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이보경(Lee, Bo-Kyoung),김은경(Kim, Eun-Kyung),이재성(Lee, Jae-Se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問題硏究 Vol.0 No.38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교육의 개선방안 마련을 위하여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양교육의 중요도와 만족도, 교양교육 실태,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학생이 인지한 학습성과 등에 관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의 기능별 특성과 대학 소재지를 층화변인으로 설정하여 조사 대상 대학을 무선으로 표집한 후,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각 대학 학생들을 전공과 성별을 고려하여 표집하였고, 회수된 120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은 교양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교양교육은 고차원적인 지적 기능을 크게 강조하기보다는 사실이나 정보를 단순히 기억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현재 교양교육은 대학생의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하는 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대학의 기능과 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이 질적인 수준 향상을 이루어야 하며, 교양교육이 대학의 기능과 특성을 고려하여 제공되고 발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arn student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satisfaction, curriculum,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s' percep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01 valid responses from students in 33 universit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was high, while satisfaction with these classes was lower. Students indicated that there are not enough full-time faculties in general education. Students indicated that the class sizes remain large. Courses for stimulating high levels of critical thinking, in most cases, were not sufficient and the teaching methods were lacked diversity. The educational efforts of students focused more on vocational success than development in core competencies. Th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general education needs to change to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in most universities.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present status of gener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신앙과 학문의 통합을 위한 복음적 인성교육: 기독교대학의 인성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허도화(Huh, Do-Hwa)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3

        본 연구는 복음적 인성교육을 기독교대학의 교육적 사명인 신앙과 학문을 효과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으로 제시하며, 동시에 기독교대학의 인성교육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현재 한국기독교대학들의 인성교육은 대학 채플과 기독교 교과목들인 교양필수 과목들에 지나치게 의존되어 있어서, 교양 교육의 수준을 넘지 못하거나 필수과목이란 보호 아래 최소한의 종교의식으로 대접을 받고 있다. 대학 채플은 비기독교인 학생들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제공하지 못할 때 마찰을 피할 수 없으며, 교양과목으로 분류된 기독교 교과목들은 점차 저학년들만을 대상으로 축소 운영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와 문제들을 지니고 있는 기존의 인성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동시에 신앙과 학문을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인성교육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들의 인성교육이 지닌 문제들과 동시에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신앙과 학문의 통합이라는 관점으로부터 접근하여 먼저, 현재 한국의 기독교대학들에서 진행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현황과 문제들을 다루면서 일반 대학의 인성교육과의 차별성을 상실하게 된 원인들을 규명한 다음,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대학 채플과 기독교 교과목들이 지니고 있는 한계와 문제들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 계명대학교가 운영하고 있는 인성교육 과목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대학에서 적용 가능한 복음적 인성교육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The study is an attempt to suggest evangelical personality development as a possibility as well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faith-learning integration.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earning is at the essence of authentic Christian higher education with the purpose of campus evangelization and should be wholeheartedly implemented across the campus and across the curriculum. This was once the goal of almost every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However, it is no longer the case. Evangelical personality development is a unique Christian education to integrate faith by university chapel and learning by liberal arts. The inclusive personality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must be evangelical and intentional about integrating faith and learning in every discipline as well as chapel and Christian liberal arts. In this essay, in order to find an alternative way of faith-learning integration we attempts to map the territory of personality development between non-Christian universities and Christian ones in Korea. After discussing the nature of and necessity for such integration, we evaluates several strategies for integration in them. The study concludes by outlining dimensions of faith-learning integration by way of evangelical personality development in both the theoretical and applied disciplines.

      • KCI등재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의 조건』에 나타난 지식의 개방적 성격과 대학교육

        김상섭(Kim, Sang-Sup),이창준(Lee, Chang-Ju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2

        오늘날 대학에서 전달하는 지식의 양과 종류가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융복합과 영역 넘나들기가 보편화되면서 대학교육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의 조건』은 지식의 위상이 변화되고 지식교육의 지향점이 변화하는 것에 대해 분석한다. 그러면서 모던의 대학교육을 비판하고 선진사회에 부응하는 새로운 대학교육에 주목한다. 훔볼트에 대한 리오타르의 비판적 고찰을 참고할 때, 모던적 패러다임을 따르는 대학교육의 지향점, 즉 지식교육을 통한 인간성의 완성이라는 목적은 정당성을 보증해주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스트모던의 대학교육은 보편성과 통합이라는 이상을 포기하는 대신 차이, 개별성과 다양성에 바탕을 둔 지식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훔볼트의 대학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비판은 모던의 대학에 대한 완전한 거부와 차단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두 패러다임 속의 대학교육의 모습의 차이를 인정하더라도 그 속에 존재하는 연속성 또한 인정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던의 대학에서 모던의 대학교육 이념이 새롭게 재해석되고 재구조화될 때 새로운 대학교육의 가능성으로 계승ㆍ극복ㆍ발전될 수 있다. The university of today is continually changing and also being demanded to change strongly. Quantity of knowledge is increasing and types of study dealt with in university are diversifying. Further, each study is interacted widely and researched convergently. Moreover, deliberate crossing boundary which pulls down a strict distinction and originality of domain of knowledge gets settled as universal phenomenon. Thus, university teaches specialized knowledges, and on the other, it tries to react with agility to newly emerging post-modern society. University education has no choice but to be dependent on an external situation because it has no choice but to exist in close connection with social system. Nevertheless, it can't throw away the responsibility for educational purpose and ideals of modern like humanity, morality,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As a result, the university education of today is facing with a problem to define identity and role in intersection or mixture of two paradigms, which are modern and post-modern. Lyotard is just suggesting some features of post-modern. So it is more resonable to take a note to fundamental opposition and contents which Lyotard wants to reveal by it than to depend on the oppositional concept of modern and post-modern. In that point of view, Humboldt's article, 『Über die innere und äußere Organisation der höheren wissenschaftlichen Anstalten in Berlin』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reference to find out what 『La Condition postmoderne』 tries to overcome or transform. Then it is better for the sake of concreteness of discussion to compare Homboldt's educational concept with Lyotard's one.

      • KCI등재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을 통한 인문교양교육 운영과 과제

        강민희,이승우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41 No.-

        Since it was selected as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in 2016 for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hereinafter, initiative for CORE)≫, Daegu Haany University has made every efforts to achieve qualitative・quantitative growth in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university by introducing <Innovative measure in the education process of basic liberal arts based on humanities> to the operating system for liberal arts education, the main issue of which is ‘Triple Cube System’ that is 1) expansion of humanities curriculum centered on literature・history・philosophy 2) Building double DNeA BonD System 3) balanced positioning of the operating system for humanities and liberal arts education. However, due to the issues that university has faced and timely・social environments changing rapidly, with just faithful fulfillment of the plan of the initiative, it is not easy to achieve successful realization in the education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which was initially planned by university as well as the goal of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that humanities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talented creative people equipped with humanities by supporting all the university students to fulfill their role in basic education. I would like to remind you that we can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that is it is not until objective and continuous reflection is made on the plan of initiative and the task is drawn accordingly and the alternative is prepared as well as the plan's faithful fulfillment that initiative for CORE is successfully operated and the vision of the education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in Daegu Haany University is realized. Therefore, while the authors outlined the direction and status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at Daegu Haany University, and reflected objectively if the current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ttained the vision and purpose of <Innovation Plan for Basic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humanities> and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in the Core initiative, They searched for a way to ensure that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humanities is stable in the university. I hope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at Daegu Haany University objectively and function as a clue preparing the task and the proposal for sustainable growth so that it can help the fulfillment of university's vision and goal of education, “Leading College of Integrated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Values” and “Fostering Healthy Talented People Respecting the Tradition and Lives”. 대구한의대학은 2016년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이하, CORE 사업)≫의 ‘기초교양대학 모델’에 선정된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해당 모델의 기본개념을 충실히 따르기 위하여 1) 문(文)・사(史)・철(哲) 중심의 인문교과목 확충, 2) 2-重 DNeA BonD System 구축, 3) 인문교양교육 운영체계를 균형 있게 배치하는 ‘3-重 Cube System’ 마련을 주요 골자로 하는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 혁신방안>을 교양교육 운영체계에 도입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질적・양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과 인문학이 당면해 온 문제들과 급변하는 시대적・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행만으로는 “인문학이 대학전체 학생들의 기초교육에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인문소양을 갖춘 창의인재 양성에 기여”한다는 ‘기초교양대학 모델’의 목표는 물론, 대학이 당초에 구상한 인문교양교육의 성공적인 실현을 도모하기 어렵다. 이는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행과 사업진행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 그리고 문제점의 도출 및 적시의 보완이 이루어질 때야 비로소 CORE 사업의 성공적인 운영과 대구한의대학 인문교양교육의 비전 실현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음을 환기한다. 따라서 논자들은 대구한의대학의 기초교양 교육과정의 방향과 현황을 개괄하고, 현재의 운영 방향과 내용이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 혁신방안>과 CORE 사업의 ‘기초교양대학 모델’의 비전과 취지를 달성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성찰하는 한편,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이 대학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논의가 대구한의대학 기초교양 교육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살피고,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과제와 제안을 마련하는 실마리로 작용해 “전통가치에 기반을 둔 융합교양교육 선도대학”과 “전통과 생명을 존중하는 건강한 인재양성”이라는 대학의 교육비전과 교육목표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진로 및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본 일본의 대학방재교육

        신현정 한국일본교육학회 2017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오늘날 일본의 대학들이 사회공헌적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방재를 위한 다 양한 연구와 교육활동의 현황 고찰을 통해 한국의 대학방재교육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1995년 이후, 방재와 관련된 일본 대학의 노력을 특징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민?관?학 연 대에 기반한 연구성과 사회환원형 둘째, 방재?재난 경감 전문가 육성형 셋째, 방재교육 프로젝트 주 도형으로 대별될 수 있다. 이를 대학의 교육과정측면에서 다시 분석해 보면 전공 중심의 진로교육과 시민교육 중심의 교양교육으로 구분된다. 대학의 방재교육은 사회공헌학, 방재학, 재해의료치과학 등 새로운 학문영역을 개척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새로운 진로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공동 체 중심의 봉사활동을 통해 능동적인 시민 양성이라는 교양교육의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처 럼 방재교육에 있어서 진로교육과 교양교육이라는 두 개의 중심축은 다양한 공동체와의 연대를 통 한 대학의 학사력(?士力) 증진과도 직결된다. 따라서 방재교육은 개방형 협업을 중시하는 4차 산업 혁명시대의 핵심역량교육으로서도 의미가 있다. 진로교육 및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본 일본 대학의 방재교육이 한국 대학의 방재교육에 미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안전?안심이 가능 한 사회구현에 공헌하기 위한 방재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대학의 방재교육은 학문 연구라고 하는 대학의 본래 기능적 측면의 전문교육과정과 공동체 사회의 시민역량을 고양할 수 있는 교양교 육과정 측면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은 학생들과 시민들에게 다양한 공동체와의 접촉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어려움에 처한 이들을 위한 봉사활동이 상생을 위한 민주 시민의 자연스러운 권리이자 책무임을 인식하게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of Korean universitie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various research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disaster prevention which Japanese universities are active in social contribution. Since 1995, the role of universities in disaster preven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social return of research results based on civilian, public and academic solidarity, the second is fostering experts on disaster prevention and reduction, the third is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project leading. The disaster prevention efforts of these universities can be divided into career education centered on majors and liberal education centered on civic education. The university's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can provide students with new career options by pioneering new disciplines such as social contribution, disaster prevention, disaster medicine, and dental science. Through the various community-based volunteer activities, the value of liberal education as an active citizen education can be maxim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ggestions for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must secure disaster prevention expertise. Second, in the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of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combine the professional curriculum and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universitie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experience contacting with groups with diverse backgrounds, so that the service for those in need is a natural right and responsibility of the democratic citizens for win-win relationships.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에서 대학의 역할 고찰 - 꿈다락 주말예술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김병주 ( Kim Byoung Jo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1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성장과 확산 과정에서 그간 상대적으로 논의에서 배제되거나 무관심해왔던 대학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고찰하고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개인이나 단체 중심으로 추진되어왔던 문화예술교육에서 정책과 실행 사이의 매개자이자 우수 컨텐츠의 개발자로서 대학의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이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기반 한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확산 과정에서 대학이 상대적으로 주체가 되지 못했던 맥락과 원인에 대해 검토하고, 그 대안을 위한 구체적인 사례로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운영하는 꿈다락 주말예술캠퍼스 사업을 분석하였다. 주말예술캠퍼스는 2017년부터 운영되는 사업으로 매년 11개의 예술관련 학과 및 대학을 선정하여 대학이 지닌 전문성과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양질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3년간의 주말예술캠퍼스 사업의 목표 및 내용의 검토를 통하여 해당 사업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꿈다락 주말예술캠퍼스 사업은 그간 문화예술교육의 성장 과정에서 ‘방청객’이나 ‘해설자’의 역할처럼 거리를 두어왔던 대학을 문화예술교육의 주체로 끌어내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향후 대학이 보다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역할과 기능을 인식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이러한 대학들의 역할을 고려할 때, 예술관련 학과 및 예술대학들의 교육과정은 기존의 전문가 양성과정에서 예술교육에 대한 시대와 사회의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개선될 필요가 높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그동안 주로 추진해온 ‘사업 중심’ 정책 접근의 전환과 방식의 다각화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컨텐츠의 지속성 제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교나 사범대학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연대하여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융합 교육과정의 개발과 실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그간 문화예술교육의 논의에서 벗어나있던 대학의 역할과 가능성을 재인식하고, 예술대학들의 사회적 역할과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인식 개선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원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and reflect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marginalized during the course of growth and proliferation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To this end, the study discusses the historical contexts why universities failed to play more central roles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analyzes the Kkumdarak Weekend Arts Campus Project as a case study for the argument. Weekend Arts Campus Project, operated by Korea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ervices, began in 2017 to support 11 arts universities each year.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develop and implement high-quality arts education programs by using university’s artistic expertise and human/material resources. The study examines and discusses the attainments and challenges of the project in the past three year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kumdarak Weekend Arts Campus Project has contributed to put the universities back on the center stag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hich otherwise have been limited to roles as ‘audience’ or ‘commentator’ off the stage. This may become an opportunity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universities’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Second, considering the universities’ roles, the curriculum of arts universities need to be modified and revised in the light of current social needs and paradigm shift. Third, the conventional ‘project-based’ policy driven by the government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needs to find other ways to diversify and to ensure sustainability. And finally,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ill be benefited from including diverse partners such as universities of education, as those universities would be more useful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rts integrated programs in and beyond the school.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may inspire further discussions and actions from the arts universities whose recognition of their social roles and obligations,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changing paradigms, can be a crucial point in Korea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장애대학생의 불안, 우울과 대학생활 적응 비교

        김자경,강혜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nxiety, depression, and school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n the comparison of the anxiety level, the anxiet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out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is meaningful higher than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Second, in the comparison of the depression level, the depres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out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is meaningful higher than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Third, in the comparison of the school adaptability level, the school adaptabilit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is meaningful higher than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out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Forth,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nd depression. And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nxiety and school adaptability, between depression and school adaptability. 본 연구는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장애대학생의 불안, 우울과 대학생활 적응 특성과 이들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통합교육의 경험이 장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학생지원센터가 설치되어 있는 전국 11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204명의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장애대학생의 불안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Beck의 불안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장애대학생의 우울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 우울증 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 정도는 통합교육의 경험이 없는 장애대학생이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우울 정도는 통합교육의 경험이 없는 장애대학생이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 적응 정도는 통합교육의 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이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장애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과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 모두 장애대학생 불안과 우울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불안과 대학생활 적응, 우울과 대학생활 적응 정도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장애대학생의 통합교육 경험 유무가 대학생활 적응과 불아,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에게 통합교육의 경험이 중요하다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의 변화와 지역 대학교육의 방향

        정은상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0 지역산업연구 Vol.43 No.3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hare my experiences with other universities by reviewing thecontents of my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School of Liberal Studies and Convergenceat Kyungnam University in March 2018, and plans appropriate for the changing direction of highereducation. Kyungnam University's school of liberal studies agrees with the prospect of the futurecollege requi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ome ways. In the long term, the curriculum ofthe school of liberal studies is to enable cross-selection between the literature and science andengineering departments so that practical convergence education is possible, and to be linked tograduate education. Traditionally, universities have served as producers and transmitters of knowledgeneeded for local communities and local industries. The need for universities to cooperate with local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businesses has increased as the partnership betweenuniversities and regions has been strengthened to resolve local issues. This study can be said to bemeaningful in that it responds preemptively to the need for human resources in the Gyeongnamregion of which Kyungnam University belongs and that it is preemptively opening the School ofLiberal Studies. I think how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depends solely on the correct thinking,hard work and attitude of the major human members of the university. Don't forget your mission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to become a “good human being.” Be faithful to the basics, andreturning to the basics may be an educational revolution. 본 논고에서 본인은 2018년 3월 개설한 경남대학교 교양융합대학의 자유전공학부 개설 과정에서 경험한 내용과 변화하는 고등교육의 방향에 알맞은 방안을 고찰하고 타 대학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경남대학교의 자유전공학부에서는 교육부에서 요구하는 미래대학의 모습 전망과 어떤 면에서는 일치한다. 장기적으로 자유전공학부의 교육과정은 실질적인 융복합 교육이 가능하도록 문과와 이공계열 간 교차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대학원 교육과도 연계 되도록 하는것이다. 전통적으로 대학은 지역사회와 지역의 산업에 필요한 지식의 생산자이자 전수자 역할을해왔다. 지역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대학과 지역 간의 파트너쉽이 강화됨에 따라서 대학이 기업뿐만 아니라, 지역커뮤니티, 지자체 등과 협력할 필요성이 증대 되었다. 본 연구는 경남대학이속한 경남 지역의 대학으로서의 연계성과 지역이 필요로 하는 인재의 수요에 대해서 선제적으로자유전공학부의 개설이라는 점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떻게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것인가는 오로지 대학의 주요 인적 구성원들의 올바른 생각과 노력과 태도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좋은 인간’이 되게 하는 교육기관으로서의 사명을 잊지 말고 기본에 충실하며,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 곧 교육의 혁명일 수도 있다.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연구

        최화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목적, 목표, 비전 및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우리나라 초등교원 양성대학 10개를 대상으로 교육목적, 목표, 비전 및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한 후, 워드클라우드 분석 방법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키워드와 문헌 고찰 결과를 종합하여 초등교원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다. ①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문서 체제 재정립, ② 핵심역량 기반의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설계, ③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개발 주체로서의 학습자 참여, ④ 초등교원 양성대학 교육과정 본연의 가치와 특수성 간 균형 설계 등이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향은 시대적인 변화와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본질적 가치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는 총체적인 방향이 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교원이 직면한 문제 상황에 대한방향성을 제시해 주었고,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설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ducational purpose, goal, vision, and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based on this, to explor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ducational purpose, goal, vision and curriculum status of 10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s in Korea, literature review, and then extracted keywords using the word cloud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s and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was derived. Results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explor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① re-establishment of curriculum documen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college, ②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design based on core competency, ③ learner participation as the main body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college, ④ the intrinsic value and specific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balance design Conclusion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design dire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should be a holistic direction that can simultaneously include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essential valu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direction for the problem situation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design of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 KCI등재

        국내 주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전개 양상과 발전 방향

        김현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folding aspect of writing education over the past 20 years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and to present further development plans for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o this end, the study divided the period between 2000 and 2005, 2006 to 2015, and 2016 to 2020,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writing education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for each of those period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learned: from 2000 to 2005, the necessity of writing education was introduced in domestic universities. Around 2005, this necessity spread to universities nationwide, and from 2010 to 2015, a dedicated organization for general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university’s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to strengthen the quality management of general education. Since 2016,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has emerged as a type of education for enhancing core competencies, while education goals and the contents of that education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In light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wo ways to improve domestic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curriculum aimed at improving communication capacity and thinking ability among the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competencies of writing instructors.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 동안의 국내 주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국내 대학글쓰기 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00~2005년, 2006~2015년, 2016~2020년까지로 시기를 구분하고, 각 시기별 국내 주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전개양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지난 20여 년 동안의 국내 주요 대학 글쓰기 교육의 흐름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아볼수 있다. 2000~2005년은 국내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의 필수화가 도입된 시기라 할 수 있다. 그리고2005년 전후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필수화가 전국 대학에 확산되었다. 이후 2010~2015년에는 교양교육질 관리 강화라는 대학의 내적⋅외적 요구에 따라 교양교육 전담기구가 설치되고, 대학 글쓰기 교육에대한 다양한 질 관리 체계가 도입되기에 이른다. 2016년 이후에는 대학 글쓰기 교육이 핵심역량 증진을위한 교육으로 부각되면서 교육 목표 및 내용이 다변화된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발전 방향을 두 가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의사소통역량 및 사고력 증진 목적의 교육과정 간 연계성을 구축해야 한다. 다음으로 글쓰기 교수자의 전문성및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