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公嶮鎭과 先春嶺碑의 위치 재검토

        김훈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9

        이 글은 공험진의 위치 관련 기록과 공험진 두만강 이북설을 검토하여 공험진의 위치를 비정하고, 공험진과 선춘령비 관계 및 선춘령 위치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고려사』 「지리지」ㆍ『세종실록』 「지리지」ㆍ『동국여지승람』에서 공험진의 위치에 대하여 공주(경흥), 두만강 이북 소하강 변, 두만강 이북 700리 선춘령 지역 등 3곳으로 파악하였다. 『세종실록』 「지리지」와 『동국여지승람』속의 소하강 변의 공험진에 관한 기록을 살펴보면 많은 모순되는 점과 잘못된 지리정보가 있다. 그러므로 두만강 이북 소하강 변의 공험진설은 신빙성이 떨어지며 윤관이 설치한 공험진은 두만강 이북에 위치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고려군은 두만강 하류에 이르러 공주(경흥)에 공험진을 설치하였다. 그리하여 경흥부(공주)가 공험진을 설치한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경흥부가 설치된 오늘의 함경북도 은덕군 고성동(고읍동) 일대가 공험진을 설치한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공험진의 초기 영역은 두만강 이남의 유역이라고 판단된다. 고려군은 공험진 경계 내의 선춘령으로 추정되는 경원의 복호봉에 비를 세워 두만강을 여진과의 경계로 하였다고 추정한다. 『세종실록』 「지리지」의 두만강 이북의 선춘령입비설은 1392년(공양왕 4) 고려에 내조한 오도리 여진부족에서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공험진에 주둔한 고려 정벌군은 여진의 방어망을 뚫고 두만강 이북으로 북상하여 왕청의 동쪽 노송령 지역에 ‘고려지경(高麗之境)’이라는 4자가 새겨진 경계비를 새로 세워 고려와 여진의 경계로 하였다고 보인다. 그리하여 공주에 설치한 공험진의 영역은 확대되어 남쪽으로 두만강 유역이고, 북쪽으로는 수분하 유역까지 이르렀다고 판단된다. This article is a record of the location of Gongheomjin and By reviewing the location of the Gongheomji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Gongheomjin,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bi relationship and it was to examine the location of Seonchunryeong. In 『History of Goryeo』Geographyㆍ『King Sejong Veritable Records』Geographyㆍ『Dongguk Yeoji Seungram』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gongheomjin Gongju(孔州) of the Tumen River, Soha Riverside north of the Tumen River, Seonchunryeong area, 700 ri north of the Tumen River kind found in 3 places. There are many inconsistencies and incorrect geographic information when looking at the records of Gongheomjin along the Soha River(蘇下江) in 『King Sejong Veritable Records』 and 『Dongguk Yeoji Seungram』.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gongheomjinseol of the Soha Riverside north of the Tuman River is not credible, and that the gongheomjin established by Yun Gwan(尹瓘) was not located north of the Tuman River. The Goryeo(高麗) army reached the lower reaches of the Tuman River Gongheomjin was established in Gongju. It is judged that Gyeongheungbu (Gongju) is the area where Gongheomjin was established. Today's Goseong-dong(Goeup-dong),Eundeok-gun, Hamgyeongbuk-do(咸鏡北道), where the Gyeongheung(慶興) Department was installed, can be seen as the area where Gongheomjin was installed. Gongheomjin's area of jurisdiction is judged to be the Tuman River basin south of the Tuman River. It is presumed that the Goryeo army built a monument on Bokhobong(伏胡峰) Peak in Gyeongwon(慶源), which is presumed to be Seonchunryeong within Gongheomjin, and set the Tumen River as the boundary with Jurchen. It is thought that the Goryeo conquest troops stationed in Gongheomjin broke through the Jurchen defense network and went north to the north of the Tuman River, and built a new boundary monument with the four characters inscribed with 'Goryeojigyeong (高麗之境)' in the Nosongnyeong(老松嶺) area east of Wangcheong(汪清) to mark the boundary between Goryeo and Jurchen. do.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area of Gongheomjin established in Gongju expanded to the Tumen River basin in the south and the Suifen River basin in the north.

      • KCI등재

        조선 초기 對明관계와 공험진

        한성주 백산학회 2015 白山學報 Vol.- No.103

        朝鮮초기 여진 세력의 귀속문제를 둘러싸고 조선과 明은서로 간에 치열한 외교전을벌여왔다. 명은몽골세력의위협과遼東을완전하게장악하지못한상황이었고, 조선역시대내외적으로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서 양측은 무력적 충돌보다는 외교적인 방법으로 요동의 女眞세력 귀속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명이요동에있던여진인들을招諭하여명에귀속시키려고하자, 조선은李成桂의세력기반으로서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고려 때 尹瓘의 여진 정벌에서 역사적 권원을 찾아 여진인 및 그 거주 지역에 대한 관할을 주장하였다. 그 중 핵심적인 것은 윤관이 설치했다는 公險鎭이었다. 조선은 윤관의여진征伐이豆滿江以北에대해실시된것이고, 공험진은두만강이북에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두만강 이북에 있는 공험진 以南부터는 조선의 관할 지역임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여 명으로부터 11處지역의 여진 귀속 문제를 승인받았던 것이다. 명은 조선의 주장을 승인하였지만, 여진 추장에 대한 초유를 계속하여 왔다. 특히 會寧의 斡朶里추장 童猛哥帖木兒의 명 入朝문제는 조선과 또 다른 외교문제가 되었다. 조선은 다시 공험진이남에대한주장과더불어동맹가첩목아가명이승인한11처지역의사람이라고주장하였다. 결국명은여진초무가조선과地面, 즉영토를다투는것이아님을분명히하였고, 영락제 역시 조선의 주장이 옳다고 하여 조선의 공험진 인식과 그 관할을 다시한번 인정하였다. 특히 조선은 공험진을 강조하면서 ‘역사적 권원’뿐만 아니라 이것을 인정받아 ‘실효적 지배’가 이루어져왔음을주장하였다. 조선의주장을인정할수밖에없었던명은동맹가첩목아가皇后의親族이라는 이유를 들며 그의 명 입조를 관철시켰다. 결국조선은고려시대윤관의여진정벌과9城축조이래공험진과先春嶺은조선의영역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하고 있었으며, 공험진은 두만강 이북에 있다는 사실을 들어 공험진 이남과 그 지역의 여진인들을 조선이 관할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명이 두만강 유역의 여진인들을 초유하려 하자 조선이 공험진 이남이 조선의 관할임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여 명의 승인을 받았다는 것은 공험진의 실제 위치와 관계없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당시 조선이 주장한 공험진은 두만강 이북이었으며, 두만강 이북에 위치한 공험진부터 조선의 관할로 인정을 받은 것은 당시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국제관계사적인 입장에서 보았을 때 국제적 공인을 받은 것이나 같다. 그리고 이것은 이후 세종대 6진 설치와 조선의 여진에 대한 정책에 주요 근거들이 되어 왔다는 점에서 조선이 명에 공험진 이남에 대해 ‘역사적 권원’과 ‘실효적 지배’의 주장을 하며 이것을 공인받은 것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려 윤관이 개척한 동북9성의 위치 연구

        이인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선도문화 Vol.23 No.-

        󰡔고려사󰡕 「지리지」 서문에 “고려의 북방영토는 서북은 당(唐) 이후로 압록을 경계로 하였고, 동북은 선춘령을 경계로 하였다. 서북은 고구려 지역에 못 미쳤으나, 동북은 고구려 영토보다 더 북상하였던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고려 국경 문제를 풀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단서인 동북9성의 위치에 대하여 한국사 교과서에는 “동북9성의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함흥평야 일대설’, ‘길주 이남설’, ‘두만강 이북설’ 등 여러 주장들이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아직 학계내에서 동북9성의 위치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첫째, ‘길주 이남설’은 조선시대의 ‘정통론’이란 소중화(小中華)의 입장에서 서술된 것으로써, 한백겸이 󰡔동국지리지󰡕에서 마운령 정상에 존재하는 ‘석추구기(石樞舊基)’가 진흥왕순수비라는 것을 확인하지 못한 채, 윤관의 선춘령 정계비로 추정한 결과이다. 둘째, ‘함흥평야설’은 일제의 관학자들이 주장하였으며, 한반도와 만주를 일제의 영구적 식민지로 만들려는 목적으로 조작한 식민사관 중의 반도사관에 의한 결과물이다. 셋째, ‘두만강 이북설’은 조선초기 기록인 󰡔고려사󰡕, 󰡔세종실록』 「지리지」·󰡔용비어천가󰡕·󰡔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들을 토대로 연구되어 졌으며, 동북9성은 두만강 이북 지역에 위치했었다고 서술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이들 문헌자료들의 거리와 지명 등을 근거로 현지를 답사하여 고증한 결과, 동북 9성 위치를 비정하는 주요 지명인 공험진과 선춘령은 두만강 이북에 위치했었음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적으로 고찰하면, 조선초기에 두만강 이북에 있는 공험진 이남부터는 조선의 관할 지역임을 주장하여 명으로부터 11처 지역의 여진 귀속 문제를 승인 받았다. 이 사실들로 볼 때 조선 초기에는 공험진이 두만강 이북에 있었다는 확고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인식 아래 명과의 외교 교섭을 벌여 두만강 이북에 대한 관할권을 인정받은 것이다.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동북9성이 두만강 이북 700리에 실재했다는 사실을 한국사 교과서에 명확하게 기록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경문제는 남북통일 이후 주변국과 매우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될것이 분명하므로, 먼저 우리 학계 내부에서 국경문제와 관련한 연구를 더욱 심화시키고, 나아가 국가 차원의 연구 지원사업을 통해서 동북9성이 고려 및 조선초기에 두만강 이북 현재의 흑룡강성 수분하 일대 및 연변 등 길림성 일대의 지역에 있었다는 인식을 전제로 현재의 연해주 일대까지 국가의 강역으로 경략하려 했다는 논의를 분명하게 정립할 필요 가 있다.

      • KCI등재

        선춘현(先春峴)과 공험진(公嶮鎭) 위치 고찰 -『세종실록』「지리지」및 고지도, 현지답사 등을 중심으로 -

        최창국 육군군사연구소 2017 군사연구 Vol.- No.143

        공험진은 고려 예종 3년(1108) 2월에 윤관이 동북지역의 여진족에 대한 제2차 정벌 후에 축성한 동북 9성 중 하나로 가장 북쪽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선춘령비는 여진족 토벌 후 고려와 여진족의 국경을 획정하기 위해 공험진 일대에 설립한 경계비였다. 하지만 공험진과 선춘령비의 위치에 대해서는 함흥평야설, 길주설, 두만강 일대설 등 여러 가지 학설들로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필자는 세종실록 지리지에 명확하게 기록된 공험진과 선춘령의 위치를, 현존하는 고지도와 1950년대 만주지도 및 현대 연변지도에 적용하여 비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중국 현지답사를 통해 공험진과 선춘령비의 위치가 두만강 이북지역이라는 것을 본 논문에서 증명하였다. 그렇지만, 현재 이 지역은 중국의 영토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곳이 과거 우리의 강역(疆域)이었다는 역사적 인식을 바탕으로 우리가 어떻게 해서 그 지역을 상실하게 되었고, 그 강역에 대한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미래지향적인 대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부족한 연구결과이지만, 이것이 후발 주자들에게 ‘우리민족의 역사적 강역’을 되찾는데 작은 이정표의 역할을 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Gongheonjin has been known as an one of the nine Castles in the northeast Goryeo which were constructed by General Yoon Gwan after the second conquest of the northeast Nuzhen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memorial stone of Seonchunleong in Gongheonjin area was installed to demarcate the border of Nuzhen after Goryeo conquered the region. But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location of Gongheonjin and Seonchunleong memorial stone. The three different proposed areas are: the Hamheong Plain, Gilju in Hamgyeong Province and the Tuman River area. I tracked the location of Gongheonjin and Seonchunleong based on Sejong Silok(record of King Sejon in the Joseon Dynasty), existing antique maps, recent Yanbian map and Manchuria map from the 1950's. As a result, I proved that the location of Gongheonjin and Seonchunleong is in the north of the Tuman River through an on-site exploration of the Chinese territory. However, the area now belongs to China. Thus, we must remain concerned and come up with future-oriented alternatives to correctly acknowledge the history behind the seizure of the region, and to protect the identity of the region. Although the study may seem insufficient, I hope that it will be a good guidance to researchers who try to retrieve the history of our people.

      • KCI등재후보

        『환단고기』의 「단군세기」와 「고려본기」를 통해 본 살수, 선춘령, 공험진의 위치 고찰

        신민식 바른역사학술원 2022 역사와융합 Vol.- No.12

        One theory indicates that ‘Salsu is a river in the Korean peninsula’, the Salsucheongsheon River; the other theory tells that ‘Salsu comes from under the Hon River’, part of the water stream of the Yoyang River. Further, with regards to the location of Seonchunryeong, and Gongheumjin, two different stories are told: ‘Hanbando’, and ’Tuman River’, similar to the stories of ‘Giljuleename’, and ‘hamheungpyeongya’. Many other papers including ‘Samguksagi’ claim that Gongheumjin and Seonchunryeong are located 700 li north of the Tuman River. The exact location of Gongheumjin and Seonchunryeong is still unknown because the geographical names suggested in the historical documents are difficult to confirm. An important source of material is in 「Hwandangogi 」, to determine and confirm the exact location of Gongheumjin and Seonchunryeong. These theories will be thoroughly examined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 of 「Hwandangogi」, which will be the key to determining the exact location. 현재 학계에서는 살수, 선춘령, 공험진의 위치에 대해서 의견이 분분하다. 살수가 한반도 내의 강인 ‘살수 청천강’설과 살수는 요양의 수계(水系)인 혼하에 해당한다는 ‘살수 혼하설’이다. 특히 살수 혼하설은 살수 위치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인 ‘압록수’가 현재 북한의 ‘압록강(鴨綠江)’이 아니라 한자가 다른 고구려 시기의 ‘압록강(鴨綠江)’인 ‘요하’라는 논문을 통해 살수 혼하설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학설들의 주장에 대해 살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환단고기』의「단군세기」 와 「고려본기」 사료를 통해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공험진, 선춘령의 위치에 대해 ‘길주 이남설’, ‘함흥평야설’같은 ‘한반도설’과 ‘두만강 이북설’ 이 있다. 『삼국사기』를 비롯한 많은 사서를 근거로 공험진, 선춘령은 두만강 북쪽 700리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두 가지 다른 학설 속에서 아직도 공험진 선춘령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가 없는 것은 사료에 제시한 지명들이 지금은 잘 확인할 수 없는 지명들이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공험진, 선춘령에대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사료가 『환단고기』의 『단군세기』와 『고려본기』에있기에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선춘령과 공험진의 위치 고찰에 관한 연구

        이상태 ( Sang Tae Lee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6 學林 Vol.37 No.-

        고려시대 윤관(尹瓘)이 동북면 쪽의 여진족을 물리치고 9성(城)을 쌓았는데 그 위치에 대하여 여러 가지 학설(學說)이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이나 고려사 등에서는 9성의 위치를 두만강 북쪽 700리 지점에서부터 두만강 유역 일대까지로 비정하였다. 조선후기의 실학자 일부와 근대의 일본인 학자들은 9성의 위치를 길주이남 함흥평야일대로 비정하였다. 일본인 학자 가운데서도 9성 지역을 가장 축소해 보았던 이케우치히로시는 공험진을 함흥평야 일대로 한정하고, 실제 함흥 부근의 고적을 조사하여 9성의 위치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일인 학자들의 학설은 고려나 조선의 국력을 과소평가하려는 식민지 사관에서 출발한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이나 『고려사』의 기록을 검토해보면 일인학자들의 주장은 터무니없음을 알 수 있다. 윤관이 설치한 공험진과 선춘령비는 9성 중에 가장 북쪽에 위치하였고, 두만강 북쪽 700리 지점에 있다고 기록되었으므로 만주 지역을 답사하여 어느 정도위치를 비정할 수 있었다. 첫째 조선은 건국하고 바로 명나라와 만주 지역의 여진족 관할권을 협상하여 명나라로부터 인정받았다. 세종은 김종서에게 선춘령비의 위치를 확인하여 보고하라고 지시하였다. 김종서는 경원부에서 선춘령에 이르는 이정을 두 갈래로 파악하여 보고하였는데 이 내용이 『세종실록지리지』에 수록되어 있다. 둘째 조선시대에는 많은 북방쪽 지도가 제작되었다. 15세기 제작된 『팔도지도』에서도 공험진과 선춘령비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그 후 17세기에 제작되는 『동여비고』나 『봉화산악팔도지도』에서도 선춘령비를 잘 나타내고 있다. 18세기 들어 제작된 『요계관방도』 나 『서북피아양계만리지도』에서도 선춘령비를 표시하였으며, 19세기에 제작된 『관서총도』에서도 윤문숙공비라고 표시하고 있다.셋째 실제 답사를 통하여 선춘령비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었다. 북한지역은 갈 수가없지만 두만강탄에서 북쪽으로 90리에 오동사오리참이 있다고 하였으므로 두만강가의 회령 삼합진에서 출발하여 화용까지 가면 30km이므로 여기가 오동참일 것이다. 여기에서 60리 북쪽에 하이두은이 있는데, 실제로는 화용에서 용정까지는 22km이므로 용정이하이두은일 것이다. 여기까지는 실록의 기록이나 현지의 답사 기록이 비교적 일치하므로 별다른 문제점이 없다. 여기 하이두은에서 100리에 해당되는 곳이 영가참인데 이 영가참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그것은 현지 사정이 조선초기보다 많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연길시가 발달되지 않고 국자가(局子街)라는 조그마한 마을이었는데 지금은 연길시가 발달되어 있고, 도로 사정도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세종실록지리지.에 표시된 영가참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다. 현지답사로는 용정에서 연길까지는 21km이므로 50리이다. 연길에서 50리인 20km를 더 간 곳이 영가참일 것이다. 연길에서 중국의 영고탑 쪽으로 20km를 더 간 곳에 영가참의 예정지를 찾아야 하는데 이러한 지역은 왕청현의 백초구령이 유력하다. 또 다른 도로는 현성에서 출발하여 어라손참을 거쳐 허을손참을 지나 유선참을 거쳐거양성에 도달하는 교통로인데 실제 답사하면 왕청현 부근의 백초구령이 선춘령에 해당된다. 백초구령 부근에는 고려촌이 있는데 지금은 고성촌과 려성촌으로 나누어졌지만, 그곳주민을 면담한 결과 그곳에 성(城)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종실록지리지의 기사 내용과 만주 지역을 실제로 답사한 결과와 고지도 표기 등을 종합하면 윤관의 공험진과 선춘령비는 오늘날 왕청현의 백초구령에 있었을 것이다. General Yoon Kwan of the Goryeo Dynasty defeated the Yeojin(Jurchen) Tribes of the Northeast of Korean Peninsular and built the Nine Citadels, and there used to be various theories on their location.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the History of Goryeo(高麗史), the Nine Citadels were located within 700 li north of Tumen River. A few Silhak scholars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modern Japanese scholars set their location to the Hamheung Plain area of south Gilju. Ikeuchi Hiroshi who asserted the most reduced domain of the Nine Citadels among the Japanese scholars limited Gongheomjin to the Hamheung Plain area, and set up the location of the Nine Citadels by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remains around the Hamheung area. This theory embodied by the Japanese scholars was origina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lonialist histography which was mean to underestimate the national power of Goryeo or Joseon. Review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History of Goryeo, it is obious their claims are illogical. Since it is written that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bi set by General Yoon were located in the northmost region among the Nine Citadels and the area 700 li north of Tumen River, its approximate location can be decided by making a field investigation of Manchuria region. First, after established, the Joseon negotiated with the Ming Dynasty on the jurisdiction of the Yeojin Tribes of Manchuria region and gained recognition. King Sejong commanded General Kim Jong-seo to check and report the location of Seonchunryeongbi. General Kim found out and reported that there are two road branches from Gyeongwonbu to Seonchunryeong, which are recorded on the King Sejong’s Treatise on Geography. Second, many maps covering northern regions were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location of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bi is marked on the Map of Eight Provinces produced in the 15th century. Dongyeobigo and Bonghwa-sanak-paldo-jido produced in the 17th century also marked the Seonchunryeongbi. Map of the Yogye Borderland and Seobuk-pia-yanggye-malli-jido produced in the 18th century also marked the Seonchunryeongbi, and Kwanseochongdo produced in the 19th century marked the Yoonmoonsook-gongbi. Third, through the actual field investigation, the location of Seonchunryeongbi were able to presumed. Despite we are not allowed to investigate the North Korean region, based on the opinion that there is Odong-saoricham in 90 li north of Tumen River, if leaving from Samhapjin, Hoeryong of Tumen River up to Hwayong, the destination would be Odong-cham, which is 30km away from the original point. Haidueun in 60 li north from there might be Yongjeong, since the distance from Hwayong to Yongjeong is 22km. As far as here, the record in the Annals corresponds with the record of field investigation, and there is no particular issue. However, Yeonggacham which is in 100 li from Haidueun is very difficult to find. That is resulted from the changed local situation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Yanji City was previously underdeveloped and used to be a small town named Kukjaga, but now Yanji City is developed and road situation has been changed, and therefore finding Yeonggacham marked on the King Sejong’s Treatise on Geography is challenging. By field investigation, the distance from Yongjeong to Yanji City is 21km or 50 li. 50 li or 20km further away from Yangji City must be Yeonggacham. The intended destination can be found at the area 20km further away to Ningguta from Yanji City, hence Baekchogu-ryeong in Wangqing County is the most potential destination. Another road is starting from Dongrim Province through Eorasoncham, Huheulsoncham, and Yooseoncham to Geoyang Province, and Baekchogu-ryeong of Wangqing County is correspond to Seonchunryeong by making a field investigation. There is a Goryeo village around Baekchogu-ryeong which is currently divided into Goseong Village and Ryeoseong Village.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that there used to be a citadel. Based on the evidence on the article on the King Sejong’s Treatise on Geography, the field investigation on Manchuria region, and the marks on old maps altogether, Gongheomjin and Seonchunryeongbi set by General Yoon is strongly presumed to be located at Baekchogu-ryeong in Wangqing County.

      • KCI등재

        경원부의 위치에 관한 소론

        복기대(Bok, Gi-Da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8

        조선 전기의 북방 국경선은 함길도 경원부였다. 이 경원부는 조선왕조의 발상지라는 뜻으로 ‘경원’이라 하였다. 이렇게 경사스러운 위치였다고는 하지만 이 지역은 조선, 여진, 명나라의 분쟁지역이었다. 그렇지만 조선은 성지였기 때문에 지켜야 했고, 지키는 과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결국 포기하였다. 그러나 경원부를 포기하면서 더 큰 문제들이 발생하자 다시 회복하였다. 그러면서 조선의 국경은 경원부로 공식화 하였다. 그런데 이 경원부의 위치에 대하여 대부분 현재의 두만강 중심이라고 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자료를 확인해본 바 경원부는 고려 시대의 공험진 자리에 있었다. 그리고 이 공험진은 두만강 건너 700리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렇다면 지금의 두만강과는 상관이 없을 수도 있다. 게다가 현재 두만강으로 국경선을 정한 것은 1909년이다. 그 이전에는 이 두만강이 국경선이 아니었다. 어쩌면 또 다른 두만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아마도 연변의 해란강도 하나의 가능성일 수 있다. 그런데 어떻게 해서 지금의 두만강으로 조선의 국경선이 확정되었을까? 그것은 1909년 일본이 대한제국을 침략하고 가장 먼저 한 사업이 역사를 말살하는 작업이었기 때문이다. 즉 ‘반도사관’을 만든 것이었다. 이 작업은 결국 모든 한국사는 북으로는 두만강, 서로는 지금의 압록강으로 하여 그 안에 모든 것을 넣어 버린 것이다. 그 결과가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는 것이다.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면서 역사시대뿐만 아니라 현대의 국제정치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안에 자리잡힌 한국 국경사를 바로 잡아야 하고, 그 과정에서 먼저 해야 할 것은 바로 경원부 위치를 찾는 것이 우선이라고 본다. The northern border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Gyeongwon-bu, Hamgil-do. This Gyeongwonbu was called Gyeongwon, meaning the birthplace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it was such an auspicious location, it was a disputed area of Joseon, aftershocks, and Ming China. However, Joseon had to protect it because it was a sacred place, and it eventually gave up due to many difficulties in protecting it. However, he gave up on the ministry and recovered after bigger problems arose. However, the border of Joseon was officially established as Gyeongwonbu. However, most of the locations of the Gyeongwon area are currently centered on the Tumen River. However, as I checked the data, the Ministry of Economic Affairs was in the position of public experience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is recorded that this experimental group was located at 700-ri across the Tumen River. Then, it may not have anything to do with the current Tumen River. The possibility is that the Tumen River was established in 1909. Before that, the Tumen River was not a border. Perhaps there is another Tumen River. Perhaps there is one possibility of a thawing intensity of the deflection. Nevertheless, how did the border of Joseon be established with the current Tumen River? It was Japan"s invasion of the Korean Empire in 1909 and the first project it did was to exterminate history. In other words, it was to create a semiconductor pipeline. In the end, all Korean history was composed of the Tumen River in the north and the Yalu River in the present day, and everything was put into it. The result continues to this day. This result continues to this day, affecting not only the historical era but also modern international politics. The Korean border history, which is located in these two areas, needs to be corrected, and the first thing to do in the process is to find the location of the Gyeongwon Department.

      • 우리 영토의 축소과정과 왜곡된 국경선 문제 연구

        이일걸 간도학회 2019 간도학보 Vol.2 No.1

        The current border line between Korea and China is not an original boundary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a distorted border line from the Amnok River to the Duman River under Article 1 of the 1909 Gando Convention that was illegally entered into by Japan and the Qing. Thereafter, the Korea-China border has been drawn as such in maps showing Korea. At the time, Japan illegally assigned the sovereignty over Gando to the Qing in order to acquire railroad extension/construction concessions and coal mining concessions needed for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continent. Those who are unaware of the afore-said execution process of the Gando Convention understand that the Amnok River·Duman River border line was demarcated in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is border line decided at Japan’s discretion was an illegal act committed by the country for its own interests, ignoring historical facts that the Joseon Dynasty dispatched gwanrisas to East and West Gando and put the opposite area from the Amnok River under jurisdiction of Pyongan Province. Furthermore, the Amnok River·Duman River border line disregarded the Korea-China demarcation shown in numerous Western ancient maps. After Japan annexed Korea, Japan started to compile History of Joseon Peninsula from the Japanese colonial historical perspective, represented by shared Japan-Joseon origins, stagnancy and heteronomy, for its colonial rule in Korea. And then Japan set up the “Joseon History Compilation Association” in 1925 and started to publish Joseon History in 37 volumes from 1932. Naturally, Joseon History, with many distortions and inaccuracies to justify Japanese colonial rule, put a huge influence on Korean historical developments thereafter. Japanese colonial historians claimed that all of Korean historical facts occurred within the Korean Peninsula. They decided that Wanggeom-seong, i.e. the capital city of Gojoseon, and Lelang Commandery were located in Pyeongyang near the Daedong River and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were establish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y even claimed that the 9 fortresses built by General Yun Gwan to the northeast of the Goryeo-Jurchen border were located around currently Hamgyeong Province in North Korea, misrepresenting Gongheomjin in Seonchunryeong about 700 li north of the Duman River. Furthermore, they diminished the territory of Goguryeo by asserting that Goguryeo’s new capital established by King Jansgu was Pyeongyang on the Korean Peninsula. They even curtailed the territory of Goryeo within the Korean Peninsula although Goryeo’s border reached the Liao-ho River to the West and Gongheomjin to the North. These distorted historical claims based on Japanese colonial historiography started from Lee Byeong-do, a successor to Japanese colonial historians, and then have been ceaselessly advocated by his disciples in accord with his views. Eventually, the maps based on such distorted historical theory misrepresent the territory of Korea, thereby causing huge damage to the country in the future. Above all, historical circles should reflect on the past in order to rectify the incorrect border line between Korea and China on maps as well as Korea’s history that was largely distorted by the colonial historians. Moreover, such rectification should be made through critical and academic discussions with mutual candor for the self-purification of historical circles.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지도의 국경선은 본래 형성된 국경선이 아니다. 즉, 일본이 청과 불법 체결한 1909년 ‘간도협약’ 제1조에 근거하여 압록강ㆍ두만강선으로 왜곡된 국경선이다. 이후 제작된 모든 한국지도의 한ㆍ중국경선은 이와 같이 그려졌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간도협약의 체결과정을 모르는 대부분은 압록강ㆍ두만강선이 한말(韓末)에 획정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일본이 임의대로 정한 압록강ㆍ두만강선은, 그동안 조선정부가 행한 동ㆍ서 간도지역의 관리사 파견이나 압록강 대안지역을 평안도에 배속시킨 역사적 사실을 무시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한 불법적인 행위였다. 이와 같은 식민사관에 젖은 우리 학자들도 이를 계승하여 간도에 대한 한말의 역사적 통치행위와 무수한 서양고지도의 표기마저 무시 하였다. 이후 일본은 구한국을 병합한 후 그들이 식민지 통치상 필요에 의거하여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 정체성론(停滯性論), 타율성론(他律性論)의 식민사관에 입각한 ‘조선반도사’의 편찬에 착수하였으며, 1925년 ‘조선사편수회’로 확대 개편하여 1932년부터 ‘조선사’ 37권을 간행하였다. 식민지 통치를 위해 왜곡 간행된 ‘조선사’가 이후한국사 전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은 당연하였다. 이들 일본식민사학자들은 모든 한국의 역사를 반도 내에 비정하였다.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과 낙랑군의 위치를 대동강 부근 평양으로, 한사군의 위치를 한반도 북부에, 윤관의 동북 9성은 함경도 일대에 비정하였다. 장수왕이 천도한 도읍지조차 평양에 왜곡 비정하였으며, 국경선이 요하(遼河)에서 공험진에 이르렀던 고려의 영토마저 반도 내로 축소시켰다. 또한 일본은 긴도협약으로 서간도지역을 제외시키고 동간도 동부로 축소시켰다. 이와 같이 우리의 역사와 영토를 축소시킨 일제식민사관을 계승한 이병도 일파에 의해 이들의 이론이 더 극성을 부리고 있다. 결국 이들의 왜곡된 역사이론을 바탕으로 제작된 지도 역시 잘못된 우리 영토의 강역을 표시하고 있으며 장래 국가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줄 것이다. 이제 이들 일제식민사학에 의해 크게 왜곡된 우리 역사와 잘못 표시된 지도상의 국경선과 실상을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또한 스스로 자정(自淨)할 수 있도록 상호 기탄없는 학문적인 비판적 토론의 장을 거쳐 바로잡아야 한다.

      • KCI등재

        신채호의 문학과 국가사상 - 영토의식을 중심으로

        김주현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3 No.2

        본고에서는 단재의 저술에 나타난 영토의식을 논의했다. 단재는 애국계몽기부터 역사 연구에 진력했다. 그가 애국전기를 쓴 것도 역사 인식의 일환이었다. 그는 역사 기술에 있어서 ‘영토 지리’에 주목하였으며, 그래서 이전 역사가들이 우리 영토를 축소하거나 엉뚱하게 말한 것들을 비판하였다. 중국에 머물 당시 중국인들의 잘못된 역사의식도 비판하며 바로잡으려고 노력했다. 「만리장성」이라는 글은 그러한 관점에서 쓰여졌다. 특히 단재는 1910년대 연해주, 만주 등지를 광범위하게 답사하고 우리의 고대 강역을 획정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고조선의 영토가 연해주, 만주 등지에 이르렀으며, 고구려 역시 봉천, 직예, 몽고 일부를 영유했다고 하였다. 아울러 백제가 중국 요서(遼西) 지역을 경략하였다는 대륙 경략설을 주장했다. 또한 발해를 우리의 역사에 편입시켜 기술했으며, 고려 역시 두만강 이북 공험진을 영유했음을 언급했다. 이러한 것들은 중국의 각종 문헌들을 읽고 실증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단재의 영토지리에 대한 인식은 「꿈하늘」에 잘 드러난다. 단재는 이 작품에서 우리의 고토를 회복하자는 다물정신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것은 개인이 민족 주체로 거듭나 궁극적으로 ‘아와 비아의 투쟁’에서 승리하는 것이다. 단재의 역사 연구는 고토에 대한 인식과 회복 염원을 보여준다. 우리도 역사를 바르게 인식하고 지리 강역을 실증적으로 밝혀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세종 6진의 위치 비정 비판

        최원호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4

        국경사는 즉, 영토사이다. 조선 전기 국경사의 중심은 세종 때의 4군6진(四郡六鎭) 개척이다. 그 중에서 6진은 조선 전기 동북면지역 국경사의 핵심이다. 필자는 현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비정된 6진 위치를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사방 경계 기록과 비교하여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교과서에는 6진 지역이 북한의 두만강 변인 함경북도 지역이라고 기술하고 있지만 6진 개척 당시의 기록인 『세종실록지리지』에는 6진을 포함한 여섯도호부의 사방(四方) 경계가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북쪽의 경계를 알 수 있는 ‘공험진’과 ‘선춘령’에 이르는 노선이 정확히 기록되어 있다. 이에따르면, 한국사 교과서에서 비정한 6진 면적(함경북도 북부지역)이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6진 면적보다 약 다섯 배 정도 작다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