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가 규제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성적소구 강도(强度), 사회적 거리를 중심으로

        김봉철,김유미,안주아 한국광고PR실학회 2016 광고PR실학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광고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성적소구 광고에서 제3자 효과가 나타나는지, 만일 나타난다면 성적소구의 강도에 따라 제3자 효과의 크기는 어떻게 달라지는지, 제3자효과가 성적소구 광고 규제에 대한 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적소구 광고에서 제3자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성적소구 광고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보다 일반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성적소구의 강도(약, 중, 강)에 따른 제3자 효과는 세 개의 강도 모두에서 제3자 효과가 나타났고, 성적소구 약보다 성적소구 중과 성적소구 강에서 제3자 효과가 더크게 나타났으나, 성적소구 중과 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성적소구 광고에 대한 제3자 효과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소구에 대한 제3자 효과는 나와 가까운 사람인 가족 및 친구보다 나와 상관없는 타인인일반인에게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적소구 광고의 제3자 효과는 성적소구 광고를 규제해야 한다는 규제인식에 궁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람들은 비록자신은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인식하면, 그 문제를 제한 또는 제재하는 조치에 더욱 적극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The third-person effect is usually known as an important variable to affect media message. The current research is about that (1) the third-person effec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2) the third-person effect according Intensity of sex appeal of advertisements and social distance, and (3) The impact of third-person effect on regulation of sex appeal advertisements. Experiment of 464 university students were conducted to do research. The research found that, first, the third-person effect hav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Second, the third-person effect according intensity of sex appeal hav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ex appeal advertisements. The last,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sex appeal advertisement have different according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third-person effect about sex appeal advertisement are more likely to support regulation of sex appeal advertisements. The research conclude that people who think I have not impact on sex appeal advertisements is more likely to support sex appeal advertisements restriction if sex appeal have negative effect on others.

      • KCI등재

        이슈광고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태도 및 브랜드태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 이슈관여도와 제품관여도의 조절효과

        김나현 ( Kim Na-hyun ),이철영 ( Lee Chull-young ),김진희 ( Kim Jin-h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3

        최근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를 심어주고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회적인 이슈들을 활용한 이슈광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주제를 활용하여 이슈광고의 소구 유형에 따라 광고태도 및 브랜드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이슈 및 제품 관여도가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가를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소구 유형을 지속적 소구와 상황적 소구로 구분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황적 소구 광고가 지속적 소구광고보다 광고태도 및 브랜드태도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슈관여도가 높은 경우 상황적 소구 광고가 광고태도 및 브랜드 태도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 관여도가 높은 경우 상황적 소구 광고가 광고태도 및 브랜드 태도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일시적으로 이슈에 대한 관여가 높아지고, 제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을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거론되는 이슈를 이용하는 것보다 이슈가 된 상황을 적극적으로 이용한 광고를 제작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나서 이슈에 대한 관심이 사라지는 경우에는 지속적 소구광고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슈광고의 소구유형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 이슈 관여도 및 제품 관여도가 광고의 소구유형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s establishment of corporate imag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the social issue advertising, rather than commercial advertising as a means of persuading consumers to purchase products, is increasing. Companies are trying to make consumers recognize positive corporate image and have favorable attitude towards the company. This experimental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issues on the advertising liking and br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ssues by using present social issue of female products(sanitary napki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ssue involvement and product involvement on the advertising liking and br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ssu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ituational appeal of insole sanitary napkin for low-income class showed higher advertising liking than the persistent appeal of sanitary napkin safety, indicating the situa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advertising liking. And the situation appeal of insole sanitary napkin for low-income class showed higher brand attitude than the persistent appeal of sanitary napkin safety, indicating that the situa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brand attitude. Second, that the higher the involvement is, the more effective the situation appeal is in the case of advertising liking. And that the higher the involvement is, the more effective the situation appeal is in the case of brand attitude. Third, that the higher the involvement is, the more effective the situation appeal is in the case of advertising liking. And that the higher the involvement is, the more effective the situation appeal is in the case of brand attitude.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social issue advertising plays a positive role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 and brand. However, if the content to be discussed in the issue advertising is misunderstood by consumers, it may play a negative ro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pany, product, and brand image. Therefore, social issues must be appropriately used by considering the foregoing.

      • KCI등재

        속성소구와 편익소구에 따른 설득 효과 연구: 해석수준과 처리유창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은희 ( Eun Hee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광고메시지 소구유형을 속성소구와 편익소구로 구분하고 각각의 메시지 소구유형이 해석수준과 처리유창성에 따라 설득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처리유창성이 높고 시간적 거리감이 먼 미래상황에서는 속성소구보다 편익소구를 강조한 광고메시지에서 호의적인 광고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나 제품태도에서는 속성소구를 강조한 광고메시지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처리유창성이 높고 시간적 거리감이 가까운 상황에서는 편익소구보다 속성소구를 강조한 광고메시지에 더 호의적인 광도태도와 제품태도를 보였으며 구매의도 역시 속성소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광고태도에서는 편익소구를 강조한 광고메시지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처리유창성이 낮을 경우에는 시간적 거리감 먼 미래이든 가까운 미래이든 상관없이 어떤 광고소구를 사용해도 설득력은 낮을 것으로 예측하였는데, 그 결과 시간적 거리감과는 별개로 처리유창성이 낮은 경우에는 속성소구를 강조한 광고메시지든 편익소구를 강조한 광고메시지든 간에 광고태도, 제품태도, 그리고 구매의도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광고메시지의 설득력은 둘 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처리유창성, 시간적 거리감 그리고 광고소구가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구매의도에서만 처리유창성, 시간적 거리감, 광고소구에서 삼원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dividing the advertising appeals into an attribute appeal and a benefit appeal and researching for what effect each form of the appeals has on a persuasive effectiveness by the construal levels and processing fluency. As a result, the advertising attitude is friendly and the purchase intention is high in the future situation which is high in fluency and far in temporal distance, while an advertising message which emphasized on attribute appeal is more friendly. On the other hand, the advertising attitude and the product attitude are more friendly in the advertising message which emphasized the attribute appeal than the benefit appeal and the purchase intention is also higher in attribute appeal in the situation that is high in fluency and near in temporal distance, while the advertising message which emphasized on benefit appeal is more friendly in the advertising attribute. Finally, it has been predicted that even though any advertising appeal is used, the persuasive power will be low when the fluency is low, regardless of whether the future of the temporary distance is far or near. As a resul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dvertising attitud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Consequently,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ersuasive power of the attribute and benefit appeals, unlike the temporal distance, when the fluency is low. Also, to inquire into the effect of the fluency, the temporal distance and the advertising appeal on the advertising attitude, the product attitude and the purchase intention, the three-way ANOVA only in the purchase intention has been carried out, and as a result, the three-way intera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luency, the temporal distance and the advertising appeal.

      • KCI등재

        Consumer Responses to Green Appeal Advertising: The Case of Korean and Canadian Consumers

        Yeonshin Kim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논집 Vol.21 No.1

        환경문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제품광고의 친환경소구 사용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소구사용에 따른 소비자반응 연구는 문화적 차이를 거의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타 문화권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효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 소비자들로부터 친환경소구광고 효과를 조사하며 더 나아가 소비자 개인 특성, 즉 성별, 혼인 여부 및 지각된 소비자효과가 친환경소구사용에 따른 광고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친환경소구광고가 비 환경소구광고보다 제품태도를 높일 수 있음을 한국소비자들로부터 발견하였으나, 동일한 효과가 캐나다소비자들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친환경소구광고의 긍정적인 효과는 소비자의 성별에 의해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개인특성들의 조절효과는 한국과 캐나다소비자들에게서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광고캠페인에서 친환경소구의 효과적 사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nternational green appeal advertisers must know whether consumers in different cultures will respond differently to green appeal advertising. This study investigates green appeal advertising effects in Korean and Canadian consumers and explores the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appeal and advertising eff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green appeal advertising may effectively enhance product attitudes for Korean but not for Canadian consumers. Also gender appears to influence green appeal advertising effects across cultures. However, other individual differences in attempts to moderate green effects show different outcomes depending on the country. This study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and insights into the use of green appeals in international advertising campaigns.

      • KCI등재

        주변 환경과 소품을 이용한 광고소구에 관한 연구- 옥외광고에 응용된 일러스트기법에 관하여 -

        박영화,차현숙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0 No.18

        현대인은 수많은 광고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광고는 보다 감성적 또는 이성적인 일러스트 활용을 통해 일반대중은 물론 특정 소비자 타깃의 관심을 유발하고 광고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실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상품 광고에서 나타나는 감성적, 이성적 일러스트 표현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적 광고소구와 소비자의 심리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주제인 주변 환경과 소품을 이용한 광고의 소구 방법에 따라 옥외 광고에 응용된 일러스트기법을 사례 중심으로 연구 분석 하였다. 따라서 감성적인 일러스트로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한 광고사례와 이성적인 일러스트로 소비자의 논리적인 판단을 이끌어낸 광고사례를 토대로 소비자의 심리변화를 관찰하였다. 공익을 목적으로 또는 국가 차원에서 국민의 의식을 전환시키고자 일러스트의 활용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광고사례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적용사례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현상적 기법의 유형을 분석하였다.그 결과 소비자는 이성적이고 감성적인 판단이 충족되었을 때 심리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되고 나아가 광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수용하게 된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그에 앞서 광고소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광고의 목적이 무엇인지, 광고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파악한 후 이에 근거하여 이성과 감성을 조화시킨 후 대중의 니즈를 충족시켜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본 연구자는 다양한 광고사례를 통해 광고소구에 일러스트 활용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People's lives are overwhelmed by mass of advertisements in modern days. In such environment, advertisement needs to catch its intended targeting consumers' attention as well as the others by either emotional or rational illustrations to achieve its intended goal. Thus, it is this study's intention to analyze emotional and rational illustrations and postmodern advertising appeal and consumers' sentiment shifting behavior. In this study, illustration applied outdoor advertisement cases which us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roperties as a mean of advertising appeal. To understand consumers' sentiment shifting behavior, cases which stimulated consumers' emotions by emotional illustrations and cases which led consumers' to make logical decisions by rational illustration are studied. Also, cases which use illustrations to send out messages for general public benefit or for public's consciousness changing, cases which adopted postmodernism and techniques of postmodernism and techniques of postmodern philosophy are analyzed. As the result, it is found out that consumers finally understands and agrees with message in advertisement when both emotional and rational feelings are mutually satisfied. Precedently, it is the most important in advertising appeal to define the purpose of advertisement and what sort of message to send out and then harmonizing emotion and rationality in it in order to satisfy general public's need.As an effective method to accomplish such, the author proposed use of illustration for advertising appeal after researching and analyzing various advertisement cases.

      • KCI등재

        신제품 사전예고 광고의 광고 효과 연구

        서문식(Mun Shik Suh),노태석(Tae Seok Rho),김유진(Yu Jin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90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다양한 산업의 기업들은 효과적이고, 인기 있는 수단의 일환으로써 신제품 사전예고를 실시한다. 특히 제품수명주기가 짧은 하이테크 산업에서 신제품 사전예고는 신제품 성공 가능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 연구는 신제품 사전예고 시행여부, 시점, 사전예고 내용, 시행이유 등과 같은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신제품 사전예고 시, 사전예고 광고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과 관련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를 비교하고, 각 유형이 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혁신제품 유형과 출시시점이 어떠한 조절역할을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2(이성적소구/감성적소구)*2(연속적 혁신제품/불연속적 혁신제품)*2(먼 미래/가까운 미래)의 실험설계를 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MANCOVA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첫째, 연속적 혁신제품의 경우 소비자는 이성적 소구광고보다 감성적 소구광고에 더욱 호의적인 광고태도, 제품태도를 보였으며 불연속적 혁신제품의 경우 소비자는 감성적 소구광고보다 이성적 소구광고에 더욱 호의적인 광고태도, 제품태도를 보였다. 둘째, 출시 시점이 먼 미래로 제공되었을 때 소비자는 이성적 소구광고보다 감성적 소구광고에 더욱 호의적인 광고태도, 제품태도를 보였다. 출시 시점이 가까운 미래로 제공되었을 때에도 소비자는 이성적 소구광고보다 감성적 소구광고에 더욱 호의적인 광고태도를 보였으며 이성적 소구광고와 감성적 소구광고에 대한 제품태도의 효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성적 소구 광고는 먼 미래일 때보다 가까운 미래에서 더욱 호의적인 광고태도와 제품태도를 유발하였다. 실제로 기업의 광고 전략에서는 단순히 이성적 광고나 감성적 광고만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IMC라는 큰 틀에서 놓고 볼 때, 어떤 상황에서 어떤 유형의 마케팅 도구가 가장 적절한 것인지를 파악하고 적시적소에서 각자의 역할을 가진 마케팅 촉진수단들이 시너지를 발휘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는 신제품 출시 상황에서 혁신제품유형별, 출시시점별로 어떠한 프로모션 방식에 더 무게중심을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compare with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the advertising appeal type, and verify the moderating role of innovative product type and new product preannouncement timing in these direct effects. Through 2(emotional appeal vs. rational appeal)*2(continuous innovation vs. discontinuous innovation)*2(distant future vs. near future)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MANCOVA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as following; First, in case of continuous innovation product, customer shows more interest in emotional appeal than in rational appeal. However for the discontinuous innovation product, they show more interest in rational appeal than in rational appeal. Second, when they are informed that the product will be released far into the future, they express more interest in emotional appeal than in rational appeal and in case release date is in the near future, they are also more interested in rational appeal than in rational appeal. Therefore, in regard to release date there is no attitude difference between rational appeal and emotional appeal. In other view for the result, the emotional appeal can have positive response regardless whether the release date is far or near future. However in case rational appeal, there is huge difference of response according to release date. Actually, they would consider not only emotional and rational appeal but also other factors in the strategy of company advertisement.

      • KCI등재

        자기감시성과 광고 소구 메시지유형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1)

        남아영(Nam, Ahyoung),이유리(Lee, Yoo Ri)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소비자의 자기감시성에 따른 효과적인 광고 소구 메시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는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가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 구매의도보다 높을 것이고, 자기감시성이 높은 소비자는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가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보다 높을 것이라는 예측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자기감시성: 높은 자기감시성 vs 낮은 자기감시성) X 2(광고 소구 메시지 유형: 속성 소구 메시지 vs 혜택 소구 메시지) 요인설계방안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설득지식과 제품태 도, 구매의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는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 보다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에서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다. 이는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가 객관적인 속성을 제시하는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에서는 속성을 근거로 자신이 추론하여 결론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더 높은 구매의도를 가지게 되며, 자신이 추론하는 것이 아닌 광고주가 제시하는 심리적 가치가 반영된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에서는 설득지식이 활성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자기 감시성이 높은 소비자는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가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보다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 message appeal type according to consumers self - monitoring. Specifically, consumers who have low self - monitoring will have high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attribute appeal advertising than benefit appeal, and consumers with high self – monitoring will have high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benefit appeal advertising. This study adopted a 2x2 Factorial ANOVA Design (high self - monitoring vs low self - monitoring x attribute vs benefit appeal) to prove the hypotheses suggested by the previous lit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ith low self - monitoring showed more favorable product attitude and high purchase intention in attribute appeal advertising than benefit appeal.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reason why consumers with low self-monitoring have a more favorable product attitude and a high purchase intention because they can draw conclusions based on their own attributes, and that persuasion is activated in a benefit claim advertisement that reflects the psychological value of the advertiser rather than their reasoning. In contrast, consumers with high self - monitoring showed more favorable product attitudes and high purchase intention on benefit appeal advertising compared to attribute appeal.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후보

        사회적 상황과 소비자 애국심에 따른 애국심소구 광고효과 연구: 제품관여를 중심으로

        유승엽,정희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cial situation and consumer patriotism on the patriotic advertising effectiveness. For this study, social situation was divided to positive situation(2002 Korea-Japan World Cup), negative situation(IMF) and general situation(neutral) because many patriotic advertising tended to concentrate in specific situation.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performed by 3×2×2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As a study results, first,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was shown some difference through social situation. Advertisement appealing patriotism effect was appeared more higher in positive or negative social situation than general social situation. It is shown that social situation can function as a context in the patriotic advertising and it can influence on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through this result. Second, it was shown that 25% high rank group's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is more positive than 25% low rank group. These result agreed with existing result that consumer patriotism work as important variable to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This study cleared that social situation can be the important considerable fact with consumer patriotism in the effect of advertisement for appealing patriotism. 본 연구는 애국심소구 광고가 IMF외환위기와 2002년 한․일 월드컵과 같은 특정시기에 그 집행빈도가 높아지는데 주목하여 사회적 상황을 세가지(긍정적, 부정적, 일반적)로 구분하여 각각의 상황 하에서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비자 애국심에 따라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제품관여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2 피험자간 요인설계를 통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상황(3)과 소비자애국심(2) 및 제품관여(2)에 따른 광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광고태도, 상표태도 및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사회적 상황을 조작하기 위해 세가지 사회적 상황과 관련된 뉴스를 편집하여 10분정도의 분량으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상황에 따라 애국심소구 광고효과는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상황에 비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 상황 하에서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적 상항이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소비자 애국심 수준이 높은 집단이 애국심이 낮은 집단보다 애국심소구 광고효과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관여여부에 따른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인쇄광고를 실험자극물로 사용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애국심소구 광고효과와 관련된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사회적 상황을 고려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기업은 사회적 상항에 주목하여 특정상황에서 애국심소구 광고를 제작하여 집행하게 되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실증형 광고 소구가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기조절모드의 조절효과 연구

        우정숙,장동련,여준상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4

        광고의 소구 유형은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그 방식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그 중 실증형 광고 소 구는 제품이 다른 제품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실제 증명해 보여주는 광고 소구로써 실무에서 많이 활용되어지 고 있는 유형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 실증형 광고 소구와 관련된 다양한 효과를 다룬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 이며, 다른 변수에 의한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 또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증형 광고 소구가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소비자의 개인차 변수의 하 나인 자기조절모드를 투입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상 광고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실증적 소구 유무(실증/비실증)가 광고 태도, 제품 태도,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자기조절모드 유 형(평가지향적/행동지향적 모드)이 어떠한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광고 태도는 실증/비실증형 소구와 자기조절모드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 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제품 태도에서도 실증/비실증형 소구와 자기조절모드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한계 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구매 의도는 실증/비실증형 소구와 자기조절모드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증형 광고 소구의 효과가 자기조절모드라는 개인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함으로 써 광고 실무자에게 제품 광고의 제작 시 표적 소비자의 개인성향 파악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pproaches and methods of advertising appeals have been developed variously. Among them, demonstrative appeal is one of largely applied appeals in the field which can actually demonstrate the winning point of target compared to other products. However, there are less researches about demonstrative advertising effect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through other variables. Therefore our study aims to address the moderating role of self-regulatory mode as an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 towards the influence of demonstrative appeal on consumer attitudes. We investigate, specifically, on the moderation effect of regulatory mode(assessment vs. locomotion) in the influences of appeal type(demonstrative vs. non-demonstrative) on ad. attitud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we foun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ppeal type and the regulatory mode on ad. attitude, also a margin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m on product attitude. There is, however,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finally, provides an evidence that the demonstrative appeal effects could be moderated via self-regulatory mode as an individual chronic tendency, which can give managerial implications to ad. practitioners for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arget consumers’ individual dispositional differences when creating the ad..

      • KCI등재

        중국 옥외광고에 나타난 광고소구 및 표현방식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

        서영택(Seo, Young Taek) 한국OOH광고학회 2015 OOH광고학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최근(2012-2013) 중국 옥외광고작품에서 나타난 광고의 주요 유형, 소구방식 및 표현전략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중국 옥외광고의 주요한 특징에 관해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 옥외광고는 최근의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사이니지 등 디지털 광고보다는 전통적인 옥외광고매체의 활용이 많이 나타났으며 집행지역으로는 상업건물 내외부와 지하철 광고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제품유형 및 제품군별로는 가정용품 및 가전제품과 유통 및 서비스업의 비중이 다른 제품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광고소구방식으로는 이성적/경성 소구 보다는 감성적/연성소구를 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aylor(1999)의 광고메시지 표현전략 중에서 ‘감성적 영역’과 ‘자아영역’이 많이 나타났으며, 카피와 비주얼의 크기와 양을 비교한 디자인전략을 분석한 결과 카피보다는 비주얼의 크기와 양이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마케팅 활동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ajor characteristics, Ad appeals and creative startegies in the latest China’s outdoor advertis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Despit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mong the China’s outdoor advertisement, the established types of media are being used rather than the new ones such as digital signage and as for the locations of placements, mostly outdoor ad are placed around in and out of commercial buildings and subway areas. As seeing product types, home appliances and eletronics overwhelm any other type of product. In Ad appeals, the emotional appeals and soft-sell are more popular than the rational appeals and hard-sell. Besides, among Taylor(1999)’s ad message startegies, ‘emotional segment’ and ‘self segment’ are most frequently u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exts and visuals of advertisement, visuals are more placed than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