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PCK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정은,홍순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5 No.-
본 연구에서는 PCK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며, 이러한 본 프로그램이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학교수효능감, 수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근무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19명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CK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현장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의 구성요소, 수학교과교육학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계획안 작성, 수학활동 실제를 교육내용으로 강의, 토의, 협동학습, 실제 교육방법을 이용한 12회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PCK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교수효능감, 수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본 PCK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은 유아교사의 수학교육 유아교사의 교과교육학지식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며 수학교수효능감, 수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사 연수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김성아,송경오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3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eacher leadership as power of reform to qualitatively change and to substantially solve problems in schools and researched the potential to develop teacher leadership through ‘practice’ and ‘learning’ of situational context in teacher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teaching observation aimed at 20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ho has participated in teacher community to cooperatively develop the curriculum and improve a lesson. Then, it has been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 Corbin(1998). AS a result of analysis, teachers were immersed into collective intelligence and experienced self-regulating class design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curriculum. In this process, teachers improved their expertise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established the identity through relationship formation, reflective introspection, daily learning, emotional enhancement, identity awareness, leading to developing shared leadership based 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lso, development types of teacher leadership(passive, formality, transition, pioneer, assistant, leader) vary depending on parametric condition including various experiences and interaction in teacher community for curriculum reorganization.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potential as practice community of teacher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based on specific process to change themselves and develop their leadership through leadership learning in the context of school teachers live in reality. 본 연구는 학교교육의 질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동력으로서 교사리더십의 중요성에 주목 하여 교육과정 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 상황맥락적인 ‘실행’과 ‘학습’을 통한 교사리더십 개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재구성 교사공동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초·중등 교사 20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 및 수업관찰을 실시한 후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적 접근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은 동료들과 함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집단지성에 몰입하고 자율적 수업 디자인 실행을 경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관계형성, 반성적 성찰, 일상적 학습, 정서적 고양, 정체성 인식을 통해 교사전문성 신장, 교사정체성 확립,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어 소통과 협력을 기반으로 한 공유(共有)리더십을 개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 다양한 경험 및 상호작용 등 매개적 조건에 따라 교사들의 리더십 개발 유형(소극형, 형식형, 전환형, 개척형, 조력형, 리더형)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리더십 개발에 대한 대안적 방향 설정과 전략에 대한 실천적 논의를 제공할 수 있었으며 상황맥락적 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의 실행공동체로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
방은영(Eunyoung Bang)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4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es taught by teacher educators with field expertise. Thirt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 University in S City and tak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15 weeks, from August 31, 2023, to December 14, 2023. Data for analysis included unstructured interview notes from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ekly expectations reports on learning topics, and reflection reports. During the examination period and after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earcher's no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several experiences reported by th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Feeling the beauty of music in an easy and fun way’, ‘Escaping from preconceptions about children’s music activities centered on singing’, ‘Feeling anticipation and pride in the possibility of being practitioner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Satisfaction with learning from a teacher educator with field expertise’, ‘Appreciation for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classes in other subjects’, and 'Expecting similar experienc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necessity of offering music classes based on field application-oriented theory and practice to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heir trai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 C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으로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30명이다. 연구 기간은 2023년 8월 31일부터 12월 14일까지 총 15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분석을 위한 자료는 비구조화된 예비유아교사 면담노트, 매주 학습주제에 대한 기대보고서, 성찰보고서(2회/중간고사 기간, 종강 후), 연구자 노트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은 ‘음악의 아름다움을 쉽고도 재미있게 느끼기’. ‘노래 부르기 위주의 유아 음악활동에 대한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나기’, ‘유아음악교육 실행자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자부심 느끼기’,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로부터의 배움에 대한 만족감’, ‘타 교과목 수업에도 동일한 경험을 기대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로부터 현장적용 중심의 이론과 실제에 바탕을 둔 음악수업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대학에서의 교과목 담당 교수의 배정에서 유아음악교육 수업의 경우, 특히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에게 수업을 배정하여 예비유아교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질 높은 수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예비 일반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 및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웹기반 앵커드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고찰
허유성,남창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5 No.3
최근 통합교육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양성 기관에서는 2009학년도 입학생을 대상으로 특수아동의 이해를 위한 소양과목을 개설해야 한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일반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의미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수교육을 가르칠 수 있는 교수자가 부족하고,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서 필요한 역량을 가르치기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로 인해 교사양성 기관 간에 교육의 질에서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장?단기적 관점에서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아동에 대한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을 제안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대 효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교수-학습 측면에서 특히 현 예비교사 교육에서 공통적으로 중요시하는 지식의 전이, 반성적 성찰, 태도 및 동기, 그리고 ICT 활용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기반 앵커드 교수법은 교수-학습 환경 측면에서 교육대상자의 확대, 멀티미디어 활용의 용이, 온?오프라인 통합을 통한 상호작용 극대화, 그리고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정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9 No.1
이 연구는 중등교사양성체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의 교사양성정책의 과거를 돌아보고, 다음으로 교사교육의 최근동향을 살펴본 후에, 교사양성체제의 주요 쟁점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교사양성체제 개편의 방향과 전문적 질 관리를 위한 추진과제를 밝히고, 교사양성체제의 새로운 방향에 관한 제언을 한다. 교사교육의 주요 동향은 교사교육과정의 책무성 강화, 교사양성프로그램의 표준개발과 평가, 현장학교와의 협력체제 구축 및 현장실습의 강화, 학습자중심의 전문성 개발, 탐구와 사고중심의 교사교육, 전문성 수준의 평가방법으로서 포트폴리오 활용,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적 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활성화, 교사교육의 대안적 프로그램 모형, 교사양성과정의 다양한 모형, 그리고 성공적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특성 개발 등 10가지로 제시된다. 다음으로 교사양성체제 개편에 관한 주요 쟁점을 논의하고 있다. 이 논의는 독립변수로서의 교사양성기관의 유형이나 통폐합에 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과정변인으로서의 교사양성과정의 질 관리 수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교육자원과 시설 활용의 효율화, 교육연구인력의 활용을 권장하는 컨소시움 체제로의 전환, 지역사회 중심의 교육센터로서의 기능과 역할 제고, 질 높은 교사양성체제 구축을 위한 지속적 지원, 교사양성기관 담당자들의 개혁을 위한 노력 등이 그것이다. 전문적 질 관리를 위한 추진과제로서 교사교육과정의 표준 설정, 교사양성교육프로그램의 재구성 및 전문연구팀, 교사양성기관의 평가인증 수준에 따른 정책지원의 차별화, 교사양성기관의 특성화 및 협력체제 구축, 전문적 개발을 위한 협력학교 육성 지원, 교사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원기관의 확충 및 적극 지원, 우수교사양성에 초점을 둔 교원종합정책의 틀 마련, 교사임용통로의 이원화 등이 제시되고 있다.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 분석
정윤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2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pedagogicalcontent knowledge(PCK) and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level, and to analyze correlationsamong the domains of PCK.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asfollows. First, is the perception level of PCK differen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arethere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PCK variables the level of awareness? Third,what factors influen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PCK? In order to answer thesequestions, this study surveyed 2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perception of PCK was average, and by domain, student knowledge was highest, which was followedby pedagogical knowledge, expression knowledge, curriculum knowledge, content knowledge, andassessment knowledge. Seco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PCK is a higher awareness of the PCKawareness than working in small cities and rural teachers are teachers who work in big cities, morethan 15 years of experience teachers PCK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high, there was nodifference betwee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school, a special type of institution. Third,independent variable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CK were work areaand experience. For enhanc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CK,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training programs to in-service teachers, and consulting training to experienced and new teachers. Furthermore, it will be effective to develop and apply training programs that can utilize thesub-domains of PCK together. 본 연구는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특수교육교사 변인별 인식 수준의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첫째, 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수교육교사 변인에 따른 교수내용지식(PCK)인식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무엇인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특수교육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학생지식이 가장 높았으며, 교수법지식, 표현지식, 교육과정지식, 내용지식, 평가지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은 대도시에근무하는 교사가 중소도시 및 농어촌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경력15년 이상의 교사들이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과정, 특수교육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인식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근무지, 경력이었다.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계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현직연수와 경력교사와 신임교사의 멘토링 연수가 필요하며, 각각의 하위 영역들을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어야 효과가 있을 것이다.
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준비도 및 인식 조사 연구
안도연 한국통합교육학회 2010 통합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 양성과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현재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원장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준비도와 통합교육을 위한 현 교사양성과정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9년 4월부터 8월까지 서울․경기에 위치한 장애통합유치원 중 50 곳을 선정하여 원장과 교사들을 설문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크게 개인적 내용과 통합교육 준비도, 성공적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과 현 교사양성과정의 개선점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총 178부(원장 43부, 교사 135)의 설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원장과 교사 모두 통합교육 준비도가 낮았으며 경력과 교사 양성 과정에서 경험한 교육 실습지 유형이 준비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 교사 양성과정이 통합교육에 부적합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사 양성 교육내용과 교육 실습 방법의 수정이 시급하다고 인식하였다. Inclusive education is one of the more attention-getting issues on the current education. So teachers prepare to inclusive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ew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incipals and teachers by the preparation and recognition for inclusive education. A sample of 178 participants(Principals=43, teachers=135) are living in Seoul or Gyeonggi of Korea. The study was analyzed by a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e principals and teachers don't know to inclusive education methods and hope to change a model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inclusive education.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문교과 교사의 경력별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
김연경,송해덕,전미연,신안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2
최근 직업교육의 질적 향상과 발전을 위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 산업현장 맞춤형 교육을 목표로 NCS 기반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교육현장에서 중등단계의 직업교육을 직접 수행하고 있는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확인하여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주요 내용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지원체제들을 함께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의 전문교과 교사 역량을 분석·종합하였다. 분석 종합된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에 대한 타당화 검증을 위해 교육학 전문가 4인과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6인에게 전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수정·보완된 역량을 교육의 필요성과 역량의 중요성으로 나누어 설문을 만든 후,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 조사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을 도출한 후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연수 프로그램에 따른 교육형태, 교육방법, 평가방법에 대한 문항을 함께 포함하여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끝으로 2차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로 구분하여 최종 10개의 전문교과 교사 대상의 역량기반 연수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에 따라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사 대상의 역량기반 연수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일선 교육연수기관에서 실제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NCS-based curriculum is being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Meister high school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Vocational teachers’ competencies are essential in implementing NCS-based curriculum because they are performing vocational education in educational practic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mework of competency-based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that is essential in implementing NCS-ba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first, vocational teachers’ competenci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Second, summarized competencies were reviewed and validated by four Ph.Ds majoring in education and six high school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 of NCS-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rd, the first round of survey was conducted with 25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determining necessary and important competencies. Fourth, based on the findings from survey results, high priority competencies were used in developing initial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contents. The second round of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validation of the initial program contents. In addition, preferred educational types and methods, evaluation methods were examined. Lastly, the final NCS-based vocational teachers’ training program was identified and the program has two versions according to the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actical resources for those who want to develop competency-bas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NCS-based curriculum.
초등학생의 기초 문식성 함양을 위한 교사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서현석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미래융합교육 Vol.2 No.2
초등교사의 국어 수업 전문성은 학습자가 도달해야 할 ‘참학력’으로서 ‘실제적인 국어 능력’은 무엇이 며, 그것이 어떻게 신장되느냐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초등 국어 수업’을 대상으로 하는 ‘영역 특수적 성격’에 기반한다. 이 연구는 교사가 생성하는 수업을 교사가 개발하는 교육과정으로 볼 수 있다는 점 에서 ‘교사교육과정’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였으며, 기초 문식성이라는 초등 국어과 교육의 핵심 목적을 향해 교사가 자신의 학습자들에게 최적화된 국어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교사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첫째, ‘김교사’는 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게 되었는가? 둘째, ‘김교사’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목적과 내용 구성은 어떠한가? 셋째, ‘김교사’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개발의 교육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의 교육적 성찰과 깨달음을 동반한 학습자와의 의미있는 ‘만남’은 교 사의 문제의식과 탐구를 촉발시켰다. 그리고 교사의 교육철학과 실천 의지와 맞물릴 때, 교사는 자신이 담당한 학급의 학습자에게 맞춘 개별화된 교사교육과정을 개발하게 된다. 교사교육과정은 ‘의도한 교육 과정’에서 ‘가르친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학습자들이 ‘배운 교육과정’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실천의 결과들이 축적된 교육과정으로써 그 교육적 가치가 있다. 교사교육과정은 초등 수업 현상의 중 심부에 존재하는 주체의 목소리로부터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찾으려는 실질적인 교육 혁신의 출발점 이요, 소중한 교과 교육의 연구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19-2023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송지윤,김현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5 No.2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국내에서 다루어진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학령기 이전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및 방향을 재고하는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가진다. 방법 이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이 고시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KCI에 등재된 ‘유아교육’,‘과학’, ‘교사’를 키워드로 한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등재 학술지는 총 38편으로, 이를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따라 상세하게 분석하여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대상 연구가 보육교사 대상 연구보다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둘째,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방법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는 양적연구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는 질적연구가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의 연구내용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는 현장 이해를 목적으로 교사 간 모임을 통한 접근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예비교사를 대상으로는 변인 이해를 목적으로 특정 및 활동을 통한 접근이 주로 이루어진 가운데 시기에 따라 접근방법의 경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2019 개정 누리과정이 지향하는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과학교육에서도 실현되기 위한 방법론적인 논의와 교사교육의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to reconsider the role and direction of teach ers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before school age by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dealt with in Korea after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Methods Accordingly, papers with keywords ‘infant education’, ‘science’, and ‘teacher’ registered in the KCI for five years from 2019 to 2023, which were announced as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were selected for analysis. A total of 38 selected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 od, and research content of the analysis criteria, and the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re lated to teachers was examin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studies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related to teachers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studi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as for the research method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related to teachers, quant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higher for pre-service teachers and qualitative research for incumbent teach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content of early childhood sci ence education related to teachers was mainly approached through meetings between teacher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field for incumbent teachers, and the tendency of the approach varies depending on the time while the approach through specific and activities was mainly conducted for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variables. Conclusions It is proposed that these results be used to present methodological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aimed at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to be realized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