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성형 AI 기반 이미지 데이터 증강을 활용한 멜론 과실 탐지 및 품질 평가

        윤승리,조윤성,신민주,임미영,김다해,안태인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4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3 No.4

        현대 농업은 생산성 및 품질 향상과 환경 영향 최소화라는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과실의 성장 및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YOLO와 같은 실시간 과실 탐지를 위한 딥러닝 모델을 효과적으로 훈련시키기 위해서는 고품질 이미지 데이터셋이 필수적이나, 농업 분야에서는 이러한 데이터셋이 부족한 실정이다. 생성형AI 모델은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드저니와 파이어플라이 도구를 사용하여 텍스트-이미지, 이미지(수확 전)-이미지, 및 이미지(수확 후)-이미지 생성 방법으로 멜론 재배 온실과 수확 후 과실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이미지는 PSNR 및 SSIM 등의 지표로 평가되었으며, YOLOv9 모델의 탐지 성능(IoU = 0.95)도 평가되었다. 또한 네트 품질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실제 과실과 생성된 과실의 네트 품질을 평가하였다. 생성형 AI 는 원본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를 생성하였으며, 수확 후 이미지를 통한 과실 이미지 생성의 경우 매우 뛰어난 사실성을표현하였다. 생성 이미지는 실제 이미지와 동일하게 YOLOv9 모델에 의해 탐지되었으며, 네트 품질도 평가될 수 있었다. 이는 생성형 AI가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과실 탐지 및 품질 평가를 위해 현실적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농업분야에서의 큰 잠재력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멜론 과실 탐지및 품질 평가를 위한 데이터 증강에 있어서 AI 생성 이미지의잠재력을 모색하며, 생성형 AI의 농업에 대한 적용을 긍정적으로 전망한다. Monitoring and managing the growth and quality of fruits are very important tasks. To train deep learning models like YOLO for real-time fruit detection effectively, high-quality image datasets are essential. However, such datasets are often lacking in agriculture. Generative AI models can help by creating high-quality images. In this study, we used MidJourney and Firefly tools to generate images of melon greenhouses and post-harvest fruits through text-to-image, pre-harvest image-to-image, and post-harvest image-to-image methods. We evaluated these AI-generated images using PSNR and SSIM metrics and tested the YOLOv9 model’s detection performance. We also assessed the net quality of real and generated fruits. Our results showed that generative AI could produce images very similar to real ones, especially for post-harvest fruits. The YOLOv9 model detected the generated images well, and the net quality was also measurable. This shows that generative AI can create realistic images useful for fruit detection and quality assessment, indicating its great potential in agriculture.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AI-generated images for data augmentation in melon fruit detection and quality assessment and envisions a positive future for generative AI applications in agriculture.

      • KCI등재

        ‘화산’ 배 모의수출 기간 중 온도환경 및 유통기간에 따른 품질변화

        김진국(Jin Gook Kim),오경영(Kyoung-Young Oh),이욱용(Ug-Yong Lee),마경복(Kyeong-Bok Ma),황용수(Yong-Soo Hwang),최종명(Jong-Myung Choi),천종필(Jong-Pil Chu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0 No.4

        본 실험은 수출과정 중 ‘화산’ 배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과실의 숙도별 적정수송온도 및 유통온도의 설정을 위하여 모의유통기간 중 과실의 품질과 생리장해 발생을 조사하였다. 만개 후 135일에 수확한 과실의 경우, 유통 30일에 조사한 과실 경도는 1℃에 수송되고 18℃에서 유통된 과실은 28.6N로 조사되었던 반면 5℃에서 수송되고 25℃에서 유통된 과실은 24.2N으로 수송 및 유통온도가 낮을수록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만개 후 145일에 수확한 과실의 경도는 만개 후 135일에 수확한 과실에 비하여 유통기간 중 경도가 현저하게 낮았는데 유통온도가 높을수록 과육의 경도 저하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과실의 생리장해 발생을 측정한 결과, 수송온도와 관계없이, 25℃에서 유통된 과실이 18℃에서 유통된 과실보다 과육의 생리장해 발생 및 과실 부패율이 2배 이상 높게 측정되어 수출과정 중 과실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서는 유통온도의 관리가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출과정 중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고품질 과실의 유통을 위해서는 유통환경을 고려한 수확시기 조절 및 수송 유통과정에서의 철저한 온도관리가 필수적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fruit quality indices and the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of Korean new pear cultivar ‘Whasan’ to determine appropriate harvest time for exportation and to enhance storability and shelf-life of the fruits during simulated exportation and extending market environment unde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experiment of simulated exportation headed for North America including Canada and U.S.A., the fruits transported at 1℃ showed less weight loss than those of 5℃. Market temperature appeared as a key factor for keeping freshness of exported pear fruits rather than transportation temperature. Quality factors such as high flesh firmness and low incidence of fruit rot and physiological disorders including core breakdown and pithiness were attained at the fruits maintained at 18℃ when we compared with 25℃. The fruits of harvested early maturity at 135 day after full bloom showed 28.6 N of flesh firmness when the fruits stored at 1℃ of transportation and 18℃ of market temperature, while the fruits progressed 5℃ of transportation and 25℃ of market temperature dropped to 24.2 N during 30 days of shelf life. Also, a high incidences of physiological disorders and of fruit decay rates were obvious in the fruits distributed at 25℃ were observed approximately two times higher than the those of 18℃. Therefore, temperature management during marketing resulted as an important point for maintaining fruits quality in the process of pear fruit exportation.

      • KCI등재

        소형과 수박의 생육과 과실 품질 증진을 위한 야생종 수박 대목 이용

        장윤아,문지혜,안세웅,김상규,허윤찬,이희주,위승환,전희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8 No.4

        최근 식품 소비패턴 변화로 과실 무게 2~3kg 내외의 소형과 수박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호박 대목을 이용한 수박 접목재배는 덩굴쪼김병 등 토 양 전염성 병 관리에 유용하나, 왕성한 생육으로 과실 품질이 저하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덩굴쪼김병 저항성 수박 공대를 이용한 접목재배시 소형 과 수박의 생육 및 착과 특성, 과실의 품질을 검토하였 다. 덩굴쪼김병에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 야생종 수박 5종(Galactica, IT 208441, PI 482322, PI 500303, PI 593358)을 대목으로 이용하여, 편엽합접으로 접목한 뒤 비닐하우스에서 재배, 수확하여 생육과 과실 품질을 조사하였다. 접수는 소과형 전용 수박품종 ‘미니스타’를 이용하였으며, 시판 대목 참박 ‘불로장생’과 호박 ‘신토 좌’을 대조로 비교하였다. 수박 대목 ‘PI 593358’에 접 목한 처리구가 ‘신토좌’ 대목에 접목한 처리구와 함께 우수한 뿌리 발달 등 왕성한 생육을 보이며 빠른 착과 가 이루어졌으나, 과실 품질에 있어 ‘total soluble solids(TSS)’ 값과 관능평가 값이 낮았다. 반면 수박 대 목 ‘PI 482322’에 접목한 수박의 관능평가 값은 높은 편이었다. 따라서 소형과 수박 접목재배시 야생종 수박 ‘PI 482322’ 등을 대목으로 이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생육 및 과실 품질 확보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토 된 야생종 수박은 호박 및 박 대목을 대체하는 대목 개 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terest in mini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with small fruits weighing 2-3 kg has increased by the increasing trend in one-person households and consequent tendency to consume small meals. Watermelon grafting onto cucurbit rootstocks is a very effective way to control soil-borne diseases, such as Fusarium wilt; however, this practice negatively impacts the fruit qu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fruit set, and fruit quality of mini watermelon grafted onto wild watermelon accessions (Citrullus spp.) resistant to Fusarium wilt. Five watermelon accessions (Galactica, IT 208441, PI 482322, PI 500303, and PI 593358) were evaluated as rootstocks for the mini watermelon “Ministar”. Non-grafted “Ministar” and “Ministar” grafted onto “Shintozwa” (Cucurbita maxima D. C. moschata D.) or “Bullojangsaeng” (Lagenaria leucantha) were used as controls. The roots of the transplants grafted onto “PI 593358” and “Shintozwa” weighed more than those on other rootstocks. Additionally, the transplants on “PI 593358” showed better growth and fruit set in the field than the other transplants. However, the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and fruit quality indices of the transplants on “PI 593358” and “Shintozwa” were lower, whereas the total fruit quality index of those on “PI 482322” was higher. Thus, the wild watermelon accessions tested can potentially be used as basic germplasm for developing watermelon rootstocks instead of cucurbit rootstocks. The most promising accession for this purpose was found to be “PI 482322”.

      • KCI등재

        방울 토마토 재배 시 퇴비단 여과 액비의 이용가능성

        김은영,박봉주,오명민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2 No.4

        In this study, the availability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SCB) solution as an alternative for synthetic nutrient solution was determined by monitoring the growth, fruit yield, and fruit quality of cherry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Unicon’). Treatments for nutrient solution were consist of SCB 1/2N, 1N, 2N, and commercial nutrient solution 1N (CNS 1N) based on nitrogen concentration (218.32 mg · L−1) of cherry tomato nutrient solution (control 1N). All nutrient solution including SCB solution (440~520 mL per day) was supplied to rock wool medium using a timer. After 31 days of transplanting,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s, leaf area, plant height, stem diameter, SPAD value and number of node were measured. After measur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tomato plants,total fruit yield, ratio of marketable fruit yield, fruit weight, total soluble solids content, total acidity,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capacity were determined once a week for 7 weeks. As a result, among the SCB treatments,SCB 1/2N was similar to control 1N and CNS 1N in terms of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s, leaf area, stem diameter, number of node, and SPAD value. Increased N concentration of SCB inhibited the growth of tomato plants. Total fruit yield of SCB 1/2N was 47% of that of control 1N which showed the best result. Percentage of marketable fruit yield in SCB 1/2N was about 58%. Soluble solids contents, total acidity,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capacity was the highest in SCB 2N and the other treatments were not shown any difference. Blossom-end rot rarely occurred in control 1N and CNS 1N while SCB treatments without Ca induced the physiological disorder of 7~19%. In conclusion, SCB 1/2N was good for the vegetative growth of cherry tomato plants but reduced yield and quality of fruit compared with control 1N and CNS 1N. Thus, it is possible to apply SCB solution to grow cherry tomato plants hydroponically but in the consideration of fruits yield and quality additional supply of several minerals would be required. 본 실험은 SCB(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액비의 방울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Unicon’)수경재배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 되었다. 배양액처리 대조구로는 방울 토마토 전용 배양액(Control 1N)을 사용하였고, 이 배양액의 질소량(218.32mg · L−1)을 기준으로 시판양액 1N(CNS 1N), SCB 1/2N, SCB 1N, SCB 2N을 타이머 제어에 의해 하루에 440~520mL 을 공급하였다. 31일 동안 재배한 후 지상부 생체중과건물중, 엽면적, 초장, 줄기직경, SPAD값, 마디수를 조사하였으며, 그 후 주 1회 총 7번의 과실을 수확하여 총생산량과 상품성 과실 비율, 과실중, 당도와 산도, 과실의 총 페놀 농도 및 항산화도, 배꼽썩음병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CB처리 중에는 SCB 1/2N은 지상부 생체중·건물중, 엽면적, 줄기직경, 마디수 및 SPAD 값에서 Control 1N 및 CNS 1N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우수한 생육을 유도하였다. SCB는 질소 농도가 증가하면서 점차로 생육의 저해현상을 보였다. 과실의 총 생산량은 Control 1N에서 가장 높았으며, SCB 처리중 생장이 가장 좋았던 SCB 1/2N 처리구는 Control 1N 총 생산량의 47%를 기록하였다. 상품성 과실 비율도 SCB 1N과 SCB 1/2N 처리구는 약 57~58%로 낮게나타났다. 당도와 산도, 총 페놀 농도와 항산화도에서는SCB 2N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나머지 처리구와 대조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배꼽썩음병은 Control 1N, CNS 1N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SCB 2N, 1N, 1/2N 처리구는 각각 약 7, 13,19%의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SCB 1/2N 처리는 Control 1N와 CNS 1N과 비교해서 방울 토마토의영양생장에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지만, 과실의 수량과품질을 유지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SCB 액비는 방울토마토 시설 수경 재배에서 배양액으로의 가능성은 확인하였지만, 과실의 생산량과 상품성을 고려한다면 개화기및 과실 비대기에 추가적인 무기 양분의 공급이 필요할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1-Methylcyclopropene(1-MCP)와 MAP 처리가 저온 저장 중 복숭아 ‘대홍’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노유한,이주환,권용범,최인이,정햇님,강호민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대홍’ 복숭아를 대상으로 수확 후 1-MCP 처리와 MAP가 저온 저장 중 복숭아 ‘대홍’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1-MCP는 1μL·L-1과 2μL·L-1 농도로 처리하여, MAP 포장 후 온도 5±1℃, 습도 85±5%의저온 저장고에서 28일 저장하였고, 포장 대조구로 골판지 상자를 설정하여 품질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각각의 포장 처리구에는 1-MCP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로 두었다. 저장 중 생체중 감소율은 MAP 포장구에서 1-MCP 처리구와 무처리구과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MAP보다 골판지 상자 포장구의 과실에서 감소율이 높았다. 호흡률과 에틸렌 발생률은 1μL·L-1 처리구와 2μL·L-1 처리구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대조구는 1-MCP 처리구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며높게 발생하였다. 포장 내 이산화탄소는 1-MCP 처리구에서12% 내외로 무처리구에 비해 낮았고, 에틸렌은 1μL·L-1 처리구의 과실에서 다른 처리구와 유의성을 보이며 가장 낮게 유지되었다.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경도는 대조구보다1-MCP와 MAP를 처리한 과실에서는 9%(1μL·L-1 MAP)와5%(2μL·L-1 MAP)로 유의하게 연화가 억제되었다. 과피와과육의 Hunter a* 값은 1μL·L-1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안토시아닌도 1μL·L-1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저장 중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MAP 포장한과실에서 높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μL·L-1를 처리한MAP 포장구에서 ‘대홍’ 복숭아의 저장 중 호흡률 및 에틸렌발생량이 낮았고 경도, 과피와 과육의 Hunter a* 및 안토시아닌 함량 변화가 적은 것으로 조사되어 ‘대홍’ 복숭아의 저장 중품질 유지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in order to the effect of 1-methlycyclopropene (1-MCP) treatment and film package a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on the changes in fruit quality factors of 'Daehong' peaches during cold storage. The concentrations of 1-MCP were treated at 1μL·L-1 and 2μL·L-1, and peaches in film package were stored for 28 days in cold storage at 5±1°C and 85±5% RH. The fruits stored carton box were used as a control of MAP, and 1-MCP free fruits were used as the control of both packages. Rate of fresh weight loss during storag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with and without 1-MCP treatment, but was higher in the box package than in the MAP. The control group had a higher incidence of both gases with the 1-MCP treatment group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 Carbon dioxide in the package was lowered by about 12% compared to the non-treated group, and the ethylene concentration was maintained at 1μL·L-1, showing a significance low compared to other treated groups. As the storage period elapsed, the firmness of 1-MCP and MAP treated fruits remained significant at 5-9%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gardless of the packaging method Hunter a* values of exocarp and mesocar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ruit treated with 1-MCP 1μL·L-1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anthocyan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ruit during the storage period, especially high in MAP. In summary, fruits of MAP group with 1-MCP 1μL·L-1 had rate of lower respiration and ethylene production, and little changes in firmness, Hunter a* values of exo-carp and meso-carp, and anthocyanin,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preserving postharvest quality of the peach cultivar during the storage.

      • KCI등재

        Growth,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trawberry as Affected by Propagation Method and Cultivation System

        Dong Il Kang(강동일),Jiangtao Hu(호강도),Yali Li(리야리),Byoung Ryong Jeong(정병룡)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9 No.4

        이 연구는 번식방법과 재배시스템별 딸기 ‘설향’ 품종의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삽목법과 유인법으로 번식된 이식묘를 토경과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진주의 딸기 재배농가에서 2018년 9월12일부터 한 작기 동안 재배하였다. 과실 수확은 2018년 12월 20일에 시작하여 작기가 끝날 때까지 4-5일 간격으로 계속하였다. 전 수확기간 동안 생육, 과실 생산성 및 품질을 측정하였다. 번식방법이 크라운 직경, 엽장 및 엽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재배시스템은 크라운 직경, 엽장, 엽폭, 엽록소 함량 및 엽수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전 수확기간 동안 포기 당 총 과실 수량과 과실 당 평균 과중은 토경재배 시스템에서 유의미하게 낮았다. 시장성이 없는 총 과일 비율은 수경재배 보다 토경재배 시스템에서 현저하게 더 높았다. 시장성이 없는 과일 토경에서는 주로 작은 과일인데 인데 반해 수경재배에서는 주로 기형 과일이었다. 전반적인 고품질 과실은 2월에 수확되었고,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토경에 비해 과실의 품질이 더 높았다. 삽목번식이 유인번식 보다 더 좋았고, ‘설향’의 과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경재배가 토경재배 보다 더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oductivity of strawberry plants as affected by propagation method and cultivation system. Transplants propagated by cutting propagation and pinning propagation were planted and grown for a whole production period in soil and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s. Growth parameters, fruit productivity, and fruit quality were measured during the whole harvest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propagation method and cultivation system had significant effects on vegetative growth of strawberry plants. Total fruit yield per plant and average fruit weight per fruit during the whole harvest perio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lants grown in soil cultivation system. Total unmarketable fruit ratio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soil cultivation system than that i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Small fruits were the primary unmarketable fruits in soil cultivation system, while malformed fruits were the primary unmarketable fruits i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The overall high quality of fruit was found in February, and the plants cultivated i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had higher quality of fruit as compared with that in soil cultivation system. It is concluded that cutting propagation is better than pinning propagation, and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is better than soil cultivation system for fruit productivity of strawberry.

      • 유목의 도장지 유인각도가 가지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강점순,손병구,안종길,최영환,조동,이용문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8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2 No.1

        결과모지 및 도장지당 신초의 총 신장생장과 경직경은 무유인구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각도가 높을수록 신초의 생장은 억제되었으며, 결과모지의 신초 총 생장량이 가장 낮았다. 평균신 초장은 결과모지와 도장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신초의 수는 도장지가 결과모지보다 많았다. 결과모지보다는 도장지의 낙과율이 높았고, 6월과 7월의 낙과는 45˚유인구가 가장 높았으며 유인 각도가 높거나 낮을수록 감소하였다. 유인각도에 따른 총 당함량은 결과모지와 도장지의 유인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45˚이상 유인구에서는 200g까지 과실이 클수록 가용성 당함량이 증가하였다. Hunter a값은 유인각도와 과실크기간에 상호 작용이 인정되었으며, 결과모지가 도장지의 유인구보다 더 높았다. 착과수 총과중 및 평균과중은 45∼30˚로 유인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90˚유인구는 도장지당 과실수와 총과중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도장지 처리구가 결과지보다 과실수, 총과중 및 평균과중이 더 양호하였다. 과실의 저장성은 155g 이상의 과실은 색도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154g 이하의 과실은 녹색의 과실을 저장하면 저장성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Total shoot development and shoot diameter per fruit bearing branch and water sprout branch were best in no-bending branch. and shoot development was supressed as the bending degree was bigger and that of fruit bearing branch was lowest. Mean shoot length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uit bearing branch and water sprout branch. Number of shoot was higher in water sprout branch than in of fruit bearing branch. Fruit dropping rate was higher in fruit bearing branch than in water sprout. and it was highest in 45° bending and was decreased as the bending degree was higher or lower during June and July. Total fruit sugar content upon the bending degre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fruit bearing branch and water sprout, but the soluble sugar content was increased up to the fruit weight was 200g over the 45°bending degree. Hunter's a value indicated the interaction between bending degree and fruit size. which fruit bearing branch of it was higher than that of bending branch. Total fruit weight and mean fruit weight were best when the branch was bent at the degree of 30-45°, and fruit number and total fruit weight were decreased when bent at the degree of 90°. Fruit number, total fruit weight, and mean fruit weight were higher in bending branch than fruit bearing branch. Fruit storabilit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Hunter's L value for the fruitsover 155g, but it became remarkably worse when stored green fruits under 154g.

      • KCI등재

        Fruit Quality of 1-Methylcyclopropene Treated 'Formosa' Plum on the Shelf Life at Ambient Temperature

        정재훈,김영칠,정석규,Jung, Jae-Hoon,Kim, Young-Chil,Jung, Seok-Kyu Kore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3

        The effects of 1-methylcyclopropene (1-MCP) for controlling ripening processes such as weight loss, fruit softening, soluble solids content (SSC), titratable acidity (TA), and fruit skin color were investigated and also the possibility that 1-MCP can inhibit the development of brown rot was explored in 'Formosa' plum ($Prunus$ $domestica$ L.). Fruit were treated with $1{\mu}L{\cdot}L^{-1}$ 1-MCP on the day of harvest and one day after harvest for 16 h at ambient temperature ($20^{\circ}C$), followed by 14 days of shelf life. 1-MCP treatment delayed fruit softening, weight loss and changes in skin color and TA during the shelf life period, but did not affect SSC. These 1-MCP effects were similar with and without delayed treatment. 1-MCP treatment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brown rot caused by $Monilinia$ $laxa$ during storage. Our data shows that treatment delays of ${\geq}1$ day before 1-MCP application had no negative effect of fruit softening, fruit skin color, and TA at ambient temperature ($20^{\circ}C$).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1-MCP can be used to maintain the quality of non-refrigerated plums. 본 연구는 1-MCP가 'Formosa' 자두의 저장 중 품질 변화와 유통기간 연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수확한 'Formosa' 자두를 균일한 크기와 색깔로 선별한 후 수확 당일 그리고 수확 후 1일 후에 걸쳐서 각각 1-MCP를 $1{\mu}L{\cdot}L^{-1}$ 농도로 $20^{\circ}C$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하여 대조구(무처리)와 비교하였다. 1-MCP를 처리한 후 14일 동안 상온에서 자두의 연화도, 과중감소율, 가용성고형물 함량 변화, 산도, 그리고 과실의 색깔 변화를 측정하였다. 과중감소율과 과실연화도는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서 적은 변화폭을 보여주었다. 1-MCP 처리 시기(수확당일 그리고 수확 후 1일) 간에는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1-MCP처리구의 과실에서는 산도와 과실의 색깔 변화가 무처리구에 비해서 적게 나타났다. 또한 1-MCP는 저장 중에 발생하는 과실의 부패병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1-MCP 처리시기(${\geq}1$일) 연장은 상온저장시 과실의 경도, 산도, 과일 색깔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또한 과실품질 유지에 실용성이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 Correlation among Quality Attributes and Storability by Fruit Weight in 'Fuji' Apples

        Park, Youn-Moon,Yoon, Tae-Myung,Youn, Seack-Won,Han, Su-Gon,Woo, Young-Jae 安東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9 農業科學技術 硏究論文集 Vol.6 No.-

        안동과 영양지역의 '후지' 사과를 공시하여 과실의 품질요인간 상관성 및 과실의 중량과 저장력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두 과수원 과실에서 공통으로 보여진 유의적인 상관관계는 역의 상관으로써 과중-경도, 과중-착색도, 과중-Hunter 'b'값 간이었고, 착색도-Hunter 'a'값 및 당함량-산함량 사이에서는 정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과중과 당함량 및 과중과 산함량 간에는 두 과수원에서 모두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과중과 색택 요인간 상관성은 두 과수원에서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안동 지역 사과의 경우 과중-착색도는 유의성은 없으나 역의 상관 계수를, 과중-Hunter 'a'는 유의적인 역의 상관성을 보인 반면, 영양지역 사과에서는 과중-착색도 및 과중-Hunter 'a'값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다. 과실 경도와 당산 함량의 변화 정도로 판단한 저장력과 과중간에는 뚜렷한 상관성이 보이지 않았다. Relationship of fruit weight with other quality parameters and storablity were evaluated in 'Fuji' apples harvested on a commercial harvest date from two orchards located in 'Andong' and 'Youngyang' area. Inter-correlations among quality parameters were also analyzed. Significant correlations observed in both orchards were; nigative relationships between fruit weight and flesh firmness, surface color and Hunter 'b' valu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color and Hunter 'a' value, and soluble solid content (SSC) and juice acidity. Correlations between fruit weight and SSC or juice acidity were not significant in both orchards. In Contrast. between the two orchards, opposit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served in the combination of fruit weight with surface colo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negative, although insignificant, in 'Andong' apples, whereas significantly positive in 'Youngyang' apples. Likewise, fruit weigh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unter 'a' value in 'Andong' apples, while positively correlated in 'Youngyang' apples. No clear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fruit weight and storability as estimated by changes in flesh firmness and flavor parameters.

      • KCI등재

        저온기 최저온도의 상향 조정에 따른 패션프루트의 줄기생장, 개화 및 과실발달

        임찬규,오순자,고석찬 한국원예학회 2018 원예과학기술지 Vol.36 No.6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cut-offs during the cold season on chlorophyll fluorescenceresponse, shoot growth, flowering, and fruit development in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var. edulis Sims.)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required for cultivation and develop a managementsystem to help lower heating costs on Jeju Island, South Korea. When the temperature was cut-offabove 5°C, the fluorescent density increased in steps O and J of the OJIP transient curve, butdecreased in step P. Under identical temperature cut-off conditions, the photochemical efficiency ofphotosystem II (Fv/Fm) was low but the initial fluorescence (Fo) was high, which suggests thatpassion fruit plants were stressed at a temperature range of 5-10°C. The length and thickness ofyoung secondary shoots and number of fruits per secondary shoot were great with rising the cut-offtemperature, suggesting that passion fruit growth was satisfactory under a temperature cut-off of10°C or higher. The fruit yield decreased due to reduction in the number of flowers per secondaryshoot, while the flowering and harvesting dates advanced by 25-30 days and 41-43 days,respectively, under a temperature cut-off of 5°C. The size and weight of fruits decreased slightly,and the titratable acidity and fruit firmness were lower in plants grown at a temperature cut-off of5°C compared to a cut-off of 10°C or 15°C. Moreover, fruit skin color changed from green toreddish purple earlier on plants grown at a temperature cut-off of 10°C or 15°C compared to acut-off of 5°C. Therefore, 10°C or 15°C may represent the most appropriate temperature cut-off forpassion fruit cultivation with respect to their vegetative growth, fruit quality, and fruit yield. Moreover, a temperature cut-off of 10°C could reduce heating costs in plastic greenhouses duringthe cold season. 본 연구는 저온기의 최저온도 상향 조정이 패션프루트의 엽록소형광 반응과 수체 생육, 개화 및 과실 발달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패션프루트를 재배하기 위한 적절한 저온기 최저 재배온도를 구명하고 시설 내 온도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수행하였다. 저온기 최저온도를 5°C로 상향 조정하였을 때 OJIP 곡선의 O와 J 단계에서의 형광밀도는 증가하고, P 단계에서의형광밀도는 감소하였다. 광계II의 최대 광화학적 효율(Fv/Fm)은 최저온도를 5°C로 상향 조정하였을 때에는 낮았고 초기형광수율(Fo)은 높았다. OJIP 곡선과 엽록소형광 변수의 변화를 토대로 패션프루트가 저온기 최저온도 5-10°C에서는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린 2차지는 최저온도 처리가 높을수록 길이가 길고 굵기 또한 굵었으며 결과지당 수확량도 증가하여,최저온도를 10°C로 상향 조정하였을 때에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최저온도를 5°C로 상향 조정하였을 때에 개화시기와 과실 수확은 각각 25-30일, 41-43일 일찍 앞당길 수 있어 조기 수확이 가능하나 개화 수의 감소로 인해 결과지당 수확량은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과실 크기와 무게는 최저온도를 5°C로 상향 조정하였을 때 작았고, 과즙의 산 함량과 과실의 경도도 다소 낮았다. 과피의 자색으로의 착색 또한 저온기 최저온도를 10°C 또는 15°C로 상향 조정하였을 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패션프루트의 수체 생장과 과실의 수량을 높이고 고품질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최저온도를 10°C 또는 15°C로 상향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나 난방비 절감을 위하여 저온기에는 가온시설 내의 최저온도를 10°C로 상향 조정하여 재배하는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