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래 사회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교과서 발전 방안

        이동엽,권영락,김정효,박진용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이 연구는 미래 사회 학교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미래 사회 교육 환경 변화에 적합한 교과서상 및 교과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미래 교과서상 및 교과서 발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미래 사회 교육 환경을 대비하는 교과서에 대한 국가 사회적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하였고, 이러한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 교육 환경 변화에 적합한 교과서의 위상과 역할을 정립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교과서 내적 체제 및 외형 체제 발전 방안과 교과서 개발 및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래 사회 교육 환경에 적합한 교과서의 위상 및 역할과 관련하여 첫째, 미래 교과서의 위상은 현재의 위상보다는 낮지만 주요 자료로서의 지위는 유지될 것이며, 미래 교과서 역시 교과서의 보편적, 본질적 기능이나 역할은 유지될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미래 교과서의 내적 체제 및 외형 체제 발전 방안과 관련하여 첫째, 미래 교과서는 교과 기반 역량 중심 교육과정 내용과 교육과정의 핵심, 기본 내용 및 학습자 요구 내용을 선정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래 교과서는 학습자의 구성적인 학습 과정을 돕기 위해 학습자 중심으로 내용을 조직하며, 미래 교과서의 내적 체제가 지향하는 주된 학습 유형은 자기 주도적 학습 및 협력 학습 유형이다. 셋째, 미래 교과서의 외형 체제는 디지털 교과서에서 진화된 체제 및 다양한 매체 중심 체제를 지향하며, 미래 교과서의 외형 체제는 유비쿼터스 러닝 체제 및 기능이 대폭 향상된 전자화된 체제를 지향할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 교과서의 개발 및 활용 방안과 관련하여 미래 교과서는 교과 전문가를 중심으로 하는 지식 공동체가 클라우드 시스템을 활용한 수시 업데이트를 통해 개발될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 교과서는 교사나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부 수립 이후 교과서의 위상에 관한 이해 : 교과서에 대한 이해와 그 특징적 변천 과정을 중심으로

        이종국(Lee, Chong-Kook) 한국출판학회 2008 한국출판학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대한민국 건국 후 60 년이 흐르면서 교과서에 대한 관심이 어떻게 나타났으며, 그 변천과정에 나타난 특징적인 모습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논의하고자 했다. 그럼에 있어,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첫째는 광복 이후에 있어 교과서의 위상이란 무엇인가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는 교과서를 어떻게 보아왔으며, 이것이 지닌 의의와 관련하여 어떤 지향성을 선택했는가 하는 현상적인 문제를 포함한다. 이 문제는 다소 추상적이긴 하나 우리에게 있어 ‘교과서란 어떤 모습으로 존재했는가’ 하는 새삼스러운 물음에 관한 대답의 일부로서 필요하다고 보았다. 둘째는 교과서 연구의 흐름과 관련하여 그에 따른 특징이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에 관한 살핌은 대한민국 시대의 교과서 60 주년에 즈음하여 반성과 지향의 양대 측면에서 요긴한 논의라고 사료된다. 셋째는 교과용 도서 출판의 흐름을 짚어 보려 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문제로 제한했는데,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 요건들에 대한 개관이 그것이다.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the concern on a textbook has been showed and what the characteristic appearance in its change process has been for 6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these, this paper handles three subjects. The first one is to be what the phase of a textbook is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t includes the phenomenon matters on how a textbook has been considered, and which direction has been selected in relation to its meaning. These matters are considered to have need of as a part of answer about the abrupt question of ‘What appearance did a textbook exist as?’ for us while these are a little abstract. The second is to investigate how th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flow of study have showed. The investigation on that is considered as a critical discussion in both sides of reconsideration and aspiration at the time of the 60th anniversary of a textbook of an Republic of Korea age. The third is to investigate the flow of a book publishing for a course of study. For this, it is limited to two subjects; It is an outline on the factor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s.

      • 대학에서의 비교과의 역할과 위상

        김정민(Joungmin Kim)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기존의 실증연구에서 다뤄지지 못한 고등교육과정에서 비교과가 차지하는 역할과 위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비교과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타 대학의 비교과 운영자를 중심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비교과에 대한 보편적 정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의 비교과에 대한 인식과 요구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대학에서 운영되는 비교과의 유형 및 국내외 연구들은 비교과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개념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델파이 조사에서는 ‘정규과정 이외의 대학생활 중 경험할 수 있는 모든 활동’과 ‘재학기간 중 정규 교육과정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학생의 자기계발 노력을 지원하고 지도하는 정기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비교과를 정의하고 있었다. 대학생들은 비교과를 ‘동아리’, ‘활동’, ‘체험’, ‘멘토링’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교과에 대한 요구도는 ‘현 비교과의 유지 및 확대’와 ‘학기 중, 방학 중 비교과 확대’가 가장 높았다. 또한 비교과 참여한다면 그 이유는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싶어서’가 가장 높았고, 비교과는 ‘대인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비교과를 참여하는데 제약이 되는 주된 이유는 ‘전공 및 알바 등으로 인한 시간 제약’이 제일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을 도출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ole and status of extra-curricular in higher education that was not addressed in previous empirical studies. For this discussion, the related researches were reviewed and conducted a Delphi survey centering on extra-curricular and operators of other universities to derive a universal definition of extra-curricular and to analyze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extra-curricular. As a result, the types of extra-curricular departments operated by universities and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were found to be conceptualized by classifyi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r activities into three categories. Recognized, and the reason for extra-curricular and participation was that ‘I want to try something new’ was the highest, and the extra-curricular responded ‘It helps to for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the main reason for the restriction of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was ‘time constraints due to majors and albas’. Based on the results, It intend to deri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suggest direc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 KCI등재

        교과교육학의 학문 위상과 현 단계 도전 과업

        박인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이 글은 교과교육학이 하나의 '학문'으로서 온전한 위상을 확보하고, 지식 사회의 선도적 가치를 생산하는 학문 영역으로 명실상부하게 발전해 가려면 어떤 문제 의식과 도전 전망을 가져야 할 것인지를 교과교육학 분야 학문 공동체에 제기해 보기 위한 글이다. 현재의 교과교육학은 여러 가지 도전을 받고 있다. 1) 학문이라기보다는 기능과 처방의 수준에 머무는 것이라는 인식 2) 학문으로서의 이론 체계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점 3) 연구방법론의 정합성에서 취약한 점 4) 연구 범주의 생산적 분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첨, 5) 다른 학문 분야와의 상호작용이 약한 점 6) 학문으로서의 고유성과 수요 창출이 미약한 점 등이다. 교과교육학은 학문으로서의 본격적인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을 상위 인지하고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자기 결정성을 구축하는 체제와 토양을 길러야 한다. 따라서 교육현상을 단순 추수하는 데 그치지 말고, 교과교육의 지형 자체를 스스로 결정하고, 교과교육학의 토대를 재설정함으로써, 현재의 교과교육학에 대한 인식론을 넘어서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학적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과교육학의 이론 연구 분야가 정립되어야 한다. 이는 물론 새로운 연구 범주 확장과 기존 연구 범주를 재개념화 해 나감으로써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교과교육학이 타 분야 학문과의 학제성을 넓히고 상호작용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는 교과교육학의 고유성과 보편성이 상호 긴장력 있게 확충되는 방향의 노력을 요청할 것이다. 교과교육학은 교과의 실제적인 힘(원심력과 구성력)을 학문사회와 교육사회에서 동시에 길러야 한다. This paper aimed to propose a desirable statu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the community of scholars studying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this paper aimed to became an issue and propose the perspective to establish the scientific perfectnes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t current stage. At presen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s challenged in many-side as followings. 1) Lack of understanding : tendency to recognize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kill of treatment not science 2) Defect of theoretical system as a science 3) Unreliability of methodology 4) Unspecialized categories of research 5) Insufficiency of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s 6) Be weak in originating new learning demands It is necessary to intensity the scientific identity, self-determination and self-conquest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raise its academic status. In order to overcome the fixed idea abou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 diverse of approaches oriented new understanding are needed as followings Theoretical study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n approved formal research area. And we should develop new domain of study and re-conceptualize existing domain of study i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t is necessary to enlarge inter-disciplinary activity and enforce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 under the initiativ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academic status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keep both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as a scienc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n short it is important to build up the power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through creating demand in both learning society and academic society.

      • KCI우수등재

        미래 교과서 위상 및 역할 연구

        이동엽,권영락,김정효,박진용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status and roles of textbook in the future society in accordance with educational changes. The content of this study comprises two parts: 1) analyzing the history of the textbook policy through examining the status and functions of textbooks, 2)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ocial demands on textbook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tatus of textbooks of the future will be slightly decreased than the current status, but it is assumed to maintain the status as a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at schools. Next, textbooks of the future will presumably maintain their universal and natural functions and roles. The roles of textbooks of the future can be drawn from three different aspects; curriculum, teachers, and learners. In respect to curriculum-related roles, textbooks will be used as a standard indicator for the basic learning content and activities, an institutional means to assure quality in education, an instrument for evaluating learners’ achievement, a faculty guide for interpretations and delivery of national curriculum and so on. In regard to teacher-related roles, textbooks are regarded as a guidebook to select and develop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provision of ideas for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deriving innov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Concerning the learner-related roles, textbooks will provide the required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learners, present learning content based on considerations about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and suppor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본 연구는 미래 사회 학교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미래 사회 교육 환경 변화에 적합한 교과서상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의 변천 과정을 교과서의 위상과 역할 측면에서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미래 사회 교육 환경을 대비하는 교과서에 대한 전문가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기초 작업과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 교육 환경 변화에 적합한 교과서의 위상과 역할을 정립하였다. 미래 교과서의 위상은 현재의 위상보다는 낮지만 주요 자료로서의 지위는 유지할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미래 교과서의 위상이 현재에 비해 약화되지만 학습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위상이 크게 위축되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미래 교과서는 교과서의 보편적, 본질적 기능 및 역할을 유지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교육과정, 교수자, 학습자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관련 역할로는 수업을 위한 기본 학습 내용과 활동의 기준 제시, 교육의 질을 일정 수준 유지하는 제도적 장치, 교사가 교육과정을 해석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용 교재, 학습자의 성취를 평가할 수 있는 근거 제시, 그리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전달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 측면의 역할은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선택 및 개발에 필요한 안내서, 교수·학습의 아이디어 제공,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의 혁신 유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측면의 역할은 학습자에게 필수 지식과 정보 제공, 학습자의 능력이나 특성을 고려한 학습 내용 제공, 그리고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1972년(年) 한문(漢文) 교과(敎科) 위상(位相) 변화(變化)에 대(對)한 단상(斷想)

        이돈석 ( Don Suk Lee ) 韓國漢字漢文敎育學會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3 No.-

        중·고등학교에서 한문 교과가 독립 교과의 지위를 가지게 된 것은 1972년 교육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부터이다. 한문과목이 학교 교육 과정에서 독립 교과로 설정되기 전에도 한문 교육이 여전히 시행되고 있었지만, 법적으로는 국어과 교육 내용의 일부로 간주되어 왔다. 따라서 한문 교과를 독립 교과로 인정한 1972년의 조치는 한문 교육을 위한 일대 전환점을 마련한 계기가 되었다. 1972년 한문 교과의 위상 변화까지 한문 교육은 매우 혼란한 시기를 겪어 왔다. 갑오개혁 이후부터 우리글을 `국문`, 우리말을 `국어`라고 부른 자각 운동이 시작되었다. 한글에 대한 새로운 자각은 개화파 인사들이 중심을 이루었고 그들 중 한글에 지속적 관심을 가진 이들이 이후의 어문 정책을 주도하게 된다. 그들은 35년간 억눌렸던 우리말을 되찾아 한글을 전용하자는 감상적 애국주의에 기초하여 국가의 어문 정책을 결정하였다. 이로 인하여 한자, 한문은 척결의 대상이 되었고 봉건적, 부정적 요소라는 인식이 팽배해졌다. 그 후 박정희 대통령은 한글전용 정책을 근본적으로 지지하여 1968년 10월 25일에 「한글 전용 촉진 7개 사항」을 발표하고 70년 1월 1일부터 모든 공문서에서 한자 사용을 금지 시킨다. 또한, 외적으로 북한과의 경쟁적 어문정책으로 한글 전용을 촉진시켰으며, 대일 무역과 경제 협력으로 한문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한문 교과의 위상변화를 주도한다. 본고는 이상과 같이 언어 사회적 격동기에 한문과 위상 변화를 내적으로는 몇몇 권력을 손에 쥔 정책자에 의해 어문 정책이 주도된 점과 외적으로 북한과 일본과의 관계를 주목하여 1972년 한문교과 위상 변화에 영향을 미친 斷想을 논의하고자 한다. Since a Law of Education and its Implementing Ordinances were amended in 1972, Chinese literature has had an independent status in secondary schools. Although Chinese literature had been taught before 1972, it had been regarded as a par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So the law that gave the Chinese literature an independent status laid the groundwork for great change in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Until 1972, th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had suffered from a difficult, embarrassing time. Since the Gabo Reform of 1894, there had been self-awakening movements that called Korean language `Gookmoon` in writing and `Gookuh` in speaking, both of which mean that Korean language is our national language. Those who supported the enlightenment triggered the conscious movements. After that, those who were constantly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led the language policy in Korea. However, the policy was based on the sentimental nationalism that we should restore the primary status of Hangeul(Korean language) that had been taken away by Chinese Literature and use the Korean language exclusively. As a result, Chinese literature and Chinese characters were thought of as negative, feudal things and objects of fighting. In addition, Park Chunghee, the former president in South Korea, supported exclusive use of Hangeul policy, so he announced the Seven Measures for Promoting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on 25th October, 1968, then forbade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every official document from 1st January, 1970. In addition, the competition with North Korea in language policy intensifie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trade and economical cooperation with Japan suggested that the change in declining status of Chinese literature should be required. This thesis is focused on showing that, during the social conversion time, the language policy was led by the power men and those linguists who supporte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and the political, economical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n and Japan affected the status of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

        1972年 漢文 敎科 位相 變化에 對한 斷想

        이돈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3 No.-

        Since a Law of Education and its Implementing Ordinances were amended in 1972, Chinese literature has had an independent status in secondary schools. Although Chinese literature had been taught before 1972, it had been regarded as a par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So the law that gave the Chinese literature an independent status laid the groundwork for great change in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Until 1972, the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had suffered from a difficult, embarrassing time. Since the Gabo Reform of 1894, there had been self-awakening movements that called Korean language ‘Gookmoon’ in writing and ‘Gookuh’ in speaking, both of which mean that Korean language is our national language. Those who supported the enlightenment triggered the conscious movements. After that, those who were constantly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led the language policy in Korea. However, the policy was based on the sentimental nationalism that we should restore the primary status of Hangeul(Korean language) that had been taken away by Chinese Literature and use the Korean language exclusively. As a result, Chinese literature and Chinese characters were thought of as negative, feudal things and objects of fighting. In addition, Park Chunghee, the former president in South Korea, supported exclusive use of Hangeul policy, so he announced the Seven Measures for Promoting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on 25th October, 1968, then forbade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every official document from 1st January, 1970. In addition, the competition with North Korea in language policy intensifie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Korean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trade and economical cooperation with Japan suggested that the change in declining status of Chinese literature should be required. This thesis is focused on showing that, during the social conversion time, the language policy was led by the power men and those linguists who supporte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and the political, economical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n and Japan affected the status of Chinese Literature. 중·고등학교에서 한문 교과가 독립 교과의 지위를 가지게 된 것은 1972년 교육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부터이다. 한문과목이 학교 교육 과정에서 독립 교과로 설정되기 전에도 한문 교육이 여전히 시행되고 있었지만, 법적으로는 국어과 교육 내용의 일부로 간주되어 왔다. 따라서 한문 교과를 독립 교과로 인정한 1972년의 조치는 한문 교육을 위한 일대 전환점을 마련한 계기가 되었다. 1972년 한문 교과의 위상 변화까지 한문 교육은 매우 혼란한 시기를 겪어 왔다. 갑오개혁 이후부터 우리글을 ‘국문’, 우리말을 ‘국어’라고 부른 자각 운동이 시작되었다. 한글에 대한 새로운 자각은 개화파 인사들이 중심을 이루었고 그들 중 한글에 지속적 관심을 가진 이들이 이후의 어문 정책을 주도하게 된다. 그들은 35년간 억눌렸던 우리말을 되찾아 한글을 전용하자는 감상적 애국주의에 기초하여 국가의 어문 정책을 결정하였다. 이로 인하여 한자, 한문은 척결의 대상이 되었고 봉건적, 부정적 요소라는 인식이 팽배해졌다. 그 후 박정희 대통령은 한글전용 정책을 근본적으로 지지하여 1968년 10월 25일에 「한글 전용 촉진 7개 사항」을 발표하고 70년 1월 1일부터 모든 공문서에서 한자 사용을 금지 시킨다. 또한, 외적으로 북한과의 경쟁적 어문정책으로 한글 전용을 촉진시켰으며, 대일 무역과 경제 협력으로 한문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한문 교과의 위상변화를 주도한다. 본고는 이상과 같이 언어 사회적 격동기에 한문과 위상 변화를 내적으로는 몇몇 권력을 손에 쥔 정책자에 의해 어문 정책이 주도된 점과 외적으로 북한과 일본과의 관계를 주목하여 1972년 한문교과 위상 변화에 영향을 미친 斷想을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신보수주의 교육개혁 이후 사회 교과 위상의 변화와 도전 -영국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석 ( Young Seog Ki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2

        본 논문은 1980년대 이래 영국과 미국에서 전개되어 온 신보수주의 교육개혁 운동이 이들 나라의 사회 교과의 위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교육과정을 스탠다드의 형식으로 제시하고 표준화된 시험을 강조하는 신보수주의 교육개혁은 교육과정의 제시방식을 필수내용요소 중심으로 전환시켰고, 이로 인해 교과의 내용구조에 대한 관심을 저하시켰다. 아울러 전통적 교과 영역인 역사, 지리를 강조하고 분과주의적 경향이 강화되었으며, 심지어는 사회과를 해체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이에 대한 사회과 교육자들의 자구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회문제에 대한 통합적 학습의 기회가 줄어들었다. 한편 표준화된 시험이 강조되면서 일선 학교에서 읽기, 쓰기 중심의 교과운영형태가 강조되었고, 이는 교육과정의 다양성을 축소시켰다. 또 사회과, 또는 역사, 지리 등 전통의 내용교과의 위상이 위협받게 되었으며 시험 위주의 수업 운영이 이루어지는 등의 폐해를 낳고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neo-conservative educational reform in the U.K. and the U.S.A since 1980s. The examination focused on how the reform had influenced the status of the social subjects such as history, geography or the social studies in curriculum. The emphasis of curriculum standards and standardized tests directs curriculum developers attention from traditional scope and sequence toward fragmented knowledge and basic skills. Further, the move to reassert traditional subjects such as history and geography was evidenced and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studies as the integration of history and the social sciences was ignored by conservative policy leaders. In spite of social studies educators` efforts to persuade policy makers that the social studies is an indispensable area of citizenship education, the opportunities for the integrated study of social issues had been reduced in curriculum. Besides, the implementation of standardized tests which are strongly tied to math and reading skills resulted in the decrease of time allocation for the important academic subjects including social studies or history and geography both in U.S. and U.K. classrooms. The tendency of test-driven instruction had threatened the status of the social subjects in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 한문교육의 실태와 대학 교육의 소통방안

        원용석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0 No.-

        A lot of people take Test of Sino-Korean Proficiency Level to a certain certificate of Sino-Korean Vocabulary these days. So many parents, who have secondary schoolers, send their children to Private Academies for extra study. Of course they are spending plenty of money for it. However, it's hard to say that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at Schools.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general high schools which are not offering Sino-Korean courses for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or arts. Even for students majoring in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some schools don't open Sino-Korean Classics as an elective subject. Now, the time has come to think of roles of the Sino-Korean Education Department. Its roles are not only giv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making Sino-Korean teachers, but also studying the intrinsic contents and extrinsic forms of Sino-Korean Education and making alternative plans for Sino-Korean Education of Korea. The alternatives need to deal with whole education circumstances from the Korean National Education Policy to teaching Sino-Korean as a subject in secondary schools and to the 7th Curriculum of Korea.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being a teacher as a Sino-Korean teaching specialist is worthier than being a Sino-Korean scholar. So Universities of Education require special courses so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ir Sino-Korean teaching skills. Of course, the courses for developing qualities of Sino-Korean scholars should be offered as well. But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little concern of those courses from university curriculum developers. Universities only offer courses to teach Sino-Korean contents itself, not its teaching skills. A survey, whose subjects were the secondary Sino-Korean teachers, shows that they obtained much about how to study Sino-Korean but they didn't learn much about how to teach it. So, it was suggested that Sino-Korean Departments of Universities should enhance their courses for developing teaching skills. This means that the problem of general high schools' Sino-Korean education lies not in the contents itself but in the ways to teach it. Furthermore, most of the teachers replied “yes” to the questionary; “Do we need to change Sino-Korean Vocabulary subject as an optional curriculum to the subject as a general curriculum?” Of course, a high percentage of teachers were very interested in developing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odels. Perhaps, from now on Sino-Korean Education Departments(in Universities of Education) should provide chances for students to study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prepare them be ready for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a subject as a basic curriculum. In addition, it's important for the students of Sino-Korean Education Departments to communicate with secondary school teachers. 중등학교에서 한문 교과의 위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양상은 한자 능력 검정시험 등 사교육의 열풍과는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현재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교교육과정 편제 속에서 자연공학과 예체능계열의 경우 이수하지 않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으며 ‘한문고전’은 상당히 많은 학교에서 인문사회계열마저도 배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사범대학 한문교육과의 책무가 단지 한문 교사를 양성하고 배출하는 것만은 아니며, 한문 교육이 이루어지는 그 모든 내적 외적 내용과 형식에 대하여 검토·연구하고 그에 대한 대안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는 한문에 관한 국가 정책으로부터 교과 교육에 대한 모든 양상을 대상으로 하며 개정 제7차 교육과정에 관한 것도 예외가 아니다. 한문 교사는 중등학교에 뿌리박고 있으므로 한문학자로서의 덕목보다는 학교 한문교과교육 전문가로서의 덕목이 더 중요한 가치이다. 따라서 사범대학 한문교육과의 교육과정은 한문 교사로서의 전문적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한다. 또한 한문 교사는 중등 한문교과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이기도 하지만 교과교육을 연구할 수 있는 연구자이기도 하므로 연구자로서의 자질을 배양하는 것도 대학의 책무이다. 그러나 사범대 한문교육과의 교수 상황과 이수 교과목의 상황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내용학 위주의 교육과정으로 편성한 것을 알 수 있다. 현직 일반계 고등학교 한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교사들은 사범대학 한문교육과에서교과교육학에 비하여 교과내용학을 탄탄하게 이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들은 대학에서 교과교육학 과목을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이것은 현재 일반계 고등학교 한문교과교육의 문제가 내용학 쪽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교사들은 설문조사에서 ‘한문교과 필수화를 위한 정책 개발 및 대정부 협상’과 ‘중·고교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 및 방법 연구 개발’의 제1순위에 9명이 응답함으써 대학의 역할을 크게 두 가지로 기대하였다. 차제에 사범대 한문교육과는 한문 교과의 필수화에 대처할 방안과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에 대하여 연구할 뿐만 아니라 그에 필요한 준비를 해야 하며 학교 현장과의 연대를 확대하여 한문교육이 처한 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근대 학교 교육과 국어 독본

        박치범 ( Chibeom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문교육 Vol.17 No.-

        이 글은 광복 이전에 발간된 독본 형태 국어 교과서의 성립 과정과 그 특징을 국어 교과서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어 교과서는 근대적 학교교육과 국어 교과의 성립을 전제로 한다. 대한제국의 근대적 학교 교육은 1895년 반포된 교육입국조서를 통해 구체화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대학교 교육에서는 독서, 작문, 습자 등의 ‘국어’와 함께 한문을 정규교과로 설정하였다. 이 때 국어는 주로 근대 지식을, 한문은 전통적 가치관을 주로 다루는 교과로서 역할을 맡게 되었으며, 수신의 경우 전통적 가치관의 근대화라는 관점에서 이 둘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국어과 한문, 그리고 수신 교과는 모두 국문과 한문이라는 언어를 매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국어 교과서의 형태는 여러 가지 읽을거리를 모아 놓은 독본의 형태가 되었으며, 독본은 최초의 국어 교과서로 인정되는 ?국민소학? 이후 한글 깨치기 학습 자료, 삽화, 연습문제 등 다양한 교육적 장치를 수용하면서 변화하게 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 birth of Korean language textbook that published as a formation of a reader in the period Korean Empire government and Japanese colonial era. Korean language textbook is required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school and the system of the subject.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schooling shapes up in 1895, at that time there is a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the Chinese classics in the school. A subject of Korean language takes on the modern knowledge, the Chinese classics do the traditional values and a subject of moral culture takes on both above-mentioned. Thus, for the propriety toward that system of the subject, the form of a reader, namely anthology, is appeared. And the form of a reader is changed by addition of the early literacy instruction materials, illustrations, and exerc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