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상관계이론에 입각한 상담적 관점에 대한 연구

        추정선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논문집 Vol.6 No.-

        본 연구는 심리 사회적 관점의 발달과 함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대상관계이론을 소개하고 이 이론이 상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한 것이다. 대상관계 이론은 개인 문제에 대한 탐색을 중심으로 하는 프로이드 이후 정신분석학에서 발전한 이론으로서 (a) 대상관계이론의 기본적인 전제는 초기 양육자와의 관계형성이 개인의 개인내적 관계와 대인간 관계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본다는 점, (b) 생후 3년동안 아동과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며 어린 시절에 형성된 대상관계가 개인의 대인관계 패턴을 결정한다는 점, (c) 대상관계이론에서 말하는 대상이란 단순히 다른 사람, 또는 그에 대한 경험이나 기억을 일컫는 것이 아니고 자아 정신구조의 하나인 내부 대상으로 본다는 점, (d) 대상관계는 개인이 현재에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형성하는 대인관계로 설명하고 있다. 인간 관계성을 소중히 여기는 우리 한국문화권에서는 대상관계이론이 계속 관심의 대상이 될것이므로 상담의 적용점으로 검토해보는 것은 가치있는 일일 것이다. 본 고 에서는 대상관계이론의 주요 전제 및 기본개념, 주요기법, 그리고 이론에 입각한 상담적 적용들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the object relation's theory recently interested i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sociological point of view, and to examine how this theory can be applied to counseling. The object relation theory, developed from Freud's psychoanalysis, shows that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mother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is important, and that an object relation formed in childhood determines the pattern of individual relation to others. Since object relation theory would continuously be our interest in our Korean culture where people consider human relation as crucial, it would be valuable to go through as one of options of applications in counseling. This thesis shortly presents main basic concepts of the object relation theory, its main methods, and counseling applications based on this theory.

      • KCI등재

        관계적 직무설계와 직무관계 이론의 비판적 검토

        정명호(Myung-Ho Ch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인사조직연구 Vol.27 No.1

        경영환경과 기술변화로 인하여 상호의존성과 불확실성이 증대됨에 따라 현대 조직에서 일(work)의 내용과 수행방식이 크게 바뀌고, 일을 둘러싼 직무관계(work relationship)가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조직연구에서 직무설계 이론은 1980년대 Hackman & Oldham의 직무특성 모형(JCM) 이후 주목할 만한 발전이 없었으며, 최근 직무의 사회적, 관계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관계적 직무설계(relational job design) 이론이 학계와 실무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 글은 일의 변화를 직무관계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해 과거 직무설계 이론의 주요 흐름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관계적 직무설계 이론의 주요 내용을 관계적 관점과 주도적 관점으로 나누어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그 문제점과 대안을 탐색하였다. 관계적 관점은 직무의 사회적 특성, 조직 외부와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지만 그 효과가 발휘되는 메커니즘과 명확한 경계조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직무재창조와 I-deals를 중심으로 한 주도적 관점 역시 재창조의 수준과 범위, 직종 간 차이와 조직 내 공정성 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보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계적 직무설계 이론의 한계점을 정리하고, 향후 직무관계 이론을 발전시킬 수 있는 네 가지 이론적 자원으로 1) 정체성과 몰입 이론, 2)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 3) 긍정조직연구(POS), 4) 비판이론을 소개하고 향후 연구방향과 주요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일과 직무관계의 분석과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의 균형,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의 균형, 외부 환경과 내부 구성원의 변화를 함께 고려하는 관점의 균형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몇 가지 실무적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As business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rapidly change, interdependence and uncertainty in the workplace has increased more than ever. Accordingly, the nature and way of doing work has changed dramatically, as well as work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between employees and supervisors, and between employees and clients. Nevertheless, after the establishment of Hackman & Oldham’s job characteristics model (JCM), contemporary job design theories have ignored the social and relational aspects of work, reflecting a lack of meaningful development of studies on work design or work relationships.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the social side of work and focuses on the work relationships rather than job design. In doing so, it critically reviews the recent “relational job design” theory (Grant & Parker, 2009) by examining theoretical problems and possible alternatives to two aspects of this new stream: relational perspective and proactive perspective. In addition, for further development of work relationships theory, this paper introduces four theoretical resources: 1) social identity and engagement theory, 2) social network theory, 3)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POS), and 4) critical theory. Drawing on major arguments and theoretical insights of these resources, it explores new directions of work relationships theory and suggests promising and underdeveloped research topics. In conclusion, I argue that we need a balanced view of technical and social, micro and macro, and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surrounding work to better understand future work relationship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theoretical work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신수정(Sujeong Shin)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우리 사회에서 큰 주목을 받는 ‘관계중독’을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관계중독으로 고통받는 내담자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상관계이론은 인간의 생애 초기 관계 경험이 개인의 내적, 외적 관계에 핵심적 역할을 미친다고 보는데 이중 Fairbairn과 Winnicott은 인간 행동의 동기가 다른 대상과 관계 맺기를 갈망하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 관계 모델 이론가로서 양육자와의 관계 및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반부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관계중독 및 회복의 내용을 살펴보고 두 이론가의 주요 개념을 비교함으로써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에서 관계중독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후반부에서는 30대 남성의 상담사례에서 관계중독의 양상이 드러나는 방식 및 회복과정을 사례연구 방법론을 통해 살펴보고 오늘날 상담 현장에서 점차 증가하고 있는 관계중독 내담자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최선의 상담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계중독에 관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하면서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relationship addiction’, which has recently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our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relations theory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of clients suffering from relationship addiction. Object-relations theory believes that early human relationship experiences play a key role in an individual’s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Fairbairn and Winnicott have in comm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with caregivers and argued that the motivation for human behavior stems from longing to relate to other objec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depth through the perspective of object-relations theory, focusing on Fairbairn and Winnicott theory, and comparing the main concepts of the two theorists'. In addition, through the counseling case of a client, this study tried to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addiction cl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금융거래계약의 관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고전적 계약이론과 관계적 계약이론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박기주 은행법학회 2015 은행법연구 Vol.8 No.1

        21세기 들어 금융거래계약은 관련 파생상품의 발달과 복잡성의 증가로 인해 일반적인 소비재 거래와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계약법적·사회적 특성을 갖기에 이르렀다. 사회적 변화와 금융의 발달과는 상관없이 고전적 계약이론의 체계에서는 금융거래계약도 당사자의 의사와 사적 자치를 중시하여 계약의 의미와 내용 및 한계를 파악해 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고전적 계약이론의 영향력 아래에서 금융거래계약을 파악하는 것을 지양하고 새로운 계약이론으로서 관계적 계약이론을 통해 금융거래계약의 사회적·관계적 특성을 검토하려고 한다. 관계적 계약이론은 개인의 의사보다는 사회적 관계가 더 중요하고, 계약의 계속성과 유연성이 강조된다. 이를 기반으로 당사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권리의무가 부여되기도 하고 계약 내용이 수정되기도 한다. 오늘날 금융거래계약은 불확실한 금융환경아래 장기적이고 복합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커지는 상황이다. 당사자의 의사보다는 그 내외적 관계에 있는 사회관계를 강조하는 관계적 계약이론은 우리 금융거래계약의 파악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금융거래계약과 같이 당사자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가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는 경우, 사정변경의 원칙, 각종 부수의무의 부과, 설명의무의 확대 및 재검토 등을 통해 당사자의 의사만으로는 계약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는 관계 지향의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중국학파 국제관계 이론 형성에 관한 소고: 메타 이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조선철 ( Son-chul Cho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1 글로벌정치연구 Vol.14 No.2

        21세기 들어 국제사회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중국의 급속한 부상과 영향력 확대는 국제관계학계에서 소위 중국학파(Chinese School of International Relations)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중국의 국제관계 이론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황이며, 대표적인 이론을 단편적으로 소개하는 연구가 존재할 뿐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중국 국제관계 이론에 대한 이해는 아직 “중국 특색”의 국제관계 이론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국학파 국제관계 이론에 대한 보다 총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중국학파가 과연 어떠한 방법을 통해서 새로운 이론 창조를 시도하고, 이것이 어떠한 의의를 가지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려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중국학파 국제관계 이론을 대표하고 있는 “도의 현실주의”, “관계 이론”, 그리고 현재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위치 현실주의”에 대하여 메타 이론적 분석을 시도한다. 이러한 중국 국제관계 이론에 대한 실질적 분석은 중국학파 국제관계 이론이 단순히 “중국 특색”의 국제관계 이론에 머물러 있지 않으며, 메타 이론의 각 영역에서 현재 주류 국제관계 이론과는 다른 가설 기반을 가진 국제관계학계의 하나의 “학파”로서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China’s rapid rise and expansion of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been accelerating in the 21st century. This, in turn, has triggered the growing interest and importance of the so-called “Chinese School” in international relations. Despite this acceleration, research on China’s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n Korea is still insufficient, and only introduces these representative theories in a fragmented manner.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China`s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n Korea is only to the extent of “Chines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vide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Chinese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questions about how the “Chinese school” is attempting to create new theories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attempt by analyzing “Moral Realism”, “Relational Theory”, and “Positional Realism” through the framework of metatheory. This study argues that China’s international relation theory is not merely just about “Chinese characteristics” but is currently developing into a “Chinese School” based on hypotheses that differ from the ones found in mainstream international relations literature.

      • KCI등재

        CSR 전략이 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 이해관계자이론과 주주이론을 기반으로

        한혜정,김영찬 한국마케팅학회 2023 마케팅연구 Vol.38 No.1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various angl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commitment to fulfill its social responsibility and firm value, but the results are inconclusive and the debate persis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CSR strategy performance for stakeholder value on firm value compared to the impact of shareholder value performance on firm valu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ir impact on firm value is contrariwise and chang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the firm ages. We explain these results based on stakeholder theory and shareholder theory,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resource-based view, transaction cost theory and agency theory, which are the backgrounds to explain whether a firm’s activities under these two theories affect firm value. In the midst of decades of confrontation between these two theorie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a firm’s strategies for stakeholder and for shareholder have different effects on firm value, using panel data for 192 US-listed firms from 2010 to 2019. 사회적 책임을 위한 기업의 성과와 기업가치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그 결과는 일관적이지 않고, 이해관계자이론(stakeholder theory)과 주주이론(shareholder theory)을 바탕으로 논쟁이 지속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이해관계자가치(stakeholder value)를 위한 CSR 전략 성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주주가치(shareholder value)를 위한 성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92개 미국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패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이 두 성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르며, 기업이 나이가 듦에 따라 대조적인 방향성으로 변화하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이해관계자이론과 주주이론, 그리고 두 이론을 설명하는 배경이 되는 자원기반관점과 거래비용이론, 대리인이론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두 이론의 대립 속에서 이해관계자를 위한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과 기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해관계자가치와 주주가치를 위한 기업 성과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비교하여 결과를 제시한 최초의 연구이다.

      • KCI등재

        기독교 상담에서 대상관계이론 적용에 대한 고찰 : Fairbairn의 대상관계이론과 Hoekema의 개혁주의 인간론을 중심으로

        박안나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9 복음과 상담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oper use of the Object-Relations Theory for Christian counseling.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article reexamined Fairbairn's Object-Relation theory in the biblical perspective.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Fairbairn's theory and 'Created in God's image', a book on biblical humanity written by Hoekema, Reformed theologian,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s in many aspects. The theory explains that human being desire the relationship and consider mom as a crucial object to divide the self. Therefore the goal of the counseling is to integrate the self. The theory emphasizes therapeutic relationships. However, the Bible regards the mind as the decision maker to satisfy oneself and the dependence on the Holy Spirit is the unit of measure of maturity. The purpose of biblical counseling is the self-denial. In conclusion, there is a serious and critical limitation in using this theory in Christian counseling as a framework of problem analysis because both the theory and the Bible are in opposition to the goal of counseling, despite the commonality of human beings as a relationship-centered ent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Christian counselors should identify the motive for self-integration and use the theory to strengthen therapeutic-relationships with incarnate attitud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관계이론 중 Fairbairn의 이론을 성경적 관점에서 재조명하여 기독교 상담 현장에서 대상관계이론의 올바른 활용에 대해 제언하는 것이다. 대상관계이론을 성경의 충분성에 근거하여 논리적으로 고찰한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이를 위해 Fairbairn의 대상관계이론을 성경의 인간관을 충실히 기술한 Hoekema의 개혁주의 인간론을 중심으로 동기, 결정, 발달, 정신 병리 및 상담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Fairbairn은 인간을 관계를 추구하는 존재로 보았고, 어머니를 결정적 대상으로, 성숙은 대상에 대한 의존으로 보아 상담의 목적을 자아의 통합에 두고 상담자를 통한 좋은 경험을 치료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성경은 인간을 자기의 욕구를 추구하는 존재로 보고 죄된 자기가 결정 주체라고 말하고 있으며, 성숙은 하나님에 대한 의존으로 보아 죄로 물든 자기 욕구의 부인을 상담의 목적으로 하며 상담자의 믿음과 성육신적 희생 자세를 요구한다. 기독교 상담에서 대상관계이론을 문제의 틀로 활용할 때에는 자아 통합의 동기를 고려해야 자기 욕구를 채우는 수단이 되지 않으며, 치료 관계를 중요시하되 내담자가 느끼기에 좋은 관계를 넘어, 사랑과 진리에 기반한 성육신적 자세로 영적인 안정감을 주는 상담을 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 KCI등재

        19세기 영국 관념론에 대한 러셀의 비판 - 그의 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새한철학회 2009 哲學論叢 Vol. No.

        <P>&nbsp;&nbsp;본 논문은 19세기말 영국 철학계를 지배하던 ‘절대적 관념론’(Absolute Idealism)에 대한 비판적 고찰인 러셀의 관계이론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에 의하면 實在세계는 많은 성질들과 많은 관계를 가진 사물(개별자)로 성립한다. 따라서 실재세계의 완전한 記述은 이런 사물들의 목록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또한 그들의 모든 성질과 관계에 관한 언급을 필요로 한다. 만일 성질은 (성질을 가진) 개별자와의 관계, 즉 편의상 이를 일항관계로 간주한다면, 우리는 세계의 記述을 끝마치기 위해서는 관계를 그 기술 속에 포함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데 절대적 관념론은 관계의 실재성을 인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오해의 기원이 되었다. 절대적 관념론은 내적 관계이론(The Doctrine Of Internal Relations)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관해 러셀은“내적 관계이론에 따르면 두 개 항 사이의 모든 관계는 일차적으로는 두 개 항의 내적 성질을 표현한다. 그리고 최종적 분석에 있어서는 그 두개 항으로 성립하는 전체의 성질을 표현한다”고 주장한다. 관계의 실재성을 부인하는 관념론에 반대하여 러셀은 스스로 외적 관계이론(The Doctrine Of External Relations)이라 부른것을 옹호한다. 러셀이 의미하는 외적 관계이론은 관계명제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어-술어 명제와 논리적으로 형식상 동치가 아니라는 것이다. 러셀의 의도는 이러한 외적 관계이론을 주장함으로써 절대적 관념론의 극복을 시도하고자 한 것이다. 만일 관계의 실재성을 인정하기만 하면 감각의 세계를 가상이라 생각하는 모든 논리적 근거는 해소되어 버리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낯익은 현실 세계를 인정할 수 있고 편견 없이 연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가 목표로 하는 것은 절대적 관념론을 탈피하고 다원적 실재론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게끔 징금 다리로서의 역할을 한 러셀의 관계이론을 탐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현대철학의 큰 조류를 이루고 있는 언어분석철학의 모태를 파악하는 성과를 이룰 것이다.</P><P></P><P></P>

      • KCI등재

        대상관계이론의 상담적 적용에 대한 고찰

        김진숙(Jin Sook Kim) 한국상담학회 2001 상담학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높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상담연구자와 실무자들에게 잘 소개되어 있지 않은 대상관계이론을 소개하고, 이 이론이 상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대상관계이론은 프로이드 이후 정신분석학 테두리 안에서 발전한 이론으로 고전적 정신분석이론을 보완하는 이론으로 인정받고 있다. 심각한 정신장애를 치료하는 개인치료접근법으로 시작하였으나, 점차 그 적용의 범위를 넓혀나가고 있다. 유아의 초기관계경험이 성격발달과 자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상담자-내담자 관계를 치유적 매체로 활용하는 접근이라는 점에서 전통적으로 관계성을 강조하는 한국 문학권에서 그 활용의 정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에서는 대상관계이론의 발달배경과 주요 개념 및 치료기법들을 중심으로 이론을 소개하였고, 대상관계이론의 상담적 적용을 내담자 문제와 역동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상담관계의 치료적 활용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이 이론의 상담적 적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상담사례를 제시하고 적용의 제한점도 살펴보았다.

      • KCI우수등재

        대상관계 이론과 유식학에 나타난 주체와 객체에 대한 고찰 - 분리․개별화와 유식 30송을 중심으로 -

        박지현(Park, Ji Hyun),최태산(Choi, Tae San)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etween Yogācāra Buddhism and object relations theory on concepts related to the subject and object, and to clarify how Yogācāra Buddhism and object relations theory are similar or different in viewing human existence. The concepts of self, object, representation, and developmental theory of object relations are examined in the area of object relations theory. In Yogācāra Buddhism, we examine no-self, the theory of three natures, and the four wisdo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gācāra Buddhism and object relations theory share commonalities in that human beings perceive representations of subject and object. They differ in accepting whether the subject and object have unique and eternal natures or not. Second, according to object relations theory, mental health depends on objective and comprehensive perception. But Yogācāra Buddhism mentions that human beings suffer from the way of perceiving, i.e. from subject-object discrimination. Third, the fundamental purpose of object relations theory is to acquire individuality and object constancy, and that of Yogācāra Buddhism is to realize wisdo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how a partial answer for the inevitable questions about human existence in integrating western counseling theories and eastern wisdom by comparing the monism of Yogācāra Buddhism and the dualism of object relations theory. 본 연구는 서양의 대상관계이론과 동양의 유식학에서 주체와 객체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두 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각 이론이 인간존재에 대해 어떠한 관점을 취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자기(self), 대상(object) 및 표상의 개념과 마거릿 말러(Margaret S. Mahler)의 분리․개별화 이론을 살펴보았다. 유식학에서는 유식 30송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결론은 첫째, 두 이론은 인간이 인식하는 대상은 ‘표상’이라는 점에서 일치하지만 주체와 객체의 개별적 실체성을 인정하는가의 여부에 있어 서로 다르다. 둘째, 존재의 실체성에 대한 두 이론의 차이는 정서적인 괴로움과 같은 심리적 문제의 원인과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에 대한 견해의 차이로 이어진다. 셋째, 존재 즉 자아의 실체성을 인정하는 대상관계이론과 자아의 실체성을 인정하지 않는 유식학의 근본적인 차이는 이상적인 인간의 상태에 이르기 위해 자아를 강화시켜야 할 것인지 버려야 할 것인지의 차이로 귀결된다. 넷째, 대상관계이론과 유식학이 서로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영역에 대해 비교하면, 대상관계이론의 발달이론과 유식학의 지혜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상관계이론과 유식학의 근본적인 차이점인 이원론적 관점과 일원론적 관점의 차이를 통해 향후 동양과 서양의 마음의 치유에 관한 이론을 통합하는데 있어 피할 수 없는 물음인 주체로 인식되는 ‘나’와 객체로 인식되는 ‘너’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적인 탐색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