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생 에틸렌 처리 후 저장 온도에 따른 키위프루트 ‘감록’, ‘헤이워드’, ‘골드원’, ‘제시골드’ 과실의 후숙 특성

        신미희(Mi Hee Shin),곽용범(Yong-Bum Kwack),김윤희(Yun-Hee Kim),김진국(Jin Gook Kim) 한국원예학회 2018 원예과학기술지 Vol.36 No.5

        본 연구는 국내 육성 품종에 대한 적절한 수확 후 관리 방법을 구명하고자 외생 에틸렌 처리 후 저장 온도에 따른 키위프루트 과실 후숙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품종은 ‘감록’, ‘골드원’, ‘제시골드’ 등 세 가지 국내 육성 품종과 뉴질랜드 육성 품종인 ‘헤이워드’ 과실을 이용하였으며, 외생 에틸렌 처리는 A. deliciosa와 A. chinensis 두 가지 종으로 나누어 각각 1,000μL·L<SUP>-1</SUP>과 100μL·L<SUP>-1</SUP> 농도로 24시간 처리하였다. 외생 에틸렌 처리 후 과실을 5, 15, 20°C의 3가지 온도로 저온 챔버에 저장하며 과실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외생 에틸렌 처리 후 저장 온도에 따른 과실의 품질 변화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빠르게 변화되었다. 20와 15°C에 저장한 ‘감록’ 과실은 각각 처리 후 6일째, 9일째에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18°Brix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헤이워드’ 과실은 각각의 온도에서 3일 정도 늦게 고형물 함량이 증가하였다. ‘골드원’과 ‘제시골드’ 과실은 20와 15°C에 저장 시 9일째와 12일째 고형물 함량이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산함량 감소는 ‘감록’ 과실에서는 20와 15°C에서 모두 3일후에 1%에 도달하였으나, ‘헤이워드’, ‘골드원’, ‘제시골드’ 과실은 15°C에서는 20°C 저장 시보다 산함량 감소가 지연되었다. 4품종 모두 과육과 과심의 연화속도는 20°C > 15°C > 5°C순으로 조사되었다. 호흡률과 에틸렌 발생량은 경도 저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4품종 모두 5°C 저장 과실은 30일째까지 뚜렷한 후숙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감록’이 ‘헤이워드’에 비해 저온 저장 시 품질 유지 기간이 짧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체로 품질 유지 기간이 짧은 A. chinensis 품종들과 다르게 ‘골드원’과 ‘제시골드’ 과실의 품질 유지 기간이 ‘헤이워드’와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키위프루트 품종에 따른 과실 후숙 특성을 이해하고, 국내 육성 품종의 수확 후 관리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fruit ripen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kiwifruit cultvars and investigate the post-harvest management method appropriate for cultivar grown in Korea. In the experiment, fruit ripen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fter exogenous ethylene treatment. The cultivars of kiwifruit used in the experiments were as follows: 3 domestic cultivars (Actinidia deliciosa ‘Garmrok’, A. chinensis ‘Goldone’ and ‘Jecy Gold’) and a New Zealand cultivar (A. deliciosa ‘Hayward’).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the kiwifruit classified as two different species: A. deliciosa and A. chinensis. The exogenous ethylene was treated with A. deliciosa and A. chinensis at 1,000 μL·L<SUP>-1</SUP> and 100 μL·L<SUP>-1</SUP> for 24 hours, respectively. After the treatment, the fruits were stored in the low temperature chamber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of 5, 15, and 20°C. Quality changes of fruit were occurred more rapidly at higher storage temperature. Soluble solids content (SSC) was 18°Brix for ‘Garmrok’ kiwifruits stored at both 20°C and 15°C at 6 and 9 days of storage, respectively., The SSC of ‘Hayward’ kiwifruits was increased by three days later at all three storage temperatures compared to ‘Garmrok’ kiwifruits. The highest SSC values for ‘Goldone’ and ‘Jecy Gold’ kiwifruit were recorded at 9 and 12 days of storage at 20°C and 15°C, respectively. Titratable acidity (TA) of ‘Garmrok’ kiwifruit was 1% at both 20°C and 15°C at 3 days of storage. However, the decreasing of TA of ‘Hayward’, ‘Goldone’, and ‘Jecy Gold’ kiwifruits at 15°C storage was delayed compared to TA of kiwifruits at 20°C. Deceasing of kiwifruit firmness was higher with the increasing storage temperatures in an order of 5°C, 15°C, and 20°C for all kiwifruit cultivars used in the experiment. Further, higher respiration rate and ethylene production was recorded at high storage temperature for all cultivars. The ripening characteristics were not observed from kiwifruits from all four cultivars until 30 days of storage at 5°C.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Garmrok’ kiwifruit retained their quality for a shorter period of time than the ‘Hayward’ kiwifruit during low-temperature storage, and unlike A. chinensis cultivars, which generally have a short quality retention time, the ‘Goldone’ and ‘Jecy Gold’ cultivars showed quality retention properties, similar to that of the ‘Hayward’ kiwifruit. Our findings in this study are valuable to understand the fruit ripening characteristics of kiwifruit for different varieties and for post-harvest management of domestic cultivars.

      • KCI등재

        ‘화산’ 배 모의수출 기간 중 온도환경 및 유통기간에 따른 품질변화

        김진국(Jin Gook Kim),오경영(Kyoung-Young Oh),이욱용(Ug-Yong Lee),마경복(Kyeong-Bok Ma),황용수(Yong-Soo Hwang),최종명(Jong-Myung Choi),천종필(Jong-Pil Chu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1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0 No.4

        본 실험은 수출과정 중 ‘화산’ 배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과실의 숙도별 적정수송온도 및 유통온도의 설정을 위하여 모의유통기간 중 과실의 품질과 생리장해 발생을 조사하였다. 만개 후 135일에 수확한 과실의 경우, 유통 30일에 조사한 과실 경도는 1℃에 수송되고 18℃에서 유통된 과실은 28.6N로 조사되었던 반면 5℃에서 수송되고 25℃에서 유통된 과실은 24.2N으로 수송 및 유통온도가 낮을수록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만개 후 145일에 수확한 과실의 경도는 만개 후 135일에 수확한 과실에 비하여 유통기간 중 경도가 현저하게 낮았는데 유통온도가 높을수록 과육의 경도 저하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과실의 생리장해 발생을 측정한 결과, 수송온도와 관계없이, 25℃에서 유통된 과실이 18℃에서 유통된 과실보다 과육의 생리장해 발생 및 과실 부패율이 2배 이상 높게 측정되어 수출과정 중 과실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서는 유통온도의 관리가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출과정 중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고품질 과실의 유통을 위해서는 유통환경을 고려한 수확시기 조절 및 수송 유통과정에서의 철저한 온도관리가 필수적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fruit quality indices and the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of Korean new pear cultivar ‘Whasan’ to determine appropriate harvest time for exportation and to enhance storability and shelf-life of the fruits during simulated exportation and extending market environment unde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experiment of simulated exportation headed for North America including Canada and U.S.A., the fruits transported at 1℃ showed less weight loss than those of 5℃. Market temperature appeared as a key factor for keeping freshness of exported pear fruits rather than transportation temperature. Quality factors such as high flesh firmness and low incidence of fruit rot and physiological disorders including core breakdown and pithiness were attained at the fruits maintained at 18℃ when we compared with 25℃. The fruits of harvested early maturity at 135 day after full bloom showed 28.6 N of flesh firmness when the fruits stored at 1℃ of transportation and 18℃ of market temperature, while the fruits progressed 5℃ of transportation and 25℃ of market temperature dropped to 24.2 N during 30 days of shelf life. Also, a high incidences of physiological disorders and of fruit decay rates were obvious in the fruits distributed at 25℃ were observed approximately two times higher than the those of 18℃. Therefore, temperature management during marketing resulted as an important point for maintaining fruits quality in the process of pear fruit exportation.

      • KCI등재

        배 ‘신고’ 과실에 칼슘코팅봉지 씌우기와 과실의 생리적 변화

        안영직(Young Jik Ahn),최종승(Jong Seung Choi),문병우(Byung Woo Moon),천종필(Jong Pil Chun)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4

        봉지를 씌워 재배하는 ‘신고’ 배의 칼슘함량 증가를 위하여 굴 껍질에서 추출한 액상칼슘화합물을 봉지 내지에 코팅한 봉지를 씌워 재배하고 과실의 칼슘 함량 및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칼슘봉지 괘대 과실의 저장 중 과실의 품질변화를 관행의 황색롤지 괘대 과실과 비교한 결과, 칼슘코팅 봉지 괘대 과실은 관행봉지에 비하여 저장 120일 동안 가용성 고형물, 산함량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경도는 저온저장기간 중 높게 유지되어 저장 120일에 23.9N으로 대조구 23.1N에 비해 높게 조사되었다. 과실의 칼슘함량을 비교하였던 결과, 과피의 칼슘함량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는데 칼슘코팅봉지를 괘대한 과실은 수확 시 관행봉지에 비교하여 과피에서 14.7% 높게 조사되었다. 과육의 부위별 칼슘함량은 과피 직하부위가 가장 낮게 조사되었는데 칼슘봉지 처리에 따라 5.0%(0-5㎜), 6.0%(5-10㎜), 6.9%(10-15㎜)의 칼슘함량 증가를 나타내었고 120일의 저장기간 중에도 같은 경향이었다. 과실의 호흡량은 칼슘봉지 처리구나 저온저장 기간 중 낮게 유지되었으나 에틸렌 발생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 중 과실 세포벽의 수용성 펙틴 함량은 칼슘코팅봉지 처리구 과실이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경향이었는데 특히 과육에서의 함량이 대조구의 50%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Oriental pears are mostly cultivated with bagging from the fruitlet stage until harvest in Korea. To increase the calcium content of ‘Niitaka’ pears (Pyrus pyrifolia Nakai), we cultivated the fruit with calcium-coated paper bag which was treated on inner layer of conventional double layer yellow roll paper bag. The liquid calcium compound extracted from oyster shells were used as the raw material and wax emulsion and methanol were added as supplementary agents. The calcium contents of the fruits and the quality parameters were examined during 120 days of cold storage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ity during storage period, while the firmness of fruit flesh bagged with the calcium-coated paper ba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aper bag which showed 23.9 or 23.1 N, respectively. Calcium content in the peel of the fruit bagged with calcium-coated paper bag was 14.7% higher than that of the fruit bagged with the conventional bag. The increase of calcium contents in the flesh by the depth were also revealed in calcium-coated bag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bag, showing 5.0, 6.0 and 6.9% increase of calcium in 0-5 ㎜, 5-10 ㎜ and 10-15 ㎜ region from the peel, respectively. The fruits produced by bagging with calcium-coated paper bag showed a tendency of low respiration rate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thylene evolution. During the storage, the solubilization of water soluble pectin was lower in the fruit bagged with calcium-coated paper bag than in conventional bag treated one.

      • KCI등재

        소형과 수박의 생육과 과실 품질 증진을 위한 야생종 수박 대목 이용

        장윤아,문지혜,안세웅,김상규,허윤찬,이희주,위승환,전희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8 No.4

        최근 식품 소비패턴 변화로 과실 무게 2~3kg 내외의 소형과 수박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호박 대목을 이용한 수박 접목재배는 덩굴쪼김병 등 토 양 전염성 병 관리에 유용하나, 왕성한 생육으로 과실 품질이 저하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덩굴쪼김병 저항성 수박 공대를 이용한 접목재배시 소형 과 수박의 생육 및 착과 특성, 과실의 품질을 검토하였 다. 덩굴쪼김병에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 야생종 수박 5종(Galactica, IT 208441, PI 482322, PI 500303, PI 593358)을 대목으로 이용하여, 편엽합접으로 접목한 뒤 비닐하우스에서 재배, 수확하여 생육과 과실 품질을 조사하였다. 접수는 소과형 전용 수박품종 ‘미니스타’를 이용하였으며, 시판 대목 참박 ‘불로장생’과 호박 ‘신토 좌’을 대조로 비교하였다. 수박 대목 ‘PI 593358’에 접 목한 처리구가 ‘신토좌’ 대목에 접목한 처리구와 함께 우수한 뿌리 발달 등 왕성한 생육을 보이며 빠른 착과 가 이루어졌으나, 과실 품질에 있어 ‘total soluble solids(TSS)’ 값과 관능평가 값이 낮았다. 반면 수박 대 목 ‘PI 482322’에 접목한 수박의 관능평가 값은 높은 편이었다. 따라서 소형과 수박 접목재배시 야생종 수박 ‘PI 482322’ 등을 대목으로 이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생육 및 과실 품질 확보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토 된 야생종 수박은 호박 및 박 대목을 대체하는 대목 개 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terest in mini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with small fruits weighing 2-3 kg has increased by the increasing trend in one-person households and consequent tendency to consume small meals. Watermelon grafting onto cucurbit rootstocks is a very effective way to control soil-borne diseases, such as Fusarium wilt; however, this practice negatively impacts the fruit qu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fruit set, and fruit quality of mini watermelon grafted onto wild watermelon accessions (Citrullus spp.) resistant to Fusarium wilt. Five watermelon accessions (Galactica, IT 208441, PI 482322, PI 500303, and PI 593358) were evaluated as rootstocks for the mini watermelon “Ministar”. Non-grafted “Ministar” and “Ministar” grafted onto “Shintozwa” (Cucurbita maxima D. C. moschata D.) or “Bullojangsaeng” (Lagenaria leucantha) were used as controls. The roots of the transplants grafted onto “PI 593358” and “Shintozwa” weighed more than those on other rootstocks. Additionally, the transplants on “PI 593358” showed better growth and fruit set in the field than the other transplants. However, the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and fruit quality indices of the transplants on “PI 593358” and “Shintozwa” were lower, whereas the total fruit quality index of those on “PI 482322” was higher. Thus, the wild watermelon accessions tested can potentially be used as basic germplasm for developing watermelon rootstocks instead of cucurbit rootstocks. The most promising accession for this purpose was found to be “PI 482322”.

      • KCI등재

        방울 토마토 재배 시 퇴비단 여과 액비의 이용가능성

        김은영,박봉주,오명민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3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2 No.4

        In this study, the availability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SCB) solution as an alternative for synthetic nutrient solution was determined by monitoring the growth, fruit yield, and fruit quality of cherry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Unicon’). Treatments for nutrient solution were consist of SCB 1/2N, 1N, 2N, and commercial nutrient solution 1N (CNS 1N) based on nitrogen concentration (218.32 mg · L−1) of cherry tomato nutrient solution (control 1N). All nutrient solution including SCB solution (440~520 mL per day) was supplied to rock wool medium using a timer. After 31 days of transplanting,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s, leaf area, plant height, stem diameter, SPAD value and number of node were measured. After measur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tomato plants,total fruit yield, ratio of marketable fruit yield, fruit weight, total soluble solids content, total acidity,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capacity were determined once a week for 7 weeks. As a result, among the SCB treatments,SCB 1/2N was similar to control 1N and CNS 1N in terms of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s, leaf area, stem diameter, number of node, and SPAD value. Increased N concentration of SCB inhibited the growth of tomato plants. Total fruit yield of SCB 1/2N was 47% of that of control 1N which showed the best result. Percentage of marketable fruit yield in SCB 1/2N was about 58%. Soluble solids contents, total acidity,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capacity was the highest in SCB 2N and the other treatments were not shown any difference. Blossom-end rot rarely occurred in control 1N and CNS 1N while SCB treatments without Ca induced the physiological disorder of 7~19%. In conclusion, SCB 1/2N was good for the vegetative growth of cherry tomato plants but reduced yield and quality of fruit compared with control 1N and CNS 1N. Thus, it is possible to apply SCB solution to grow cherry tomato plants hydroponically but in the consideration of fruits yield and quality additional supply of several minerals would be required. 본 실험은 SCB(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액비의 방울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Unicon’)수경재배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 되었다. 배양액처리 대조구로는 방울 토마토 전용 배양액(Control 1N)을 사용하였고, 이 배양액의 질소량(218.32mg · L−1)을 기준으로 시판양액 1N(CNS 1N), SCB 1/2N, SCB 1N, SCB 2N을 타이머 제어에 의해 하루에 440~520mL 을 공급하였다. 31일 동안 재배한 후 지상부 생체중과건물중, 엽면적, 초장, 줄기직경, SPAD값, 마디수를 조사하였으며, 그 후 주 1회 총 7번의 과실을 수확하여 총생산량과 상품성 과실 비율, 과실중, 당도와 산도, 과실의 총 페놀 농도 및 항산화도, 배꼽썩음병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CB처리 중에는 SCB 1/2N은 지상부 생체중·건물중, 엽면적, 줄기직경, 마디수 및 SPAD 값에서 Control 1N 및 CNS 1N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우수한 생육을 유도하였다. SCB는 질소 농도가 증가하면서 점차로 생육의 저해현상을 보였다. 과실의 총 생산량은 Control 1N에서 가장 높았으며, SCB 처리중 생장이 가장 좋았던 SCB 1/2N 처리구는 Control 1N 총 생산량의 47%를 기록하였다. 상품성 과실 비율도 SCB 1N과 SCB 1/2N 처리구는 약 57~58%로 낮게나타났다. 당도와 산도, 총 페놀 농도와 항산화도에서는SCB 2N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나머지 처리구와 대조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배꼽썩음병은 Control 1N, CNS 1N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SCB 2N, 1N, 1/2N 처리구는 각각 약 7, 13,19%의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SCB 1/2N 처리는 Control 1N와 CNS 1N과 비교해서 방울 토마토의영양생장에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지만, 과실의 수량과품질을 유지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SCB 액비는 방울토마토 시설 수경 재배에서 배양액으로의 가능성은 확인하였지만, 과실의 생산량과 상품성을 고려한다면 개화기및 과실 비대기에 추가적인 무기 양분의 공급이 필요할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1-Methylcyclopropene(1-MCP)와 MAP 처리가 저온 저장 중 복숭아 ‘대홍’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노유한,이주환,권용범,최인이,정햇님,강호민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대홍’ 복숭아를 대상으로 수확 후 1-MCP 처리와 MAP가 저온 저장 중 복숭아 ‘대홍’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1-MCP는 1μL·L-1과 2μL·L-1 농도로 처리하여, MAP 포장 후 온도 5±1℃, 습도 85±5%의저온 저장고에서 28일 저장하였고, 포장 대조구로 골판지 상자를 설정하여 품질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각각의 포장 처리구에는 1-MCP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로 두었다. 저장 중 생체중 감소율은 MAP 포장구에서 1-MCP 처리구와 무처리구과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MAP보다 골판지 상자 포장구의 과실에서 감소율이 높았다. 호흡률과 에틸렌 발생률은 1μL·L-1 처리구와 2μL·L-1 처리구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대조구는 1-MCP 처리구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며높게 발생하였다. 포장 내 이산화탄소는 1-MCP 처리구에서12% 내외로 무처리구에 비해 낮았고, 에틸렌은 1μL·L-1 처리구의 과실에서 다른 처리구와 유의성을 보이며 가장 낮게 유지되었다.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경도는 대조구보다1-MCP와 MAP를 처리한 과실에서는 9%(1μL·L-1 MAP)와5%(2μL·L-1 MAP)로 유의하게 연화가 억제되었다. 과피와과육의 Hunter a* 값은 1μL·L-1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안토시아닌도 1μL·L-1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저장 중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MAP 포장한과실에서 높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μL·L-1를 처리한MAP 포장구에서 ‘대홍’ 복숭아의 저장 중 호흡률 및 에틸렌발생량이 낮았고 경도, 과피와 과육의 Hunter a* 및 안토시아닌 함량 변화가 적은 것으로 조사되어 ‘대홍’ 복숭아의 저장 중품질 유지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in order to the effect of 1-methlycyclopropene (1-MCP) treatment and film package a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on the changes in fruit quality factors of 'Daehong' peaches during cold storage. The concentrations of 1-MCP were treated at 1μL·L-1 and 2μL·L-1, and peaches in film package were stored for 28 days in cold storage at 5±1°C and 85±5% RH. The fruits stored carton box were used as a control of MAP, and 1-MCP free fruits were used as the control of both packages. Rate of fresh weight loss during storag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with and without 1-MCP treatment, but was higher in the box package than in the MAP. The control group had a higher incidence of both gases with the 1-MCP treatment group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 Carbon dioxide in the package was lowered by about 12% compared to the non-treated group, and the ethylene concentration was maintained at 1μL·L-1, showing a significance low compared to other treated groups. As the storage period elapsed, the firmness of 1-MCP and MAP treated fruits remained significant at 5-9%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gardless of the packaging method Hunter a* values of exocarp and mesocar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ruit treated with 1-MCP 1μL·L-1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anthocyan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ruit during the storage period, especially high in MAP. In summary, fruits of MAP group with 1-MCP 1μL·L-1 had rate of lower respiration and ethylene production, and little changes in firmness, Hunter a* values of exo-carp and meso-carp, and anthocyanin,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preserving postharvest quality of the peach cultivar during the storage.

      • KCI등재

        회계 감사인에 대한 과실 책임주의에 따른 손해배상의무가 감사의 품질 및 기업의 생산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덕헌 ( Doug Hun Lee ) 한국회계학회 2004 會計學硏究 Vol.29 No.2

        이 논문은 감사인에게 부과하는 손해배상 의무가 감사의 품질과 기업의 생산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바람직한 손해배상 금액을 책정하는 방법을 고찰한다. 손해배상 방식에는 과실 책임체제(negligence regime), 무과실 책임체제(misstatement regime) 등이 있다. 이 논문은 그 중 과실 책임체제를 연구한다. 가장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법원은 회계 감사인이 부실한 감사로 초래한 사회적 손실을 그가 배상할 확률로 나누어 얻어지는 액수를 손해배상 금액으로 부과하면 사회적 공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미국 법원은 징벌적 배상액(punitive damage)으로 원고의 실제 손실액에 비해 최고 세배까지도 부과한다. 이는 법원의 판단으로는 투자자들이 소를 제기하고 승소하는 확률이 최소한 1/3은 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 감사의 품질이 너무 낮아도 안되지만 지나치게 높아도 안 된다. 감사품질이 지나치게 낮으면 감사가 쓸모 없어지니, 이 결과는 상식적이다. 하지만, 감사 품질이 너무 높아도 안 된다는 결과는 의외다. 만약 투자자들이 보기에 감사 품질이 매우 높으면 승소할 가능성이 희박하므로, 그들은 소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회계 감사인은 감사 품질을 일정한 상한선 아래로 낮추어 감사 비용을 절감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결과로 감사 수수료는 감사에 투입된 실제 비용에 손해배상 금액의 기대값을 합한 금액이다. 이 결과는 매우 상식적 이다. Auditors have argued that legal damage awards are excessive, and advocated legal reform. Legal liability is imposed on auditors because the users of audited financial statements cannot observe audit quality. This paper will help policy makers assess the tradeoffs determining the socially optimal audit quality and design legal liability damages for auditors. I construct a model where the audit report influences the client firm`s production decisions at the interim date, and the costs and benefits of audit quality are explicit. The audit technology is such that the auditor`s report could be in error even without a deliberate attempt to mislead. However, the probability of audit error can be decreased by putting more resources into the audit. I focus my attention on a ``negligence`` regime. I derive the optimal audit quality, the optimal damage award, and the equilibrium audit fee. My most significant finding is that the socially optimal size of the legal damage is social loss from a misleading audit report divided by the probability of the investors` winning the damage award. The court has been awarding damages up to three times the actual loss if the defendant intentionally committed wrong doings. This practice is quite consistent with this finding. Another interesting finding is that the optimal audit quality lies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bounds. It is quite expected that audit quality should be sufficiently high to maintain social demand for audit services. The upper bound is a surprise probably because audit quality in practice never rises above the upper bound. I also find that the equilibrium audit fee consists of the actual audit costs and the auditor`s expected legal damages.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literature in this area.

      • KCI등재

        ‘골드원’, ‘제시골드’ 키위프루트 과실의 에틸렌 처리에 따른 과실 후숙 및 관련 유전자의 발현

        신미희(Mi Hee Shin),곽용범(Yong-Bum Kwack),김윤희(Yun-Hee Kim),김진국(Jin Gook Kim) 한국원예학회 2019 원예과학기술지 Vol.37 No.1

        본 연구는 외생 에틸렌 처리에 따른 키위프루트 과실의 후숙 특성을 이해하고, 국내 육성 품종에 대한 적절한 수확후 관리 방법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국내 육성품종인 ‘골드원’과 ‘제시골드’ 두 품종을 대상으로 외생 에틸렌 0, 10, 100μL·L<SUP>-1</SUP>의 세가지 농도로 처리하여 과실의 품질 변화, 세포벽 분해 및 에틸렌 생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외생 에틸렌 처리에 따른 과실의 품질 변화는 두 품종 모두 외생 에틸렌 처리 과실이 무처리 과실보다 빠르게 변화하였고, 높은 처리농도에서 더욱 빠르게 변화하였지만 ‘제시골드’ 품종이 ‘골드원’ 품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외생 에틸렌 처리에 둔감한 반응을 보였다. 과실의 유전자 발현은 ACO, ERF5, PGC, EXP2 4가지 유전자 발현이 확인되었다. 4가지 유전자 모두 ‘제시골드’보다 ‘골드원’ 품종에서 분명한 발현 차이를 보였고, 외생 에틸렌 처리농도와 처리시간에 따라 높은 발현을 보였다. We studied the effect of exogenous ethylene application on fruit ripening and its related gene expression in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Goldone’ and ‘Jecy Gold’ grown in Korea. The fruit ripening characteristics that were affected by exogenous ethylene were evaluated to implement the best post-harvest management practices for these two cultivars. Exogenous ethylene was applied in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gene expression related to cell wall degradation, ethylene biosynthesis, and fruit quality changes were examined. The kiwifruits treated with exogenous ethylene ripened very fast compared to non-treated kiwifruits. A. chinensis ‘Jecy Gold’ was relatively insensitive to exogenous ethylene treatment when compared to A. chinensis ‘Goldone’. Exogenous ethylene accelerated ethylene biosynthesis and signaling pathways through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ACO and ERF5 genes. Furthermore, PGC and EXP2 gene expression was affected by exogenous ethylene application, suggesting changes in cell wall degradation in response to ethylene signaling. Relatively high gene expression was identified in kiwifruits treated with exogenous ethylene compared to untreated kiwifruits. The distinct expression differences of the four genes, ACO, ERF5, PGC, and EXP2 were recorded in A. chinensis ‘Goldone’ by the concentration of exogenous ethylene and days after treatment.

      • KCI등재

        Fruit Quality of 1-Methylcyclopropene Treated ‘Formosa’ Plum on the Shelf Life at Ambient Temperature

        Jae-Hoon Jung(정재훈),Young-Chil Kim(김영칠),Seok-Kyu Jung(정석규)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3

        본 연구는 1-MCP가 ‘Formosa’자두의 저장 중 품질 변화와 유통기간 연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수확한 ‘Formosa’자두를 균일한 크기와 색깔로 선별한 후 수확 당일 그리고 수확 후 1일 후에 걸쳐서 각각 1-MCP를 1 μL · L?¹ 농도로 20℃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하여 대조구(무처리)와 비교하였다. 1-MCP를 처리한 후 14일 동안 상온에서 자두의 연화도, 과중감소율, 가용성고형물 함량 변화, 산도, 그리고 과실의 색깔 변화를 측정하였다. 과중감소율과 과실연화도는 1-MCP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서 적은 변화폭을 보여주었다. 1-MCP 처리 시기(수확당일 그리고 수확 후 1일) 간에는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1-MCP처리구의 과실에서는 산도와 과실의 색깔변화가 무처리구에 비해서 적게 나타났다. 또한 1-MCP는 저장 중에 발생하는 과실의 부패병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1-MCP 처리시기(≥1일) 연장은 상온저장시 과실의 경도, 산도, 과일 색깔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또한 과실품질 유지에 실용성이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The effects of 1-methylcyclopropene (1-MCP) for controlling ripening processes such as weight loss, fruit softening, soluble solids content (SSC), titratable acidity (TA), and fruit skin color were investigated and also the possibility that 1-MCP can inhibit the development of brown rot was explored in ‘Formosa’ plum (Prunus domestica L.). Fruit were treated with 1 ?L · L?¹ 1-MCP on the day of harvest and one day after harvest for 16 h at ambient temperature (20℃), followed by 14 days of shelf life. 1-MCP treatment delayed fruit softening, weight loss and changes in skin color and TA during the shelf life period, but did not affect SSC. These 1-MCP effects were similar with and without delayed treatment. 1-MCP treatment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brown rot caused by Monilinia laxa during storage. Our data shows that treatment delays of ≥ 1 day before 1-MCP application had no negative effect of fruit softening, fruit skin color, and TA at ambient temperature (20℃).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1-MCP can be used to maintain the quality of non-refrigerated plums.

      • KCI등재

        Growth,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trawberry as Affected by Propagation Method and Cultivation System

        Dong Il Kang(강동일),Jiangtao Hu(호강도),Yali Li(리야리),Byoung Ryong Jeong(정병룡)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9 No.4

        이 연구는 번식방법과 재배시스템별 딸기 ‘설향’ 품종의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삽목법과 유인법으로 번식된 이식묘를 토경과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진주의 딸기 재배농가에서 2018년 9월12일부터 한 작기 동안 재배하였다. 과실 수확은 2018년 12월 20일에 시작하여 작기가 끝날 때까지 4-5일 간격으로 계속하였다. 전 수확기간 동안 생육, 과실 생산성 및 품질을 측정하였다. 번식방법이 크라운 직경, 엽장 및 엽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재배시스템은 크라운 직경, 엽장, 엽폭, 엽록소 함량 및 엽수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전 수확기간 동안 포기 당 총 과실 수량과 과실 당 평균 과중은 토경재배 시스템에서 유의미하게 낮았다. 시장성이 없는 총 과일 비율은 수경재배 보다 토경재배 시스템에서 현저하게 더 높았다. 시장성이 없는 과일 토경에서는 주로 작은 과일인데 인데 반해 수경재배에서는 주로 기형 과일이었다. 전반적인 고품질 과실은 2월에 수확되었고,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토경에 비해 과실의 품질이 더 높았다. 삽목번식이 유인번식 보다 더 좋았고, ‘설향’의 과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경재배가 토경재배 보다 더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oductivity of strawberry plants as affected by propagation method and cultivation system. Transplants propagated by cutting propagation and pinning propagation were planted and grown for a whole production period in soil and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s. Growth parameters, fruit productivity, and fruit quality were measured during the whole harvest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propagation method and cultivation system had significant effects on vegetative growth of strawberry plants. Total fruit yield per plant and average fruit weight per fruit during the whole harvest perio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lants grown in soil cultivation system. Total unmarketable fruit ratio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soil cultivation system than that i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Small fruits were the primary unmarketable fruits in soil cultivation system, while malformed fruits were the primary unmarketable fruits i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The overall high quality of fruit was found in February, and the plants cultivated i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had higher quality of fruit as compared with that in soil cultivation system. It is concluded that cutting propagation is better than pinning propagation, and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is better than soil cultivation system for fruit productivity of strawber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