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안 - 교육과정 실행 관점을 중심으로 -

        표상철(Sang Cheol Pyo),이경화(Kyeong Hwa Lee)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과교육연구 Vol.37 No.-

        이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 관점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라 이에 부합하는 초등 국어 교사용 지도서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사용 지도서는 과거에는 교과서, 지도서를 비롯한 교과용 도서가 표준, 모범을 제공하는 기능 측면에서 충실도 관점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교과서를 재구성하는 상호적응적 관점을 넘어 교육과정 문해력을 강조하고 교사와 학생이 함께 수업을 만들어가는 생성적관점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실행 관점을 고려한 교사용 지도서의 기능을 ‘설명서’, ‘자료집’, ‘창안서’로 유형화하여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실행 관점을 분석하였다. 교사용 지도서에 반영된 설명서로서의 기능은 크게 (1) 국어교육과정에 대한 해설, (2)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에 대한 이해와 안내, (3) 국어과 교수·학습 정보 제공 및 지도 방법 안내로 분류할 수 있다. 자료집으로서의 기능은 (1) 교과서 재구성을 위한 다양한 자료 제시, (2) 교과서 재구성을 위한 다양한 제재 제시, (3) 교과서 재구성을 위한 다양한 학습 활동 제시로 분류할 수 있다. 창안서로서의 기능은 (1) 단원 집필 의도 및 국어 교과, 국어교육과정 해석, (2) 개별 학급의 국어 학습 경험 반영을 지원하는 자료 제시로 분류할 수 있다. 분석 결과, 현행 교사용 지도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소개하는 정도에 그친다는 점, 교사가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많지 않다는 점, 개별 학급의 국어 학습 경험 반영을 지원하는 역할이 빈약하다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해설, 교사가 교과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대체 활동 자료와 제재를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 안내, 개별 학급의 국어 학습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육과정, 교과서를 구체적으로 상술한다는 점에서 수업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고 교사의 명확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또한 지도서 개발 과정에서 본 연구의 지도서의 기능으로 제시한 세 가지 기능들을 갖추기 위해서는 ‘상세화’와 ‘대강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핀란드 교사교육 연구 동향 고찰

        김병찬 ( Byeong Chan Kim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핀란드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0년대 이후-2013년도 까지의 핀란드 및 유럽의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핀란드 교사교육 관련 논문 20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핀란드 교사교육 연구는 주제 측면에서 핀란드 교사교육의 ‘기반이나 배경’에 관한 연구, 핀란드 교사교육 ‘과정’에 관한 연구, 핀란드 교사교육 ‘성과, 평가, 방향’ 에 관한 연구 등이 주요 연구 영역임이 드러났다. 또한 핀란드 교사교육 연구 동향의 특징은, 교사교육연구자들이 자신이 몸담고 있는 기관이나 프로그램을 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는 점, 교사교육 연구가 단지 연구에 그치지 않고 개선 및 실행과 연계된다는 점, 학문공동체 내에서 시대적 주류 연구주제를 발굴해 낸다는 점, 교사교육의 외래 이론을 자신들의 풍토에 맞게 토착화시킨다는 점, 현상 연구뿐만 아니라 메타연구도 활성화되어 있다는점 등이 주요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n teacher education in Finland. For that purpose, I analyzed 20 articles on Finnish teacher education in Finnish journals and European journals during 1990-2013.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s : There are research trends on Finnish teacher education including research on foundation and background of Finnish teacher education, research on process of Finnish teacher education, and research on result, evaluation and direction of Finnish teacher education, I foun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on Finnish teacher education: Finnish researchers mainly have studied teacher education program of their ow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search results of teacher education are closely connected their practices of teacher education. Finnish researchers consistently find the leading themes on teacher education in their community. They also naturalize foreign theories for their conditions. They have studied meta analysis on Finnish teach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이해

        김민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1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current physical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between preliminary and current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2 early childhood teachers at 15 preschools and day care centers and 124 preliminary teachers of 5 universities. The study revised by referring to the survey content of Kim Na Yeon(2015)’s Preschool Mathematics PCK Interview, whi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chool teachers. The categori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were reorganiz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2015 revised version of pre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 the score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low and the deviation was large among individual teachers. Second, the scores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were low and the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did not enroll once and those who enrolled more than once. The preliminary teachers’ score was generally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This result implies that consistent training is critica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는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 122명과, 현재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지식을 알아보기 위해‘유치원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인터뷰(Preschool Mathematics PCK Interview)’를 수정하여 사용한 김나연(2016)의 설문지 형식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하였다. 신체운동에 대한 교과교육학 지식을 측정하는데 사용한 개념 범주는 2015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내용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직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점수는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마다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점수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변인별 차이에서 관련 과목 수강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신체운동 관련 과목을 수강한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비교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예비교사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형성에 있어서, 교사교육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연수와 관련 교육의 필요성이 수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들의 현장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박순용,강보라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7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Lead Teachers(LTs) in charg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in schools. In-depth interviews of 10 LTs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utiliz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to understand their field experiences in schools: First, how did the teacher develop an interest in GCED? Second, how did they teach GCED in the school, and in doing so what difficulties have they faced? Third, what motivated them to continue teaching GCED in the school?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pirical studies of LTs provide useful insights which close the gap between theoretical/political discourses and actual practices of GCED. Second, the most significant motive by which teachers can continuously practice GCED in the face of numerous difficulties is that they have found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from their work. Third, it is up to the individual teacher’s will and expertise that allow GCED classes to flourish. Therefore GCED should focus on understanding what kind of experiences teachers go through at different grade levels in order to find out the optimum conditions for support. 이 연구는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함의를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의 정착·확산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이들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경험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이 보다 구체화되고 의미 있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에서의 담당교사들의 창의적인 사례가 활발하게 공유될 필요가 있다. 선도교사들의 실천사례는 현장의 모습을 가감 없이 보여주어 세계시민교육의 거시적 담론과 학교 현장과의 간극을 좁혀주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에 매료된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추구하는 교육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찾은 것이었다. 교사들은 자신의 가치와 신념에 부합하는 세계시민교육을 만난 것이 교육의 본질을 상기하게 되는 훌륭한 계기였다고 했다. 이는 교사로서 추구하던 교육철학과 사명감을 세계시민교육을 통해 구현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셋째,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 된다 하더라도 교사가 관심을 갖고 주도적으로 추진하지 않는다면 목표한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교사들의 교직경력, 직급, 학교급, 지역에 따른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세계시민교육 관련정책 보완을 위한 정교하고 특수한 정보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연구

        김판수,이영주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수학과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실현하는 초등학교 교사 4인의 교육과정 재구성의경험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교육과정 재구성의방법을 알아보고, 전문성을 가진 교사 양성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 대상은현직 교사 중 수학과 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이 풍부한 교사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총 3차로 이루어졌으며, 4인의 사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대로의 수업은 ‘흥미 저하’와 ‘성취 기준 미달’로 귀결되어 교육과정 재구성의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게 된 계기는 각자 달랐으나 교육과정재구성을 시도하게 된 원동력은 수학 교과의 내용 지식과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이 높았기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지속시키는 요인은 학생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교사 연구 활동이었다. 전문성을 가진 교사가 중심이 되어 교사 연구회를 운영하고 이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성장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방법은 각기 달랐다. 각 교사가 지향하는 목표는 같으나 그 방식이나 접근에 대한 기본 철학에서는 차이를 나타내 보였고, 그것이 교과서를 재구성하는 방식을 결정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교육과정 재구성의 어려움 조사에서 교사요인으로 시간 부족과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확신 등이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 간의 개인 편차와 개인적 특성과 같은 학생요인도 중요한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이 요인은 기존 연구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전반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과정 문해력을 위한 연수와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의 공유와 보급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of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ntinuously realize the mathematics curriculum, found out how to develop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reorganize the curriculum through mathematics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sought implications for fostering professional teacher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as teachers who understood mathematics and curriculum well among incumbent teachers and had extensive experience in reorganizing mathematics and curriculum.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a total of three rounds, and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of four people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based class resulted in a 'decrease in interest' and 'under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necessity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as recognized. However, although the reasons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were different,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attempt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seems to be the high knowledge of the content of the math subject and the literacy in the mathematics and curriculum. Second, the factors that sustain the curriculum restructuring were positive feedback from students and teacher research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with expertise are the main ones who run teacher research groups and grow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hem. Third, the method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as different. Each teacher's goal was the sam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basic philosophy of the method and approach, and it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determining how to reconstruct textbooks. Fourth, in the survey of difficulties in reorganizing the curriculum, lack of time and confidence in reorganizing the curriculum were confirmed as teacher factors. In addition, student factors such as individual deviation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mong students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difficulties, which were not found in previous studies. Fifth, in order to revitalize the curriculum restructuring, overall support is need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raining for curriculum literacy and sharing and dissemination of cases of curriculum restructuring are required.

      • KCI등재

        해외 사례 검토를 통한 국내 SW교육 교사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허희옥 ( Heeok Heo ),서정희 ( Jeonghee Seo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우리나라에서 SW교육은 21세기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중요한 교육정책의 하나이다. 정보과 교육이 강화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육부에서 발표한 SW교육 활성화 추진 정책이 그 중요성을 잘 말해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 핀란드, 에스토니아, 미국의 교사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SW교육 교사교육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각 나라별로 SW교육에 관련된 학교 교육과정 혹은 교육 내용을 조사하고 이를 가르치는 교사의 교육에 대한 현황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SW교육 교사교육의 발전을 위한 7가지 실천 전략을 도출하였다: 첫째, SW교육에 관련된 교사의 역량을 규명한다; 둘째, SW교육과 교과교육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증진한다; 셋째, 코딩 기능 숙달이 아닌 교육적 변화를 수용하고 주도할 수 있는 마인드 형성을 강조한다; 넷째, 교사 공동체 활동을 활성화하고 지역별 교사교육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다섯째, 교사교육 방식에서 비형식학습 방법을 도입하기 위한 디지털 인증 시스템을 운영한다; 여섯째, 교사교육의 참여자간에 다양한 의견과 자료를 공유하기 위한 온라인 시스템을 운영한다; 일곱째, 교사의 역량에 적합한 맞춤형 교사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운영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른 국가들의 사례 분석, SW교육의 의미 재조명, 예비 교사교육 강화 등에 관련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Software education (SW education) is one of the inevitable educational practices to enhance the competencies of next generations at 21<sup>st</sup> century. The importance of the SW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 the information subj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n educational policy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To meet the current trends, this study aims to review and analyze international case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SW education, and then provide strateg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current teacher education in SW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the suggested content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national curriculum and standards,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delivery method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United Kingdom, Finland, Estonia and United States. As a result, seven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 Identifying teacher competencies to implement SW education; Enhancing teachers’ capability to integrate SW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Building teachers’ mindset to accept and lead educational changes, not to develop a coding skill only; Operating a regional center for supporting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communities; Establishing a digital certification system for promoting teachers’ informal learning; Operating an online communication system to share ideas and information among participants in SW education; Establishing an adaptive teacher education system. For further studies, the following issues were raised: Conducting an analysis of other international cases, re-conceptualizing the meaning of SW education, and strengthen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SW education.

      • KCI등재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 분석

        이찬주,송낙현,강철민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지원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직업계고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교사 행복지표(36개)를 활용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직업계고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408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행복지표에 대한 직업계고 교사의 교육요구도는 학교 전반에서의 교권보호, 사회적 신뢰, 업무분담 만족도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협력적 수업 결손 해결, 교무행정업무 효능감, 행정직원과의 관계 등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 행복지표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는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중복된 지표를 확인하여 최우선순위와 차순위를 분석하였다. 우선순위 1순위는 총 8개의 교사 행복지표(업무분담 만족도, 학교장의 소통능력, 민주적인 학교 경영, 합리적인 학교 경영, 민주적 의사결정 문화, 협력적 해결 방안 탐색, 사회적 신뢰, 학교 전반에서의 교권보호)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차순위 교사 행복지표는 총 8개의 교사 행복지표(개인 업무량 만족도, 교육부 지원, 교육(지원)청 지원, 학부모의 인정과 존중, 수업관련 만족도,교사의 자율적 수행, 학생의 인정과 존중, 동료교원의 인정과 존경)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직업계고 교사의 행복은 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육에 대한 신념과 방법이 존중받을 수 있고, 학생과의 신뢰 관계 형성을 통해 즐거운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구축해야 하며, 교사가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적절한 업무분담과 민주적인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도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4

        초등학교 교사는 인공지능교육의 비전공자로써 인공지능교육 실천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 임에 따라 인공지능교육의 역량 증진과 함께 관심을 유도하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 은 관점에서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381명을 표집하여 그들이 갖고 있는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을 CBAM을 통해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 단계는 비사용자 프로파일과 유사하였고, 인공지능교육의 영향과 결과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여자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도가 남자보다 전반적으로 높았고, 특히, 정보, 운영, 결과 단계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셋째, 소프트웨어교 육 관련 과목 이수가 많을수록 관심도가 높았고,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과목을 많이 수강하면, 인공 지능교육의 관심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넷째, 인공지능관련 과목을 수강한 초등교사의 관심도가 상 대적으로 높았지만, 관심도의 각 단계별 유의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섯째, 전반적 으로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연수를 많이 이수할수록 관심도가 높았고, 특히, 31시간 이상의 연수 이수자가 큰 차이로 관심도가 높았다. 여섯째, 인공지능교육 관련 연수 이수 시간이 많을수록 전반 적인 관심도가 높았고, 특히, 31시간 이상의 연수를 이수한 초등교사가 나머지 교사와의 통계적 유의차가 컸다. 일곱째, 소프트웨어교육 역량이 높을수록 관심도가 높았고, 거의 모든 관심도 단계 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여덟째, 인공지능교육 지지도가 높은 초등교사가 관심도가 훨씬 높았고, 인공지능교육의 효과에 대한 관심도는 인공지능교육 지지도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의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인공지능교육 관련 과목의 이수 확대를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 정책 운영 및 인공지능소양 함양을 위한 연수 기회 확대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non-majors in AI education, will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practicing AI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to induce interest as well as increase the competence of AI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ampled 38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zed their concerns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CBAM and derived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terest in AI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imilar to that of non-user profiles, and interest in the effects and results of AI educat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women teachers' interest in AI education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men,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operation, and results. Third, as the number of courses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est increased, and as subjects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est in AI educ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Fourth, although the degree of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mpleted AI-related subjects was relatively hi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at each stage. Fifth, overall,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in software education-related training,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and in particular, those who completed the training for more than 31 hou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ixth, the greater the number of hours for AI education-related training,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est, and in particula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mpleted more than 31 hours of training was greater. Seventh, the higher the software education competency,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most all levels of interest. Eighth, primary school teachers with high support for AI education had much higher interes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effects of AI education was deeply related to the support for AI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policy support such as operating university curriculum policies to expand the completion of AI-related subjects and expanding training opportunities to cultivate AI literacy is necessary as a way to increase the degree of interest in AI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ggest.

      • KCI등재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구신실 ( Sin Sil 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경향과 교사의 변인별 인식, 교과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및 지원요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 지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특수학교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필요도와 적용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해 특수교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에 비해 적용하고 있는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교사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소속학교 주 장애에 따라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교사의 필요도와 적용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가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보다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과교육에 대한 적용도는 특수교사의 소속학교 주 장애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당학교 급과 특수교육 경력에 따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필요도와 적용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의 문제점은 개별지도실시, 기본교육과정 적용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개선안이나 지원요구는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교재·교구, 보조기구 개발 및 지원, 정책적 지원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nd to recognize the by variables, curriculum issue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support needs by examining the recognition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uggesting effective instruction strategies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foundation for the map data is presented and implic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was investigated 101 teachers working at the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Busan Cit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omes t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learn to recognize the tendency to help awar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apply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showed, compared to wha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effect was lower degree. Second, it comes t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in each teacher variables(perception in each kind of disabilities in the teachers` school and subject education)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in others teacher variables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Third, to implement the subject education for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it is suggested as follows; organizing the practical curriculum considered their characteristics, minimiz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And there are curriculum education conducted tutoring, basic training in the application and the difficulty of the most recognized, and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nd support requir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for severely handicapped children and redundancy curriculum development, textbook parish, aids the development and support, political support, and has provided feedback on.

      • KCI등재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내적 신념이 컴퓨터 통합 교육 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유은영,이종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내적신념 중 구성주의 교수신념, 일반적 교수효능감, 컴퓨터 교육에 대한 태도, 그리고 컴퓨터 교수효능감이 컴퓨터 통합 교육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아교사 168명과 예비유아교사 107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상관분석, t-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컴퓨터 교수효능감을 제외한 구성주의 교수신념, 일반적 교수효능감, 컴퓨터 교육에 대한 태도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통합 교육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내적 신념이 컴퓨터 통합 교육 정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컴퓨터 교수효능감의 경우 컴퓨터 통합 교육 정도에 유아교사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예비유아교사에게는 부적 영향을 미쳐 차이를 보였다. 셋째, 컴퓨터 교육에 대한 태도가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통합 교육 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다음으로 컴퓨터 교수효능감, 구성주의 교수신념의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in the comparison. The educational beliefs mean constructivist teaching beliefs, general-teaching self-efficacy, computer attitudes, and computer teaching self-efficacy. A total 168 kindergarten teachers and 107 pre-service teachers in Seoul and Kyunggi-do responded to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their educational beliefs and computer integrated education levels. The questionnaire had five scales to collect data: Constructivist Teaching Beliefs, 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 The Microcomputer Utilization in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To identify kindergarten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omputer integration education, Pearson r,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t is common that educational beliefs of constructivist beliefs,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computer education were commonly related with computer integration level. Regarding computer teaching self-efficacy, early childhood educator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hile pre-service teacher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mputer integration level. Based on the t-test analysis result,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had relatively high in constructivist beliefs and computer integration level in comparison to kindergarten teachers. In addition, computer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s to computer education were relatively high among kindergarten teachers. In addition,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that the teaching self-efficacy was not a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 on computer integration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