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동영상 활용과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온라인 임상실습교육의 효과

        박혜서,오윤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임상실습 기반의 동영상을 활용한 실습교육과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일 지역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동영상 활용 실습군 31명,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군 34명 총 65명이었다. 동영상활용 실습군에는 임상 상황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동영상 활용 온라인 실습 교육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군에는온라인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학습을 제공하였다. 실습교육의 효과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만족도를 확인하여 비교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온라인 기반 임상실습 후 동영상 활용 실습군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유의하게 낮아졌고, 가상시뮬레이션 실습군은 높아졌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임상실습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동영상 실습군에서 높아지고,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군에서는 낮아졌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온라인 임상실습 후에 임상수행능력과 임상 실습만족도의 두 군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동영상은 실습교육은 기존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비교하여 비용효과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인 교육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이재용,권정현,차영경,오주연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 context of COVID-19. For this purpose, using the modified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QR–M), 53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records and interview data of 1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COVID-19 situ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by the CQR–M, a total of 294 responses, 21 categories, and five areas were derived. The five areas derived were ‘experience before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individual level during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school level during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educational level during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and ‘education experienc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actice.’ Pre–elementary teachers were able to reflect on classes and life guidance at the level of individuals, schools, and education by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actice in the context of COVID-19. In this proces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ought about the competencies they should have as pre– 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y presented their opinions on the meaning and development plan of educational practice from the point of view of pre–elementary teach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prepar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actice in the post–corona era. Based on this, we will be able to carry out practical educational training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pre–elementary teachers.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참여 경험에 관한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M)을 사용하여 코로나19 상황에서 교육실습 체험기록53편과 예비교사 10명의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M)으로분석한 결과, 총 294개 반응, 21개 범주, 5개 영역을 도출하였다. 코로나19의 상황에서 교육실습에참여한 초등 예비교사의 경험으로부터 도출된 다섯 가지 영역은 ‘낯섦과 새로움을 마주하기(교육실습참여 전)’, ‘어려움과 고민 속에서 기회 발견하기(교육실습 참여 중 개인 차원)’, ‘다시 만난 학교와 교실 바로 보기(교육실습 참여 중 학교 차원)’, ‘교육의 의미 새롭게 포착하기(교육실습 참여 중 제도 차원)’, ‘교사의 길을 향한 마음 다지기(교육실습 참여 후)’이다. 각 영역의 하위범주를 분석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교육실습을 통해 수업, 생활지도, 교직생활에 대해 개인, 학교, 정책 차원에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초등 예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에대해 성찰하였고, 초등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교육실습이 갖는 의미와 발전 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미래형 교육실습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초등 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실습을 의미 있게 실행해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조직환경과 교육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영주,길효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correlation between practicum learning environment and practicum stres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e selected 284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ir third year of college. Three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 practicum learning environment, practicum stress, and ego-resilience.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go-resilience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as determined to be as a partial mediator variable in the effect of practicum learning environment on practicum stress. Thus, findings show the importance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ego-resilience as an essential factor of practicum learning environment and practicum str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go-resilience program and, the collaborative support system of the college and kindergarten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practicum curriculum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조직 환경과 교육실습 스트레스 변인 사이에서 자아탄력성의 변인이 어떠한 매개 효과를 가지는 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강원, 경기, 전북 지역의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이고,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3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교육실습 조직 환경, 자아탄력성, 교육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내용의 284부이며,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교육실습 조직 환경, 자아탄력성, 교육실습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실습 조직 환경과 교육실습 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스트레스에 대하여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예비유아교사를 지원할 수 있는 실습기관과 대학의 긴밀한 협조체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수학 수업 준비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고찰

        권성룡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 교사가 예비교사에게 어떤 지도활동을 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가 한 차시의 수학수업을 준비해서 수업하기까지 실습지도 교사와 예비교사 사이에 이뤄지는 지도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교육실습에서 실제로 지도교사는 어떤 역할을 하며 예비교사는 수업준비과정에서 지도교사로부터 어떤 도움과 지도를 받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후의 교육실습의 개선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G시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3학년 두 학급 54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4주간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수학수업을 하도록 한 후 수업준비과정에서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일기형태로 기록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실습지도 교사는 지도활동 중 ‘수업 단계, 학생수준을 고려한 수업 설계하기’와 관련된 지도활동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와 함께 단순히 지도안작성을 위해 형식을 통일시키는 것과 같은 지도활동의 비중이 두 번째로 높은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좀 더 실질적인 교육실습 지도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바탕으로 실습지도 교사의 역할을 방임형, 관리형, 지도형, 협력형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 중 지도형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지도활동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관리형과 방임형도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서 보다 성공적인 교육실습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계획과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activities of guidance teachers in student teachers' planning mathematics lesson and the role of guidance teachers in teaching practicum. To fulfill the purpose, 54 student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ing practicum in G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G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gathered data by asking student teachers to record the interaction process with guidance teachers in detail. By analyzing the teaching activitie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guidance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in student teachers' planning a lesson were focused on the strategies of teaching and organiz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bility level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Second, four types of guidance teacher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eaching activities as noninterference, supervision, guidance, cooperation. Most of guidance teachers can be indexed as guidance. Third, more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guidan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role of guidance teacher in teaching practicum and systemic program for teaching practicum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실습현황에 관한 연구

        유흥옥,유영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학논집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actual conditions of student teaching in 62 colleg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of improving the student teaching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comprehensive teacher preparation is required for the success of the student teaching program. Therefore, a systematic and consistent system of cooperation regarding student teaching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the college and the kindergarten. Futhermore, roles of cooperative teachers and college advise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Therefore, the model for student teaching must be further developed to incorporate the quality of cooperating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eacher educators sh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everal factors in field experience such as duration, time, and the quality of cooperating teachers. 본 연구는 전문적 자질을 갖춘 유아교사를 양성하는데 있어서 교육실습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보고,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서 교육실습이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의 현황을 파악하여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서, 전문대학 특성에 적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62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의 실습담당교수(혹은 학과장)를 대상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실습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단계와 내용, 기간, 시행학기 등이 매우 다양하였으며, 대학과 실습유치원, 혹은 대학과 실습생과의 연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전문대학의 다양한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이론적인 토대 하에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모델 개발 연구

        양옥경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5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실습교육모델의 개발연구이다. 사회복지 교육에서 실습은 하나의 교과목 수준을 넘어 매우 중요한 과목으로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실습교과목은 다양한 형태의 문제점에 무방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어왔으며, 특히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주축이 되어 실습교육에 관해 꾸준한 연구와 토론을 전개해왔으며, 2004년에도 새로운 문제 탐색을 위하여 전체 회원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하는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도 그 연구들 중의 하나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와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의 대학과 현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를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현재 가장 심각한 문제는 표준화된 실습교육의 지침이 없다는 것이었다. 기존의 실습지침서가 있었으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사용비율이 낮았으며, 따라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실습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그 해결책으로 체계구조모델을 교육모델로 채택하였으며, 그 모델을 운영하기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원격교육실습에 대한 교육실습지도교사의 인식

        정수현 ( Jeong Soohyeon ),김연구 ( Kim Yeonku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본 연구는 유례없는 최초의 원격교육실습에 참여한 교육실습지도교사의 인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원격교육실습이 결핍하고 있는 요소와 충족하고 있는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13명의 교육실습지도교사를 대상으로 문헌분석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육실습 기간 중 교육실습지도교사들이 작성한 기록물(일지)을 수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종료 후 면담을 진행하였다. 원격교육실습에 대한 교육실습지도교사의 인식을 분석 및 범주화하여 다섯 가지의 결핍된 요소와 한 가지의 충족된 요소를 도출하였다. 결핍된 요소는 교육실습 참여자 간의 관계, 수업 외적인 부분에 대한 지도, 교육실습 지도의 정확성과 효율성, 교육실습지도교사 간 협력, 교육실습 지도의 공평성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충족된 요소는 반성적 실천과 성장이었다. 원격교육실습은 결핍의 양상뿐만 아니라 기존의 교육실습이 가지고 있던 장점을 일부 충족하는 양상도 보였다. 나아가 기존의 교육실습에서 결핍되었던 측면을 오히려 보완하여 주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실습에 가미된 ‘원격’이라는 요소는 기존의 교육실습에서 경시되었던 부분을 부각시킨 측면도 있지만 대체로 코로나 팬데믹과 맞물려 기존의 교육실습에서 부족했던 부분을 더 부각 또는 악화시키는 요인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실습의 개선방향을 교육실습 구성원 간의 관계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지원, 실습학교 및 교육실습지도교사 선정 시 학교의 조직문화나 교육실습지도교사의 교육관 고려, 교육실습생별 개별화 맞춤형 지도 제공, 교육실습지도교사 간 충분한 협력 기회 확보, 원격교육실습이나 온·오프라인 혼합형(블렌디드) 교육실습 등에 대한 이론적 기반 구축과 모델 개발, 교육실습에서 교사교육자의 역할이나 인식 등에 대한 연구 강화 등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the elements that the on-line teaching practicum lacks and mee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the cooperating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unprecedented on-line teaching practicum.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and interviews with 13 teachers belong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Records(diaries) prepared by the teachers during the on-line teaching practicum perio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based on this,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 teaching practicum was completed. By analyzing and categorizing the perceptions of the cooperating teachers on the on-line teaching practicum, the five elements that it lacks and one element that it meets were derived. The five elements include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nts of the on-line teaching practicum, advice on the parts outside the instruction,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teachers’ advice, cooper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teachers, equity in advising the student teachers. On the other hand, the element that were satisfied was ‘reflective practice and growth’. The on-line teaching practicum showed not only some aspects of deficit, but also some aspect of meeting the advatages of the existing teaching practicum. Furthermore, it supplemented the aspects that were lacking in the existing teaching practicum. In conclusion, though the ‘on-line’ factor added to the teaching practicum highlighted what was neglected in the existing teaching practicum, but it was generally meant to be a factor that further highlighted or worsened what was lacking in it in conjunction with the corona pandemic.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ix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teaching practicum.

      • KCI등재

        의사소통 맥락에서 비사범계 교직과정 이수생의 교육실습과정 탐색

        강경리(Kang, Kyu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맥락에서 비사범계 교직과정 이수생의 교육실습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효과적인 교육실습과정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 하는 것이다. 의사소통 맥락에서 예비교사의 교육실습과정은 교육실습과정의 문제 점과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D 대학교 비사범계 교직과정을 이수중인 학생으로 2016년 4월에서 5월에 교육실습과 정을 마친 학생 13명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 성찰일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의사소통 맥락에서 개인 내 요인, 개인 간 요인, 조직 요인의 지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의사소통 맥락에서 교육실습 과정의 문제점으로 개인 내 요인과 관련된 문제점은 부정적 감정표출하기, 수업에 대한 두려움, 학생들의 주목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나타났다. 개인 간 요인 중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의 문제점은 지도교사의 무관심과 거리감으로 인한 관계 단절로 나타났다. 학생과의 관계에서의 문제점은 전공의 차이와 시간의 부족으로 인한 공감대 형성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조직 요인과 관련된 문제점은 예비교사의 근무 공간이 교무실인 경우, 통제가 심한 학교의 규정, 시험기간과 겹치는 교생실습기간 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맥락에서 교육실습과정의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으로 개인 내 요인과 관련된 노력은 경험에 대한 성찰로 나타났다. 개인 간 요인 중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의 노력은 실습지도교사에게 적극적으로 요구하기와 예비 교사들과의 소통으로 나타났다. 학생과의 관계에서의 노력은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생활지도 시간을 통한 공감대 형성으로 나타났다. 조직 요인과 관련된 노력은 학교 조직의 장점을 배우려는 자세와 학생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 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실습과정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practice of the pre-service teacher i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actice process. The educational practice process was explored focused on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al practice process and the efforts for solving the problems in the contexts of communi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3 students who attend the educational practice of the pre-service teacher from April to May in 2016.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collected data through reflection journals and in-depth interviews.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was analyzed by personal factors, interperson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oblems associated with personal factor is to express negative emotions, fear of the class, thinking pre-service teacher as the leader of the students. Problems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factor in relations with the practical guide teacher are the disconnection due to the indifference and distance of the guidance teacher. Problems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factor in relations with the student are the difficulty of consensus due to difference of major and shortage of time. Problems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factor were the working place in the school office, severe regulations, educational practice period. Second, efforts to solve problem related to personal factor was reflection about experiences. Efforts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interpersonal factor in relation with the practical guide teachers were to demand actively and to communicate with other pre-service teachers. Efforts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interpersonal factor in relation with the students were to form consensus through nonverbal communication and life guidance. Efforts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organizational factors appeared in a way to learn the merits of school organization and to lov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of the pre-service teacher.

      • KCI등재

        교육실습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 탐색

        정한호 ( Han Ho Jeong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교육실습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 형성 및 발전 과정의 실테를 탐색하고 교육실습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생 42명의 일지와 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를 있는 그대로 제시하고 그 현상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실습생들은 대학과 다른 교육실습하교의 조직문화와 지도교사와의 관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특히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지니고 교육실습에 임하지만 학생들의 경계심이나 무관심으로 당황하게 되거나 예의 없고 버릇없는 행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의 무관심과 예의 없는 태도에도 불구하고 이들과 친해지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였으며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고민, 불안, 또는 방황에 대해 이해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학생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학생이 처한 환경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불기항력적인 상황”으로 인식하고 헌신적인 자세로 학생들에게 다가가는 교육실습생도 있었다. 이 같은 교육실습생의 노력으로 인해, 학생들도 점차 “마음의 문”을 열게 되었으며 이전과 다른 “인사하기, 먼저 말 걸기, 먹을 것 주기, 장난걸기, 농담하기”등과 같은 변화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교육실습생들은 자신을 “선생님”으로 부르고 따르는 학생들의 모습을 통해 드디어 자신이 “교사가 되었다”라는 “성취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나타나는 교육실습생의 “교사되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과의 관계를 통해 부여된 “교사라는 지위”에 감격하고 희열을 느끼게 되지만 이것이 도리어 교사라는 업무를 올바로 수행하는데 예상치 못한 한계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탐색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of the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process between student teacher and students, and help activate the pre-service internship in right direction. This research focused on presenting accurat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teacher and students in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and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the phenomena, on the basis of practice journals of forty-two student teachers and in-deep interviews with five student teachers.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were suffering from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universitie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particular,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performed the internship with positive expectations for students, but they were perplexed by wariness and apathy or were suffering from naughty and rude. However, student teachers continued to try to make good relationship with student in spite of their wariness and rude, understood a much more appreciation of distress, anxiety, or wandering that they had in schools. In addition, some student teachers recognized problems with student behavior as a matter of “impossibility of the situation” from their environment rather than as their own problems, and then they showed their dedication to the students. As a result of student teachers` efforts, students opened their heart at last, and they showed student teachers their transformation such as “bowing, talking, giving snack, playing around, and joking”. In particular, when student called and followed student teacher as a real teacher, student teacher displayed a sense of accomplishment “became. a teacher”. However, in this study, there was a limit to the “becoming teacher”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 addition, student teachers were overjoyed at “status of teacher” granted through a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but this worked as an unexpected limitation to perform their duties properly.

      • KCI등재

        인턴제 교육실습에 대한 질적 연구 -국가 수준 교육실습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

        조대훈 ( Dae Hoon Jh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교육실습 현황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교육실습의 내실화를 이루기 위한 방안으로서 실습기간 4개월(실제 실습일수 9주)로 구성된 ‘인턴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 모형의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실습학교 교사진과 함께 교육실습 운영의 근간이 되어 줄 「교육실습 수행표준」및 「교육실습 표준 운영 매뉴얼」을 공동 개발하였고, 이를 실제 교육실습에 적용한 후 그 실행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요약하면 인턴제 교육실습은 기존의 4주 교육실습에 비해 크게 다음 세가지 측면에서 개선된 측면을 보였다. 첫째, 교육과정 표준에 기초한 인턴제 교육실습 경험이 교실수업에 대한 인턴 교생들의 안목을 훨씬 더 넓혀주고, 궁극적으로 수업 전문성 함양 면에서 커다란 효과를 보였다. 둘째, 기존 4주 실습 교육과 비교할 때, 교생과 지도교사 간에는 교사의 일상 업무에 관한 아주 높은 수준의 의사소통 및 협력이 유지되었다. 셋째, 실습지도교사 역시 인턴제 교육실습 참여를 통해 반성적이고 자기 치유적인 보상 경험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실습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교육실습 기간의 확대와 더불어, 국가 수준의 교육실습 교육과정(또는 운영 매뉴얼)이 제정될 필요성과 아울러, 교육실습 협력교사의 자격 요건 강화 및 교육실습 협력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 마련이 시급히 요청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consequences of the ‘Internship Teaching Practicum’ which had been implemented for 4-month period (9 weeks of actual training days) in a local collaborative high school. Based on “Student Teaching Performance Standards” and “Student Teaching Manual” co-developed by cooperating teachers and university researchers, the Internship Teaching Practicum was implemented and monitored. Compared to the previous 4-week teaching practicum program, in sum, the alternative program exhibited three key characteristics; 1) student teachers having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and capability of the management of classroom instruction; 2) a high level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intern and the cooperating teacher; 3) cooperating teachers having reflective and self-healing psychological rewards through their interactions with the student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urgent need for expanding the practicum period more than 4 week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s for student teaching at the national level,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centive system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both cooperating teachers and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