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은퇴 후 재사회화 결정요인

        김기찬,이상엽 한국자치행정학회 201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No.3

        본 연구는 교사의 은퇴기대, 사회심리적 위기감, 은퇴준비 정도 및 영향요인과 은퇴 후 재사회화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교사의 은퇴 후 삶에 유용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2012년 8월 14일부터 9월 15일까지 충청남도 교육청에 등록된 초·중·고 교사 5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중 467부를 최종 분석대상자로 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은퇴기대, 사회심리적 위기감, 은퇴준비 및 재사회화의 하위요인에 대한 차이를 검정해보고, 이용된 변수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은퇴기대, 사회심리적 위기감, 은퇴준비 및 재사회화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연구모형을 구축하여 재사회화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변수들은 최고점수 5점 만점에서 은퇴기대 2.92점, 사회심리적 위기감 2.91점, 은퇴준비 3.32점, 재사회화 2.90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에서 각각의 경로계수들을 통한 유의성을 분석한 결과, 은퇴기대→심리적위기감의 경로계수는 .37, 은퇴기대→재사회화의 경로계수는 .11, 심리적 위기감→재사회화의 경로계수는 .40, 은퇴준비→재사회화의 경로계수는 .17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23.3%이었다. 연구모형에서 은퇴기대가 심리적 위기감 및 은퇴준비를 매개로 재사회화에 미치는 직·간접효과 및 총 효과는 직접효과 .110과 간접효과 .148으로 총효과는 .258이었다. 은퇴기대, 사회심리적 위기감, 은퇴준비는 교사의 은퇴 후 재사회화의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근거하여 교사의 은퇴 후 재사회화를 위한 방향은 은퇴교사들이 희망하는 은퇴 후 생활계획을 토대로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욕구를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은퇴자를 위한 취미, 여가선용, 단기 일자리지원 중심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은퇴예정 교사에 대한 노년기 재사회화를 돕는 성공적인 서비스로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신규 유아교사의 초기 3개월간의 교직사회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남궁선혜 한국보육학회 2019 한국보육학회지 Vol.19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ree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first 3 months about teacher socialization and social strategy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Methods: There were 3 participants “A teacher”, “B teacher”, “C teacher” for this research. Their first 3 months experience and its meaning were examined. The in-depth interview was adopted to reveal the teachers’whole life. Data were collected and extracted from the teachers’ journal and open interviews. The data were classified into “domain” and “taxonomic analysis” and a series of systematized events. By the teachers’ retelling of their experiences, the events were confirmed and complied. Results: What experiences do the newcomers have throughout three months in the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Newcomers had trouble in adjusting to peers, parents, and principal at the boar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ever, they used internalized adjustment to overcome it. Confusion about belief as a teacher made them feel isolation and frustration from colleague groups. At this moment they used strategic compliance for continuing their work in the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was a very important thing for a newcomer. They wanted to implement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for early childhood in their class. Because they had so great expectation was supposed of the teaching profession. But they didn’t use any social strategy to overcoming it. Unfortunately, failure in every moment for experience get the profession as a teacher from the beginning, prevented adaption to the teaching profession. The big burden of administrative affairs and the absence of any guidances laid heavy on their mind. However, they used strategic redefinition. Even though they didn’t get any help they made an effort to learn management skills was improved in spite of the heavy workload.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for them to improve their teacher socialization and social strategy during the beginning period in the boar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임용된 신규 유아교사들이 초기 3개월 동안 어떠한 교직사회화를 거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신규 유아교사 3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신규 임용된 유아교육기관에서 3개월 동안 그들이 어떠한 교직사회화를 경험하는지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신규 유아교사의 교직사회화는 교직사회화 내용과 사회적 전략으로 분석되었다. 분석한 연구 결과 신규 유아교사들은 대인관계, 교직관, 전문성 성장, 업무수행과정과 관련된 내용들을 교직사회화에서 경험하였고, 이러한 교직사회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나 어려움을 내면화된 적응, 전략적 순응, 전략적 재정의 와 같은 사회적 전략을 사용하여 대응해 나갔다. 그러나 신규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로서의 전문성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 놓였을 때는 어떠한 교직사회화 전략도 사용하지 않았다. 교사로서 전문성 성장을 할 수 없다는 상황이 인지된 신규 유아교사들은 무기력함을 나타내었고 이직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임용초기에 경험하는 신규 유아교사의 안정된 교직사회화를 위해 어떠한 내용과 방향으로 지원이 모색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본다. 이와 더불어 신규 유아교사의 교직사회화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분석

        최월순,김한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3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school teachers has been an intriguing issue in the field of teacher educa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a good number of study on the issue, few study about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have been foun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ization processes for teacher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By adopting qualitative research design, eight special class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10-20 years were interviewed. Two sets of findings are revealed as a result of analysis: socialization strategies and factors affecting socialization process. In terms of the socialization strategies of these teachers, improving their own expertise as special class teachers, accommodating their expectation on special class students, and enhancing self-efficacy by spending on self-development are discovered as three primary strategies for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Furthermore, in terms of factors affecting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three contextual factors such as the socially constructed meaning of 'disabled', perception of colleague teachers of their schools on disabled students and special classes, and their own perception on the special class of which they are in charge. Base on such findings, three issues should be addressed. school management group, particular principals should play important role in helping special class teachers' socialization. Moreover, the occupational process for special class teachers is affected by educational policy on public school system emphasizing competition,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Yet, the structural condition that special class teachers are continuously marginalized prevent them from developing professional technical cultures for them.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이 어떤 사회화 전략을 사용하며, 이들의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수학급 교사로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중등 특수학급 교사 8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특수학급 교사의 사회화전략으로는 전문성 확보하기, 특수학급 학생들에 대한 기대수준 조절하기, 자기 발전을 위한 활동하기 등의 세 가지가 발견되었다. 또한 이러한 사회화 전략을 이용한 사회화 과정에 있어서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장애학생’, ‘특수학급’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 그리고 특수교사 자신의 인식수준이 개입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사회화의 양상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교 관리자의 관심과 배려, 지나친 학력중심의 교육문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찰, 그리고 구조적으로 고립된 특수교사들의 교육 및 업무환경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살펴볼 수 있다.

      • KCI등재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실행

        홍지연(Hong Ji Yeon),엄정애(Ohm Jung Ae)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와 실행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공사립 유치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4일부터 2018년 10월 23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사회화를 단체생활을 위한 제한으로서, 개별화를 개인에 대한 존중이자 능동성 및 자율성의 발달로서 이해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사회화가 제한을, 개별화가 자유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둘 간의 긴장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교육 안에서 공존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상급학교의 존재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둘째, 유아의 사회화와 개별화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교사들은, 개별 지도 차원에서는 적재적소에 유아들에게 상호작용을 하며 사회화와 개별화를 지원하였으며, 학급 운영 차원에서는 열거주의와 포괄주의에 입각한 교육적 접근을 혼용하며 사회화와 개별화의 조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제 간에 연계 속에서 사회화와 개별화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필요가 있으며, 기존 교육계에 팽배했던 사회화에 대한 해체 작업과 동시에 그것이 갖는 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s and practices of soci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0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been in the field for more than 2 years. Basic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nd in-depth interviews ware used as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4, 2018 to October 23, 2018, for about two months, and were conducted twice for each participant in the form of semi-structured personal interviews for 60-90 minutes per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defined socialization as self-regulation and social skill and social value acquisition, whereas they defined individuation as respect for self and development of autonomy. Although the teachers understood that socialization presupposed self-regulation and that individualization presupposed freedom, they believed that it was possible for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to coexist in education. They even assumed it to be their duty to harmonize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in educational context. In order to achieve the harmony, the teachers reported having conducted educational practices such as modeling, complimenting, supporting, and so forth. The teachers also took two different approaches in classroom management for the harmony of the so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the positive system and the negative system. Using these two approaches, the teachers tried to compromise the guidance of social norms and acceptance of children s freedom.

      • KCI등재

        초임 체육교사 사회화에 관한 체계적 문헌 분석

        조기희,이기림,이호연,김혜연,이옥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9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eginn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ocialization in South Korea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wenty one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n journals during the period of 2000-2018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suggested by Vonk (1995).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first,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beginning teachers, adaptive strategies, and their solutions were categorized by personal, professional, and cultural dimensions. Seco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beginning PE teachers and their adaptive strategies showed close associations with each other. Finally, there was change in trend from strengthen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emphasizing in-service education and supporting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s for a solution supporting beginning teachers’ induction.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on how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입문 과정을 체계적 문헌 분석(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방법을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2018년에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21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물은 Vonk(1995)가 제안한 ‘초임교사의 교직 입문과정 지원 전략에 관한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 체육교사가 교직 입문 과정 속에서 겪는 어려움, 적응 전략, 해결책은 개인, 전문성, 문화적 차원에 따라 구분되었다. 둘째, 초임 체육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적응 전략 간에는 긴밀한 연관성을 보였고, ‘동료’와 ‘학생’이 결정적인 핵심 현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초임 체육교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예비교사교육을 강화하는 접근에서 점차 현직교사교육을 강화하는 것과 교사학습공동체를 지원하는 것으로 대안의 방식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 체육교사에게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초임 체육교사의 ‘역할 갈등’, ‘수업 외 공간’에서 어떤 맥락적·환경적 요인이 작용하는지 탐색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초임 체육교사의 적응적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는 교사학습공동체가 실제적으로 초임 체육교사의 사회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예비교사교육과 현직교사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이두휴 한국교육사회학회 2005 교육사회학연구 Vol.15 No.3

        최근들어 통합교육의 확대 차원에서 특수교사의 일반학교 배치가 확대되고 있는데, 이들 학교 에는 교원양성기관을 갓 졸업한 교사가 주로 배치되고 있다. 이 연구는 임용고사를 거쳐 특수교 사로 임용되어 일반 초등학교에 신규로 배치된 초임교사의 교직사회화과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전남지역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직경력 3년이하의 초임특수교사 15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중 8명의 집중면접대상자를 선정하여 심층면접 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초등학교에 배치된 초임특수교사들의 교직사회화과정은 일반교육이라는 주류문 화속에서 소수집단으로서의 특수교사의 정체성을 확립해가기 위한 노력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초임특수교사들이 사용하는 대응전략은 차이와 양보의 전략이다. 차이의 전략 을 통해서 초임특수교사들은 자신의 역할과 일반교사의 역할이 다름을 주류문화속에 분명히 드 러낼 뿐만 아니라, 자기 스스로 역할을 공고화해 나간다. 또한 양보의 전략을 통해서 그들은 일 반학교내에서 특수교육에 대한 지원과 협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우호적인 세력을 확보해간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served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pursue the study purpose, a review of literature and an ethnographical interview were made with 15 teachers who had served in chonnam elementary school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eginning special teachers who were served in elementary schools experienced conflicts between the idealistic view and the realistic view of teaching profession. Teachers' view of idealistic teaching profession was transformed with their service area. Second, when beginning special teachers who were served in elementary schools got into school, they attempted to draw a sharp line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heir attempts were understood as strategies for getting their ident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rd, beginning special teachers who were served in elementary schools considered their specialties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wipe out general teachers' skeptical view on the educability for the disabled. Fourth,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ir specialties, beginning special teachers who were served in elementary schools were favorably influenced by the outsid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fth, beginning special teachers who were served in elementary schools made used of the strategy of concession in order to adapt themselves to mainstream school culture. In conclusion, the occupation socialization of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served in elementary schools c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special teachers' struggles against the general teachers centered teaching profession culture.

      • KCI등재후보

        무용전공생의 교사사회화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박지숙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6 No.-

        본 연구는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에 있어, 직전교사교육단계에 관한 무용전공생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식으로 적용한 교육과정 탐구사례 연구이다. 무용전공생이 직전교사교육단계에서 실제로 경험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대학교와 교육대학원의 교육적 경험을 지닌 세 명의 무용전공생으로 부터 자서전적 글쓰기, 저널쓰기, 인터뷰, 대화, 교육실습 일지, 전자우편 형태로 약 7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부합되는 같은 맥락의 이야기들을 묶어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주제어를 찾아 재구성 하였다. 연구 결과,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의 직전교사교육단계에서 겪었던 경험과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무용전공생은 졸업 후, 대학에서 배운 교육과 현실과의 괴리로 자신의 능력과 직업 선택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대학 무용(학)과가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어 다양한 재능을 가진 무용전공생의 잠재적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무용 정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대학원의 체육교육전공과 무용교육전공은 교육목표의 성격을 각각 다르게 규정하고 있었지만 실제 체육중등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전공 기본이수과목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두 교육과정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이에 무용교육전공 과정은 교육목표와 실제 교육과정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이 결여되었고, 무용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와 무용 정교사의 역량을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 세 명의 무용전공생은 교육대학원 진학 초기, 체육이론에 중점을 두면서 부담감을 느끼게 되며 점차적으로 체육 실기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졌다. 이에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서 전공실기에 대한 교육이 새롭게 정립될 필요성을 느끼게 되면서 무용 전공생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좀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교육과정을 요구하였다. 넷째, 무용전공생이라는 공통된 특징 아래 체육 실기 능력의 부족으로 교육실습 시 체육교사로서의 능력에 한계를 느끼고 있었지만 실습의 모방상대인 지도교사를 통해서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좁혀나가고 있었다. 동시에 교육실습은 직전교사에게 있어 필수적인 교육과정으로 실제 중등학교 현장을 이해할 수 있는 절대적인 기회임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연구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의 특성상, 무용 정교사 사회화 과정의 일반화된 원리를 찾기 보다는 무용전공생들이 무용 정교사의 직전교사교육 현장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제 생생한 경험들과 그 경험의 의미를 통해 무용 정교사의 직전교사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 정교사의 직전교사교육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search is an inquiry case on a curriculum carried out by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research investigates experiences of students who specialized in dance in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 dance teach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ve stated the actual contents of experience concretely at the stag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he exploration was carried out to define what meaning the experiences they have gone through have.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discussion about the experience, which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have gone through as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the stag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of socialization process of regular dance teachers,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difficulty due to the lots of conflicts and confusion about their own ability and selection of a job after graduation, which were mainly caused by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education received at universities and the reality. Secondly, it was found out that though the educational course in the graduate school, which was designed to cultivate regular dance teachers,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goals separately for each, the major of P.E. education and the major of dance education,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ourses. Thirdly,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had been overwhelmed because the courses were centered on P.E. theories at the early time when they entered graduate schools, and the burden was connected to the concern about the practical skills of P.E., so they felt necessity the re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 of major practical skills in the course of education graduate schools. Fourthly, under the characteristics in common,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perceived the limited ability as a P.E. teacher due to the shortage of P.E. practical skills, but they were narrowing difference between theories and realities through the imitation of the guidance teacher in the on-the-job training. As stated in the above content, the narrative inquiry on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is an important research method to demonstrate vivid experiences of a dance teacher in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o obtain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rather than to seek general principles for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a dance teacher.

      • KCI등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직업적 삶에서 능력주의 담론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재윤(Jae-yun Kim) 한국교육사회학회 2023 교육사회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자문화기술지로써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삶에서 나타나는 능력주의 담론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직업적 삶에서 나타나는 능력주의 담론에 대한 세밀한 과정을 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에 기초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실용적 절충주의에 근거한 포괄적 주제 분석을 통해 두 개의 핵심범주(① 능력주의 담론 기반 교사의 자아 형성과 성찰, ② 능력주의 담론 기반 초임교사의 실천과 성찰)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문화적, 역사적 맥락 내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직업적 삶의 경로에서 능력주의 담론을 보여주고 있다.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교사의 교육적 일상에서 포착된 능력주의 담론은 교사를 둘러싼 거시적 사회 환경 및 조건, 맥락과 교사의 일상적 생애 경험 간 다각적인 상호 조응에 기초하여 일상적으로 발현되었다. 예비교사에서 현직교사로 성장하고 실천하는 초임교사의 직업적 여정은 능력주의 담론이 팽배한 사회 질서의 한가운데에서 전개되며 능력주의 담론은 교사의 삶에 일상적으로 자연스럽게 파고들며 영향을 미쳤다. 능력주의 담론은 초임교사의 직업적 삶에 뒤얽혀 발현됨으로써 교사는 일상에서 직간접적으로 능력주의 담론의 영향 아래에 놓이며, 이에 기초한 직업적 실천을 영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 발달에서 능력주의 담론의 영향에 대한 세밀한 과정을 재현하여 교사의 삶에서 능력주의 담론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서 능력주의 담론을 어떻게 접근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n in-depth exploration of how meritocracy discourse is reproduced in the life of a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through autoethnography. By employing autoethnography, the study replicated the intricate process of meritocracy discourse reproduction in the professional journey of a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Qualitative data, collected using pragmatic eclecticism, yielded significant themes, which were then synthesized through final writ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elucidate the presence of meritocracy discourse within the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of a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ccupational trajectory. The autoethnographic examination of the teacher's educational daily life revealed the routine manifestation of meritocracy discourse, influenced by the broader social environment, contextual factors, and the teacher's daily life experiences. Within a social order where meritocracy discourse predominates, the teacher's occupational journey unfolds, with the discourse naturally permeating their daily existence. The study highlights how the meritocracy discours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a novice teacher's daily life, consequently shaping their occupational practice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manifestation of meritocracy discourse in teachers' lives, specifically by replicating the detailed process of its influence on teacher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approaching meritocracy discourse withi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학교 30대 남교사들이 갖는 이상과 현실의 딜레마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최성광 ( Sung Gwang Choi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4 교육인류학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학교 30대 남교사들의 삶과 경험을 기술하고 분석하였다. 이들은 자신들의 삶을 통해 다양한 역할지위를 갖으며 그중 학문과 관련된 대학원생으로서의 삶, 가정과 관련된 가장으로서의 삶, 생업과 관련된 교사로서의 삶을 병행한다. 이러한 역할지위는 이들이 가진 이상과 살아가는 현실 사이에 갈등을 만들며 이들 삶의 딜레마로 작용하게 된다. 그럼에도 이들은 다른 교사들과 ‘구별짓기’ 위해 박사과정 입학을 통해 스스로 딜레마를 선택하였다. 이들의 고등학교 시절부터 형성된 ‘우등생 아비투스’는 교대입학부터 교직 생활 전반에 걸쳐 다른 교사들과 ‘구별짓기’를 위한 기제로 작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따라하기’를 통한 동료사회화도 이들의 박사과정 입학에 영향을 미쳤다. 학문을 가까이하는 동료교사들과의 잦은 소통은 이들을 ‘연구자로서의 교사’의 삶을 살게 하며 이를 통해 박사과정을 선택하게 하였다.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학교 30대 남교사들은 전체 교사 중 소수에 불과하지만 교사 연구의 중요한 영역인 ‘연구자로서의 교사’의 관점에서 볼 때 이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가 우리 시대 교사 연구의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교사들의 교육적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lives of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in their thirties and who took doctoral courses through a narrative inquiry research approach. The ``role status`` in their lives can be seen playing out in three parallel streams: academic life, family life and professional life. These ``role status`` distinctions can cause some conflict between their ideals and reality, so the teachers often find themselves in a dilemma. However, they chose the dilemma on their own by entering a doctoral course in order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teachers. ``Honor Habitus`` formed from high school worked as a means or a tool to make a distinction from other teachers from the time of entering University of Education. In addition ``peer socialization`` through following their peers also influenced their doctorial course entrance. Frequent communication and relations with fellow teachers who pursued learning, forced them to live as a teacher researcher and also take a doctoral course. There are only a few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ir thirties.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teacher as researcher``,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a teacher`s professional obligations, this research about them becomes very significant.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various aspects on a teacher`s research obligations and contribute to finding the meaning of a teacher`s educational life.

      • KCI등재

        특수체육교사의 교수법 개선에 있어 전문적사회화 시기의 영향

        이홍민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2 No.3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eacher socialization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more than fifte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s related to various experiences. The current study used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The followings are results of the study from analyzing data: (1) teaching methods for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were helpful t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2) it is critical to learn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different classroom environments, and (3) student teaching was helpful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and volunteer experiences motivated the participants to be a teacher.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교사의 교사사회화 과정에 있어 전문적사회화 시기의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특수체육교사의 교사 사회화 과정을 탐색하기 위하여 15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3명의 특수체육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경력 특수체육 교사들의 내러티브(narrative) 연구 수행을 위하여 심층면담과 문서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영역분석(domain analysis)와 분류분석(taxonomic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장애 유형에 따른 지도 방법론 수업이 수업 진행 시 도움이 되었다. 둘째, 다양한 교실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 방법론 수업이 중요하다. 셋째, 교생실습을 통하여 효과적인 교수법 개선에 도움이 되었으며 자원봉사 활동은 교직에 대한 동기부여를 위하여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