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생물정보 플랫폼에 기반한 가산의 관속식물목록

        양선규,남보미,장주은,최미정,최고야,정경숙,최혁재 한국식물분류학회 2020 식물 분류학회지 Vol.50 No.4

        Here, we present an updated checklist based on voucher specimens of vascular plants for Gasan Mt. which is located in Chilgok-gu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The list includes 322 taxa in 212 genera and 81 families of vascular plants, of which 14 are endemic, six are rare plants, 48 are floristic target species, and 14 are considered naturalized in Korea. Based on voucher specimens, Gasan Mt. was the southern limit of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and Iris odaesanensis Y. N. Lee on the Korean peninsula. Moreover, we confirmed a hybrid plant deriving from two Iris parents, I. minutoaurea Makino and I. odaesanensis, in a mountain fortress of Gasan Mt. We also present online databases including 325 voucher specimens deposited at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IOM; http://oasis.kiom.re.kr/herblib).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as the first floristic study of Korean plants sharing virtual specimens online. 경상북도 칠곡군에 위치한 가산(902 m)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 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10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가산의 관속식물 81과 212속 289종 8아종 20변종 5품종으로 총 322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조사된 분류군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4분류 군, 희귀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48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1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은 세잎승마와 노랑무늬붓꽃의 분포한계 지역이었으며 가산산성 일대에서 금붓꽃과 노랑무늬 붓꽃의 잡종개체군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수집된 관속식물 증거표본 325점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표준 표본관에 보관하였고 디지털 이미지로 만들어 https://oasis.kiom.re.kr/herblib/에 공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식물상 연구분야에서 증거표본의 디지털 이미지를 공유한 최초의 연구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밀양 재약산 국가생태탐방로 조성예정지의 관속식물상

        김태운,Tamirat Solomon,강미영,문현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4

        본 연구는 밀양시 재약산 국가생태탐방로 조성예정지의 식물상을 분석하여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체적인 식물상은 71과 159속 183종 1아종 14변종 3품종 등 총 20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종/속 비율은 1.15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특산식물은 새끼노루귀, 은꿩의다리, 노각나무, 자란초, 고광나무, 병꽃나무 5분류군이 나타났으며, 식재종인 향나무와 측백나무를 제외한 산림청 지정 희귀식믈은 등칡 1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미국자리공 등 총 15분류군으로 귀화율은 7.4%였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측백나무, 노각나무, 자란초 등 총 12분류군이 나타났다. 생활형 분석 결과, 교목 48분류군, 1년생식물 46분류군, 반지중식물 38분류군, 관목 25분류군, 지중식물 23분류군, 지표식물 12분류군, 수생식물 6분류군, 착생식물 3분류군이었다. 국가생태탐방로 조성예정지의 식물상을 분석한 본 연구는 탐방로 조성 및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탐방객의 간섭이 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to the habita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by analyzing as the flora of the constructed-reserved site of national eco-trail in Jaeyaksan of Miryang-si, Gyeongnam Province. The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were recorded as 201 taxa; 71 families, 159 genera, 183 species, 1 subspecies, 14 varieties and 3 forma. The ratio of species to genus was 1.15.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Hepatica insularis,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Stewartia pseudocamellia, Ajuga spectabilis, Philadelphus schrenkii and Weigela subsessilis. Except for Juniperus chinensis and Thuja orientalis which planted specie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as Aristolochia mandshuriensi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5 taxa including Rumex crispus and Phytolacca americana.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distributed in this area were 12 taxa including T. orientalis, S. pseudocamellia and A. spectabilis. In terms of life form, there were 47 taxa in Microphanerophyte, 46 taxa in Therophytes, 38 taxa in Hemicryptophytes, 25 taxa in Nanophanerophyte, 23 taxa in Geophyte, 12 taxa in Chamaephyte, 6 taxa in Hydrophyte, and 3 taxa in Epiphyte, respectively. This study which surveyed the flora of the construct-reserved site of national eco-trail is suppos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eco-trail construct and interference of visitor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on flora, which is suggested that reasonable management plans for flora can be proposed.

      • KCI등재

        김해 화포천 습지보호지역의 관속식물상

        황윤도(Yun-do Hwang),한상준(Sangjun Han) 한국습지학회 2024 한국습지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김해 화포천습지 보호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특성을 조사하여 습지생태계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관속식물상은 81과 221속 315종 9아중 12변종 2품종 등 339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자라풀 등 7분류군이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32분류군이고, 침입외래식물은 66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종은 11분류군이었다. 수생식물은 29분류군이며, 정수식물은 16분류군, 침수식물은 3분류군, 부유식물은 4분류군, 부엽식물은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 ecosystem by surveying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Hwapocheon wetland protected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rized as 339 taxa including 81 familices, 221 genera, 315 species, 9 subspecies and 12 varieties and 2 forms. The rare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Hydrocharis dubia and so on.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were 32 taxa including 17 taxa of grade Ⅰ, 7 taxa of grade Ⅱ, 4 taxa of grade Ⅲ , 2 taxa of grade Ⅳ and 2 taxa of grade Ⅴ.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66 Rumex crispus, Oenothera biennis, Veronica arvensis and so on.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were 11 taxa including Humulus scandens,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Lactuca seriola, Symphyotrichum pilosum and so on. The hydrophytes were 29 taxa including 16 taxa of emergent plants, 3 taxa of submerged plants, 4 taxon of free-floating plant 6 taxa of floation-leaved plants.

      • KCI등재

        홍도 관속식물상 재검토

        장영종,박종수,이진실,이지연,최병희 한국식물분류학회 2021 식물 분류학회지 Vol.51 No.3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홍도의 관속식물상을 연구하였다. 생물다양성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과거 홍도 식물상 연구들에서 수집된 표본 검토와 함께, 본인들이 2003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22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과거에 채집된 것과 금번조사 표본을 종합검토한 결과, 홍도의 관속식물은 102과 296속 425종 6아종 41변종으로 총 472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들 중 111 분류군은 이번 조사에서 새로이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6분류군의 형태적 특징과 생육지를 기록하였다. 또한, 분류학적으로 재검토 및 재동정된 29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주석을 기술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붉은사철란, 수정목, 신안새우난초, 홍도원추리 등 4분류군은 홍도가 국내에서 분포 북한계지임이 밝혀졌다. 한편 흑산도비비추와 홍도서덜취의 분포는 국내에서 홍도와 인근 섬에만 분포가 한정되었다. 이들에 대한 분포도를 기재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I급에 나도풍란과 풍란 2분류군, II급에 대흥란, 새깃아재비, 석곡, 신안새우난초, 혹난초 등 5분류군으로 총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발간한 적색자료집에 따른 희귀식물은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40분류군이 보고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flora of Hongdo Island in Sinan-gun, Jeollanam-do, South Korea. Specimens collected from previous Hongdo flora studies were reexamined using a relevant biodiversity database, and field surveys were carried out 22 times from April of 2003 to October of 2020. Based on the specimens collected during both previous studies and this study, the identified vascular plants of Hongdo consisted of 472 taxa comprising 102 families, 296 genera, 425 species, 6 subspecies, and 41 varieties. Among them, 111 taxa are newly recorded in this study, and 6 taxa are described in detail in terms of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 Also, 29 taxa were reviewed or re-identified with corresponding taxonomic annotations. In Korea, Hongdo represents the northern distributional limit of the 4 taxa of Goodyera biflora, Damnacanthus major, Calanthe aristulifera, and Hemerocallis hongdoensis. Moreover, Hosta yingeri and Saussurea polylepis are endemic to Hongdo and nearby islands in Korea. Distribution maps of these species were prepared. Protected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7 taxa consisting of 2 taxa of level I, specifically Sedirea japonica and Neofinetia falcata, and 5 taxa of level II, which were Cymbidium macrorhizon, Woodwardia japonica, Dendrobium moniliforme, Calanthe aristulifera, and Bulbophyllum inconspicuum. Red list plants as design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umbered 11 taxa. Naturalized plants numbered 40 taxa.

      • KCI등재

        광덕산(천안·아산시) 관속식물상의다양성: 생태학적, 보존학적중요성

        전지현,조명숙,윤선아,길희영,김선희,권율,서희승,Ariun SHUKHERTEI,김승철 한국식물분류학회 2021 식물 분류학회지 Vol.51 No.1

        광덕산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아산시의 경계에 위치한, 이 일대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4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광덕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97과 287속 428종 9아종 30변종 1품종의 총 46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 중 특산식물,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국외반출승인대상종, 희귀식물 및 멸종위기야생식물, 그리고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에 해당하는 58과 112속 129분류군이 주요식물로 조사되었다. 광덕산의 식물상은 크게 남동방면, 남서방면, 북방면, 정상부의 4개 구역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구역별로 분포하는 식물상이 뚜렷이 구분되었다. 광덕산의 식물상에 대한 본 조사 결과와 이전의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광덕산은 식물구계학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어 보전 및 연 구가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Gwangdeoksan Mountain (699.3 m) is the highest border mountain between the two citie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Cheonan and Asa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lora of Gwangdeoksan Mt. from April of 2015 to October of 2017. Through 20 independent field investigations, we identified and tallied a total of 428 species, 9 subspecies, 30 varieties, and a forma in 287 genera and 97 families. Of a total of 468 taxa, 128 taxa in 112 genera and 58 families were found to be Korean endemic species (7 taxa),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species (45 taxa), rare or endangered species (3 taxa), species subject to the approval of outbound transfer (73 taxa), and alien or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32 taxa). The flora of Gwangdeoksan Mt. can be divided into four distinct floristic subregions, with higher diversity in the north-facing subregion. The complex flora of Gwangdeoksan Mt., emerging at the edge of two floristic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may represent a significant conservation priority and a topic for future ecological and geographical studies.

      • KCI등재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 및 보전방안

        이종원,윤호근,강신호,안종빈 한국습지학회 2022 한국습지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 32개소를 대상으로 1차 조사와 2차 조사에서의 관속식물상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바탕으로 우량 산림습원의 향후 모니터링 체계구축과 효과적인 관리를 진행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5년부터 2021 년까지 조사지역을 4-5년 주기로 계절별로 2회 이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남권역 우량 산림습원 32개소의 식물상변화는 103과 311속 496종 16아종 38변종 6품종 556분류군에서 111과 362속 599종 16아종 51변종 8품종 674분류군으로 증가하였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12분류군에서 16분류군, 한반도 관속식물 적색목록은 18분류군에서 2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95분류군에서 123분류군, 한반도 석호식물은 286분류군에서 328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17분류군에서 26분류군으로 전체 식물상이 증가함에 따라 특기할만한 식물도 동시에 증가하였다. 하지만 느리미고사리, 나도고사리삼, 개쓴풀, 개박하 등은 지역적으로 절멸하여 현지 내외 복원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습지선호도에 따른 유형이구분된 식물은 절대습지식물은 69분류군에서 78분류군, 임의습지식물은 63분류군에서 69분류군, 양생식물은 64분류군에서 82분류군, 임의육상식물은 85분류군에서 96분류군, 절대육상식물은 275분류군에서 34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습지식물류의 분포 비율은 약간 감소하고 육상식물의 분포 비율은 다소 증가하여 산림습원 육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조사기법 등을 개발되어야한다. 그리고 산림습원을 효과적으로 보전할 수 있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확대 지정하여 체계적으로 관리·감독해야 한다.

      • KCI등재

        용추계곡을 포함한 창원시 정병산의 관속식물상

        이기숙 ( Lee Gi-sook ),문현식 ( Moon Hyun-shik ),김태운 ( Kim Tae-woon ),이재순 ( Lee Jae-soon )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창원시 정병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물자원의 보전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2014년 2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9개 코스에서 평균 30회 이상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정병산의 관속식물상은 107과 275속 404종 5아종 10품종 45변종 등 총 46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용추계곡 주변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상은 총 319분류군으로 전체의 약 69%를 차지하였다. 특산식물은 자란초, 처진물봉선, 광릉골무꽃, 은꿩의다리 등 14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특산율은 3%, 우리나라 특산식물의 약 4%에 해당하였다. 희귀식물은 멸종위기종인 처진물봉선, 목련, 왕벗나무(식) 등 3분류군, 위기종은 깽깽이풀, 백양꽃 2분류군, 취약종은 금붓꽃 1분류군, 약관심종은 쥐방울덩굴, 광릉골무꽃, 이팝나무, 덩굴꽃마리, 말나리, 뻐꾹나리 등 6분류군, 자료부족종은 옥녀꽃대 1분류군 등 총 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 뻐꾹나리와 금붓꽃을 제외한 11분류군은 자생지가 계곡 주변에서 확인되었다. 이들 희귀식물 분류군에 대해서는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려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귀화식물은 미국까마중, 미국쑥부쟁이, 유럽점나도나물 등 1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4.1%였다. 산림으로의 심각한 침입이 우려되는 4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달맞이꽃, 미국쑥부쟁이, 개망초 3분류군이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돼지풀과 미국쑥부쟁이 그리고 자생잡초인 환삼덩굴 3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 19분류군 중 11분류군이 용추계곡 주변에서 확인되었는데, 향후 지속적인 탐방객 증가와 간헐적인 공사로 생육환경의 교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계곡부 주변으로의 귀화식물 유입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Ⅰ등급으로 금붓꽃, 자란초 등 37분류군, Ⅱ등급이 층꽃나무, 노랑제비꽃 등 3분류군, Ⅲ등급이 연복초 등 12분류군, Ⅳ등급이 가는범꼬리, 산복사나무 등 4분류군, Ⅴ등급이 깽깽이풀, 백양꽃 등 5분류군으로 총 6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13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특산식물로 해변싸리, 처진물봉선 등 4분류군, 북방계식물로 조선현호색 1분류군, 남방계식물로 옥녀꽃대, 둥근배암차즈기 등 8분류군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plant resourc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vascular flora distributed in Jeongbyeong(Mt.), Changwon-city.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on average more than 30 times in 9 courses from February 2014 to November 2020,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vascular flora of Jeongbyeongsan(Mt.) was summarized as 464 taxa including 107 families, 275 genera, 404 species, 5 subspecies, 10 forms and 45 varieties. Among them vascular flora identified around Yongchu valley was 319 taxa, accounting for about 69% of the total. The endemic plants were 14 taxa such as Impatiens koreana,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and so forth,, and endemic plants rate was 3.01% and 3.89% of 360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The rare plants were 13 taxa There were 3 taxa as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such as Impatiens koreana and Magnolia kobus, 2 taxa as endangered species such as Jeffersonia dubia and Lycoris sanguinea var. koreana, 1 taxa as vulnerable species such as Iris minutiaurea, 6 taxa as least concerned species such as Aristolochia contorta, and 1 taxa as data deficient species such as Chloranthus fortunei. Among these rare plants, 11 taxa except for Tricyrtis macropoda and Iris minutoaurea were found in the vicinity of the Yongchu valley. For these rare plants, research to elucid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habitats should be conduct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9 taxa including Solanum americanum, Aster pilosus and so forth, and the naturalized index was 4.1%. Invasive alien plant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ster pilosus. The plants of concern for serious invasion into forests were 4 taxa such as Oenothera biennis, Aster pilosus and Erigeron annuus. Of the 19 taxa of naturalized plants, 11 taxa were identified around the Yongchu valley. Sinc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growing environment will be disturbed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visitors and intermittent construction, the spread of naturalized plants around the valley area should be monitored.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1 taxa; 37 taxa such as Betula schmidtii and Aconitum jaluense of grade I, 3 taxa such as Caryopteris incana and Lilium distichum of grade II, 12 taxa such as Acer palmatum and Adoxa moschatellina of grade III, 4 taxa such as Fallopia sachalinensis and Prunus davidiana of grade IV, 5 taxa such as Impatiens koreana and Jeffersonia dubia of grade V,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13 taxa; 4 taxa of endemic plants, 1 taxa of northern plant, and 8 taxa of southern plants.

      • KCI등재

        독도식물의 기원- 독도, 울릉도 및 일본 오키섬 식물상 비교를 통하여

        박선미,송휘영,박선주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1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vascular plant flora of Dokdo, Ulleungdo, and Oki Island of Japa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lant origins of Dok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cumulate basic data to study the unique biological evolution and speciation process of Dokdo, an oceanic island. The vascular plant flora of Dokdo is identified as 29 families, 49 genera, 54 species, 1 subspecies, 2 variants, 57 taxa, and 9 taxa (15.8%) of plants native to Dokdo and Ulleungdo in Korea and Oki Island in Japan, and 9 plants native to Dokdo. Taxa (15.8%), 37 taxa of plants native to Dokdo and Ulleungdo (64.9%), and 2 taxa (3.5%) of plants native to Dokdo and Oki Island in Japan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endemic species,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which are nationally protected species, were compared and studied. Three taxa were identified for plant endemic species native to Dokdo and Ulleungdo, 15 taxa for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nd 8 taxa for naturalized plants. Therefore, as a result of the studies reported so far, the flora of Dokdo shows a similar trend to that of Ulleungdo, but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review the flora of more expanded areas (Korea and Japan). These results a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reveal the origin of Dokdo plants. 본 논문은 독도와 울릉도 그리고 일본 오키섬과의 관속식물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양섬인 독도의 독특한 생물학적 진화양상과 종분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축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독도의 관속식물상은 29과 49속 54종 1아종 2변종 57분류군으로 확인되며, 한국의 독도와 울릉도와 그리고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으로 자생하는 식물이 9분류군(15.8%), 독도에서만 자생하는 식물 9분류군(15.8%), 독도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식물 37분류군(64.9%), 독도와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적으로 자생하는 식물 2분류군(3.5%)으로 조사되었다. 뿐만 아니라 국가 보호종인 고유종, 식물구계학적 등급식물, 귀화식물 등을 상호 비교·연구하였다. 독도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식물 고유종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등급식물은 15분류군, 귀화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독도와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으로 자생하는 식물구계학적 등급식물은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 결과, 독도의 식물상은 울릉도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지만, 좀 더 확대된 지역(한국, 일본)의 식물상을 비교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독도식물의 기원을 밝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전주시 소류지의 특정식물과 수질 및 이용실태 -오송제, 지시제, 성곡제, 구주제, 서은제, 황학제, 학소제-

        임동옥 ( Dong-ok Lim ),이승휘 ( Seung-hwi Lee ),오용택 ( Young-tak Oh ),지석인 ( Suk-in Ji ),이희천 ( Hee-che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2 No.2

        본 조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상은 98과 310속 402종 52변종 7품종 1아종 462종류로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국립생물자원관(2011)이 지정한 한반도고유종은 눈주목, 외대으아리 및 할미밀망 등 총 10종류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식물종은 Ⅴ등급 종은 목련과 왕벚나무로 2종,Ⅳ등급종은 산복사, 측백나무 및 꽃창포 등 3종, Ⅲ등급종은 단풍나무, 탱자나무 및 노각나무 등 3종, Ⅱ등급 종은석창포, 주목 및 개고사리 등 3종 그리고 Ⅰ등급 종은 이팝나무, 회양목 및 거지덩굴 등 8종이 확인되었다. 전주지역소류지 7곳에서 부유식물은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으로 2분류군, 부엽식물은 마름, 애기마름 및 가는가래 등 6분류군, 침수식물은 말즘과 물수세미로 2분류군 그리고 정수식물은 고마리, 왕버들 및 논냉이 등 총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종은 총 45종류로 국화과가 노랑코스모스, 미국가막사리, 실망초 및 개망초 등 16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벼과로 메귀리, 큰김의털 및 들묵새 등 7종이, 메꽃과 4종, 현삼과 3종, 마디풀과, 명아주과, 십자화과, 콩과 및 바늘꽃과는 각 2종 그리고 자리공과, 석죽과, 비름과, 대극과 및 소태나무과 등은 각 1종씩 확인되었다. 환경부생태계교란식물은 돼지풀, 털물참새피와 물참새피 3종류가 출현하였다. 수질은 COD 기준으로 10이 초과되는 소류지는 구주제가 16.23, 성곡제 14.59, 황학제 13.79 및 오송제10.66으로 매우 나쁜 상태를 보였으며, 10이하인 소류지는 지사제 9.48과 서은제 8.65로 나쁜 상태이며, 학소제만 4.74로 보통상태였다. 소류지 생태공원 이용실태 응답자의 50%이상이 주 2회 이하로 방문하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생태공원을 이용함에 있어 가장 큰 이점이 약 50%의 응답자가 스트레스 해소 및 생활 활력의 증가를 꼽았다. 탐방객 중한 부류는 위락, 편의시설이 잘 구비된 곳보다는 불편하더라도 한적한 곳을 찾고 싶다는 응답자가 50%를 넘었다.

      • KCI등재

        달마산과 그 인근지역의 식물상 연구

        이유미 ( You Mi Lee ),박수현 ( Su Hyun Park ),최형선 ( Hyeong Seon Choi ),양종철 ( Jong Cheol Yang ),남기흠 ( Gi Heum Nam ),정규영 ( Gyu Young Chung ),최혁재 ( Hyeok Jae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1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달마산 및 인근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달마산 일대의 관속식물은 112과 322속 473속 3아종 60변종 9품종의 총 54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2분류군이었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또한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종으로는 IV등급 5분류군, Ⅲ등급 17분류군 등 총 8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반도 미기록 식물로 `초록별꽃(신칭)`이 관찰되었고, 차꼬리고사리, 수수고사리, 금억새, 처진물봉선, 서울민바랭이 5분류군은 이번 연구를 통해 한반도 내 자생지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귀화식물은 29분류군으로 전제분류군의 5.3%를 차지하여 전남지역의 평균 귀화식물분포 수와 비슷한 수치로 조사되었다. The vascular flora of Dalmasan and its adjacent regions, located in Haenam-gun, Jellanam-do, is surveyed from Mar. to Oct. 2005. The number of the vascular plant taxa based on voucher specimens is 545 total which belongs to 112 families, 322 genera, 473 species, 3 subspecies, 60 varieties and 9 forms respectively. Among them, 12 taxa of Korean endemics and 4 taxa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o 86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 unrecorded taxon, Stellaria neglecta Weihe, is also collected in this area. Furthermore, The habitat of 5 taxa such as Asplenium trichomanes L., Asplenium wilfordii Mett. ex Kuhn, Miscanthus sinensis var. chejuensis Y.N.Lee, Impatiens kojeensisi Y.N.Lee and Digitaria violascens var. intersita Ohwi were newly added to the flora of korea, and 29 taxa of induced and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in this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