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실습생의 자아성찰에 관한 연구 -교육실습생의 성찰저널을 중심으로-

        노원경 ( Won Kyung Noh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7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3 No.1

        본 연구는 교육실습생의 성찰저널을 통해 교육실습생의 인식과 교육실습운영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운영의 내실화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래의 항목에 대해 그 사례를 찾아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실습의 교과지도, 학생지도, 학급경영 영역에서 교육실습생의 자아성찰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실습의 실제적 목적에 비추어 교육실습생이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운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서울 소재 K대학교의 ``예비교사를 위한 프로그램``에 참가한 48명이었다. 이 중에서 내용 분석의 대상이 된 것은 26명의 성찰저널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습생의 자아성찰 중 교과지도 영역에서는 사전 수업 계획 및 준비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는 교육실습생이 있었고, 수업 내용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지 못한 채 수업에 임하여 고민한 교육실습생도 있었다. 교육실습생이 수업 시간에 경험하는 문제 상황은 현 교원양성과정에서 수업 시간 중 실질적인 교수방법에 대해 적절히 준비해 주고 있지 못함을 나타낸다. 학생지도 및 학급경영에서는 현재 교직과정에서 이론 수준에서만 학습이 이루어질 뿐 이론의 구체적인 활용 및 응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예교사 교육에서는 이론 학습이 이루어진 후 현장중심의 문제해결 교육도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실습과정을 통해 교육실습생들은 현실적인 교육철학의 형성과 함께 교사에 대한 인식도 막연한 동경이나 단순한 직업으로서 관념에서 현실적으로 판단하고 선택할 수 있는 일로 바뀌었다. 교직의 좋은 점과 어려움을 함께 정리하면서 교직 선택에 대해 종합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자아성찰과정을 통해 교직과정을 선택한 후 4주간의 교육실습기간은 학생의 관점이 아닌 교사의 관점에 서서 교육을 봄으로써 딜레마를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교직에 대한 현실적인 판단을 하게 되었고 교직을 넓은 관점에서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실습기간 동안 의미있는 교육경험을 쌓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생들에게 자아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teaching practice by making a diagnosis of the problems and analyzing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tudents who write self-reflection journal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self-reflection journals for the below-mentioned questions. First, the analyses of the self-reflection journal on teaching practice, especially teaching contents, instruction for students and classroom management. Second, the analyses of he self-reflection journal on teaching practice compared to teaching practice`s practical goal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48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that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preserivce teachers. The self-reflection journals written by 26 participant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As to preservice teachers` self-reflection about teaching contents, it is necessary to acquire a practical teaching method, to use the teaching materials, and to learn the method of writing a teaching plan. 3. As to preservice teachers` self-reflection about instruction for students and classroom management, it is considered that a method of advising the students and knowledge of classroom management through teaching practice was acquired. 4. Compared to teaching practices` practical goals, preservice teachers in the early stage of teaching practice recorded just expectation of teaching and being a preservice teacher but later, recorded more on the general teaching performed by themselves. It can be said that the classroom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requires profound self-reflection on the truth of teaching.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실습생의 효과적인 수업 설계 방안 탐색

        신재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실습생이 인식하고 있는 수업 설계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이들 간의 격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실천 방안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실습생이 인식하는 수업 설계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비교함으로써 교육실습생이 실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 설계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와 교육실습생이 실천해야 할 효과적인 수업 설계 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교육실습생 모두 수업 설계를 할 경우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매뉴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와 교육실습생 모두 수업 설계에서 교수자료 개발, 교수프로그램 개발, 형성평가 또는 파일럿 테스트, 교수자료 수정 및 보완, 교수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등 ’개발’ 영역을 잘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에 있어서 ‘개발’ 영역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와 교육실습생 모두 수업 설계를 실시할 경우 형성평가를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육실습생은 수업을 설계할 경우 교수 프로그램 적용이나, 교수 지원체제 활용, 교수자료 개발에 너무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것보다 다른 항목을 골고루 균형 있게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다섯째, 교육실습생은 학생, 학부모, 사회 등의 요구 분석을 제대로 실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요구 분석을 반영한 수업 설계를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and analyze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perceived by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hus, to investigate practical plan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m as much as possible. It also aimed to explore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plans that pre-service teachers could practice by comparing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regarding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plans to be practiced by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First, both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need to develop a program and manual to help implement instructional design in an effective and efficient manner. Second, both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y implementing the "development" area in instructional desig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eaching programs, formative evaluation, pilot tests, and the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improve their curricula so that they can more effectively develop instructional materials. Third, both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able to design and implement well formative evaluation when doing instructional design. Fourth, when designing a lesson, pre-service teachers need to reflect on all items evenly in a balanced way rather than invest too much time and effort in the application of programs, utilization of teaching assistance system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finally,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able to implement instructional design to reflect the results of needs analysis since they were not so experienced in assessing the needs of students, parents, and society.

      • KCI등재

        교육실습과정에서 교육실습생의 학생들과의 관계의 의미에 대한 탐색

        강경리 ( Kang Kyung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과정에서 교육실습생의 학생들과의 관계의 의미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D대학교 교직과정을 이수 중인 교육실습생 11명을 대상으로 성찰일지 작성하기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육실습생의 학생과의 관계의 의미는 학교교육현장에서 교육실습생이 바라본 교육실습생과 학생의 모습과 교육실습과정에서 교육실습생의 학생과의 관계 맺기의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학교교육현장에서 교육실습생의 모습과 관련하여 교육실습생은 교육실습생에 대해 무관심한 학교문화, 교육실습생에 대해 학생들의 부담 없는 접근이 가능한 교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교육현장에서 학생의 모습과 관련하여 교육실습생은 학생의 인권을 존중하는 학교문화, 학생의 자율성이 인정되는 교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과정에서 교육실습생의 학생들과의 관계 맺기의 의미는 교육실습생과 학생의 상호 간의 존중을 토대로 한 교육실습생의 교직에 대한 정체성 형성 과정, 교육실습생과 학생의 상호 간의 소통을 토대로 한 교육실습생의 학생들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 형성 과정, 교육실습생의 좋은 수업을 위한 노력과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토대로 한 교직 전문성 형성 과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실습생의 학생들과의 관계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교육실습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s of educational trainees’ relationships with the students in the educational practice process.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writing a reflection diar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1 educational trainees who are studying in the teaching course at University D.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trainees and students by educational trainees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and the meanings of educational trainees’ relationships with the students in the educational practice process. First,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trainees by educational trainees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showed a school indifferent to educational trainees and classrooms in which students approached educational trainees unburdene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s by the trainees appeared to be a school that respects the human rights of the students and a classroom reflecting their autonomy. Second, the meanings of the educational trainees’ relationships with the students is an educational trainees’ identity formation process for the teaching profession based on mutual respect between the educational trainees’ and the students, an educational trainees’ understanding and sympathy formation process with the students based on mutual communication, and an educational trainees’ professionalism formation process based on the efforts of the educational trainees for a good class,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an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 proces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ducational trainees and the students.

      • KCI등재

        교육실습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 탐색

        정한호 ( Han Ho Jeong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교육실습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 형성 및 발전 과정의 실테를 탐색하고 교육실습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생 42명의 일지와 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를 있는 그대로 제시하고 그 현상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실습생들은 대학과 다른 교육실습하교의 조직문화와 지도교사와의 관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특히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지니고 교육실습에 임하지만 학생들의 경계심이나 무관심으로 당황하게 되거나 예의 없고 버릇없는 행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의 무관심과 예의 없는 태도에도 불구하고 이들과 친해지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였으며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고민, 불안, 또는 방황에 대해 이해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학생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학생이 처한 환경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불기항력적인 상황”으로 인식하고 헌신적인 자세로 학생들에게 다가가는 교육실습생도 있었다. 이 같은 교육실습생의 노력으로 인해, 학생들도 점차 “마음의 문”을 열게 되었으며 이전과 다른 “인사하기, 먼저 말 걸기, 먹을 것 주기, 장난걸기, 농담하기”등과 같은 변화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교육실습생들은 자신을 “선생님”으로 부르고 따르는 학생들의 모습을 통해 드디어 자신이 “교사가 되었다”라는 “성취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나타나는 교육실습생의 “교사되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과의 관계를 통해 부여된 “교사라는 지위”에 감격하고 희열을 느끼게 되지만 이것이 도리어 교사라는 업무를 올바로 수행하는데 예상치 못한 한계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탐색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of the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process between student teacher and students, and help activate the pre-service internship in right direction. This research focused on presenting accurat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teacher and students in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and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the phenomena, on the basis of practice journals of forty-two student teachers and in-deep interviews with five student teachers.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were suffering from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universitie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particular,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performed the internship with positive expectations for students, but they were perplexed by wariness and apathy or were suffering from naughty and rude. However, student teachers continued to try to make good relationship with student in spite of their wariness and rude, understood a much more appreciation of distress, anxiety, or wandering that they had in schools. In addition, some student teachers recognized problems with student behavior as a matter of “impossibility of the situation” from their environment rather than as their own problems, and then they showed their dedication to the students. As a result of student teachers` efforts, students opened their heart at last, and they showed student teachers their transformation such as “bowing, talking, giving snack, playing around, and joking”. In particular, when student called and followed student teacher as a real teacher, student teacher displayed a sense of accomplishment “became. a teacher”. However, in this study, there was a limit to the “becoming teacher”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 addition, student teachers were overjoyed at “status of teacher” granted through a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but this worked as an unexpected limitation to perform their duties properly.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실습생의 특성 및 지원맥락에 대한 이해

        조운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실습생의 시각에서 실습생의 특성 및 변화, 실습생 지원맥락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습생을 깊게 이해하고, 지원적인 실습풍토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42명의 실습생들이 4주의 정규실습 동안 기록한 저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습생들은 낯선 실습 기간에서 정서적 불안, 사고 미성숙, 역할 모호성 등의 불확실성을 경험한다. 둘째, 실습생들은 관찰, 참여, 실천하는 실습과정을 통해서 교수에 대해서 반성을 한다. 또한 유아교직의 현실을 이해하고 교사로서의 자신의 변화를 발견하는 등 보다 유아교사로 한걸음 진일보한다. 셋째, 실습기관의 운영 및 교육철학, 인간관계 등의 기관풍토와 유아, 지도교사, 동료 실습생 등의 주변의 사람들은 실습생에게 긍정부정적으로 지원을 제공해주는 다양한 맥락으로 작용한다.

      • KCI등재후보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 지도 영역에 대한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비교

        이상현,이병욱 대한공업교육학회 2014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9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grasp industry vocational subjectstudent-teachers' instruction area, compare cognitive level of cooperating teacherand student-teachers for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 area and secure base datarequired to develop educational practical area of professional teachers inspecialized high school. To achieve this, instruction area of instruction teacher incharge of industry vocational subject pre-teacher education was developed bydocument consideration and expert verification and differences of importancecognition for the area was compared between educational practice insturctionteacher and student-teacher.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for the instruction areas tha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sshould teach student-teacher, there are 7 categories, 17 mid-fields and 85subsections. Especially expert group suggested an opinion that areas of teacher'svalues and personality formation should be added to pre-teachers. And, theyjudged that category of school business showed low validity for educationalpractice instruction teacher's instruction area. Second,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 importantly cognized ‘classactivity’, ‘student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desirableview of education ·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y cognized ‘development andmanagement of curriculum’, ‘support on educational activity’, ‘industrial-educationalcooperation and tie with local community’ and ‘specialty improvement’ less importantly. Student-teachers cognized ‘class activity’, ‘student instruction and classmanagement’, ‘specialty improvement’, ‘development of desirable view ofeducation·attitude’ importantly. They cogniz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curriculum’, ‘support on educational activity’ and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and tie with local community’ relatively less importantly. Third, both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s and student-teachersimportantly cognized ‘class activity’, ‘student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and ‘development of desirable view of education·attitude’. However, studentteachersimportantly cognized, bu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s didn'timportantly cognized ‘specialty improvement’. Both two group cognized‘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support on educational activity’and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ie with local community’ lessimportantly.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생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이 지도영역의 중요도에 대한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수준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영역을 구안하는데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문헌 고찰과 전문가 검증을 통해 공업계열전문교과 예비 교사 교육 실습 담당 지도 교사의 지도 영역을 구안하고, 교육 실습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이 영역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교육 실습생에게 지도해야할 지도 영역으로는 7개 대영역, 17개의 중영역, 85개의 세부 지도영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가들은 예비교사에게 교사의 가치관 및 인성 형성 영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학교 업무와 관련된 영역은 교육 실습 지도 교사가 지도할 영역으로 그 타당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바람직한 교육관·태도 형성 영역’, ‘수업 활동 영역’,‘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교육활동 지원 영역’과‘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 실습생은 대체적으로 모든 영역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바람직한 교육관·태도 형성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전문성 향상 영역’, ‘수업 활동 영역’의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실습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지도 영역은‘수업 활동 영역’, ‘학생 지도 및 학급 경영 영역’, ‘바람직한 교육관·태도 형성 영역’이었다. 반면 교육 실습생은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교육 실습 지도 교사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는 영역은 ‘전문성 향상 영역’이었다. ‘교육 과정 개발 및운영 영역’, ‘교육 활동 지원 영역’, ‘산학협동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 영역’은 두 집단 모두 중요도가 낮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육실습생의 갈등에 관한 분석연구 : 서울 · 경기지역 사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정혜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교육실습 기간 동안 교육실습생들이 경험한 갈등상황을 사례로 작성하게 하여, 교육실습생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선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육실습생들이 지목한 갈등상황은 아동의 생활지도 영역이 가장 많았고, 교육실습생과 실습학교의 교육에 대한 견해 차이, 교육실습생이라는 불안정한 지위로 인하여 실습학급에 파급되는 부정적인 영향력, 그리고 학부모와의 관계 정립 순으로 나타났다. 보다 나은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에 관여하는 주체(대학, 실습학교, 교육실습생)간의 지속적 대화 및 관계 유지의 중요성, 각 주체의 책임의식과 역할 분담 논의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유치원 교육실습생에 대한 유아의 생각

        염정원,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4 교육과학연구 Vol.55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생활하는 유아들이 교육실습생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를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10월 1주에서 4주까지 서울특별시 소재 사계유치원의 만4세, 만5세반 네 학급을 참여관찰하고 해당 학급에 재원 중인 75명의 유아들과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을 함께 놀이하는 친구로 인식하며 교육실습생이 학급에서 진행한 대소집단활동 역시 놀이의 일환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이 학급 내에서 일과 전반에 걸쳐 유아들과 담임교사를 도와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이 진짜 선생님인 담임교사에 의해 가르치는 일을 지시받고 이를 일시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진짜 선생님은 아니라고 생각하였다. 넷째, 다수의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이 비록 잠시 머물렀다 가는 사람이지만 상호 간의 신뢰를 토대로 하여 깊은 정서적인 애착을 느낌으로써 친밀한 타인으로 여겼으며, 일부 유아들은 교육실습생에게 다소 거리감을 느낌으로써 낯선 손님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와 교육실습생이 놀이를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의미 있는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children on kindergarten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75 children, aged 4 and 5 years old who were enrolled in Sagye Kindergarten in Seoul, Korea. The methodology involved one-on-one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to capture the children’s thoughts about pre-service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thought pre-service teachers as playmates, also considering the group activities organized by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room as part of play. Second, children perceived pre-service teachers as helpers. They acknowledged that pre-service teachers provided various assistance to them throughout the day, not only to the children but also to the supervising teachers. Third, children recognized that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yet full-fledged teachers, because pre-service teachers perform teaching tasks temporarily under the guidance of the supervising teacher. Fourth, many children developed deep emotional attachment and considered pre-service teachers as familiar individuals, highlighting the trust, affection, and intimacy built during these interactions. On the other hand, some children maintained a certain distance from pre-service teachers, perceiving them as somewhat unfamiliar guests. They emphasized the separation of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classroom by addressing them differently, and suggested a lack of interaction by mentioning limited experiences of playing togeth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pre-service teachers through play and fostering meaningful relationship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also indicates the need for efforts not only from pre-service teachers but also from supervising teacher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se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초등체육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이영미,김만의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9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5 No.1

        본 연구는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를 통하여 초등체육교육실습생들의 교육실습경험에 대해 알아보았다. K교육대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한 내용들은 사례 기록하여 귀납적 범주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성원간 검토, 전문가 회의, 다각도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들은 체육수업 계획 시 지도서를 주로 사용하고 대학 때 모의수업을 통해 수집했던 자료들을 참고로 했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어려워하였고, 학습 환경 분석을 제대로 하지 않았으며, 교수 경험의 미숙으로 신호체계나 규칙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였다. 둘째, 실습생들은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살습사전교육, 실습 후 교육에 대해 불만을 나타냈으며, 대학에서의 이론 교육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것들을 배우기를 원했다. 셋째, 실습학교를 선정할 때에는 시설이 잘 마련된 학교를 선정하길 원했고, 교사와 교생 대표 수업은 과목과 학년을 고려하여 공개하되 교생, 교수, 교사가 함께 참여하고 협의하는 장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넷째, 실습생들은 지도교사의 체육관련 수업을 관찰할 기회가 적었으며, 지도교사에 의해 체육에 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기도 하였다.

      • 남자 유아교육실습생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효과

        홍연애 ( Yeon Ae Hong ) 영유아교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남자 유아교육실습생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 었다. 연구 대상은 만 4세와 5세 유아 64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집단에 대해 2명의 남자 유아교육 실습생이 4주간 교육실습을 했다. 교육실습 전의 사전 검사결과에 의하면, 유아 의 성역할 고정관념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남자 유아교육실습생의효과분석 에서는 남자 유아교육실습생이 교육실습을 했던 실험집단과 남자 유아교육 실습생이 없던 통제집단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남자 유아교육실습생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나진 않았지만 이성 변인에서 남녀 유아들에게 오히려 성역할 고정관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 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le student teachers on the sex role stereotypes of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64 four and five year olds Kindergarten children, half of who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half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male student teachers didn`t affect the sex role stereotypes of preschool children.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preschool children`s sex role stereotypes could be increased on girls and boys in terms of opposit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of extent of investigation related male teacher in the kindergar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