon site, while consisting of four layers in Seorak Falls area. Population structure takes a reverse J-shape at Gwittegicheongbong, J-shape with high distribution ratio of medium size in diameter classes at Gwanmoneungseon, and stable bell-shape with diameters in the breast height being various at Seorak Falls site. With regard to tree age, the main group of trees are 20 to 60 years old adult trees at Gwittegicheongbong and Gwanmoneungseon site, while there was found a type of stable community with extreme divisions of saplings and adult groups at the Seorak Falls site. Annual change in deviation of the radial growth of Abies nephrolepis population at each of research sites shows decreasing trend in growth by approximately 20~40% during the last 20 to 30 years. 본 연구는 설악산 아고산대인 귀떼기청봉(1,510m)과 관모능선(1,660m), 설악폭포(1,060m)지역을 대상으로 분비나무림의 군집구조, 개체군구조, 연륜 및 생육 상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귀떼기청봉과 관모능선 지점의 분비나무림은 교목층이 없는 3층 구조이고, 설악폭포지에서는 4층 구조가 발달하였다. 분비나무의 개체군 구조는 귀떼기청봉 지점에서는 역 J자형이며, 관모능선 지점에서는 J자형으로 중경목 개체의 분포비가 높다. 그리고 설악폭포 지점에서는 흉고 직경의 분포가 다양한 안정된 종형이다. 수령은 귀떼기청봉과 관모능선 지점에서 20~60년생의 성숙목 개체가 주축인 반면, 설악폭포 지점의 경우 치수집단과 성숙목 집단을 중심으로 쌍봉형의 안정된 군락 양상을 나타내었다. 각 조사지점의 연륜생장 연 편차변화는 최근 20~30년 동안에 20~40% 범위의 생장 감소 추세를 보였다.

      • KCI등재

        충북 민주지산 물들메나무 분포 및 군락구조 특성

        최동석 ( Dong-suk Choi ),안지영 ( Ji-young An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6

        본 연구는 충청북도 민주지산의 물들메나무 분포 및 식물군락구조 특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민주지산 내 8개의 조사구(단위면적 400㎡)를 설치하여 물들메나무 우점군락을 조사하였다. 상대우점치는 8개 군락 모두 물들메나무(35.19%; 26.07~42.74%)가 우점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흉고직경급별 분석 결과 물들메나무는 2~43㎝까지 비교적 다양한 직경급으로 생육하고 있으며, 개체수가 많아 교란이나 급격한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H’)는 0.8498~1.0261, 균재도(J’)는 0.8160~0.9256, 우점도(D)는 0.0789~0.1840, 최대종다양도(H’max)는 1.0414~1.2041로 분석되었다. 물들메나무의 연륜 및 생장량 분석 결과 평균 29.1년(22~58년)의 수령을 보였으며, 연평균 생장량은 군락 G가 5.84㎜로 가장 높았으며, 군락 B가 2.80㎜로 가장 낮았다. 유사도 분석 결과 군락 B와 E, 군락 C와 F, H 간의 유사도지수가 69.0%로 가장 높았으며, 군락 E와 F 간의 유사도지수가 29.6%로 가장 낮았다. 연구대상인 물들메나무군락지는 분포지가 매우 협소하고, 개체군 크기가 작아 산림유전자원보호지역으로 보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Fraxinus chiisanensis in Mt.Minjuji of Chungcheongbuk-do by setting up and surveying 8 plots (400 m² each). Mean Importance Value (MIV) of Fraxinus chiisanensis in 8 plots was 35.19% in average (ranging from 26.07~42.74%). Since it is the dominant species in all plots, it is expected to maintain the present vegetation structure. The analysis of the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showed that the diameter of Fraxinus chiisanensis in Mt.Minjuji ranges from 2 to 43㎝. The majority of Fraxinus chiisanensis is expected to maintain current state unless disturbance or rapid environmental change occurs. The Species Diversity (H’) was 0.8498~1.0261, Evenness (J’) was 0.8160~0.9256, Dominance Index (D) was 0.0789~0.1840, Maximum Diversity (H’max) was 1.0414~1.2041. The analysis of annual ring and radial growth showed that the average age of Fraxinus chiisanensis in Mt.Minjuji was 29.1years(ranging from 22~58years). The average annual radial growth of Fraxinus chiisanensis was the highest in community G with 5.84㎜ and the lowest in community B with 2.80㎜. The similarity index analysis revealed that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community B and E, C and F, H was the highest with 69.0%, and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community E and F was the lowest with 29.6%. Both the area of Fraxinus chiisanensis community of Mt.Minjuji and its population size are very small. Therefore, this area needs to be designated as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 경북 고령군 미숭산 일원 생태숲 조성지 주변 산림식생의 군락특성

        조광진,박인환,김명현,김혜영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4 대구경북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ecologically applicable information when planning the ecological forest throughout the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in ecological forest site of Goryeong-gun, Gyeongbuk. In this study, a total of 31 vegetation data containing 170 taxa collected and analyzed and 9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cluding plant composition, community structure, distribution pattern and so on. In the Lindera erythrocarpa-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endangered species Ⅱ degree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lis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as recorded.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Korean endemic plant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was observed. The valley of study area was dominated by Lindera erythrocarpa Makino. 31 relevé were analyzed by using coefficient of squared Euclidean distance of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for ordination analysis. The mountainous topography and soil moisture condition were the main ecological factor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the classified plant communities. The ecological information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ecological experience program and ecological education space. 본 연구는 경북 고령군 생태숲 조성지에 분포하는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통하여 생태숲 계획시 적용가능한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31개 지점에서 170분류군을 포함하는 9개 식물군락이 분류되었으며 각 군락별 종조성, 군락구조, 분포양식 등에 대한 생태적 특성이 규명되었다. 소나무-비목나무 군락에서는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Ⅱ급인 세뿔투구꽃이 관찰되었고 신갈나무 군락에서는 한국 특산식물인 노각나무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산지 계곡에는 비목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31개의 식생자료와 환경요소와의 경향성분석을 위해 PCoA에 의한 좌표결정법, 유클리디언거리계수가 이용되었고 그 결과 토양의 수분조건과 산지지형이 식물군락의 분포를 결정하는 주요 생태적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밝혀진 연구지역에 대한 생태적 정보는 생태교육 및 생태체험 프로그램의 재료 및 공간으로 높은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KCI등재

        오대산국립공원 분비나무군락의 군락구조와 동태

        전영문,이승호,안재기,홍문표,신정태,원혁재 국토지리학회 2011 국토지리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 상왕봉, 두로봉, 노인봉지역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분비나무군락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개체군동태, 연륜생장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별 계층구조는 4층구조이나 노인봉조사구는 두로봉과 상왕봉조사구에 비하여 교목층의 식피율이 빈약하게 분포하였다. 중요치를 통한 주요 분포 수종은 분비나무를 비롯하여 신갈나무, 잣나무, 사스래나무, 당단풍나무, 피나무 등으로 나타났다. 분비나무의 개체밀도는 두로봉조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흉고직경급 빈도 분포는 상왕봉조사구에서 대경목의 개체들이 주로 분포하였다. 유묘와 치수의 개체수는 노인봉조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후계목의 공급원으로서 유목의 분포는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상태이다. 연평균 연륜생장은 두로봉, 상왕봉, 노인봉조사구에서 1.79mm/year, 1.55mm/year, 1.20mm/year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ructure, species composition, population conditions and annual mean radial growth of Abies nephrolepis in the subalpine zone of the Odaesan National Park. The sampling sites are Sangwangbong, Durobong, and Noinbong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Stratification structure of each sites had four layers, but tree coverage (%) in Noinbong site was very low compared to those of Durobong and Sangwangbong sites. The major dominant species in the order of importance value were as follows: Abies nephrolepis, Quercus mongolica, Pinus koraiensis, Betula ermanii, Acer pseudo-sieboldianum, and Tilia amurensis. The populations density of Abies nephrolepis was highest at the Durobong site, and large diameter class was found to be mainly distributed at the Sangwangbong site according to the study of frequency distribution of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The populations of seedlings and sapling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at the Noinbong site; however, overall distribution of juvernile as a source for succession tree is very low. Durobong, Sangwangbong, and Noinbong sites showed 1.79mm/year, 1.55mm/year, and 1.20mm/year of annual mean radial growth of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respectively.

      • KCI등재

        토취장 개발에 따른 훼손생태계 이식방안 연구

        이수동 ( Soo Dong Lee ),강현경 ( Hyun Kyung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매립공사로 인해 훼손되는 토취장을 대상으로 생태계 훼손에 따른 이식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전라남도 광양시 중군 동에 위치하며 전체 면적은 약 199,026㎡이나 토취에 의해 훼손되는 지역은 약 84,200㎡로 이들 지역에 대하여 생태계 훼손에 따른 이식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 지내 분포하는 식생구조 및 발달과정, 지형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연륜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훼손이 불가피한 대상지의 이식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군락이식과 수목이식으로 구분하여 기존 신갈나무림과 곰솔림을 모델로 식재방안을 제안하였다. 훼손지의 군락이식에 있어서는 신갈나무 숲을 조성하여 자연림의 복원을 도모하며, 이식량에 있어서는 교목층의 신갈나무 89주, 아교목층 153주, 관목층 661주가 적정할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목이식은 기존의 곰솔 이식으로 교목층의 곰솔 2,648주이었고, 전체 표토 이식량은 15,353㎥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매립에 따른 훼손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생태계 보상 및 훼손 저감장치로서 유용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methods to transplant for the ecosystem damage borrow pits. The research site is Junggun-dong Gwangyang-si Jeollanam-do. The total area of the site is approximately 199,026 ㎡, but the area damaged by exploitation of soil and rocks is about 84,200㎡. This signals the transplanting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of ecological destruction. The research will focus on the areas either which are evaluated as damaged or in which the development is inevitable.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ir evolution, topological and soil character, and annual ring structure; in the end, the study will propose compensating and restoring options. This study proposed the selection of trees and their planting methods by using the models of the community transplantation (Quercus mongolica trees) and the tree transplantation (Pinus thunbergii trees). The study set out plans that will attempt to restore the Quercus mongolica forests and 89 Quercus mongolica trees of the canopy layer trees, 153 middle layer trees, and 661 shrubs are suitable. The tree transplantation utilized the existing Pinus thunbergii trees. The number of transplantation i 2,648. The total area of the transplantation topsoil is calculated to be 15,353㎥. These study results must be con ributed to reduce a damaged ecosystems and compensated damaged ecosystems for solving the problem of damaged borrow pits.

      • KCI등재

        아고산대 주목 군락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조민기,정재민,정혜란,강미영,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5

        This study analyz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composition and DBH class distribution in order to conserv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for Taxus cuspidata community in Mt. Seorak, Mt. Balwang, Mt. Taebaek, and Mt. Odae. The vegetation in upper, subtree and shrub layer was consist of 11, 22, 33 species in Mt. Seorak, 15, 21, 33 species in Mt. Balwang, 10, 23, 36 species in Mt. Taebaek, and 14, 30, 32 species in Mt. Odae. As a result of importance value at all study sites, T. cuspidata and Abies nephrolepis in upper layer, T. cuspidata, A. nephrolepis and Acer komarovii in subtree layer, and Tripterygium regelii in shrub layer were high,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 upper and subtree layer at all study sited were ranged 0.834~1.234 and 1.125~1.329,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BH class of major three species, T. cuspidata in Mt. Odae site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which was estimated that T. cuspidata community of this site might be maintained continuously as a stable state. 본 연구는 설악산, 발왕산, 태백산, 오대산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주목 군락의 보존과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종조성과 흉고직경급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의 교목․아교목․관목층의 층위별 식생은 설악산 11, 22, 33종, 발왕산 15, 21, 33종, 태백산 10, 23, 36종, 오대산 14, 30, 3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 분석 결과, 전 조사지의 교목층은 주목과 분비나무, 아교목층은 주목, 분비나무, 시닥나무,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 조사지에 있어서 종다양도는 교목층 0.834~1.234, 아교목층 1.125~1.329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오대산지역의 주목개체군이 역J자형의 유형을 보이고 있어 주목군락이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덕유산과 계방산 가문비나무 군락의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조민기,정재민,정혜란,강미영,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informations for conserv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of Picea yezoensis community in Mt. Deogyu and Mt. Gyebang. The vegetation of tree, subtree and shrub layer was consist of 8, 20, 26 species in Mt. Deogyu, and 12, 23, 33 species in Mt. Gyebang. Importance value by layer P. yezoensis, Betula ermanii, Abies koreana at tree layer, B. ermanii, Quercus mongolica at subtree layer, and Sasa borealis at shrub layer in Mt. Deogyu, and P. yezoensis, B. ermanii, Abies nephrolepis at tree layer, Acer komarovii and A. ukurunduense at subtree layer, and Tripterygium regelii at shrub layer in Mt. Gyebang were high,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 Mt. Deogyu and Mt. Gyebang were 0.779 and 0.984 at tree layer, 1.052 and 1.161 at subtree layer, and 0.823 and 1.304 at shrub laye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BH class of major species, P. yezoensis in Mt. Deogyu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which was estimated that P. yezoensis community of this site might be maintained continuously as a stable state. 본 연구는 덕유산, 계방산의 가문비나무 군락의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종조성과 흉고직경급을 조사, 분석하였다. 두 조사지의 교목․아교목․관목층의 층위별 식생은 덕유산이 8, 20, 26종, 계방산이 12, 23, 3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층위별 중요치 분석 결과, 덕유산 교목층은 가문비나무, 사스래나무, 구상나무, 아교목층은 사스래나무, 신갈나무, 관목층은 조릿대가 중요치가 높았으며, 계방산의 교목층은 가문비나무, 사스래나무, 분비나무, 아교목층은 시닥나무, 부게꽃나무, 관목층은 미역줄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구의 층위별 종다양도의 경우 교목층은 덕유산 0.779, 계방산 0.984, 아교목층은 덕유산 1.052, 게방산 1.161, 관목층은 덕유산 0.823, 계방산 1.304로 분석되었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덕유산지역의 가문비나무 개체군이 역J형의 유형이 나타나고 있어 당분간 가문비나무군락이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