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의 현대화와 기독교: 소심당(素心堂) 조아라(曺亞羅)를 중심으로

        박창훈 한국교회사학회 2019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3 No.-

        이 논문은 광주라는 지역사회에서 현대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기독교가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특히 20세기 초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들에 의해 광주에 세워진 미션 스테이션을 중심으로 성장한 인물들의 활동을 밝히고, 그들이 광주지역의 현대화 과정에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밝히고 있다. 연구의 시기는 한일병합을 전후한 시기부터 1980년대까지의 시기에 확장하되, 해방 후 광주의 현대화 과정에서 특히 조아라의 활동에 강조점을 두어 살펴본다. 일제강점기에 광주에서 활동했던 유화례, 서서평 선교사, 그리고 최흥종, 김필례 등의 지역 기독교인들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 활동가로 성장한 조아라라는 한 인물을 통해, 교육, 여성활동, 청년활동 그리고 더 나아가 민주화운동에서의 역할을 추적하고자 한다. 특히 현대화과정에서 민주화라는 개념은 지역사회 광주를 이해하는 주제어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이 연구의 기본적 전제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광주 스테이션을 통해 성장한 기독교인들의 활동은 지역사회 광주의 도시화와 현대화를 이끌었다는 점을 밝혀낸다. 특히 서양 의료시설을 찾아 광주로 몰려온 한센병환자들과 결핵환자들, 한국전쟁(시민전쟁)으로 인해 홀로 남겨진 고아들, 산업화 과정에서 농촌을 떠나 도시로 몰려든 이농소녀들, 익명의 도시사회에서 나타난 윤락여성들과도 시빈민들, 그리고 산업화시기에 외면했던 민주화요구 등은 도시 광주가 확장되면서 당면한 사회적인 문제였고, 이러한 문제를 마주하는 곳곳에서 광 주 스테이션에서 성장한 기독교 활동가들의 활동은 너무나 분명했고 그만큼 효과적이었다. This paper aims to look at what kinds of roles Christianity play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Gwangju. The study especially reveals the activities of figures who grew up in the mission station set up in Gwangju by the missionari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South (PCUSA, South)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how they played and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process in Gwangju area. The period of research is expanded from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to the period of 1980s, but the emphasis will be placed on Cho A-Ra's activities in the post-liberation modernization process in Gwangju. She was affected by the regional Christians such as Florence Root, Elizabeth Shepping, Choi Heung-Jong, and Kim Pil-Lye, and become a Christian activist in the Japanese occupation. It seeks to track her activities for education, women's activities, youth participation, and furthermore, her role in the democratic movement. In conclusion, the paper reveals that the activities of the Christians who grew up and made connection in Gwangju Station led to the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of Gwangju. Especially, Hansen's Disease patients, tuberculosis patients, orphans left alone by the Korean War (civil war), farm girls who left rural areas to the citie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prostitutes and urban poor who appeared in anonymous urban society, and the demands for democratization which had been ignored during industrialization, were clearly the social problems faced by the city Gwangju with its expansion, and in many places facing these problems, the activities of Christians who grew up in Gwangju Station were so obvious and so effective.

      • KCI등재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의 광주학생독립운동 참여

        윤선자 호남사학회 2023 역사학연구 Vol.89 No.-

        Gwangju Girls’ High School was established in April 1927 with the aspirations of Jeonnam people. And, together with Gwangju High School, Gwangju Agricultural School, and Gwangju Normal School,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Gwangju Girls’ High School moved to a new school after living in Gwangju Girls' High School for one year. However, most of the teachers were still Japanese, and the attitude of ignoring Koreans was still the same. In November 1928, Gwangju Girls’ High School student Jang Mae-seong restricted Gwangju Girls' High School students from forming a meeting, and 6 students agreed. Jang Mae-seong’s proposal to form a meeting was influenced by Jang Jae-seong’s younger brother, who organized Seongjinhoe, and was caused by the formation of a research group by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the closing of the alliance, and the movement toward development into a specific organization. And the most decisive cause was the poor educ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at high school girls were experiencing at the time. In July 1928, the students submitted a 「Complaint」 demanding the gangbanging of Japanese teachers who ignored them, and attempted a fierce retreat. It showed that students needed a united force to resist Japanese colonial education, and it led to the formation of “Girls’ Association”. The Girls’ Association of Gwangju Girls’ High School, which was formed in early November 1928, became known to the Japanese after Jang Mae-seong was arrested on November 30, 1929. And on January 15, 1930, it ended with the arrest of the girl members. The Girls’ association lasted for about a year and two months, expanded its gathering to Gwangju Girls’ High School, studied social science,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that began in November 1929. Although they did not participate in the Girls’ association, many students at Gwangju Girls’ High School knew about the Girls’ association, and after the arrest of the Girls’ association by the Japanese, most of the students found out about it, they actively sympathized with the Girls’ association and wanted to be with them. It is clear evidence that Lee Kwang-chun, who was not considered a member of the Girls’ Association by the Japanese authorities, actively recommended the Blank Examination Paper Alliance as a student protest, and all students at Gwangju Girls’ High School agreed to Lee Kwang-Chun’s invitation to participate in the Blank Examination Paper Alliance. Gwangju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members of the Girls’ Association, treated Korean male students who were injured in a clash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And when they couldn’t go outside the school, they sang independence songs and protested in the school. In addition, everyon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such as forming a Blank Examination Paper Alliance to be with the arrested Gwangju Girls’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many students were suspended or expelled. 1927년 4월 전남인들의 열망으로 설립된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는 광주고등보통학교, 광주농업학교, 광주사범학교와 함께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는 광주고등여학교에서의 1년 더부살이 후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다. 그러나 교사들 대부분은 여전히 일본인이었고, 한국인을 무시하는 태도도 여전하였다. 1928년 11월 광주여고보생 장매성이 광주여고보생들에게 모임 결성을 제한하였고, 6명이 찬성하였다. 장매성이 모임 결성은 제안한 것은 성진회를 조직하였던 장재성의 동생으로 그의 영향을 받았고, 광주지역 한국인 중등학교 학생들의 연구모임 결성과 동맹휴교, 구체적인 조직체로의 발전을 향한 움직임에 원인이 있었다. 그리고 가장 결정적인 원인은 당시 여고보생들이 겪고 있던 일제의 부실한 교육이었다. 1928년 7월 학생들을 무시하는 일본인 교사들의 갱질을 요구한 광주여고보생들의 「진정서」제출과 맹휴 시도는 일제의 식민교육에 저항하려면 학생들의 단결된 힘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그것이 모임 결성으로 연결되었다. 1928년 11월 초에 결성된 광주여고보의 소녀회는 1929년 11월 30일 장매성이 체포된 후 일제에게 그 존재가 알려졌고, 1930년 1월 15일 소녀회원들이 체포됨으로써 막을 내렸다. 소녀회는 약 1년 2개월 동안 존속하며, 광주여고보에 모임을 확대하고 사회과학을 공부하였으며 1929년 11월부터 전개된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소녀회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광주여고보의 많은 학생들이 소녀회를 알았고, 소녀회가 일제에게 체포된 후에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알게 되었으며, 소녀회원들을 적극 동정하고 함께 하고자 하였다. 일제가 소녀회원으로 파악하지 않은 이광춘이 백지동맹을 적극 권유하였고, 여고보의 모든 학생들이 이광춘의 백지동맹 참여 권유에 동의하였음이 명백한 증거이다. 소녀회원들을 포함하여 광주여고보생들은, 한․일 학생 충돌로 인해 부상당한 한국인 남학생들을 치료하고, 학교 밖으로 나갈 수 없게 되자 교내에서 독립가를 부르며 시위하였다. 또한 검거된 여고보생들과 함께 하고자 백지동맹을 결행하는 등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모두가 적극 참여하였다. 그리고 그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정학, 퇴학 처분을 당하였다.

      • KCI등재

        광주대단지 사건과 문학적 재현

        강진구(Kang, Jin-gu)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4 No.-

        이 논문은 ‘광주대단지 사건’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를 분석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광주대단지 사건은 한국 전쟁 이후 남한사회에서 발생한 최초의 대규모 도시민중 봉기였다. 정부 당국과 언론에 의해 ‘난동’ 또는 ‘폭동’으로 명명된 이 사건은 박정희 정권에 의해 추진되었던 이른바 수출지향적 경제 정책이 지니고 있던 야만성에 대한 민중들의 분노와 저항이 표출된 일대 사건이었다. 광주대단지 사건은 한국사회를 관통하는 핵심적 사건이었지만, 정치․경제를 비롯한 사회적인 핵심 의제로 논의되기 보다는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광주대단지 사건’은 사건 직후 발표된 박기정, 박태순, 신상웅 등의 르포문학과 박태순의 「무너진 山」과 신상웅의 「만가일 뿐이외다」, 그리고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등의 소설을 통해 문학적으로 형상화 되었다. 필자는 이들 텍스트가 재현하고 있는 ‘광주대단지 사건’의 모습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대단지 사건의 실상과 이면을 전달하고자 한 르포문학은 광주대단지 사건을 ‘난동’, ‘소요사태’, ‘항쟁’ 등으로 명명한다. 이 같은 명칭의 차이에서 우리는 사건을 바라보는 작가들의 관점의 차이는 물론이고, 자신의 관점에 따라 사건을 의미화하려는 작가들의 미묘한 욕망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박태순과 신상웅의 소설작품은 르포문학을 통해 미처 못 다한 이야기를 보완하는 형식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그 연장선이라 할 수 있다. 박태순의 르포문학에 나타난 객관적 시선이 소설에서 방관자적 인물 조독수로 표현되고 있는 것이나, 신상웅 르포문학 전체를 관통하는 비판정신이 세입자 정임으로 형상화 되고 있는 것이 그 예이다. 셋째, 박태순과 신상웅은 사건이 지나간 이후 대단지를 소설의 배경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들 작품은 화려한 수습책에 가려 겉으로 드러나지 않았지만, 여전히 광주대단지 곳곳에서는 폭력적인 철거가 자행되고 있는 것을 폭로함으로써 광주대단지의 문제가 여전히 미해결의 상태로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시키고 있다.

      • KCI등재

        광주대단지 사건의 정치성과 지체된 기억 – 성남시의회 회의록을 통해 본 광주대단지 사건의 기억투쟁

        임미리(Lim, Mi-R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3

        이 연구는 광주대단지에 대한 인식에서 성남시가 여러 연구 성과와 외부의 시각에 비해 지체된 모습을 보였다가 최근 새로운 변화가 생기게 된 원인을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성남시의회에 상정된 5개 안건의 회의록을 분석했다. 대부분의 의원들이 표면적으로는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라는 명분에 동의하면서도 실제로는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주민들이 갖고 있는 광주대단지에 대한 시각을 대리해 찬반 표결을 했다. 또 초기에는 중앙정부에 대한 의존적 태도가 강한 가운데 정당 요인이 크지 않았다가 뒤로 갈수록 소속 정당이 찬반 표결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2019년 조례안의 만장일치 가결에는 연극 〈황무지〉 공연을 계기로 가시화된 주민들의 인식 변화가 영향을 미쳤고 〈황무지〉의 관내 공연은 오랜 기억투쟁과 정치행동의 결과였다. 이 같은 분석은 광주대단지 기억을 둘러싼 성남시의 지체 현상이 기억의 정치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주대단지 사건은 성남시에서 가장 정치적인 기억이었다. 이유는 신·구시가지가 공통의 역사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이 5·18을 경험한 광주시와 광주대단지 사건을 경험한 성남시의 차이다. 광주대단지 기억을 중심으로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주민들이 반목해 왔고 지역 정치인도 마찬가지다. 2019년 조례 통과가 가능했던 것은 오랜 기억투쟁을 통해 광주대단지 기억이 지역 공통의 역사로 수용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study aims to find out why Seongnam City has lagged behind the various research achievements and external perspectives in its perception of the Gwangju Complex and why recent changes have occurred. To that end, it analyzed the minutes of the five agenda items submitted to the Seongnam City Council from 2013 to 2019. According to the analysis, most of the lawmakers ostensibly agreed with the cause of truth finding and restoring honor, but actually voted to reflect voters’ views on the memory of the Gwangju Complex. In addition, their parties did not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the vote in the beginning, but as time went by, they had a decisive impact on the vote. On the other hand, the unanimous passage of the 2019 ordinance affected the change in residents’ perception which was visualized by the performance of the play “Hwangmuji”. It was the result of a long memory struggle and political action that ‘Hwangmuji’ could be performed in Seongnam City. This analysis suggests that Seongnam City’s delay over the memory of Gwangju Grand Complex is related to the politics of memory. The Gwangju Complex incident was the most political memory in Seongnam City than anywhere else. The reason is that the new and old cities do not have a common history.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Gwangju City, which experienced May 18, and Seongnam City, which experienced the Gwangju Complex incident. Because of the memory of the Gwangju Complex, residents of old and new towns have been feuding, which has also affected the city council’s vote. And the reason why the 2019 ordinance could be passed unanimously was because the memory of Gwangju Complex was accepted as a common local history through a long memory struggle.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전남 광주의 소방조 창설과 화재

        이성우,한규무 숭실사학회 2019 숭실사학 Vol.0 No.43

        The origin of a modern fire fighting agency in the Gwangju area was the private volunteer fire department formed by the Japanese in 1907. Based on this fire department, the fire fighting service was established in the area in 1911. It was first managed by the veterans' association of Gwangju, and its duties were transferred to the Hygiene and Fire Fighting Association of Gwangju in 1914. They were later transferred back to the office of Gwangju Myeon in 1917. Going through this process, the fire fighting service of Gwangju was closely connected to various institutions of Gwangju including the police and the myeon and eup offices. The executives of the fire fighting service including the director and deputy director were community leaders as private citizens, and most of the members engaged in their respective occupations. Following commands from the police according to the rules, the fire fighting service also performed its roles as a lower or auxiliary organization. They were mobilized to suppress the demonstrations on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Students' Movement of Gwangju. They were frequently dispatched to prevent flood damage and save human lives. An organization for the prevention of flood damage was newly installed in 1935, but members of the fire fighting service also served as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many cases. In 1937 when the war footing system was reinforced, the Japanese Empire integrated the fire fighting service and the organization for the prevention of flood damage into the security and defense organization. The new security and defense organization was formed in Gwangju in 1939. The number of fires made a rapid increase in the Gwangju area in the 1930s. Fires happened in the area so often that newspaper articles were published titled "Recent Gwangju under the Curse of Fire Demon" and "Gwangju Town Infamous for Frequent Fires in Recent 4∼5 Years(1934)." The overwhelming cause of these fires was an accident, but arson cases started to emerge due to grudge, foolish passion, and insurance money by the time. The frequency of fires was higher in spring than winter. Most of the fires were caused by a careless accident. The fires happened at houses and stores in many cases. The casualties included six deaths and 14 injuries. Big fire cases of those days included the fires at the Gwangju Youth Center(December, 1925), at the office of Gwangju-kun(September, 1931), at the Sijesa Corporation in Jeonnam(January, 1933), at the Gwangju Jejungwon(October, 1933), and at the Public Primary School of Gwangju(December, 1933). These fires took place at agencies such as youth centers, government offices, factories, hospitals, and schools, suffering enormous damage and having huge impacts on the communities. 1907년 일본인들이 사설의용소방대를 조직한 것이 광주지역 근대적 소방기구의 시초이며, 이 소방대를 모태로 하여 1911년 소방조가 창설되었다. 소방조는 처음 광주재향군인에서 관리하다가 1914년 업무가 광주위생소방조합으로 이관되었으며, 1917년 다시 광주면으로 인계되었다. 이로써 광주소방조는 광주경찰서와 광주면·읍 등 기관과 긴밀히 연결되었다. 조두·부조두·소두 등 소방조의 간부는 민간인 유지들이었으며 조원 역시 대부분 다른 생업에 종사했다. 소방조는 규칙에 따라 경찰의 지휘를 받으며 하부조직·보조조직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3·1운동이나 광주학생운동 때는 시위진압에 동원되었고, 수해예방과 인명구조를 위해서도 자주 출동했다. 1935년 수방단이 별도로 조직되었지만 소방조원이 수방단원을 겸직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일제는 전시체제가 강화되는 1937년 소방조와 수방단을 경방단으로 통합했으며, 광주에서는 1939년 경방단이 창설되었다. 광주지역의 화재는 1930년대 들어오면서 격증하여 “화신의 저주밧는 최근 광주”·“4·5年래에 불잘나기로 유명하게 된 光州邑內(1934)”와 같은 기사가 실릴 정도였다. 발화원인으로는 실화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이 시기에 들어오면 원한이나 치정, 보험금 등을 이유로 한 방화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겨울보다는 봄에 화재발생 빈도가 높았고, 발생원인은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대부분이었으며, 발생장소는 주택과 상가가 많았다. 인명피해는 사망 6명과 부상 14명 정도가 확인된다. 대표적 화재사건으로는 광주청년회관 화재(1925.12), 광주군청 화재(1931.09), 전남도시제사주식회사 화재(1933.01), 광주제중원 화재(1933.10), 광주공립보통학교 화재(1933.12) 등을 꼽을 수 있는데, 회관·관청·공장·병원·학교 등 기관이어서 피해정도와 함께 지역에 끼친 영향도 컸다.

      • KCI등재

        1980년 5월 광주공동체의 의미와 현재화에 대한 고찰

        김희송(Kim, Hee Song)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神學展望 Vol.- No.190

        본고는 신군부의 폭압에 맞서 광주시민들이 구현했던 1980년 5월 광주공동체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당시 시민들이 갈구했던 대동세상의 가치가 현재의 광주시정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광주시의 사회적경제 정책과 연계하여 고찰한다. 1980년 5월 광주시민들은 저항을 통해 만들어낸 해방의 공간에서 대동세상을 구현함으로써 시민들의 저항이 살림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었음을 입증했다. 공권력이 무력화되고 생필품의 공급마저 차단된 고립의 도시에서 광주시민들은 분열과 파괴가 아닌 연대와 살림의 공동체를 새롭게 만들어 갔다. 군은 광주시민을 애국시민과 불순분자로 구분하면서 분열을 획책했다. 신군부는 5월 광주를 폭도들의 난동에 의한 치안부재의 무법천지로 매도했지만 광주시민들은 주먹밥과 피를 나누면서 서로 살림의 공동체로 거듭났다. 1980년 5월 광주공동체가 서로 살림을 위해 자신의 것을 기꺼이 내어 놓고 협력하면서 자치의 새로운 전형을 창출했지만 광주광역시의 시정에서 5·18의 현재화는 미완의 상태로 남아있다.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광주광역시는 5월 광주정신의 계승을 천명하고 있지만 이를 구체화할 중점 시책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민선 6기 출범 이후 광주정신이 강조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정책으로 구체화되지는 못한 상황이다. 1980년 5월 광주공동체의 현재화는 5월 광주정신을 삶의 공간에서 구현하는 것이다. 호혜의 원리에 기초한 사회적경제가 5월 광주정신의 가치를 함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화의 방안으로 사회적경제에 주목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reinterprets the meaning of “Gwangju Community May 1980”, a time when Gwangju citizens realized the coercion of newly-installed military authorities, and examines its connection with the social economic policy of Gwangju city. This study also looks at the worthiness of “The United World”, which citizens craved for at the time, and is now being realized in the current Gwangju municipal government. In May 1980 Gwangju citizens proved that mass resistance was an effort for the restoration of their livlihood through The United World found in a liberated Gwangju. At that time Gwangju was an isolated city without a working government and without the daily necessities of life. Yet, Gwangju citizens formed the united Livelihood Community and not a community of disintegration and destruction. Military authorities conspired to divide and conquer Gwangju citizens into two camps, patriotic citizens and rebellious citizens. These new military authorities denounced this May 1980 event as a lawless spectacle caused by rioters. However, through this event Gwangju citizens were reborn through the Livelihood Community and the sharing of sacrifice and struggle. Even though Gwangju Community May 1980 created a new model of self-government through voluntary sacrifice, nevertheless, the actualization of the 5 · 18 Spirit in the Gwangju municipal government remained incomplete. Since the enforcement of local autonomy, Gwangju municipal government declared success in the May Gwangju Spirit. However, since the municipal government has failed to develop any independent major policy, no such success has really materialized. Furthermore, while the Gwangju Spirit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sixth popular election for mayor, no such actual policy by the Gwangju municipal government has materialized. The actualization of Gwangju Community May 1980 is, indeed, the realization of the May Gwangju Spirit in the daily lives of ordinary people. On the other hand, social economy may be considered as a way of actualization since the social economy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which inherently embraces the May Gwangju Spirit.

      • KCI등재

        문화적 의미를 통해 본 ‘광주의 빛’ 연구

        정윤정(Jeong, Yun Jeong),김진아(Kim, Jin A)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7 No.-

        광주의 지명에서 유래된 ‘빛고을’은 1980년대부터 광주를 지칭해온 별칭이다. 이를 계기로 광주시는 광산업을 적극 진흥하기 시작했고, 빛의 모티브를 문화산업으로 확장?적용해 왔다. 특히 ‘빛’은 광주시에서 최근 몇 년간 개최된 문화예술 관련 행사와 공간기획에서 독보적인 키워드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산업과 문화행사를 위한 활용에 비해 그 근간이 되는 빛의 의미에 대한 진지한 논의와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광주는 주로 빛의 물리적인 특징에 연계된 경제적 효과 창출에 집중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광주시가 왜 빛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도시를 브랜딩하고 있으며, 광주의 빛이 과연 무엇이고 어떻게 규정되어야하는지에 대한 비평적 고찰을 수행하고자 했다. 우선 빛의 과학적, 정신적, 문화적 정의와 의미를 짚어보고 광주 지명의 역사적 유래와 광산업, 5?18 운동과 관련된 빛의 개념을 추적하였다. 그리고 현재 광주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빛 관련 문화행사 중 ‘광주세계光엑스포’와 ‘미디어아트페스티벌’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화행사의 확산 속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빛의 의미에 대한 인문학적, 문화적 숙고라 간주하며, 광주의 빛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광주의 빛은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이 조화를 이룬 융합의 형태를 지향해야한다. 둘째, 동양의 음양사상과 서양의 해체주의를 바탕으로 과학과 예술, 산업과 문화, 물질과 정신 등의 이분법적인 사고와 위계질서들에 대해 도전해가는 과정이어야 한다. 셋째, 광주의 민주, 인권 정신을 바탕으로 이를 실천하는 열린 개념이어야 할 것이다. 지역의 경제 발전이라는 목표 아래 급격하게 진행되어온 문화산업의 흐름 속에서 그동안 소외되어왔던 광주의 역사와 정신을 담은 빛의 의미 및 그 표현에 대한 진지한 연구와 더불어 광주가 지향해야 할 빛의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Light Village’ was named after the place name of Gwangju and has been used as another name that indicated Gwangju after 1980s. Emphasizing the name of ‘Light Village’, the city of Gwangju has been literally and actively supporting the optical electronics industry in the subject of ‘light’ and started expanding the scope of the motif of light into the cultural industry. Especially, the light has been in a limelight as a matchless keyword in the field of cultural and artistic events and spaces for the past few years. However, compared to how Gwangju has been branding the city with the light as a major industry or an event,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meaning of ‘Light of Gwangju’ is currently superficially dealt with. This study started from an inquiry as to what was the origin of ‘Light Village’ in Gwangju with an awareness of an issue along with the meaning of the light in Gwangju and also why the city of Gwangju is currently branding the city by using the light. Hereup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ultural events and spaces in progress in Gwangju and to define the identity and the meaning of the light in Gwangju based on aforementioned consideration of the light. First of all, the light of Gwangju not only is in the form of industrial light in the perspective of scientific technology but also pursues to the unified form in harmonization with cultural art. Secondly, the light of Gwangju is based on the open thought derived from the harmonization of yin and yang idea East Asia and also de-constructivism in the Western world including the brightness as well as darkness behind. Third,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light of Gwangju in connection with democracy and human right as a spirit of Gwangju and also regard it as an opened concept not in the fixed concept and form but in the relationship. Therefore, it shall be a continuous course for criticizing and removing the trends that exclude dichotomous thought and an order of rank. In the flow of cultural industry of Gwangju city rapidly accompanied for the rapid local economic development, it is of an assignment to identify how to research and develop the light in the history and spirit of Gwangju.

      • KCI등재

        해체에서 침투로의 전환 : 베르나르 추미의 폴리와 ‘광주폴리’ 비교 연구

        조사라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2

        광주광역시와 (재)광주비엔날레가 2011년부터 추진해온 광주폴리 프로젝트는 쇠락해지고 공동화 된 도시에 세계적 건축 거장과 예술가들의 소형 건축물을 설치해 도시의 활성화를 꾀하는 도심 재생 프로젝트이다. ‘폴리’(Folly)란 건물이나 공원 또는 정원에 장식적인 목적으로 설치된 조형물을 뜻한다. 영국과 프랑스에서 시작해 유럽 전역으로 유행한 폴리는 유럽 대저택 정원에 있는 기능 없는 장식적 건축물을 의미했으며, 다양한 건축적 가설을 실험하는 도구로서 건축적 언어의 최소 단위로 간주되어 활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건축가 베르나르 추미(Bernard Tshumi)가 1980년대 프랑스 ‘라 빌레트 공원’ 에 35개 건축 구조물을 설치하면서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폴리가 알려지게 됐다. 이러한 폴리에서 차용된 ‘광주폴리’(Gwangu Folly)는 공공공간 속에서 장식적인 역할 뿐 아니라, 기능성과 실용성이 가미되어 도시 활성화에 기여하는 건축물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광주의 문화예술 활성화 장치로서 광주폴리가 10여 년 동안 지속되어온 시점에서 유럽 폴리의 기원과 특징에 이어 베르나르 추미의 설계안에 영향을 미친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주의 관점에서 폴리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2010년 이후 해체에서 침투로 전환된 광주폴리의 특질을 분석해 보고자한다. 형식화된 틀과 규범으로 대변되었던 근대를 거쳐 1980년대 추미의 폴리가 형식과 틀, 규범을 해체했 다면 2000년대 이후 조성된 광주폴리는 지그문트 바우만(Zygmunt Bauman)의 ‘액체현대’처럼 삶과 사회가 가변적인 시대 상황 속에서 도시의 역사와 일상으로 섞어 들어가는 유동적이면서 융합과 혼성의 전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대 흐름을 반영하는 광주폴리는 도시 브랜드에 기여하며 문화적 자생력을 더욱 확대해나가고 있다. 광주의 역사적⋅문화적 맥락 안으로 침투하는 광주폴리는 도시 브랜드 강화 및 문화 관광 자원으로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며, 미학적⋅사회학적 관점에서 광주폴 리에 대한 연구도 다각적으로 진행되길 기대해본다. The Gwangju Folly Project, which has been promoted by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 Gwangju Biennale since 2011, is a downtown regeneration project that aims to revitalize the city by installing small buildings of world-class architects and artists in declining and collaborated cities. Folly is a sculpture installed for decorative purposes in a building, park, or garden. Beginning in England and France, Folly meant functionless ornamental architecture in the European mansion garden, and began to be used as a minimal unit of architectural language as a tool to experiment with various architectural hypotheses. Later, Swiss-born French architect Bernard Tshumi built 35 structures in France's Parc de La Villelette in the 1980s, making Folly known in a modern sense. Gwangu Folly, borrowed from such Folly, refers to buildings that contribute to urban revitalization by adding functionality and practicality as well as decorative roles in public spac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Folly from the perspective of Deconstruction of Jacques Derrida, who influenced the design of Bernard Tshumi, following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European Folly at a time when Gwangju Folly has been active for more than a decade.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wangju Folly, which has changed from dismantling to penetrating since 2010. If Folly dismantled its format, framework, and norms in the 1980s, Gwangju Folly, which was created after the 2000s, shows a flexible, convergence and hybrid strategy as life and society mix into the city's history and daily life in a variable era. Reflecting the trend of this era, Gwangju Folly contributes to the urban brand Gwangju and further expands its cultural lullaby in the city. Gwangju Folly, which penetrates in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city of Gwangju, is spotlighted as a resource for urban brand enhancement and cultural tourism, and we hope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analyze Gwangju Folly from various aesthetic and sociological perspectives.

      • KCI등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이주민 자녀 현황과 지역교회 역할 연구

        박흥순(Heung Soon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4 No.-

        이주민 자녀에 대한 연구는 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보였던 것이 사실이다. 다문화사회로 급속도로 전환하고 있는 한국사회는 이주민에 대한 교육과 복지를 포함한 관심에서 공존과 통 합에 주목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 또한 이주민 자녀가 점점 증가하는 상황 에서 이주민 자녀를 위한 사역과 선주민 자녀를 위한 다수자 교육까지 다 문화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 글에서 첫째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이주민 자녀의 현황을 분석하고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서 이주민 자녀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역을 소개한다. 둘째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이주민 자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진행한 내용에 주목하여 이주민 자녀의 목소리를 서술한다. 셋째로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에서 이주민 자녀를 위한 사역을 담당하고 있거나 진행할 예정인 지역교회와 사역자를 위해서 신약성서에서 소개하는 인물을 중심으로 대안적 관점을 제시한다. 이주민 자녀를 위한 사역은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지역교회에 출석하는 이주민 자녀를 포함해서 교회와 연관된 기관이나 학교에 다니는 이주민 자녀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형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이주민 자녀가 직면한 복합적인 어려움이 무엇인지 파악한 후에 적 절한 맞춤형 지원과 사역을 진행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주민 자녀를 대상으로 사역하는 전문기관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지역교회에서 이주민 자녀를 위해서 사역을 진행할 준비가 결여되어 있는 형편에서 이주민 자녀 사 역은 중요하다. 이주민 자녀를 위한 지역교회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선교적 관점이 요청된다. 첫째로 이주민 자녀를 위한 사역은 선주민 자녀와 함께 교육을 진행해야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주민 자녀만 을 대상으로 분리해서 교육하는 대신에 그들과 함께 살아가야할 선주민 자 녀가 적절한 다문화적 관점을 갖도록 교육해야 한다. 둘째로 지역교회는 이주민 자녀를 올바로 이해하고 사역에 접근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해 야 한다. 이주민 자녀의 어려움과 문제를 적절하게 파악하고 다문화사역에 대한 교육을 받은 교사와 사역자를 세우는 것은 필수적이다. 지역교회는 전교인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식개선 교육을 진행하는 동시에 이주민 자녀를 위한 사역을 담당하는 교사와 사역자를 위한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이 주민 자녀를 위한 사역은 지역교회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다음세대를 위 한 교육과 밀접하게 연관해서 담당해야 할 것이다. 셋째로 지역교회는 이 주민 자녀와 선주민 자녀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발굴해서 다문화사회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지역사회, 지자체, 신 학교와 이주민 기관과 협력하여 사역을 진행하는 동시에 지역교회가 담당 해야 할 사역에 세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study of the children of immigrants show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s than migrant workers and migrant inter-marriage men and women. Experiencing the multicultural change in the Korean society, Korean people need to keep their eyes more on the issu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immigration. The children of immigrants are also faced with socio-cultural conflict, emotional crisis, and racial discrimination in their living contexts including family, school, and community. The attendants of the Sunday school and congregation members of the local churches do not know how to welcome and mingle together with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come from the multiracial/cultural families without any prejudice on races and backgrounds. If Korean christians believe that all kinds of human beings are God"s children, they should be able to accept the children of immigrants as new friends and members without discriminative attitudes. In this paper, I have analys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hildren of immigrants, especially areas of Gwangju and Jeollanam-do and suggested the roles of the local churches in order to empower them. I have insisted three points that the local churches should carry on their ministries for the children of immigrants. Firstly, the local churches need to nurture the professional coworkers and pastors having the proper perspectives and knowledges about the children of immigrants. Secondly, she should give chances to learn how to deal with various problems that they have to face in daily lives focusing on self-identity and self-knowledge. Lastly, the Sunday school should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mes practicing coexistence and collaboration among different cultural and racial children.

      • KCI등재

        15세기 전반 광주목(廣州牧)의 백자 번조 연구

        박성희(Park, Sung-Hee)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3

        최근 지표조사 자료들을 기존 고고학자료, 사료들과 함께 분석하여 먼저, 15세기 전반 광주목에 분청사기 가마들이 출현하여 확산, 증가하는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어서 다른 지역에 비해 광주목에서 선진적으로 백자가 번조되는 배경과 특징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광주목에서 자기가 번조되기 시작한 때는 조선 초, 대략 1410년대 후반으로, 지금의 광주시 도수리로 추정되는 고현 자기소에서 분청사기가 번조되면서부터이다. 그리고 1420년대에 들어와 석굴리, 벌을천, 소산, 초현 등지로 분청사기 가마가 확산되는데, 한양이 조선의 도성으로 안착하며 호구가 급증하고 조정에서 자기의 사용을 독려하던 시기와 맞물려있다. 1420년대 초∼1430년대에는 지금의 광주시 상번천리의 벌을천 자기소 분청사기 가마에서 갑발을 이용하여 번조한 양질 백자가 진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440년대가 되면 조정의 유인과 압박, 그리고 장인들의 경쟁을 통해 백자 제조기술이 개선되고 나아가 백자의 품질이 향상되었다. 특히, 광주목에서는 요도구 개발에 부합되는 번조법의 발전이 있었다고 추정되며, 이는 광주목이 백자 번조에 있어 고령, 남원을 제치고 선진지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한편, 광주목에서는 분청사기 가마가 폐요된 후, 지역을 옮겨서 백자가 생산된 것이 아니라 동일한 권역 내에서 분청사기→백자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분청사기 가마의 하한을 고려하면 늦어도 1430년대 후반에는 광주목에서 포개구이 백자가 생산되기 시작했을 것이다. 1430년대부터 한양의 도자 수요자들의 소비 성향이 분청사기에서 백자로 변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상납되는 양질의 갑번 백자는 당연히 쉽게 구할 수 없었고, 번조 양도 많지 않았다. 결국 사대부가 및 일반 시중의 눈높이뿐만 아니라 수요에 맞추어 대량 생산되어 나온 것이 바로 광주목의 포개구이 백자였다고 판단된다. The history of Porcelain Makings in Gwangju(廣州) began when buncheong ware (粉靑沙器) was produced at the Gohyeon Kiln (羔峴), which is now presumed to be Dosu-ri, Gwangju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round the second half of the 1410s. And in the 1420s, Buncheong ware kilns spread to Seokgul-ri (石掘里), Beoleulcheon (伐乙川), Sosan (所山), and Chohyeon (草峴), which coincided with the period when Hanyang (漢陽) was settled down as the capital of Joseon, accompanined by rapid population increase and government encouragement for the use of porcelain. From the early 1420s to 1430s, the high-quality white porcelain made in Beoleulcheon (which is now presumed to be in Sangbeoncheon-ri, Gwangju) was presented to the court. And in the 1440s, the white porcelain manufacturing techniques were improved and the quality of the white porcelain was improved through the reward and punishment of the government, as well as competition between potters. In particular, in Gwangju, there was a development of the firing method of white porcelain due to the improvement of kiln furniture, which provided the basis for Gwangju to become an advanced region, surpassing Goryeong (高靈) and Namwon (南原) in white porcelain. It is presumed that, in Gwangju, kilns for white porcelain were not relocated after the buncheong ware kilns were closed; rather, a transition from buncheong ware to the white porcelain occurred within the same area. Therefore, considering the latest time of use of buncheong ware kilns, it can be proposed that stack-firing white porcelain production took place in Gwangju in the late 1430s at the latest. From the 1430s, the consumption trend of consumers in Hanyang changed from buncheong ware to white porcelain. However, saggar-firing white porcelain, made for the court, was not easily available, and the amount of production was not large. In the end, it was stack-firing white porcelain of Gwangju that was mass-produced to meet the demand, as well as the tastes of the noble families and the general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