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반 물성치의 공간적 분포에 따른 터널 변위 특성 분석

        송기일,조계춘,Song, Ki-Il,Cho, Gye-Chu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6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8 No.3

        지반 설계 인자는 공간적으로 분포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는 터널의 설계와 시공과정 뿐만 아니라 장기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터널의 수치해석을 위한 설계 지반 인자는 대상 영역을 대표하는 값 또는 대상 영역의 광역적 평균값 등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지하공간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설계 지반 인자의 불확실성 및 공간적 분포 또한 증가한다. 결국 이러한 불확실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의 확대는 해석의 정확성 및 신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대형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위해 지반 물성치들의 공간적인 분포에 대한 정량적인 조사가 설계시 포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 물성치 및 구조적 설계 인자의 공간적 분포가 터널의 변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여러 COV(Coefficient of Variation)에 따라 정규분포하는 지반 물성치의 공간적 특성이 이상화된 원형 터널의 변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터널에서 숏크리트의 강도의 공간적 분포가 터널 변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간적 분포의 COV가 증가할수록 터널 주변 발생하는 변위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 결과 이들은 지반 물성치에 따라 고유한 계수를 갖는 삼차방정식으로 표현된다.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esign parameters greatly affects tunnel behavior during and after construction, as well as in the long-term temporal responses. However, the tunnel design parameters commonly used in numerical modeling tend to be representative or average values of global-scale properties. Furthermore, the uncertainty and spatial variation of the design parameters increase as the tunnel scale increases. Consequently, the probability of failure also increases. In order to achieve structural stability in large-section tunnels, the design framework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quantitative effect of design parameter variations on tunnel behavior.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statistical approach to numerical modeling to explore the effect of spatially distributed design parameters in a circular tunnel. Also, the effect of spatial variation in the lining strength is studied in this paper. The nume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deformation around the tunnel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variation of the design parameters.

      • KCI등재

        세력권 방식의 공간적 연관성을 이용한 인구분포 변화 분석

        김호용 국토연구원 2012 국토연구 Vol.73 No.-

        Recently, there has been a wide range of research in space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spatial relationship such as spatial autocorrel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set a spatial-weighted value according to the analysis target since spatial effects differ due to a variable affecting space in the study of applying spatial relationship. It is, however, as a matter of fact that researches with regard to setting methods and usefulness of spatial-weighted values fit for the analytic purpose lack.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an appropriate model for analyzing the population distribution change and spatial-weighted value setting by applying the concept of spatial relationship.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using the population data collected every 5 years for 50 years since 1970 interpreted the population distribution change as well as exploring urban planning backgrounds including a large scale development affecting chronological population change. In order to interpret population change and spatial relationship, Anselin’s local Moran’s I model useful for spatial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and spatial-weighted value methods for the sphere of influence type regarding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ccumulation unit and applying the reaching distance of influence from each respective unit were well-suited. 최근 공간적 자기상관과 같은 공간적 연관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공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공간적 연관성을 적용한 연구에서 공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의 특성별로 공간적 영향력이 다르므로 분석 대상에 따라 공간가중치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분석 목적에 맞는 가중치의 설정방안과 유용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연관성 개념을 적용하여 인구분포 변화를 분석하는 과정에 적합한 모델과 공간가중치 설정방안을 제시하였다. 1970년부터 5년 단위로 50년간 인구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의 결과는, 각 시기별 인구 변화에 영향을 준 대규모 개발행위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적 배경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인구분포 변화를 해석하였다. 인구의 변화 및 공간적 관련성의 해석을 위해서는 공간적 군집성(cluster)과 이례치(outlier) 분석에 유용한 Anselin의 국지적 Moran’s I 모델과 집계단위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고려하고 각 개체로부터 영향력이 미치는 거리를 적용한 세력권 방식의 공간적 가중치방법이 적합하였다.

      • KCI등재

        대기오염도의 공간적 분포 변화 분석 :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권오상,안동환,김원희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2004 자원·환경경제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 대기오염 측정망의 오염물질별 연평균 오염도 측정치를 이용하여 최근 10년간의 수도권내 대기오염도의 공간적 분포 및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커널확률밀도함수를 추정하고, 또한 지니계수와 엔트로피계열의 불평등지수를 계측하였으며, 분석기간중 오염도의 공간적 분포 변화에 대한 통계적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10년간 수도권 지역의 SO₂, NO₂, O₃와 CO등 대기오염물질 오염도의 지역격차는 대체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아니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위상관 분석 결과 분석기간 중 오염물질의 공간적 분포에 상당한 정도의 동태적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ambient levels of air pollutants(SO₂, NO₂, O₃, CO, and PM)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the data obtained by the air pollution observation stations. This study estimated a non-parametric kernel density function and two types of inequality indices, Gini and Entropy. Our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inequality in spatial distribution of air pollution, in general, tends to be stable or slightly decreasing for the period of 199O~ 2001.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ynamics of air pollutionlevels in terms of spatial rankings.

      • KCI등재

        수도권 사회적 기업의 지역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임은숙,이희정 한국도시부동산학회(구 도시정책학회) 2013 도시부동산연구 Vol.4 No.2

        This study has started from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s as a positive effect of the local community had realized an assessment of the Social purpose. But the volumetric expansion of the rapid performance-based is being evaluated as negative. Therefore, this study prepared by one of the measures for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and approach to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location on the social enterprise of the city. 2012 social enterprises (774units) in 44% (342units) of companies are concentrated in Capital Area. But the sites were limited as a metropolitan area.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nterprise is affected by the level of incomes and social services to the consumer. Because low-profit in nature than the nature of social enterprises, private enterprises can enjoy the low cost of social services such as education, health care, child care, and culture. Social enterprise sector in the distribution of each industry could appear i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basis for this study by identifying the status of the distribution and support of social enterprises through the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s, regional industry index of social enterprises, regional and sector differentiation strategy will be used as a strategic material for the future as a social enterprise.

      • KCI등재

        지식정보직업군의 공간적 분포 분석

        조동기(Dong-Gi Cho) 한국인구학회 2003 한국인구학 Vol.26 No.2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 사회변동의 주요 동인의 하나를 지식정보화라고 전제하고, 지식의 창조와 사회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지식정보직업군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분석을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제시하고 있다. 1995년 및 200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가지고 분석해 본 결과 한국 사회에서 관료제화 및 지식정보화가 지역별로 불균등하게 진행됨에 따라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 및 그 주변에서는 지식정보직업군이라 할 수 있는 전문ㆍ기술직과 관리ㆍ행정직의 비중이 높아지는 반면에, 나머지 지역은 여전히 전통적인 직업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포의 불균형은 대도시 내부에서도 나타났는데, 서울의 경우 지식정보직업군은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로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분포의 이러한 공간적 불균형은 산업사회의 전형적인 결과라 할 수 있으며 지식정보화에 따라 쉽게 발전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정보기술의 사회경제적인 활용에 대한 적절한 정책적 대응이 이루어진다면 지역적 불균형이나 양극화는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spatial distribution of the knowledge-information occupations by utiliz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The knowledge-information occupations, comprised mainly of professionals, engineers and managers, have played a key role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The uneven development of bureaucratization and informatization among regions have resulted in unequal spatial distribution of the knowledge-information occupations. Analysis of 1995 and 2000 Census shows that these occupations tend to concentrate in some major metropolitan areas, while the other areas show rather traditional occupational structure. This spatial unequality has been also found in the occupational distribution within Seoul. This tendency of spatial concentration in the occupational distribution inherited from the industrial society and is not going to diminish in the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More aggressive policies to make the most of decentralizing impac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hould be implemented to counter-balance this tendency.

      • KCI등재

        A Hybrid Dasymetric Mapping for Population Density Surface using Remote Sensing Data

        Hwahwan Kim(김화환),Jinmu Choi(최진무) 대한지리학회 2011 대한지리학회지 Vol.46 No.1

        단계구분도는 인구분포를 나타내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방법으로 인구가 단위지역 내에 균등하게 존재함을 가정한다. 대시메트릭 지도제작법은 주거지역 정보를 통해 단계구분도보다 공간적으로 더 세밀한 인구분포를 작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피크노필랙틱 보간법은 단위지역 내 총인구를 유지하면서 주연지역의 인구를 고려하여 인구분포를 보간하는 방법으로 대시메트릭 지도제작법에 의한 인구분포를 연속적이고 부드럽게 하여 좀더 현실적인 인구분포도를 작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시메트릭 지도제작법과 피크노필랙틱 보간법을 연계하는 방영을 제시하여 안구분포도의 정확도를 향상하고자 하였다. 제시한 방법을 적용하여 인구분포도를 작성하기 위해 1990년도 미국 조지아주 Athens 시의 인구자료와 위성영상으로부티 추출된 주거지역 자료를 활용하였다.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인구분포도 작성에 활용된 공간단위보다 더 세밀한 공간단위의 인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하이브라드 방법에 의해 높은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하이브라드 대시메트릭에 의한 인구분포는 선거구, 학군, 분수계 등 각종 경계지역으로 변환이 용이해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horopleth mapping of population distribu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people are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each enumeration unit. Dasymetric mapping technique improves choropleth mapping by refining spatially aggregated data with residential information. Further, pycnophylactic interpolation can upgrade dasymetric mapping by considering population distribution of neighboring areas, while preserving the volumes of original units. This study proposed a combined solution of dasymetric mapping and pymophylactic interpolati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population density distribution. Specifically, the dasymetric method accounts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pulation within each census unit, while pymophylactic interpolation considers population distribution of neighboring area. This technique is demonstrated with 1990 census data of the Athens, GA. with land use land cover information derived from remotely-sensed imagery for the areal extent of populated areas. The results are evaluated by comparison between original population counts of smaller census units (census block groups) and population counts of the grid map built from larger units (census tracts) aggregated to the same areal units. The estimated populations indicate a satisfactory level of accuracy. Population distribution acquired by the suggested method can be re-aggregated to any type of geographic boundaries such as electoral boundaries, school districts, and even watershed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 KCI등재

        수도권 외국인의 출신국적에 따른 거주지의 공간적 분포

        이자원,김혜진 국토지리학회 2017 국토지리학회지 Vol.51 No.2

        Since the late 1990s, the number of immigrants has increased rapidly, and international migrants have begun to be actively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multiculturalism'. Korea is also experiencing the phenomenon of immigration of metropolitan immigrants that had experienced earlier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for integrating the regional sociery. It is expected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oreign migrants will be understood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foreign resi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their nationality.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the immigran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nationality and map the distribution of residence to the immigrants of the nationality which occupy the highest ratio using statistical data of Ministry of Justice. The Global Moran's I and the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LISA)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clusterability and spatial correlation of foreigners by nationality. Among the foreign resident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population of China is the largest, including Korean-Chinese, and the population has increased by more than 14 times from 1999 to 2015. They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foreign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y are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local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2010 and 2015, Chinese residents have formed residential areas around Guro-gu, Yeongdeungpo-gu, and Dongjang-gu, and Korean Chinese have formed new clusters in Danwon-gu in Ansan city and Siheung city in 2015. Most of them are classified as unprofessional labor force, and it is remarkable that the distribution of settlement is formed based on nationality. The marriage migrants have more spreaded out compared to labor based migration, and the US, Europe, and Japan have formed hot spots due to cultural background rather than industrial distribution. 한국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외국인 이주가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다문화’라는 관점에서 국제이주민에 대한 논의가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한국 역시 영국과 미국 등에서 경험한 외국인 이주자의 대도시권 집중 현상이 나타나고있고, 이들의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수도권 시·군·구 및 읍·면·동의 외국인 이주자의 거주지 분포와 국적별 외국인의 거주 중심성을 분석함으로써 외국인 이주자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외국인 이주자들을 국적별로 구분하고, 법무부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상위 비율을 차지하는 국적의 이민자들에 대한 거주지 분포를 지도화 하였다. 또한 글로벌 모란 I지수(Global Moran’s I)와 로컬 공간연관성지표(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LISA)를 측정하여 국적별 외국인의 군집성과 공간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한국계 중국인을 포함한 중국 국적 인구가 수도권의 외국인 분포 중 절반 이상을 점유하고 있고, 1999년 이후 2015년까지약 14배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2010년과 2015년의 로컬 공간연관성 분석 결과, 중국인은 구로구, 영등포구, 동작구를 중심으로 거주지를 형성하고 있었고, 한국계 중국인의 경우는 2015년에 안산시 단원구와 시흥시에 새로운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비전문직 노동력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국적을 기반으로 거주지의 분포가 형성되고 있음이 두드러진다. 결혼 이주자들은 노동이주에 비해 거주지의 분포가 확산되어 있음이 나타나고, 미국과 유럽, 일본의 경우는 산업의 분포보다 문화적 기반에 기인하여 핫스팟을 형성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 KCI등재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공원 분포의 공간적 패턴탐색 연구-서울시를 사례로-

        김진원,윤병국,윤성식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6

        도시공원은 공공위락시설로서,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위락적, 환경적, 교육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시공원 분포의 공간적 패턴들을 탐색하는 것은 보다 효과적인 위락 계획 및 정책수립을 위한 핵심과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도시공원들의 공간적 패턴들을 탐색하는 것으로서, 도시공원의 공간적 분포특징들과 전역적, 국지적 차원에서의 도시공원에 대한 지역별 접근성의 공간적 패턴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점 패턴 분석이나 탐색적 공간 자료 분석과 같은 다양한 공간통계기법들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서울시의 도시공원의 분포는 공간적으로 균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도시공원의 접근성에 대한 많은 핫스팟 지역들은 주로 남쪽지역(송파구, 서초구, 강남구, 노원구(예외), 양천구)에서 관측된 데 비해, 콜드스팟 지역들은 주로 북쪽지역(종로구,성북구, 은평구)에서 관측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도시공원에 관한 보다 효과적인 여가계획 및 정책수립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rban parks have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important recreational facilities with recre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al, social, and economic significances. Exploring the spatial patterns of urban park distribution is an essential responsibility of public leisure providers for establishing better recreation policy and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patial patterns of the urban park distribution in Seoul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Several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point pattern analyses and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was employed to explore the spatial patterns of urban parks distribution and relevant area park accessibility at global and local sca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urban parks in Seoul were unevenly distributed. Specifically, a number of hot spots were located within Southern areas (Songpa-gu, Seocho-gu, Gangnam-gu, Nowon-gu, Yangcheon-gu), while the distribution of cold spots were observed within Northern areas (Jongno-gu, Seongbuk-gu, Eunpyeong-gu. These findings are useful in helping policy makers establish more effective recreation policy and planning through providing overall identification on distribution of urban parks.

      • KCI등재

        사교육 시설의 수요와 공급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 수도권 지역 사설학원을 중심으로

        박소현 ( So Hyun Park ),이금숙 ( Keum Sook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1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지역의 사회·경제적 속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사교육 시설의 수요와 공급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가 거주하고 있으며, 사교육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집중되어 있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현재 우리나라 사교육 시설 중 가장 대표적인 사설학원의 유형별 수요와 공급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사교육 수요층을 기존의 초·중·고 학생뿐만 아니라 학령기 이전의 유치원생 및 대학생까지 확대하여 각 연령대별 그들의 거주지 분포와 관련 사교육 시설의 분포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LISA)을 통하여 사설학원의 유형에 따라 사설학원 수강자의 수요와 군집 패턴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지역의 사설학원 유형별 시설 수 및 수강자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사회·경제적 설명변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ovision of and demand for the private tutoring service industries and the consumer groups. For the purpose, we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tutoring institut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particular, we exam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attendants of tutoring institutes by institution type as well as the resident population by attendant age group. By applying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we examine the spatial clustering patterns of tutoring institutes and attendants by type. The results show distinct differenc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by tutoring institute type as well as by attendant age group. We found significant socio-economic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utoring institutes. Finally, we propose private tutoring service provision models constructed with these variabl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미디어 이용자의 활동공간 시,공간 정보를 활용한서울의 실시간 인구 분포 분석

        이금숙 ( Keum Sook Lee ),김호성 ( Ho Sung Kim ),이수영 ( Soo Young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5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미디어패널조사에서 얻어진 미디어 이용자들의 미디어다이어리 데이터에서 미디어 수용자들의 활동공간 이용 시공간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도시 실시간 인구분포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민의 시공간 정보가 상대적으로 다양하여 비교검토가 가능한 서울시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고, 서울시 미디어 이용자들이 도시민들의 주요 활동공간인 주거, 업무, 교육,교통, 상거래 등 다양한 활동공간별로 하루 중 시간 흐름에 따라 머무는 비율의 변화를 분석한다. 활동공간에 따라 하루 중 시간 흐름에 따라 머무는 인구비율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미디어 이용자의 시공간 정보 활용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서울시 대중교통이용자의 시공간적 이동 정보를 담고 있는 교통카드 데이터에서 얻어진 내용과 비교한다. 도시민의 활동공간을 주거, 업무, 상거래의 활동공간으로 범주화하여 활동공간 범주별 실시간 인구 분포률을 산정하고, 이에 서울시 각 동별 거주 인구수 및 관련 산업별 고용자 수를 결합하여 서울시 동별 실시간 인구수를 산정한다. 서울에서 낮과 밤의 인구 분포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거 공간에 머무는 인구수에 가장 큰 격차를 보이는 오전 3시와 오후 3시 두 시점의 각 활동공간 범주별 및 이들을 총합한 실시간 인구수를 GIS를 활용하여 지도화 하였다. 도시민의 대부분이 거주지를 떠나 일상과 관련된 활동공간에 머무르고 있는 오후 3시의 서울 실시간 인구분포는 업무공간과 상업공간의 분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밤 시간대의 인구분포는 주거공간 인구 분포와 거의 유사한 양상을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introduce the methodology for accounting real-time population distribution in the urban areas. For the purpose, we utilize the media user’s time-space information from the media users’ media diaries in the media panel survey databases. We analyze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 for each activity space related with everyday urban lifes. Seoul has been selected as a case study area, since space-time information are relatively rich there, and thus the comparisons are available.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s have been verified by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T-card results. We propose a real time population measurement method by combination of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 with geo-graphical data. The real time population of each activity space at each dong in Seoul has been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space-time population rates to the numbers of employer of three categories of activity spaces(residential, working, and commercial). By utilizing GIS, we visualize the results of two time points(3AM and 3PM) and then analyze the spac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real time population distribu-tionin Seoul. The Day time population distribution pattern shows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 distribution of business and commercial activities, while the night time population distribution pattern can be explained by resident population distribution almost perfe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