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교 음악의 초국가적 형성: 맥락 만들기와 정체성 형성

        고은강 ( Eun Kang Koh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도교 음악이란 무엇인가"라는 일반적인 질문으로부터 출발한 도교 음악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다. 2002년부터 2003년 사이에 중국 북경, 홍콩, 싱가포르의 도교 사원 및 지역 축제 그리고 주로 서양 음악 공연을 위한 전문 음악공연장에서 열린 다섯 개의 공연을 중심으로 도교 음악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발표한 "We Define Music, Music Defines Us"와 관련이 있지만 논문의 내용과 시각은 전혀 다르다. 2009년의 논문이 도교 사원 및 그에 속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 논문이라면 본 논문은 "도교"를 통한 음악의 정체성 만들기이다. 본 논문은 그야말로 "도교음악"의 정체성에 관한 질문이다. 이 논문에서 소개되는 다섯 개의 서로 다른 공연을 보면 "무엇이 도교 음악인가" 나아가 "도교 음악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쉽게 답할 수 없음을 알게 된다. 도교라는 종교를 연구하다 보면, 단지 도교 음악뿐만이 아니라 도교 의식, 도교 사원, 도교와 관련된 다양한 실천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도교라는 종교 그 자체의 정체성을 만들고 드러내는 방식이 시대와 지역, 국가의 경계를 넘어 다양하다는 점을 발견하게 된다. 다양한 도교의 정체성 만들기에 특히 두드러지는 점은 초국가적 성격이다. 중국, 한국, 일본에 걸친 동아시아 사회에서 관찰되는 도교는 역사적으로도 한 국가의 경계를 넘어 초국가적으로 형성되어 왔다. 본 연구의 연구 자료인 다섯 개의 공연도 서로 다른 국가, 서로 다른 지역에 걸쳐 있다. 이 다섯 개의 공연을 통해서 도교 음악의 정체성을 생각해 본다면 도교 음악의 정체성은 단지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국제적으로(internationally)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둘 이상의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초국가적 호혜성(transnational reciprocity)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이다. 초국가성(transnationality)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연구 자료에서 주목할 점은 국가 내 종족성(ethnicity)과 초국가성의 관계다. 다섯 개의 공연은 서로 다른 국가, 서로 다른 지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모두 중국 민족(Chinese nation)과 관련이 있다. 국가의 경계 안에서 형성되는 종족성이 곧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초국가성으로 나타나고 한 국가의 경계 내에서 종족성의 형성 과정에 초국가적 호혜성이 개입되는 현상은 비단 도교음악의 정체성 연구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닐 것이다. 도교의 정체성 만들기에서 초국가적 호혜성의 중요성은 음악 이외에 도교와 관련된 다른 연구 주제를 통해 이후에 밝혀 나갈 것이다. This article is about Daoist music. If one broadly defines Daoist music as music related to Daoism, then this study can simply be perceived as an introduction to various forms of Daoist music. However, if one approaches Daoist music as music that constitutes an integral part of the ritualistic worship of Daoist deities, as most ethnomusicologists do, then this study paints a more holistic picture of Daoist music. Strictly speaking, this study focuses on five scenes of performances taken from different regions of Asia in which Daoist elements are involved. However, as the meaning of the music derived from Daoistic ingredients differs in each scene, the following question can be posed: What is Daoist music? The present study does not seek to define Daoist music, or propose objective standards for Daoist music. Rather, it seeks to foster a review of the issue of the construction of musical identity. In short, this study argues that context should be regarded as being as crucial as text when reading "music-as-text." The meaning of music and musical identity is dependent on the context in which the music is located, as well as elements of the musical texts such as style and lyrics. The music analyzed in this study illustrates the range of the Daoist identity today. In addition to Daoist music, various other methods can be used to create and expose the characteristics of Daoism. These include Daoist ceremonies, Daoist temples, Daoism related martial arts, various Daoist customs, and Daoism as a religion. However, the transnational aspect constitutes the most outstanding element when it comes to creating the Daoist identity. Historically, the Daoism that can be found in East Asian society today, a region which encompasses China, Korea and Japan, was trans-nationally formed beyond the borders of the state. The five performances introduced in this study also take place in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The analysis of the identity of Daoist music conducted herein in conjunction with these five performances reveals that this identity was not formed and then internationally spread from one country to another, but rather took shape through a transnational reciprocity which saw countries influence each other in a manner that expanded beyond boundaries. The importance of transnational reciprocity in establishing the Daoist identity will become more evident through a focus on themes related to Daoism other than music.

      • KCI등재

        체제 전환 전후 리투아니아의 국가 정체성 변화와 반사회주의 행보에의 영향 연구

        서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2 EU연구 Vol.- No.64

        National identity can be regarded as among the most important identities of human beings. It is obvious that the national identity of Lithuania was influenced by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such as the historical environment, Catholicism, anti-socialism and the pro-EU attitude.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political strategy of Lithuania displays the intention to discontinue partnerships with authoritarian countries stemming from past communist experiences. The present anti-socialist attitude is thought to be under the influence of national identity formed in the histor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which Lithuania had to face, under more than a few political leaders. After the transformation of its political system, Lithuania had to stray about between the country's traditional identity and the identity which was ‘damaged and delayed’ by the Soviet Union. When Soviet occupation forced Lithuania’s transformation from a society which developed sharing Europeanness to one of collectivism and socialism, the Lithuanian identity and image were profoundly distorted inwardly and outwardly. The most crucial incident which solidified the identity of Lithuania as a part of Europe is the appearance of Sąjūdis. This political group, inaugurated to prepare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utonomous Lithuanian government even before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lso enhanced the value of Lithuania in the context of Europe. The historical accomplishments and impacts of Sąjūdis, inaugurated by Vytautas Lansbergis who filled the post of Chairman of the Supreme Council of the Republic of Lithuania are still active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Lithuanian anti-socialist identity was formed in the mixture between the demand for consolidation of Lithunianness based on the liberal thought of German Romanticism and Catholic traditions formulated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the principle of self-sacrifice, and eventually affected a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contemporary society. It is expected that more pressure will be exerted on the relationship with Russia and China with the synergy of an anti-socialist attitude which transformed the Lithuanian national identity from a sense of belonging and traditional values. I intend to discover the foundation of anti-socialist political strategy and foresee the direction in the future through examination of identity built in Lithuanian society and the process of its formation. 국가적 정체성이란 개인이 가진 정체성 중 가장 중요한 형태라 볼 수 있다. 리투아니아 국가적 정체성은 역사적 상황, 가톨릭, 언어, 반사회주의사상, 친 EU 행보 등 정치적 사회적 상황이 큰 작용을 했다. 리투아니아의 입지는 21세기에 들어서 중국과 러시아 등 집단보수주의적 경향의 국가들과의 파트너십 결연, 관련 블록 탈퇴 등으로 과거 공산권 국가들과의 관계 단절에 대한 의지를 공공연히 내보이는 정치적 정책변화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리투아니아에서 불고 있는 반사회주의적 행보는 단지 몇몇 정치인들이나 오피니언 리더들의 결정만이 아닌 리투아니아가 처해있던 역사적 사회적 배경에서 형성된 국가적 정체성의 영향이 적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체제 전환 이후 리투아니아는 2차 대전까지 이어져 내려오던 전통적 정체성과 소련에 의해서 ‘훼손당하고 발전이 지체된’ 정체성 사이에서 오랫동안 방황을 해야 했다. 유럽성을 공유하며 발전을 이루던 절차에서 집단주의와 사회주의를 표방한 소비에트의 지배로의 강제적인 방향 전환은 리투아니아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대외적으로 변질시켰다. 유럽 일부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했던 가장 중요한 사건은 사유디스의 등장이다. 소련 붕괴 이전 리투아니아의 독립을 준비하며 리투아니아 국가 수립을 위해서 조직된 이 단체는 국가 설립 이외에도 유럽의 문맥 내에 속해있는 리투아니아의 가치를 끌어모았다. 리투아니아는 18세기부터 형성된 독일 낭만주의와 전통적 가톨릭을 바탕으로 둔 자유주의적 사고방식을 근간으로 유럽성의 회복을 통한 리투아니아성의 공고화, 1차 대전 이후 강대국들의 지배를 견뎌야 했던 역사적 상황과 유럽의 비극을 온몸으로 막아야 했다는 자기 희생화 사상 등이 융합되어 반사회주의적 정체성이 형성되었고 이는 현대 사회 분위기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유럽연합에의 소속감과 전통적인 가치에서 근현대사적인 국가 정체성이 된 반사회주의 정책은 더 많은 시너지로 러시아에 대한 대대적인 압박에 더 힘이 실릴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은 리투아니아 사회에 형성되어있는 정체성 현상을 정리하며 그 형성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리투아니아의 반사회주의적 정책 기조의 근거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행보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동북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지역 정체성과 민족주의

        지은주(池恩周)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3

        본 논문은 동북아 지역공동체를 구성에 있어서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민족주의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성공적인 지역공동체를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들이 필요하지만 구성주의적 접근에서는 지역 구성원이 스스로를 지역의 구성원이라고 인식하는 지역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동북아시아 국가들은 지리적 인접성, 한자, 그리고 유교문화로 인해 공동의 인식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동북아시아의 지역정체성의 구성은 상대적으로 용이할 것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유럽과 동남아시아가 활발한 지역협력을 이루어 가고 있는 것과 상반되게 동북아시아는 낮은 지역협력의 수준과 낮은 지역정체성을 보이고 있는데 그 원인 중에서 핵심적으로 지적되는 것이 동북아 국가들의 높은 민족주의이다. 그러나 유럽공동체나 동남아시아의 협력사례는 민족주의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지역정체성의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지역 정체성은 민족주의와 충돌하기도 하지만 일정한 조건 하에서는 민족주의와 화합 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글은 유럽과 동남아시아의 사례와 비교해 보았을 때 동북아시아의 민족주의의 어떠한 문제점이 지역정체성의 구성과 공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성주의적 입장에서 진단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role of "Nationalism" in Northeast Asia communities from constructivist perspective. Constructivism insists that regional identities are important for promoting regional cooperation. As for Northeast Asia, it is known that they could easily construct regional identities because of their geographic closeness, Chinese character and confucianism. It is believed that these similarities and common bases could create regional identities and lead the regional cooperations. However, Even if 20 years have been passed since the first meeting of Northeast Asia countries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at Singapore, no further progress has not been made. The main obstacle for this is known as "Nationalism." Therefore, this paper exams the "Nationalism" in Europe communities and Southeast Asia cooperation which allows multiple identities. Then it finds out the what kind of Nationalism is being an obstacle for constructing regional identities in Northeast Asia.

      • KCI등재

        민족과 국민사이 : 조선족의 초국가적 이동과 민족정체성의 갈등

        박경화,박금해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9

        1992년 한중수교와 더불어 조선족사회에는 전례없는 초국가적 이동의 붐이 일기 시작하였다. 조선족은 그들자신의 “과계민족”으로서의 우세를 빌어 친척방문, 노무송출, 국제결혼, 유학 등 다양한 경로로 한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각지로 이동하고 있다. 조선족의 초국가적 인구이동은 조선족사회의 경제 사회발전을 추진함과 아울러 일련의 사회적 문제도 야기하고 있다. 국민과 민족사이에서 겪고 있는 정체성의 변용이 바로 한 사례이다. 중국국민이면서도 한민족디아스포라라는 특수한 입지의 조선족은 같은 핏줄의 민족성을 내세우고 막연한 기대감으로 한국에 들어서지만, 입국하는 그 순간부터 그들은 신체적 이동과 함께 그 신체에 배여 있는 자신들의 공동체문화가 한국내의 문화와 전면적으로 접변하고 부단히 상충하는 과정에서 전연 예기치 못한 정체성의 갈등과 곤혹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그들에게 강요되는 재외동포와 외국인근로자, 불법자와 합법자, 한국인과 중국인 등 다중적인 경계인으로서의 입지 및 조선족과 한국인 사이에 뛰어넘을 수 없는 무형의 두꺼운 장벽으로 완전히 타자화되면서 “나는 누구인가”라는 고민과 아울러 국민국가인 중국과 종족, 혈통국가인 한국을 사이에 두고 과계민족으로서의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그렇게 시작된 한국과의 교류가 서로간의 불신, 반목, 이해를 거듭하면서 어느덧 30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강산이 세 번씩이나 바뀌는 사이 역동적인 초국가적 이동속에서 재한조선족사회는 이미 하나의 자체커뮤니티를 이루어가면서 강한 정주화의 경향을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족들의 귀속의식과 정체성에도 새로운 변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오늘날 아이덴티티의 선택의 범위를 넓히고 있는 조선족의 정체성을 간단히 ‘국민’과 ‘민족’이라는 양자택일의 논리로 설명할 것이 아니라 하나의 진행상태에 있는 생산과정으로, 한중양국의 정책 및 무수한 개인들의 이해관계가 경합하며 공존하는 가운데서 끊임없이 구축되고 있는 미완의 과정으로 보아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04년 필자가 한국체류시 서울, 경기지역 부동한 계층의 조선족 16명에 대한 심층구술면접조사 및 2015년 1월 한국 체류시 이들에 대한 재차로되는 추적면담조사에 기초하여 그들의 굴곡적인 정체성의 변용궤적을 살펴봄으로써 글로벌시대 조선족사회와 그들의 이주현실을 바라보는 시야를 넓히고 더 나아가 ‘조선족’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담론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1992年中韩建交后, 朝鲜族跨国流动骤然升温, 规模越来越大。朝鲜族凭借其跨界民族的优势, 以探亲、劳务输出、涉外婚姻、出国留学等各种形式流往国外。毫无疑问, 跨国人口流动群体为推动朝鲜族经济文化发展、缓解当地就业压力、提高朝鲜族市场经济意识等方面带来了积极影响, 但同时也带来了一系列的社会问题, 由于作为跨界民族的特殊历史文化背景而出现的身份认同的两难困境便是一例。 跨国流动中, 朝鲜族的身份意识具有情境性的选择, 从而呈现明显的境遇性与摇摆性。同种同文的历史文化背景以及韩国对海外同胞的一系列包容政策、中韩悬殊的收入差异等使得成千上万的人选择到韩国务工、留学、生活, 对同一民族的向心力及认同意识空前高涨。但身份的确定, 除了明确的自我认同外, 还必须有一个相应的社会定义。因为一个人对自我的认识不是全然取决于自身, 而是主要形成于与他人的交往中, 也就是说在别人的评价中人才会有真正自我的观念和对自我的认识。韩中不同的政治理念和社会体制、韩国社会对朝鲜族的歧视与务工人员所遭到的非人待遇等又使不少在韩朝鲜族陷入“我是谁”的迷惑, 加重了朝鲜族的自我认识的困境。也正是由于“自观”与“他观”之间无法回避的张力, 使得朝鲜族在民族认同与国家认同之间形成“钟摆式”的摇摆, 不断寻求二者间的平衡。无可否认, 在跨国流动中朝鲜族的身份认同呈现出多样化的趋势, 尤其是在民族与国家之间, 因情境不同而出现多重性的特点。由此, 本论文基于对16名在韩朝鲜族的跟踪调查, 将研究对象置于政治生活、日常生活两个不同场域下的多个场景中, 探查他们在跨国流动中的内心焦虑和摇摆不定, 进而从身份的确认和演变过程来分析在韩朝鲜族如何在民族与国家之间构建自我认同、如何在左右摇摆中寻求平衡, 维系社会和谐。

      • KCI등재

        재미 화인작가의 작품을 통해서 본 화인 사회의 초국가성:

        손유디(Son, Yoo-Di),여현철(Yeo, Hyun-Chul)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 이민소설에 등장하는 초국가적 현상에 대한 특성들을 분석해 보는데 있다. 특히 화인 작가 린위탕(林語堂)의 소설 “차이나타운 패밀리(Chinatown Family)”를 중심으로 이주민 사회 속에 내재되어 있는 초국가적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차이나타운”은 고국으로 돌아갈 수 없는 자로서의 이방인들이 고향의 향수를 느낄 수 있고, 서구사회에서 그들만의 결집력을 분출할 수 있는 시공간을 초월한 초국가적 장소이다. 여기서 초국가란 초지역을 포함하는 범주로서 국가·민족 의 개념을 뛰어넘는 의미의 초(超)가 아닌 경계를 밟고 넘어 오가는 월(越) 또는 과(跨)의 의미를 함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초국가성을 다루고자 하는 이유는 현대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탈국가화 현상 즉, 특정 국가의 경계나 이익을 넘어서는 세계화 시대의 문화적 사회상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디아스포라 문인들의 작품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공통점인 초국가성을 탐구해 보았다. 린위탕의 작품 속에 등장하고 있는 인물들은 한 공간에 국한되지 않고, 모국(母國)과 이국(異國)의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고 정체성을 형성해 가고 있다. 차이나타운이라는 초국가적 공간에서 살아가는 주인공 톰(湯姆)의 삶을 통해 형성되어지는 초국가적 주체성을 함의 하고 있다. 본 논문이 주목하는 바는 초국가성이 국가·민족을 뛰어넘는 사유방식이 아니라, 국가의 경계를 넘었을 때 더 좁게 죄여오는 지역의 경계라는것이다. 작은 중국으로 형성된 “Chinatown”은 본인들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공간인 동시에 중심에서 주변부로 내몰린 지역이다. 이곳은 지리적으로 닫힌 공간인 동시에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는 공간인 반면 도전적이 고 주체적인 사회활동 공간이 된다. 미국 이민 사회 속에서의 초국가성은 국가의 경계 속에서 생성되고 파생되는 “초국가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narrative of the transnationality in American immigrant novels. In particular, I examined the transnational phenomena inherent in the immigrant society, focusing on the novel “The Chinatown Family” written by the novelist Lin Yutang. “Chinatown” is a time and space where foreigners as people who can not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can feel the nostalgia of their hometown, and can project their own bond in western society. In this category, the transnation is a category that includes trans-region, and it is “越” or “跨” which means across borders, rather than across national and ethnic concepts. The reason why I wanted to deal with the transnationality in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nd social aspects of the era of globalization that transcend the boundaries and interests of a particular country in the modern society. To that end, I wanted to explore the transnationality, which is a common feature of the Diaspora literary works. The characters in Lin Yutang s work are not limited to one place, but are creating new spaces by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mother country and foreign countries. The transnational identity is created through the life of the main character Tom(湯姆) who lives in a transnational space. What this paper highlights is not that the transnationality in a way of overcoming national and ethnic barriers but rather that it is what immigrants feel when crossing national borders. “Chinatown” is both a representative space for their identity and an area driven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While this is a geographically closed space, it is also a space experiencing social isolation, making it a challenging and subjective social activity space. The transnationality in the American immigrant community is a “transnational identity” created and deriv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state.

      • KCI등재

        유라시아 지역 고려인의 정체성 연구: 1990년대 이후 연해주 고려인의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권기배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1

        This thesis is studying the transnational identity of the food culture of Koryuin in the coastal region, which was formed in the second period of diaspora history. At the same time, it briefly examines the history of the diaspora of the Koryuin in Central Asia. The Koryuin fled the extreme nationalism of the local countries and returned to the coastal coast, their spiritual source and historical hometown. The food on their tabl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raditional Korean food.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transnational"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urasia.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ulture of the Koryuin in Primorsky Krai, which show a transnational identity in which the food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food culture of the Eurasian people are mixed, are listed below. First, the food culture of the Koryuin in the coastal region shows the transn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read-meat-vegetarian” diet formed during the long diaspora period. Second, Koryuin foo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ransnational food culture identity that is most widely accepted by Eurasian locals is “carrot kimchi”. Third, Koryuin salad, represented by carrot sticks and seaweed marinated seaweed, is being accepted as a favorite dish of Eurasian locals. Fourth, foods with transnational characteristics that often appear on the table of Koryuin returning to the coastal region of Russia went through a process of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yuin's tastes, and the representative dish is 'Oshi'. Fifth, the Korean traditional food “guksi” has been transformed into a fusion food that suits the tastes of the local people, and has become the most popular food in the Eurasian region. 본 논문은 디아스포라 역사의 두 번째 시기에 형성된 연해주 고려인 음식문화의 초국가적 정체성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다. 동시에 1990년대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연해주로의 재이주로부터 시작된 두 번째 시기의 역사를 포함한 연해주 고려인의 디아스포라의 역사도 살펴보고 있다. 소련 공산주의 체제가 해체되면서 태동된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극단적인 민족주의를 피해 자신들의 정신적 원천이면서 역사적 고향인 연해주로 귀환한 연해주 고려인들의 밥상에 오르는 음식은 한국의 전통음식과는 결이 다른 특성을 가진 유라시아 지역적 특성이 가미된 ‘초국가적-고려인식’으로 탈바꿈되었다. 오랜 기간 동안 디아스포라적인 삶을 이어오면서 구축된 자신만의 독특한 고유성, 즉 한민족의 음식문화에 유라시아 민족의 음식문화가 혼합된 초국가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연해주 고려인들의 음식문화의 특징을 열거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연해주 고려인들의 음식문화에는 오랜 디아스포라 기간 동안 형성된 ‘빵-육류-채식’식단의 초국가적인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유라시아 토착민족들의 ‘빵-육류’를 중심으로 하는 음식문화가 고려인들의 전통 한민족 식단인 ‘밥-장국’ 중심의 채식문화 속으로 유입된 결과이다. 둘째, 유라시아 현지인들에게 가장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진 초국가적 음식문화 정체성의 특성을 지닌 고려인 음식은 ‘당근김치’이다. 일반적으로 연해주 고려인들은 당근 김치를 먹을 때 유라시아 민족의 전통적인 빵과 곁들인다. 셋째, 당근 채, 미역가지무침 등으로 대표되는 고려인 샐러드가 유라시아 현지인들이 좋아하는 음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것은 러시아 음식문화(자쿠스키)가 유입된 고려인 음식이 유라시아 현지 지역민에게 전파된 결과이다. 넷째, 러시아 연해주로 귀환한 고려인의 밥상에 자주 올라오는 초국가적 특성을 가진 음식은 ‘오시’이다. 중앙아시아 음식이 고려인들의 입맛의 특성에 따라 변형의 과정을 거친 오시는 우즈베키스탄의 대표 음식이다. ‘기름밥’, ‘플로브’라고도 하는 이 오시는 우즈베키스탄 최고의 잔치 음식이기도 하다. 다섯째, 고려인의 전통 음식 ‘국시’는 현지 민족의 입맛에 맞는 퓨전 음식으로 변형 되면서 유라시아 지역에서 가장 대중성을 지닌 음식으로 거듭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국시는 유라시아 민족들에게 판매되고 소비되는 독립된 음식문화이자, 초국가적 문화적 특성을 지닌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초국가주의와 한국계 미국소설

        육성희(Yook, Sung-Hee)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2 No.1

        국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변화를 가리키는 초국가주의는 현대의 사람, 자본, 기술, 정보, 상품, 이데올로기, 문화 등의 초국가적 흐름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분석틀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1990년대 중반에 아시아계 미국문학 비평에서 감지된 초국가적 변화와 최근 한국계 미국작가들의 소설에서 발견되는 주제적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초국가주의의 관점에서 한국계 미국소설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시아계(특히 한국계) 미국문학 분야에 나타난 초국가적 패러다임의 전환은 크게 두 가지로 논의된다. 먼저 아시아계 미국문학 비평이 문화적 민족주의에서 초국가주의로 전환되는 과정 을 비평가들의 다양한 논점을 통해 살펴본다. 초국가 시대를 살아가는 한국계 미국작가들의 주제적 변화는 돈 리와 레너드 장을 위시한 2세대, 3세대 작가들의 관심이 국가와 민족의 범주 안에 갇혀있었던 한국계 미국인으로부터 초국가시대의 유동적이고 유연한 개별적인 존재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논의된다. 또한 본 논문은 폴 윤의 [눈 사냥꾼]을 통해 한국계 미국인의 정체성이 국가나 민족에 제한되지 않고 주어진 조건과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초국가적 주체를 탐색하며, 이를 통해 새롭게 제시되는 공동체의 모습을 살펴본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Korean American novels through the lens of transnationalism. Referring to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processes that move beyond the borders of nation-states, transnationalism has become a category of analysis for transnational flows of people, capitals, technologies, information, commodities, ideologies, culture among others. In the field of Asian American literature, the transnational turn happened in the mid-1990s and this paradigm shift has affected critics and writers in the field so that we could detect critical and thematic changes in the directions of criticism and creative writing. In order to examine these changes, this paper first looks into Asian American literary criticism with a focus on the change from cultural nationalism to transnationalism. The thematic changes of Korean American writers are discussed while exploring the interests of Don Lee and Leonard Chang in representing Korean Americans as ordinary Americans who are not necessarily identified by Korean ethnicity or national identity. The writers’ interests move from Korean Americans within the categories of nation and ethnicity further to transnational subjects whose identities are fluid and flexible through individualized Korean Americans. This paper takes Paul Yoon’s Snow Hunters: A Novel as an example that embodies transnational subjects whose identities are not confined by their ethnicity or nation of origin but flexible to the given condition and circumstances in the transnational era. In so doing, this paper tracks the critical and thematic changes emerged since the transnational turn.

      • KCI등재

        미술작품의 국가적 정체성에 관한 소고<SUP>小考</SUP>

        이지은(Jieun Rhee) 현대미술사학회 2015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8

        With the upsurge of ‘globalization’ and the emergence of the third-world art in the major venues of international art scenes, the artists from the third-world nations have been welcomed as new members of global contemporary art and expected to add diversities into the traditions of western modernism. In this context, the national identity, among other factors, has been championed by the leading curators and critics of the first world as a useful standard that evaluates the specificity of the third-world artworks. This paper deals with three Chinese artists and their works; Song Dong’s <Waste Not>(2006) consists of used or obsolete household objects such as old clothes, shoes, cracked dishes, plastic bottles and other junks; Ai Weiwei’s <Fairytale Project>(2007) brought 1001 Chinese tourists and equal number of Ming·Qing dynasty chairs into the city of Kassel as a part of Kassel Documenta exhibition; Lee Mingwei’s <Sonic Blossom>(2013) employs multi-national references, such as German Lied, Austrian composer, and Korean singers. Analysing these three works, this paper explores a wide spectrum of tactics and problems of national identity in the contemporary third-world art.

      • KCI등재후보

        초국가적 이동 배경 하에 조선족의 문화와 정체성에 관한 연구

        최금해,유신이 재외한인학회 2023 在外韓人硏究 Vol.63 No.-

        중국 조선족은 ‘중화인민공화국 국민’과 ‘한국의 재외동포’라는 이중적인 신분을가지고 있으며 한중 양국 관계의 매개체로서 한중 양국의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초국가적 이동 배경하에 조선족의 이동 방식과 생활 환경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그들의 문화 및 정체성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재구성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귀화자, 귀국자, 딜레마에 처한 초국가적 이동자 세 가지유형의 조선족의 문화 및 정체성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통해 조선족귀향 및 창업을 적극 지도하고 조선족 집단 거주지의 정착 사업 추진, 일자리 안정정책 추진, 조선족 집단거주지역의 비영리성 주택 건설 프로젝트 추진, 주류 홍보매체를 통한 해외거주 조선족의 민족정체성 구축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고, 조선족을 기본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는 시민이라는 시각에서 조선족에 대해 존중과 이해를 가지고, 한국정부에서는 다양한 재한 외국인에 대한 정책 제정 및 개선을 통해 외국인의 권리를 보장하는 등의 제안을 제시했다. As a medium of bilateral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e Korean-Chinese people has the dual status of ‘Chinese citizens’ and ‘Korean compatriots abroad’,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l aspects of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However, in the current context of transnational mobility, the changes in the way of Korean-Chinese nationality’s mobility and living environment have continuously broken and reshaped their cultural and ident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ultural and identity differentiation of the three types of Korean-Chinese, Korean nationality, Korean--Chinese who are willing to return to China, and Korean-Chinese who are in a dilemma, this paper puts forward some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such as actively guiding the Korean-Chinese to return to their hometowns and start their own businesses, promoting the housing project in the Chinese-Korean inhabited areas, and promoting the policy of stable employment.

      • KCI등재

        한국 TCK들의 초국가적 이동 경험과 정체성 형성 : 근거이론 접근

        김경희,서은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현재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 한국 TCK 청소년들의 초국가적 이동의 경험은 어떠한가? 그들이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과정은 어떠한가?라는 문제를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해외 소재 국제학교 한국 중·고등학생총 18명을 인터뷰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은 MAXQDA를 활용하여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 과정 분석을 거쳤다. 분석 결과, 중심 현상은 대한민국 국적을 소지한 채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 한국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변화에 따른 혼란’으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문화자본 획득 시도 및 초국가적 이동으로 파악되었다.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혼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이동성이 높은 삶의 방식, 여러 언어의 필요, 교육방식의차이, 문화적 차이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 TCK 청소년들은 자신을 둘러싼 미시·중간· 거시체계의 자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적응 전략을 실천하고 있었다. 궁극적으로 한국TCK 청소년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은 ‘세계시민 되어가기’의 과정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이동 단계, 혼란 단계, 조정 단계, 정체성 재확립 단계, 세계시민성 추구 단계의 다섯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